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권리, 제도, 주권: 지방자치에서 자치권의 본질에 대한 연구

        서재호 ( Seo Jae-ho ) 한국행정학회 2020 韓國行政學報 Vol.54 No.4

        지방자치의 본질적 구성 요소인 자치권의 본질은 무엇인가? 이 논문은 자치권의 본질을 권리, 제도, 주권의 관점에서 검토하였다. 자치권은 헌법에 기본권으로 명문화되어 있지 않으나 헌법 해석을 통해 기본권으로서 자치권이 도출된다. 기본권으로서 자치권은 자유권적 기본권이나 사회권적 기본권의 범주에 속하지 않는 독특한 성격을 가진다. 이는 기본권으로서 자치권의 주체가 주민과 지방정부로 나뉘기 때문이다. 기본권으로서 자치권의 주체인 주민의 자치권은 국민 주권의 지역 단위의 분할이라는 의미에서 주민주권의 성격을 가지며, 지방정부가 가진 자치권으로서 통치권의 근거가 된다. 지방정부(지방의회와 단체장이 대표하는 지방행정기구)의 자치권은 헌법과 지방자치 관련 법률이라는 제도로 규정되는 이차적인 자치권이다. 제도로 보장되는 자치권의 내용에는 주민의 청구권으로서의 자치권과 지방정부의 지역내 법률관계의 형성권으로서의 자치권 등이 포함된다. 자치권의 본질에 대한 검토를 토대로 이 논문은 자치권의 강화를 위한 몇 가지를 제안하였다. What is the nature of local autonomy? This paper reviews the nature of autonomy from the perspective of rights, institutions, and sovereignty. Although autonomy of local government is not stipulated as a basic right in the Constitution, it is derived as a basic right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he Constitution. As a basic right, autonomy has the nature of a basic right of a unique character that does not fall under the category of free or social rights. This is because, as a basic right, the subject of autonomy is divided into citizens and local governments. As a basic right, the autonomy of citizens, the main body of autonomy, has the characteristics of citizen sovereignty in the sense of division of the local unit of national sovereignty, and serves as the basis for the sovereignty of local governments. The autonomy of local governments is a secondary autonomy prescribed by the system of the Constitution and local autonomy-related laws. The aspects of autonomy guaranteed by the system include the autonomy of citizens as the right to claim and the autonomy of local governments as the right to form legal relations in the region. Through a review of the nature of autonomy, this paper proposes several insights for strengthening autonomy.

      • KCI등재후보

        ‌인문교양교육의 관점에서 고찰한 자율성의 개념

        김우영,이병승 한국교양교육학회 2014 교양교육연구 Vol.8 No.4

        Studies on autonomy, intrinsic goal of education, have focused on the meaning and nature of the concept. However, this study tries to reinterpret the concept from the viewpoint of humanities liberal education, and to extend the meaning of autonomy. First of all, we suggest the humanities liberal education aims at three goals: initiate into the tradition of civilization; build up reflective attitude; integrated life. And it can get at its essential nature by aiming at the integrated life. Secondly we survey the viewpoints on autonomy: rationalism, postmodernism, and strong/weak autonomy. And we argue that it is persuasive to classify strong/weak autonomy. Finally, on the ground of our argument, we conclude that humanities liberal education and autonomy are closed related and that it is the source and principle for autonomy education. In addition, transfer from weak autonomy to strong autonomy is suggested to cope with the paradox that heteronomy is needed to boost autonomy. After all, autonomy is one of the various goals of humanities liberal education, and eventually it is one element for integrated life. 최근까지 교육의 내재적 목적인 자율성에 대한 연구는 주로 자율성 개념 자체의 성격을 규명하거나 그것의 교육적 의미를 파악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반면에 이 연구는 자율성을 인문교양교육의 관점에서 재해석함으로써 그 의미를 보다 확장해 보려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인문교양교육이 지향해온 바를 크게 세 가지, 즉 문명적 전통에로의 입문, 반성적 태도의 육성, 통합적 삶의 추구로 정리하고, 인문교양교육은 인간의 삶을 통합해 가는 방향으로 나아갈 때 그 본래성을 회복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지금까지 학계에서 논의된 자율성의 개념을 크게 합리적 관점, 포스트모더니즘적 관점, 강한 자율성과 약한 자율성으로 구분한 후 마지막 입장, 즉 강한 자율성과 약한 자율성으로 구분한 논의가 보다 설득력이 있다는 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끝으로, 앞의 논의들을 통해 인문교양교육과 자율성은 밀접한 관계를 가지지만 자율성이 인문교양교육의 유일한 목적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인문교양교육이 자율성 신장의 주요 원천이요 원리라는 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자율성이란 타율성을 통해 길러진다는 기존의 관점이 가진 논리적 모순을 극복할 수 있는 한 가지 방안으로서 약한 자율성으로부터 강한 자율성에로 변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자율성 함양은 인문교양교육이 실현하고자 하는 다양한 목적들 중의 하나이며, 궁극적으로는 통합적인 삶을 영위해 가기 위한 한 요소로 이해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자율성 역량 모델의 법철학적 함의

        송윤진 한국법철학회 2017 법철학연구 Vol.20 No.2

        Today, with the expansion of individualistic liberalism, the discourse of autonomy and rights to self-determination tends to be understood as the narrow privacy rights, which is largely centered on individual autonomy. In other words, the respect for autonomy or self-determination is understood as ensuring an independent self-determination by the subject with sufficient decision-making ability. That is, under any circumstances, the subject has an independent authority to decide on his own business without being disturbed. However, such a tendency to understand rights to self-determination as narrow privacy rights does not have a practical alternative to how it can be realized other than to declare that everyone has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by returning the nature of self-determination to the passive right of the individual. Therefore, the recognition of the concept of autonomy, which is concentrated on the self-determination ability, should be newly transformed, and the justification of autonomy should be shifted from the procedural level to the substantive level. This article proposes the autonomy capability model in order to overcome the narrowness of autonomy and self-determination and discuss the applicability of this model. Based on these research goals, this paper has the following structure. First, the autonomy capability model is based on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basis of Martha Nussbaum's capability approach, so this approach is introduced within the necessary range. Then, after explaining the basic concepts and core issues of the autonomy capability model, the significance of this model is examined in terms of substantive justification of rights to self-determination. In addition, the adult guardianship system can be justified from the standpoint of autonomy capability model, and the legal philosophical search for active management of the adult guardianship system is attempted. Finally, the legal 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this model are mentioned. 오늘날 개인적 자유주의의 확대와 함께 자율성 및 자기결정권 담론은 대체로 개인적 자율성을 핵심으로 하는 협의의 프라이버시권으로 이해되는 경향을 보인다. 즉 자율성 내지 자기결정권의 존중이란 ‘충분한 의사결정능력을 가진 주체가 내리는 독립적인 자기결정’을 보장하는 것으로서, 어떠한 상황에서든 주체는 방해받지 않고 자신에 관한 일을 결정할 독립된 권한을 가진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자기결정권의 사사화(私事化) 경향은 자기결정권의 성격을 개인의 소극적인 자유권으로 환원시키며, 누구나 자기결정권을 보유한다는 것을 선언하는 것 이외에 어떻게 실현할 수 있는가에 대해 별다른 실천적 대안을 가지지 못한다. 따라서 협의의 자기결정능력으로 집중되고 있는 자율성 개념에 대한 인식이 새롭게 전환되어야 하며, 자율성의 정당화는 절차적 차원에서 실질적 차원으로 이동되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제기를 통해 필자는 자율성 역량 모델(Autonomy Capability Model)을 제안하여 자율성 및 자기결정권 논의의 협소함을 극복하고 보다 실질적인 자율성 담론 방식임을 논증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표에 따라 본고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우선 자율성 역량 모델은 마사 누스바움(Martha Nussbaum)의 역량 이론(capability approach)에 개념적, 방법론적으로 기초하고 있으므로 우선 필요한 범위 내에서 누스바움의 역량 이론을 소개한다. 이후 자율성 역량 모델의 기본 개념과 핵심 논제를 설명한 후, 자기결정권의 실질적 정당화라는 관점에서 자율성 역량 모델의 의의를 살펴본다. 아울러 개정민법상 성년후견제도를 자율성 역량 모델의 관점에서 정당화함으로써 성년후견제도의 적극적 운용을 위한 법철학적 탐색을 시도한 후 최종적으로 자율성 역량 모델의 법철학적 함의를 밝힌다.

      • KCI등재

        주민자치 법제화에 관한 연구 : 6개 주민자치법안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신용인(Shin, Yong-In)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021 지방자치법연구(地方自治法硏究) Vol.21 No.3

        Residents autonomy in Korea started in 1998 when the Kim Dae-jung government established residents autonomy centers and formed residents autonomy committees. And since 2013, residents associations have been piloted. However, it is a pseudo residents autonomy, with neither residents nor autonomy. To solve this problem, six Residents Autonomy Bills were submitted to the National Assembly this year. However, since each bill has different contents, it is questionable whether it is possible to come up with a single bill that integrates the six bills. Meanwhile, the National Network for Legislating the Residents Autonomy Laws, was launched. With the goal of preparing an integrated Residents Autonomy bill through public debate, This civic group has extracted 12 issues related to resident autonomy legislation. The 12 core issues almost cover major issues related to the enactment of the Residents Autonomy Act, and it is expected to serve as a useful reference for enacting the Residents Autonomy Act in the future. Therefore, First, I examine the origin of the concept of residents autonomy and argue that the core of the concept of freedom, which is the essence of resident autonomy, is self-legislation . Second, resident autonomy is defined as “Residents of a certain area form a self-governing body, a local organization, in accordance with a law made by themselves, and autonomously decide and handle the affairs of the area”. Third, based on this definition of residents autonomy, I critically examine the state of residents autonomy in Korea. Fourth, I present my own alternativ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ix resident autonomy bills proposed to the National Assembly in light of 12 core issues. My alternatives to the 12 core issues are presented as follows. ① All residents of Eup, Myeon, and Dong shall be members of the residents associations. ② Residents associations have autonomy over residents daily affairs. ③ Residents associations shall be public corporations in a different form from local governments. ④ Residents associations are composed of a resident selection method that goes through procedures such as a referendum. ⑤ The organizations of the residents associations are composed of the general residents assembly, the executive committee, and the secretariat. ⑥ In principle, councilors of the residents associations are selected by lot. ⑦ Establish Town funds jointly owned and managed by residents ⑦-1 Residents associations may use national and public property. ⑧ The Resident Autonomy Act is separately enacted based on the Local Autonomy Act. ⑨ The president of residents association is directly elected by the residents. ⑩ Residents associations do not impose on its members the obligation to pay dues. ⑪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provid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to the residents associations. ⑫ When the Residents Autonomy Act is enforced, pilot residents associations or residents autonomous committees will be abolishe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우리나라 주민자치는 1998년 김대중 정부 때 주민자치센터를 설치하고 주민자치위원회를 구성ㆍ운영하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고, 2013년부터는 주민자치회 시범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주민자치의 본질에 대한 깊은 성찰 없이 행정관료제의 필요에 따라 일본의 제도를 섣부르게 벤치마킹하여 주민자치를 도입한 탓에 무늬만 주민자치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올해 들어 7개 주민자치법안(김두관 안, 김영배 안, 김철민 안, 박완수 안. 이명수 안, 이해식 안, 한병도 안)이 국회에 발의되었다. 하지만 각 법안마다 그 내용이 각양각색인 탓에 7개 법안을 통합한 하나의 법률안을 마련할 수 있는지가 의문이다. 한편 전국적 차원에서 주민자치 법제화를 위한 주민운동조직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올해 5월경 시민단체인 ‘주민자치법제화전국네트워크’가 출범했는데 이 단체는 주민 공론화를 통한 통합 주민자치법안 마련을 목표로 하여 주민자치 법제화 관련 핵심 쟁점을 12개로 정리했다. 12개 핵심 쟁점은 주민자치 법제화와 관련된 주요 쟁점들을 거의 망라한 것으로 향후 주민자치법 제정에 유익한 참고 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선 주민자치의 개념 유래를 살펴보고, 주민자치의 본질인 자유 개념의 핵심이 ‘자기입법’임을 밝힌 다음, 주민자치를 ‘일정한 지역의 주민들이 스스로 만든 법에 따라 지역단체인 주민자치기구를 구성하여 그 지역의 사무를 자율적으로 결정ㆍ처리하는 것’이라고 정의했다. 주민자치에 대한 이러한 정의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주민자치 모습을 비판적으로 들여다보고, 국회에 발의된 7개 주민자치법안 중 6개 법안을 핵심 쟁점 12개에 비추어 비교ㆍ분석하면서 필자 나름의 대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① 주민자치의 본질과 헌법상의 평등원칙에 비춰볼 때 누구나 주민자치회에 자유롭고 평등하게 참여할 수 있어야 하므로 읍ㆍ면ㆍ동 주민 모두를 주민자치회의 회원으로 한다. ② 주민자치회는 보충성의 원리에 입각하여 주민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사무에 대해 자치권을 갖는다. ③ 주민자치회에 법인격을 부여하되 헌법상 지방자치단체와는 별개의 특수한 공법인으로 한다. ④ 주민자치회는 일률실시 방안이 아니라 미국의 Home Rule처럼 주민투표 등의 절차를 거치는 주민 선택 방안으로 구성한다. ⑤ 주민자치회는 그 기관으로 해당 읍ㆍ면ㆍ동 주민 전부가 참여하는 주민총회와 주민자치위원으로 구성되는 운영위원회, 사무국 등을 둔다. ⑥ 주민자치회의 위원은 자유롭고 평등한 참여의 보장을 위해 원칙적으로 추첨으로 선정한다. ⑦ 주민자치회의 재정 확보를 위해 마을기금을 조성ㆍ운용한다. 이때 마을기금은 주민 전체가 총유에 준하는 형태로 공동소유하고 자율적으로 관리하는 형태로 조성되며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출연금이 그 주된 재원이 된다. ⑦-1 주민자치회의 국ㆍ공유재산 활용 특례조항을 둔다. ⑧ 주민자치회가 지방자치 제도의 한 구성 요소로 인정받는 동시에 주민자치회 본연의 유연성과 자율성을 확보하기 위해 주민자치법은 지방자치법에 근거를 두는 동시에 독립한 개별법으로 제정한다. ⑨ 주민자치회의 회장은 민주적 정당성의 확보를 위해 주민이 직접 선출한다. ⑩ 회비납부의무를 부과할 경우 자칫 회비가 주민자치회의 진입장벽으로 작동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주민자치회는 회원에게 회비납부의무를 부과하지 않는다. ⑪국가 및 지자체의 행정적ㆍ재정적 지원을 기속사항으로 하고 주민자치회 협의체가 전문지원기관 역할을 담당한다. ⑫주민자치법이 시행되면 시범주민자치회나 주민자치위원회는 일정한 기간 경과 후 폐지한다.

      • KCI등재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의 선행자로서의 직무자율성

        박노근(Rhokeun Park) 한국인사조직학회 2010 인사조직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매개적 조절모형(mediated moderation model)을 사용하여, 직무자율성이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기업 혁신성의 조절적 효과를 살펴보았다. 또한 직무자율성과 기업 혁신성 사이의 상호작용이 조직시 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직몰입이 매개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매개적 조절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2008년에 실시된 [근로자들의 태도와 행위를 위한 설문조사]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한 기업의 혁신성이 직무자율성과 조직몰입, 직무자율성과 조직시민행동 사이의 관계에 조절적 영향을 미쳤다. 즉, 직무자율성은 보다 혁신적인 기업에서 개별 근로자들의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을 더욱 향상시켰다. 또한, 본 연구는 조직몰입이 이러한 직무자율성과 혁신성 사이의 조직시민행동에 대한 상호작용 효과를 매개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지금까지 직무자율성이 근로자 개개인의 태도와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기업 상황적 요인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었다는 점에서 본 논문의 발견들은 직무자율성과 근로자들의 태도와 행위 사이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상황적 요인들에 대한 연구에 기여할 수 있다. In this study, job autonomy refers to the degree to which individual employees are provided with the freedom and discretion to determine how to conduct their jobs. Previous studies have found that job autonomy has positive effects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mental health,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intent to stay. However, there has been no empirical study investigating the organizational contexts in which job autonomy can be more effective in improving those outcome variables. Thus, more research is needed that examines the external fit between job autonomy and innovation, one of organizational context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a moderating role of innovation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job autonomy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between job autonom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also examines a mediating rol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autonomy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Grant of job autonomy to its employees signals that the organization values the employees’ input and recognizes their contribution to its goal achievement. Therefore, job autonomy has a positive impact o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POS). Social exchange theory implies that employees feel an obligation to reciprocate the organizational support. In other words, employees who perceive an organizational support are willing to reciprocate what they have received from the organization. As ways to reciprocate the organizational support, the employees may be committed to the organization's goal accomplish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engage i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CB). H1 : Job autonomy will be positively related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H2 : Job autonomy will be positively related to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Given that job autonomy is an HR practice with which the organization utilizes employees' human capital by providing them with freedom and discretion in decision making, job autonomy fits with innovative organizational climate. Because more innovative companies need more inputs by their employees compared with less innovative companies, employees in more innovative companies are likely to have more opportunities to input their human capital. In contrast, employees in less innovative companies may not have enough opportunities to make innovative suggestions, even though they are provided with job autonomy. As a result, the effects of job autonomy on employees’ attitudes and behavior will be stronger in more innovative companies than in stable companies. H3 :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autonomy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ill be stronger in more innovative companies. H4 :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autonom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ill be stronger in more innovative companies. Employees committed to the organization will more readily engage i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other words, psychological attachment to or psychological identification with the organization will lead to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H5 : Organizational commitment will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autonomy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o examine the proposed hypotheses, this study used a survey conducted in companies located in South Korea in 2008. More than 1,290 employees from 50 companies were involved in the survey. We chose 5 items among the 5-dimension scale that Niehoff and Moorman(1993) developed for OCB and 5 items from 15-item scale that Mowday et al.(1979) developed for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ee items from Job Diagnostic Survey and two items from Job Characteristics Inventory were selected for job autonomy. Innovation was measured by the extent to which a company develops or adopts new products or services.

      • KCI등재

        지방자치 70년, 회고와 과제 - 헌법과 지방자치법의 제정・개정을 중심으로 -

        홍정선,방동희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019 지방자치법연구(地方自治法硏究) Vol.19 No.3

        대한민국 정부수립 후의 지방자치 70년을 회고하려면, 70년간 이루어진 지방자치법제의 변화와 그에 따른 지방자치행정의 변화, 주민생활의 변화 등 지방자치에 관련된 사항 전반에 대한 회고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 글은 그 중에서 헌법과 지방자치법의 70년 변화를 중심으로 논급한다. 제헌헌법 제8장에 지방자치에 관한 사항이 규정된 이래 70년이 지났다. 헌법상으로는 제3차 개정헌법, 제5차 개정헌법, 제7차 개정헌법, 제8차 개정헌법에서 지방자치에 관한 규정의 개정이 있었다. 지방자치법은 1949.8.15. 제정 이래 2018년까지 타법 개정 등으로 인한 경우를 포함하여 근 60차례의 개정이 있었다. 그동안 이루어진 헌법과 지방자치법의 제정 및 개정의 역사는 바로 한국 지방자치법 70년의 역사이다. 지방자치헌법 70년을 보면, 한국 지방자치헌법 70년의 역사는 3개의 시기, 지방자치의 발아기, 지방자치의 중단기, 지방자치의 재생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지방자치에 관한 현행 헌법조항을 볼 때, 현행헌법에 지방자치단체의 사무를 주민의 복리사무가 추가되었다는 점을 제외하면, 현행헌법과 제헌헌법 사이에 별다른 차이가 보이지 아니한다. 1948년의 지방자치헌법이 현재에도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현행헌법에서는 이 시대에 요구되는 국가권력과 자치권의 상호관계, 지방재정의 보장, 폭넓은 자치입법권, 제한된 국가감독권, 지방자치단체의 넓은 제소권 등에 관한 규정이 보이지 아니한다. 지방자치에 관한 국민의 의식 등이 상당한 수준으로 향상되고 있는 오늘날의 시각에서 보면, 현행헌법 제117조와 제118조가 지방자치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을 잘 규정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최근에도 국가기관에 의한 헌법개정의 움직임이 있었으나, 이루어지지 않았다. 지방분권 강화 의식을 포함하여 이 시대 국민들의 의식을 반영하는 방향으로 헌법상 지방자치 관련 조항은 바뀌어야 한다. 지방자치법 70년의 변화 중에서 가장 큰 특징은, 1949년 8월 15일 지방자치법이 시행에 들어갔다는 점, 그러나 1961년 군사쿠데타로 지방자치법 내용 중 핵심내용인 지방의회의 구성과 단체장의 선거가 폐기되어 지방자치법의 의미가 상실되었다는 점, 그러다가 1988년 제9차 개정헌법과 1988년 5월 1일 시행 지방자치법 등의 발효로 지방자치법의 의미가 되살아났다는 점이다. 현행헌법 하에서 지방자치법의 개정은 매우 빈번하였다. 개정이 빈번하였다는 것은 급속히 변해가는 주민의 의식, 경제수준의 향상, 문화적 요구의 증대 등을 바탕으로 하여 그 시기에 적합한 지방자치법을 마련하겠다는 정부의 강한 의지에 기인한 것으로 볼 것이다. 근년에 이르러 주민의 권리를 확대하는 지방자치법 개정이 자주 이루어졌다는 것도 지방자치법 70년의 주요 특징의 하나이다. 지방자치가 주민의 자치이고, 주민에 의한 자치이고 주민을 위한 자치임을 고려할 때, 이러한 개정은 지방자치의 성숙, 민주주의의 성숙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글은 지방자치헌법 70년의 변화와 지방자치법 70년의 변화로 나누어서 특징을 살펴보았고, 지방자치 70년을 회고하고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다. To look back on 70 years of local autonomy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 general review of the issues related to local autonomy, including changes in local autonomy legislation, changes in local autonomy administration, and changes in residents' lives, must take place. This article discusses 70 years of changes in the Constitution and local government law. Seventy years have passed since the issue of local autonomy was set out in Chapter 8 of the Constitution. The Constitution included amendments to local autonomy in the 3rd, 5th, 7th and 8th Amendments. Local autonomy law is 1949.8.15. Since enactment, there have been nearly 60 revisions since 2018, including cases involving revisions to other laws. The history of the enactment and revision of the Constitution and Local Autonomy Law has been the history of 70 years of Korean Local Autonomy Law. Looking at the 70 years of the Local Constitution, the history of the 70 years of Korea's Local Constitution can be divided into three periods: the germination of local autonomy, the cessation of local autonomy, and the regeneration of local autonomy. In the present Constitutional Article on Local Autonomy, there is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Constitution and the Constitutional Constitution, except that the affairs of local governments are added to the current Constitution. It can be said that the local constitution of 1948 is still intact. The current Constitution does not provide for the interrelationships of state power and autonomy required in this era, the guarantee of local finances, the wide range of autonomous legislative powers, the limited state oversight, and the wider right of filing of local governments. From today's point of view, when the public's awareness of local autonomy has improved considerably, it is hard to say that Articles 117 and 118 of the current Constitution clearly define the basics of local autonomy.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movement to amend the Constitution by state agencies, but it has not been achieved. Constitutional provisions concerning local autonomy should be changed to reflect the awareness of the people of this era, including the consciousness of decentralization. The biggest feature of the 70 years of the Local Autonomy Law was August 15, 1949. The Local Autonomy Act entered into force, but the 1961 Military Coup d'état lost the meaning of the Local Autonomy Law by the abolition of the composition of the local council and the election of the head of the governing body. And 1988.5.1. The meaning of the Local Autonomy Act has been revived by the enforcement of the Local Autonomy Act. Under the current Constitution, revisions of local autonomy were very frequent. The frequent revisions may be attributed to the government's strong will to devise appropriate local autonomy laws based on the rapidly changing consciousness of the population, the improvement of economic level, and the increase of cultural demands. In recent years, the revision of the Local Autonomy Law, which expands the rights of the residents, has been frequently made. Considering that local autonomy is autonomy of the inhabitants, autonomy by the inhabitants and autonomy for the inhabitants, this amendment can be regarded as the maturity of local autonomy and the maturity of democracy. This articl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70 years of the Local Constitution and the 70 years of the Local Autonomy Act, reviewed the 70 years of local autonomy, and presented future tasks.

      • KCI등재

        불법행위에 관한 당사자자치의 도입

        김인호 대한변호사협회 2024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519

        International business transactions may face concurring claims in tort arising in connection with a contract. The principle of party autonomy has been well developed in a contract. On the other hand, there has been little experience on the operation of party autonomy in the field of tor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ether party autonomy is to be introduced in tort, and, if it is, it's the extent and limits. It is time to revisit the Private International Law with party autonomy in a limited fashion to expand party autonomy to enhance legal certainty and also to protect weaker parties.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put limits on party autonomy to protect weaker parties. The revision could get a lesson from Rome II Regulation extending party autonomy to a tortious obligation with necessary limits. While article 14 of the Regulation allows an ex ante choice as well as an ex post choice of law to govern a tortious obligation, it limits the freedom of choice to enhance legal certainty and foresseability. According to article 14, an ex ante choice of law is not permitted in a consumer contract or an employment contract to which all the parties are not pursuing a commercial activity. The limits set by article 14 to protect weaker parties should also be observed when the applicable law to a tortious obligation is determined by way of the accessory connection of article 4(3). It remains to be seen whether the operation of article 14 will extend party autonomy to the field of torts beyond the field of contracts. It is noted that for the purpose of consistency Rome II Regulation should be referred to when introducing party autonomy in the PIL because the PIL is based on Rome Convention predecessor to Rome Regulations. First, this paper reviews whether there is need for party autonomy in the field of torts. Then, when doing so, this paper reviews discriminating regulation due to timing of the agreement, express and implied agreements, consent and material validity of the agreement, any permissible content, eligible laws, dépeḉage, and parties to the agreement. On the other hand, this paper examines the rights of third parties and preservation of mandatory provisions to protect conflicting interests when introducing party autonomy. Then, this paper reviews limits on party autonomy by internationally mandatory provisions and public policy. Also the paper reviews whether the conditions set out in article 14 apply to indirect party autonomy by way of the accessory connection mechanism. This paper proposes and interprets a provision introducing party autonomy in torts based on Rome II Regulation. When relying on accessory connection, the question arises as to whether the limits set out by article 14 should also be observed to protect weaker parties. This paper proposes a provision extending party autonomy in torts and suggests interpretation thereof. This research could enhance forseeability of the parties and contribute to the revision of the PIL in the field of torts striking balance between conflicting interests. 국제거래관계에서 계약위반으로 인한 채무가 발생하면서 또한 이와 함께 불법행위에 기한 채무가 발생할 수 있는데 전자에 관한 당사자자치는 널리 인정되는 것으로 확립되어 있으나 후자에 관한 당사자자치의 인정 여부 나아가 인정하는 경우 그 범위와 한계에 관하여는 상대적으로 법리가 확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이에 관한 검토가 필요하다. 불법행위에 관하여 제한적으로 당사자자치를 규정하고 있는 국제사법을 개정하여 불법행위에 관하여 당사자자치를 확장하여 인정함으로써 당사자의 예견가능성을 제고하고 한편 당사자자치를 확대함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상충되는 다른 법익을 보호할 필요가 있다. 특히 사회경제적 약자의 보호를 위하여 당사자자치를 제한할 필요가 있다. 불법행위에 관하여 당사자자치를 넓게 인정하면서 필요한 제한을 하고 있는 로마 II 규정의 조항을 분석하여 그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로마 II 규정 제14조는 불법행위에 관하여 사후 준거법의 합의는 물론 나아가 사전 준거법의 합의를 허용하되 그 한계를 명확히 획정함으로써 불법행위의 준거법에 관하여 법적 안정성과 예견가능성을 제고하고 있다. 로마 II 규정 제14조는 당사자가 영업활동을 영위하지 아니하는 소비자계약이나 근로계약의 경우에는 불법행위에 관하여 사전 준거법의 합의를 허용하지 아니한다. 이 경우 로마 II 규정 제4조 제3항의 종속적 연결에 의하여 불법행위의 준거법을 결정할 때에도 두 조문 간의 조화로운 해석을 통하여 사회경제적 약자의 보호라는 로마 II 규정 제14조의 취지를 존중하여 종속적 연결을 제한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향후 로마 II 규정 제14조의 합리적 해석을 통하여 당사자자치는 계약의 영역을 넘어 불법행위의 영역에서도 의미 있는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제사법이 로마규정의 선행체제인 로마협약을 기초로하고 있으므로 불법행위에 관하여 당사자자치를 도입함에 있어 로마 II 규정을 검토하는 것이 일관성의 측면에서 의미 있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불법행위에 관하여 당사자자치를 도입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살펴보았다. 당사자자치를 도입할 경우 당사자자치의 요건으로 준거법 선택의 시기에 따른 차별적 규율의 필요, 준거법의 명시적 선택과 묵시적 선택, 준거법 합의의 존재와 유효성, 허용 범위와 한계, 선택할 수 있는 준거법의 범위, 준거법의 분열, 준거법 합의의 당사자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한편 당사자자치의 도입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상충하는 다른 법익의 보호를 위하여 제3자의 권리 보호와 순수 국내사건에서의 제한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당사자자치에 대한 국제적 강행규정과 법정지의 공서에 의한 제한을 검토하였다. 종속적 연결에 의하여 불법행위의 준거법을 지정하는 경우 불법행위에 관하여 간접적으로 당사자자치를 인정하는 결과가 되므로 불법행위에 관한 당사자자치에 관한 규율이 종속적 연결에 의하는 경우에도 적용되는지 살펴보았다. 로마 II 규정의 불법행위에 관한 당사자자치에 관한 규율을 기초로 우리나라 국제사법에 도입될 불법행위에 관한 당사자자치를 규정하는 조항을 제시하고 그 해석을 검토하였다. 특히 종속적 연결에 의하여 불법행위의 준거법을 지정하는 경우 소비자계약과 근로계약에 있어서 사회경제적 약자의 보호를 위한 해석이 필요하다. 국제사법에 불법행위에 관한 당 ...

      • KCI등재

        전자정부로 인한 지방자치법의 변화 연구

        성봉근 한국공법학회 2016 공법연구 Vol.45 No.1

        Local Autonomy Laws and Acts have been under serious several limits for example long time and distance with alienated from central provinces and insufficient budget. Recently ‘Ensuring State’ Theory and ‘E-Government’ Theory are studied eagerly as hot issues in many areas to overcome these obstacles. These two theories are connected with same aim to provide ‘Good Governance’ to citizens and overcome these things. E-Government is a kind of paradigm which can implement various works of legislation, executive, judicial etc. with electronic tools and process for example ICT. And E-Local Autonomy means the application of E-Government in Local Autonomy. There are 4 relationships in E-Local Autonomy for example G2G, G2C, G2B, IEE etc., and this classification system is available to analyze many problems in Local Autonomy. Some says that E-Government is neutral to Local Autonomy and Democracy. But I think that E-Gov. might make huge influences those things and can make it change. And Some says E-Gov. is going to affect negative for Local Autonomy. But I conclude that E-Gov. will help those things positive on the contrary. The basis of E-Gov. are theoretically founded on the Alvin Toffler‘s futurology, Habermas’ Discussion theory, and James Bryce‘s Democratic theory etc. Some says that E-Gov. is only for improvement in View of Economical Effect. But My Idea is that E-Gov. is practical tools and armour for Ensuring State and Harmonize also in view of Constitutional Order and Value including Democracy. I've researched also many countries in aspect of comparative law including legal history and unique circumstances. Although E-Gov. also might make negative influences to Local Autonomy, but with the help of advanced E-Gov. we can expect great progress of Local Autonomy and Local Administration including E-Democracy. We'd better make good structure which Local Government has Initiative in administration and which Central Government helps and supplement it, instead of bad structure of Regulatory State which is lead forcibly by Central Government. So I suggest We need to amend Constitution and Many Laws including the korean Local Autonomy Law. I suggested specifically several amendment idea those were for conversational structure with citizen, for Electronic Local Autonomy, for systemic, unified and effective Legislation, for Local Finance, for Legislation considering Heuristic Character, and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etc. Now is time to upgrade Constitution and Laws for E-Local Autonomy and E-Democracy. We should apparently know that E-Local Autonomy and E-Democracy cannot be completed all of a sudden like that Rome wasn't built in a day. 지방자치법의 발전은 오랜 동안 시간과 장소 및 예산 등의 제약으로 인하여 매우 곤란한 장애에 가로 막혀 왔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이슈화되고 있는 이론은‘보장국가론’과 ‘전자정부론’이다. 이 두 가지 이론은 주민들에게 충분한 급부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만들어지고 발전하고 있다는 점에서 상호 연결되어 있다. 전자정부는 입법, 사법, 행정 등의 작용을 다양한 전자적인 방법을 동원하여 구현하는 새로운 정부의 패러다임이며, 이를 지방자치에 구현하는 것이 전자 지방자치이다. 전자정부는 중립적인 가치관에 불과하다는 입장이 있지만, 지방자치 및 민주주의의 변화에 영향을 준다는 입장이 타당하다. 전자 지방자치는 지방자치에 대하여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는 입장이 있지만, 긍정적인 평가를 하는 입장이 타당하다. 전자정부의 법철학적 기반은 엘빈 토플러의 미래학, 하버마스의 대화이론, 제임스 브라이스의 지방자치이론 등과 연결될 수 있다. 전자 지방자치를 경제적인 관점에서만 바라보는 입장도 있지만, 보장국가를 효과적으로 구현하면서 민주주의를 비롯한 헌법질서와 조화될 수 있는 실질적인 도구이자 무기로 바라보는 입장이 타당하다. 전자정부가 지방자치에 구현되는 역사나 과정 및 현재의 모습, 장래의 전망 등은 나라마다 사정이 다르다. 이에 대하여 비교법적으로 검토해 보았다. 전자정부로 인한 지방자치법의 구체적인 변화들을 검토해 보았다. 전자정부로 인하여 지방자치에 부정적인 영향도 있을 수 있기는 하다. 그러나, 전자 지방자치가 잘 구현되게 되면, 지방행정이 효과적으로 개혁되어 능률성과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전자 지방자치의 실현에 의하여 공간적인 한계와 시간적인 제약, 지방재정법상 예산 부족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해 나갈 수 있다. 전자 지방자치가 잘 구현되면 대화와 합의에 행정의 바탕을 두게 되므로, 전자 민주주의가 발전되게 된다. 전자 지방자치를 실질적으로 잘 구현할 수 있기 위해서는 국가 주도에서 탈피하여 지방자치단체가 우선적으로 행정을 수행하도록 하고, 국가가 지방자치단체를 보완하는 구조로 가야한다. 전자 지방자치를 실질적으로 잘 구현할 수 있도록 헌법과 각종 법령을 개정하고 보완하여야 한다. 이를 위한 입법론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주민들과의 대화형 전자정부 구현을 위한 입법론, 전자 지방자치를 위한 입법론, 체계성과 통일성 및 효율성을 위한 입법론, 전자정부를 구현하기 위한 지방재정을 위한 입법론, 휴리스틱적 성격과 관련한 입법론, 전자 지방자치의 국제적 활동을 위한 입법론 등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전자 지방자치는 한꺼번에 완성되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실험을 해 나가면서 시행착오를 수정하여야 하는 진행형 패러다임이다.

      • KCI등재

        사적자치의 실현을 위한 민법의 과제

        이진기 대한변호사협회 2015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54

        Private autonomy refers to the state at which an individual forms a legal relation at his free will without outside interference. Within civil law, which has its roots in the ideology of individual freedom and equality, private autonomy is the basic ideology that realizes human dignity. Furthermore, civil law is a collection of legal systems that accomplish private autonomy. Private autonomy also serves as another form of safety of transaction. Private autonomy is based on individual trust; individual trust, in return, demands an action based on private autonomy. The realization of private autonomy, however, should be guaranteed by the legal system and rulings. It is also the need of a rapidly changing society for the legal system and rulings to accompany private autonomy; legalization is another phenomenon in the formation of a social culture. However, the accompaniment often does not occur in practice. Sometimes anxiety from fixating too much on the goal of promoting and enhancing private autonomy, or the enlightened, guardian-like interference to the fix the infringement on private autonomy distorts private autonomy itself. In this paper, topics such as adult guardianship, commercial building lease, contingency fee agreement and marital property system, which can arise as hot issues depending on the organization of the civil law, will be discussed,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and critically assessing the current status of private autonomy. This series of processes will help contribute to the actual realization of private autonomy and protection of true individual freedom. Lastly, private autonomy requires time and patience. It would not be advised to make immediate interventions based on the judgment that private autonomy is not yet mature or interventions need to be made to overcome societal limitations. Intervention and interference need to be at a minimum; trust in the individual and waiting will be the fastest way to realize the free, equal image of men that civil law demands. 사적자치는 개인이 타인의 간섭 없이 그의 자유의사로써 법률관계를 형성하는 상태를 말한다. 개인의 자유와 평등을 기본이념으로 하는 민법은 사적자치를 인간으로서의 존엄을 실현하는 민법의 기본이념으로 한다. 그러므로 민법은 사적자치를 관철하는 법률제도의 모음이다. 사적자치는 또한 거래안전의 다른 모습이다. 왜냐하면 사적자치는 개인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하며, 그 신뢰는 다시 사적자치에 따른 행위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진정한 사적자치의 구현은 법률제도와 판결로써 담보되어야 한다. 그리고 급격하게 변화하는 사회는 법률과 판결도 이와 보조를 함께할 것을 요구한다. 왜냐하면 법문화도 사회문화를 구성하는 하나의현상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많은 경우 현실은 그러하지 아니하다. 때로는 절대가치인 사적자치를 장려하고 증진하여야 한다는 목표의식에 사로잡힌 조급증에서, 때로는 사적자치의 침해를 바로잡기 위한 계몽적·후견적 간섭에서 사적자치의 왜곡이 발생한다. 이 글에서는 성년후견, 상가건물임대차와 권리금, 성공보수약정과 부부재산제도 등 민법의 편제에 따라화두가 될 수 있는 법률제도를 선정하고 이를 중심으로 사적자치의 현황을 분석하고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이름만이 아닌 실질적인 사적자치의 실현과 진정한 개인적 자유의 보장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사적자치는 인내와 시간을 요구한다. 지금 사적자치가 아직 미성숙하다거나 다른 사회환경의 제약으로 개입이 필요하다는 판단에서 이루어지는 즉각적인 개입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개입과 간섭은 최소한의 범위에 머물러야 하며, 사람에 대한 신뢰와 기다림이 민법이 요구하는 자유롭고 평등한 인간상을 실현하는 지름길이 될 것이다.

      • KCI등재

        자치권 보장과 감사제도의 정립에 관한 연구 - 지방자치권 실현을 위한 감사제도의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

        방동희 한국공법학회 2016 公法硏究 Vol.45 No.2

        The Recent Agenda i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cal Autonomy and the BAI(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of Korea)’s Audit Power. In Korea, Local Autonomy System had been wholly enforced since 1995. Before 1995, Local autonomous entity didn’t have the right of local autonomy perfectly. In other words, There was not local autonomy but just ‘Local Administration’. Justly Local administrative organ existed being subjected to the State. So BAI’s Audit power was in effect to the Local administrative organ as the internal control measure. But in 1995 As Local Autonomy System has been full implementation, Occured the collision with the Local Autonomy and BAI’s Audit Power. To overcome this problem, Scholar, Constitutional Court and National Assembly proposed theory, decision letter and bills. This study shall investigate the theory,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 letter and bills. And what's more, shall analyze the history of Local Autonomy and BAI’s Audit. This study concentrates on the limitation of State control. In other words, Local autonomous entity has the independent autonomous power, so called the Local Autonomy. According to the Local Autonomy, Local autonomous entity has the independent autonomous affairs. So BAI’s Audit should not be exceeded to the Local autonomous affairs. This principle is the point of this thesis. This study evaluates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 of the Local Autonomy. Recently, ‘ACT ON PUBLIC SECTOR AUDITS’ has been enforced in 2010. This Act established the Self-Audit. This institution is so meaningful for improve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cal Autonomy and the BAI’s Audit Power. This Study propose developmental implementation of this act and Self-Audit for promoting the Local Autonomy. 지방자치의 자치권 실현의 문제와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감사의 문제는 지방자치제가 점진적으로 자리를 잡아가는 과정에서 첨예한 이슈가 되었다. 이에 대하여 학계와 실무에서는 이론논구, 법해석, 입법이라는 삼륜체제를 가동하여 자치권과 감사와의 관계를 규명하고 그 조화적 해결방안을 찾고자 노력하였다. 헌법재판소는 이른바 ‘서울특별시와 정부간의 권한쟁의 (2006헌라6)’ 사건과 ‘강남구청 등과 감사원 간의 권한쟁의 (2005헌라3)’ 사건을 통하여 중앙행정기관과 감사원의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각각의 감사권의 대상과 그 범위 기준을 제시하였다. 입법적으로는 2010년에 「공공감사에 관한 법률」을 제정ㆍ시행함으로써 이른바 ‘자체감사’를 법정감사의 한 유형으로 도입하여 감사체계를 새롭게 편성함으로써 자치권의 실현의 문제와 감사원 감사권의 문제를 조화롭게 공존시키려는 노력을 전개하였다. 본 논문은 이제까지의 학계의 논의와 법해석의 기준, 입법을 기초로, 첫째 자치권의 문제, 특히 우리나라 지방자치현실에 있어서 자치권의 보장의 수준과 그 한계를 살피고, 둘째 우리나라 감사제도에 근거한 ‘감사권’의 내용과 본질, 그 성격을 규명하고, 셋째 우리나라에서의 자치권의 특수상황, 감사권의 모습에 비춰 양자를 조화롭게 보장하고 실현하는 방안으로 제시된 「공공감사에 관한 법률」의 주요 내용과 現시행성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특별히 자치권의 보장과 실현 문제에 집중하고자 이 논문은 ‘감사원 감사’와 ‘지방자치단체의 자치권’의 문제에 초점을 두었다. 우리나라의 지방자치는 온전한 지방자치가 실현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 불완전하게 소위 ‘지방행정’이 이뤄지는 상황에서 감사원의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감사는 일종의 내부통제 장치로서 당연시 활용되었다는 점, 끝으로 감사원 감사의 개념과 범위 역시 명확치 않다는 점에서 현재의 지방자치의 자치권과 감사원의 감사권 사이의 충돌이 발생하였음을 확인하였다. 결국 이 문제를 풀 수 있는 방법은 지방자치의 기반과 틀이 확립되어 완전한 지방자치를 실현시키고, 감사원 감사의 범위를 명확히 규명하여 법인격을 달리하는 지방자치단체로부터 감사원 감사를 완전히 분리시키고, 감사원 감사를 대체할 수 있는 자치권 범위 내의 자체감사제도를 확립시킴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현재, 이 문제의 해결은 우리 지방자치의 현실, 감사원 감사의 불명확성, 자체감사의 미완성으로 인하여 헌법과 지방자치법에 따른 법리상 원칙을 조건 없이 적용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현실과 법이론을 조화롭게 접목시킴으로써 양자의 간극을 줄여나가는 노력으로 최근 시행된 「공공감사에 관한 법률」을 자치권의 보장 – 특히 자치감사고권을 보장 – 측면에서 보다 헌법합치적으로 개선해 나가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