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 대학 무용학과의 현황과 전망: 대구⋅경북지역을 중심으로

        이종희 무용역사기록학회 2020 무용역사기록학 Vol.56 No.-

        This study identifies the current status of dance departments at universities in Daegu and Gyeongbuk and to raise the need to improve dance education programs and to seek a change in educational direction for dance departments facing the crisis of the abolition at the local universities. Starting with the department of dance at Hyosung Women's University (currently, Daegu Catholic University), which was established in 1974, the department of dance was established at Keimyung University (1984), the dance major at Yeungnam University (2002), and the department of practical dance at Daegu Art University (2004) in succession. The dance culture of Daegu and Gyeongbuk was formed and developed through dance education and creative activities have been centered on these universities. Today, however, with the rapid decline of the school-age population and the university restructuring policy, the dance departments at local universities face a crisis through the abolition, unification, downsizing of undergraduate majors and reform of specialty majors. Therefore, if the departments of dance at the local universities establish a step-by-step educational program that considers not only the admission process, but also student’s employment after graduation, and expand programs such as directing, management, stage, lighting as well as practical education centering on fine arts, and if each university presents a paradigm of specialized education to expand investment in creative dance education and to develop a new dance education ecosystem through the formation of a network between departments, community education institutions, and regional art creation agencies, they will grow into a continuous and future-oriented dance departments at local universities. 본 연구는 변화하는 시대적 흐름 속에서 지역 대학 무용학과, 특히 대구·경북 지역 대학 무용학과의현황을 파악하고 지역 대학 무용학과의 미래를 전망하여, 이상적인 대학 무용교육에 있어 오늘날 시대가 요구하는 무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 방향 전환 모색의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있다. 대구·경북 지역 대학 무용학과는 1974년 신설된 효성여자대학교(현, 대구가톨릭대학교)를 시작으로계명대학교 무용학과(1984년), 영남대학교 무용학전공(2002년), 대구예술대학교 실용무용학과(2004년) 가 신설되었고, 대구·경북을 중심으로 한 무용교육활동, 무용창작활동을 통한 대구·경북 춤 문화를 형성·발전시켰다. 그러나 오늘날 대학은 학령인구의 급속한 감소와 대학구조조정 정책의 일환으로 대학구조개혁평가, 대학기본역량진단 등을 통해 지역 대학 무용학과는 폐과, 학과 통폐합, 학부전공 축소 및세부전공 개편 등의 과정을 거치며 위기 상황에 직면하게 되었다. 따라서 지역 대학 무용학과는 입학부터 취업에 이르기까지의 전 과정을 고려한 지속적· 단계적인교육프로그램을 구축, 순수예술을 중심으로 한 실기 교육뿐만 아니라 연출, 경영, 무대, 조명 등의 교육프로그램을 확대, 대학 무용학과와 지역사회교육기관 및 지역예술창작기관 간 네트워크를 형성 등을통해 창조적인 무용교육 프로그램의 투자 확대 및 새로운 무용교육 생태계 발현을 위한 각 대학의 특성화 정책을 구현할 수 있는 무용교육의 패러다임을 제시한다면 지속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지역 대학 무용학과로 성장할 것이다.

      • KCI등재

        대학의 새마을 교육ㆍ연구사업과 학문화에 관한 의미망 분석

        이정주 ( Lee Jeong Ju ),이희욱 ( Yi Huiuk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6 地方行政硏究 Vol.30 No.3

        새마을운동은 마을 주민이 그 지역사회의 발전을 위해 자발적으로 사업에 참여하고 정부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지원하여 국가발전을 견인한 잘살기운동이다. 본 연구는 새마을운동에 대한 국내·외적 수요가 증대되는 시대적 흐름에 따라 선도적으로 이를 추진하고 있는 영남대의 새마을운동 교육·연구 및 학문화에 대한 의미망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데이터 수집 기간은 2008년 1월 1일부터 2015년 12월 31일(8년)을 대상으로 하였다. 데이터는 포털사이트 네이버(Naver)의 뉴스, 블로그, 카페, 지식인 웹을 대상으로 수집하였다. 수집 키워드는 ‘영남대학교 새마을운동’ 혹은 ‘영남대 새마을’이다. 영남대의 새마을운동 교육·연구 및 학문화는 현재 박정희새마을대학원, 국제개발협력원, 새마을국제개발학과를 중심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국내의 관심도와 인지도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결론적으로 영남대의 새마을 교육·연구사업 즉, 새마을운동은 이론과 실무의 균형 있는활동을 통해 국내적으로는 새마을운동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개선하고, 국제적으로는 개도국의 빈곤극복과 경제발전을 위한 새마을학과 새마을운동의 전파활동을 체계적으로 추진하는데 공헌할 수 있을 것이다. Saemaul Undong was development and policy that led the national development by having the village people voluntarily participate in and the government actively support it. This study examines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on Yeungnam University’s Saemaul education and research projects, as the University has taken the initiative to meet the increas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demands for such development in the current era.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January 1, 2008 to December 31, 2015. The source of data is Web portal Naver, from its news, blog, cafe (online forums), and Knowledge iN (knowledge market) services. The collected keywords are ‘Yeungnam University Saemaul Undong’ and ‘Yeoungnam Saemaul’. In conclusion, Yeungnam University’s Saemaul education and research projects are actively expanding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Park Chung Hee School of Policy and Saemaul, the Institute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nd the Department of Saemaul Studies and International Development is rapidly increasing in domestic popularity and awareness. Through balance of theory and practice, on a domestic level, Yeungnam University’s Saemaul education and research projects will be able to mitigate the negative image of the development, and on a global level, it will contribute to systematically promote outreach activities for poverty eradication and economic growth of developing countries.

      • KCI등재

        대학 교육 및 연수 사업과 학문화에 관한 언론보도 가치평가

        이경탁,이정주,이희욱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6 민족문화논총 Vol.6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ntify and measure the effects of PR on various activities of universities, verify the performance of PR effects in the future, and provide suggestions for the application of PR effects. This study first analyzed what PR efforts have been made regarding Yeungnam University's Saemaul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and theorization of Samaul Undong and how valuable they are. Through this, this study will be able to point to the way the public properly understand Yeungnam University’s efforts at Saemaul education and theorization and that these efforts can be made more systematically and efficiently. In this study, PR measure is modeled by using the Advertising Equivalent Value and weighing two parameters, i.e. the availability of a photograph and the type of newspaper article. Based on these models, effects of the PR of 377 newspaper articles related with the Saemaul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at Yeungnam University have been estimated by using four different methods of weighing. As a result, it has been shown that the maximum effect is about 7.8 billion won from the minimum of 2.2 billion won. 본 연구는 대학의 다양한 활동에 대한 PR효과를 계량화하고 그 효과를 측정하여 PR효과의 성과를 확인하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PR활동에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먼저 지금까지 영남대의 새마을운동 교육·연수 및 사업과 학문화의 노력에 대한 PR활동이 어떻게 이루어졌으며 어느 정도의 가치를 가지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영남대의 새마을교육과 학문화 노력을 국민들이 제대로 이해하고, 앞으로 이러한 노력이 좀 더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광고단가환산지수를 활용하여 사진게재 유무와 신문기사 형태의 두 가지 변수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법을 통해 PR효과 측정을 모형화하였다. 이러한 모형에 근거하여 가중치 부여방법을 다르게 적용한 네 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영남대학교 새마을 교육 및 연수 사업과 관련된 신문기사 377건의 PR효과를 추정하였다. 그 결과 최소 약 22억원에서 최대 약 78억원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영남대 소장본 『夙惠記略』 고찰

        정은진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1 민족문화논총 Vol.48 No.-

        This study is focused on finding the publishing intension, time, characteristics of "Sukhyegiryak", and the uniqueness of Yeungnam University's. Sukhyegiryak is the start of modern textbook after "Gapohgaehyeok", 1894. Sukhyegiryak could be called the anecdote about very smart people from childhood. In education chart published in 1895, the building of morality comes first before sports and knowledge. In this period, the textbooks focused on morality were planned heavily. But the direction of morality building was not clearly set up because it was very early stage. So Sukhyegiryak is based on the traditional Confucianism and contains various kind of contents such as Buddhism, ability of writing a poem, memory, knowledge, paintings, astronomy, and history. Also not by themes, this book is consisted by ages like from 7 month, 8 month, 1 year, 3 year, 4 year to 20 year old, and utilized famous Chinese people's episode. There are two kinds of Sukhyegiryak in Yeungnam University. One is the wooden type and the other is the hand writing copy. The wooden type is same with other university's but we have to pay attention to the hand writing evidence of using as textbook to 1905 in the cover page. The hand writing copy is the only thing and it was written in 1921 around half of the wooden type. The error could be found in hand-writing but it is meaningful in that we could find the real Korean language of Japanese colonial period. 본고는 영남대학교에 소장된 『夙記略』의 편찬의도, 간행 시기 및 내용적 특징을 살펴보고, 영남대 소장본의 가치를 규명하고자 한 것이다. 1894년 갑오개혁 이후 學部가 설치되고, 학부 내에는 編輯局이 신설되어 근대식 교육에 부응할 수 있는 교과서가 발간되었다. 『숙혜기략』은 학부편집국 출발과 함께 가장 일찍 발간된 교과서이다. 夙惠는 夙慧와 같은 의미인 바, 『숙혜기략』은 어린 시절부터 총명했던 인물들의 일화를 기록한 교과서라고 할 수 있다. 1895년에 발표된 교육조서에는 ‘德育’이 ‘體育’이나 ‘智育’ 보다 강조되고 있듯이, 갑오개혁 당시 덕육을 기를 수 있는 수신 교과서들이 비중 있게 기획되었다. 하지만 개혁 초기라 수신의 방향이라든가 교과서의 체계가 명확하게 정립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숙혜기략』은 전통적인 유교의 틀을 토대로 하되, 그 외의 시문 능력[시・산문]・기억력・지혜・그림・천문・효성・역사’ 등의 다방면에 걸친 내용들을 담았다. 그리고 구성은 출생당시・7개월・8개월・돌・3세・4세에서 20세까지 구체적 연령별로 배치하였고, 주로 중국 인물의 고사를 활용하였다. 영남대학교에는 2종의 『숙혜기략』이 소장되어 있다. 1종은 목활자본[貴012, 211]이며, 나머지 1종은 필사본[古南 991.2]이다. 목활자본은 다른 대학교나 기관에 소장되어 있는 것과 같은 판본이지만, ‘學部編輯局印’이라는 인장이 찍혀있고, 첫 장에 1905년까지 교과서로 널리 사용하였음을 시사하는 필사기록이 있어 주목을 요한다. 또한 필사본은 국내 유일본으로, 1921년에 목활자본을 반 정도 필사한 것이다. 필사 도중의 오류도 보이지만 목활자본의 오류를 정정하려했던 점과 일제강점기의 국어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

        독도 관련 고지도의 현황과 특징 분석-영남대 소장 고지도를 중심으로-

        김도은,이태우,최재목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20 독도연구 Vol.- No.29

        This study attempts to provide evidence that Dokdo is a Korean territory, using 48 maps of Ulleungdo and Dokdo out of the old map materials owened by Yeungnam University. This study also aims at affirming Dokdo's territorial sovereignty using map materials and increasing the value of Dokdo-related old maps owened by Yeungnam University and at the same time, as a Hub for Dokdo Research, aims at establishing its status of Dokdo Institute of Yeungnam University. Since the 18th century, The old maps of Korea(Joseon Dynasty) have shown that "Dokdo" is located on the right side(East) or left side(West), bottom side(South) or up side(North) of Ulleungdo, especially a part of map of Gangwon-do. It can be seen that they are displayed separately on the left (southwest) and lower right (southeast). Next, the map also shows whether Dokdo is located correctly and how Dokdo displayed in different locations can be interpreted in the same location as the current Dokdo location. It can be seen through the status survey. Of the foreign maps depicting Korea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especially on the map of Japan, "Dokdo" is all drawn in "Ulleungdo". It is said that there is also a way to fold Dokdo inside or below Ulleungdo on an old map of Korea. Foreigners at the time, who did not know how to fold the map in this way, displayed Dokdo on the left side of Ulleungdo in order to imitate the name of a place in the detailed part of Korean map Gangwon-do. The point is that Such a difference in the position of Dokdo cannot be seen without considering the viewpoint of the cartographer and at that time the geographical and oceanographic aspects. These map status surveys are important materials and are seen as evidence in that they have taught us the well-known fact that there were two large islands in the East Sea since ancient times and the clear facts that they have been engaged in fishing activities in the nearby sea of Ulleungdo and Dokdo 이 연구는 영남대학교가 소장하고 있는 고지도 자료 중 총 48점의 울릉도․독도 관련 지도를 통해 독도가 한국의 영토인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지도 자료를 통해 독도의 영토주권을 재확인하고, 영남대학교가 소장하고 있는 독도 관련 고지도의 가치를 높이는 동시에 독도연구의 구심점으로서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의 위상을 확고히 하는데 그 의의를 두고 있다. 18세기이후 한국의 고지도, 특히 강원도 폭상에 나타난 ‘독도’의 위치는 ‘독도’가 울릉도의 오른쪽(동쪽) 또는 왼쪽(서쪽), 아래쪽(남쪽), 아래왼쪽(남서쪽), 아래오른쪽(남동쪽)에 각기 다르게 표시된 것을 볼 수 있다. 그렇다면 독도는 정확히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 것인지, 각기 다른 위치로 표시된 독도가 현재의 독도위치와 같은 곳으로 어떻게 해석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도 지도의 현황 조사를 통해 살펴볼 수 있다. 영남대 소장 독도 관련 지도의 현황과 특징을 조사한 결과 조사대상 지도 가운데는 독도와 울릉도의 위치가 현재의 위치가 아닌 경우도 있었는데, 이것은 당시의 지도 제작법의 유형에 따른 현상으로 당시 고대 시대의 사람들은 독도와 울릉도의 위치와 크기를 정확하게 알고 있었고, 후대 시대로 오면서 지도로 나타난 증거자료가 되었다. 영남대 소장 독도 관련 지도는 이미 조선시대 이전부터 당시 사람들이 동해 바다에는 두 개의 큰 섬(울릉도·독도)이 있었음을 명확히 인지하고 있었다는 사실과 어로활동 등을 통해 두 섬과 인근해역을 이용해왔다는 명백한 사실을 확인시켜주고 있는 중요한 자료이자 증거라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대구⋅경북지역 3개 대학 교양교육과정의 변천 1970~2000

        지정민 한국교양교육학회 2021 교양교육연구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briefly the historical transi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at 3 universities (Kyungpook Univ., Daegu Catholic Univ., and Yeungnam Univ.) in the Daegu-Kyungpook area, from the 1970s to the 1990s. First, in the 1970s, these three universities put severe restrictions on the right of course selection for students. Most courses were mandatory and the number of courses was significantly small. Second, it can be said that in the 1980s the independent department supervising liberal arts education underwent a crisis, for two universities abolished their Department of Liberal Arts Education. As a consequence, the identity of liberal arts education suffered in that its courses were then derived from other majors in other departments. Lastly, in the 1990s sections of liberal arts education were systemized as a whole, and carried the peculiar educational ideal of each university. Besides, experiences of liberal arts education accumulated over more than one generation also promoted this process, along with the social atmosphere of autonomy and diversity in the 1990s. During these 30 years, the number of courses increased almost tenfold, and the Department of Liberal Arts Education rose and fell, and rose again. In addition to this, the sections of liberal arts education were more and more systemized, while the range of the students’ selection also widened. All of these experiences should be more closely analyzed for each year and at each of these colleges. This study only broadly reviewed some changes in liberal arts education during these periods. To achieve the ideals and goals put forth by liberal arts education in our time, further historical reflection and deliberation in this area is vitally needed. 본 연구는 1970년대부터 2000년까지 10년을 주기로 대구경북지역의 경북대학교, 대구가톨릭대학교, 영남대학교의 3개 대학의 교양교육사를 살펴보았다. 1970년대는 선택가능한 교양과목의 수가 현격하게적다는 특징을 가진다. 당시에는 법정 교양과목이 규정되어 국가적 구속력이 강하고, 대학은 인적, 물적 자원 면에서 고전을 면치 못하였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거의 모든 과목이 필수로 지정되어 이수학년 및 학기가 정해지고 선택과목이더라도 계열별로 지정되어 학생의 선택권은 극도로 제한되었다. 1980년대는 대학의 양적 질적 발전과정에서 교양 전담기구가 폐지되는 위기를 맞는다. 당시 대학의입학 정원이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교양교육에 대한 단대나 학과의 결정권이 강화되는 양상을보인다. 1980년과 1984년에 영남대와 경북대의 교양학부가 각각 폐지되었고 대구가톨릭대학교의 경우에는 이 시기 내내 전담기구가 부재하였다. 이러한 상황은 학교에 따라서는 교양과목이 일반 학과의전공과목과 구분되지 않는 상황을 초래하기도 하였다. 1990년대는 체계적 구조화의 진전으로 특징지어지는데, 이것은 경쟁, 자율성, 다양성의 강조라는시대적 흐름과 부합한다. 여러 규제들의 폐지를 전후로 하여 대학은 각 대학의 이념을 대표하는 필수교양을 부과할 수 있었으며, 교양교육의 영역을 확정하고, 백 개에 이를 정도로 방대해진 다양한 선택과목들을 하위 분야로 구분하면서 교양과목 운영체제를 정비하게 된다. 영남대의 기초교양, 균형교양, 자유교양, 전공교양의 구분은 한 가지 대표적인 성과이다. 이 외에도 전공기초 학습과 교양교육의 관련 문제와 다방면의 흥미를 기르기 위한 균형의 문제를각각 1970년대와 1980년대에 추가적으로 다루었다. 30년간의 역사가 보여주는 다양한 경험 중에서특히 다음과 같은 사실들을 확인할 수 있다. 교양선택 과목의 수가 30년 동안 최대 열 배에 가깝게증가하였다는 점, 독립적 기구로서의 교양학부가 존폐를 거듭한다는 점, 교양학부가 없어진 상황에서각 학과의 교양과목 운영권이 확대되었다는 점, 교양교육의 영역구분이 점차 체계화되어왔다는 점, 교양과 전공의 공통분모가 되는 전공기초 학습의 영역의 위상 정립이 필요하였다는 점, 대학의 고유한교육이념이 교양필수의 영역에서 표현되었다는 점 등등. 본 연구는 각 시대별로 세 대학이 보여주는대략적인 경향을 파악하는 데에 국한하였으나, 향후 이러한 주제들을 중심으로 하여 각 학교의 고유한역사적 경험에 대한 상세한 검토와 분석이 요청된다.

      • KCI등재

        斗山이 指向했던 文化人類學의 始延: 文化領域說과 基層文化論

        전경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09 민족문화논총 Vol.43 No.-

        This paper aims solely at the late Professor Kim Taek-kyu(Doosan, his pen name) in terms of the history of Korean anthropology. Kim is the founder of the department of cultural anthropology at Youngnam University. The question for this paper started with his conversation with the author one year before he died at 1999. His master degree was bestowed by his thesis on "Shamanistic Literature"(1957) begun with the word of "anthropology". After finishing his master he moved to Tokyo University for one year as a research fellow. His renowned ethnography known as Hahoe ethnography was heavily influenced by the research method employed by Tokyo University. Kim's research references are almost always relied upon Japanese literatures. Finally he invented a concept of "basic culture area" as a research hypothesis for his lifelong project of the cyclical rituals(rites of intensification) of the Korean agriculture. The basic culture area comes from on the one hand "basic culture" inherited from German folklore through Japanese literature and on the another hand "culture area" from American culture historians like Clark Wissler through again Japanese scholars. One more interesting aspect of his starting point to meet with anthropology seems possibly to be related with Mr. Lee Seok-rak who was a key member of Korean Anthropological Association right after liberation of 1945. 본고는 문화인류학자 두산 김택규 교수의 학문적 역정과 그가 이룬 학문의 이론적 정향의 계보에 대한 학사적 검토의 결과이다. 1957년 “무교문학”이란 제목의 석사학위 논문에서부터 인류학에 관한 논의를 주로 하고 있는 김택규의 문화인류학 역정은 그후 일본의 레퍼런스를 만나면서 본격적인 인류학적 업적을 축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의 하회민속지는 한국학의 대표적인 업적으로 손꼽히고 있는데, 그 민속지의 방법론이 동경대학의 일본지역성연구의 방법론에 의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가 평생 업적으로 만들어낸 한국의 농경세시의례는 기층문화영역론이란 이론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데, 이 이론의 원류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독일민속학으로부터 일본에 습득된 “기층문화”라는 개념과 미국 문화사학파에서 비롯되어 일본으로 수입된 문화영역설이 습합된 것이 두산이 만든 기층문화영역론이란 것이라는 점을 고증하였다. 두산의 인류학 역정이 시작하는 시점에 조선인류학회의 주역이었던 이석락과 관련이 있다는 점을 밝힌 것도 본고의 작업이 얻은 소득이다.

      • KCI등재

        영남대 46장본 <계월젼>의 특징과 가치

        정준식 한국어문학회 2018 語文學 Vol.0 No.142

        This study is to explore narrative characteristics and value as a different version in Yeungnam University 46 jang-version <Gyewoljyeon>. The introduction of Yeungnam University 46 jang-version <Gyewoljyeon> presents its time and space background as ‘Gugye-chon of Cheongju in the year of Daemyeong Hongmu’, ‘the parts of Siju・Balwon’ are newly added, and the phrase stated in the original line, ‘the misfortune of dying three times’, is adopted just as it is. This is distinctly different from the intro of the Dankook University 103 jang-version line and Hanjungyeon 45 jang-version line; therefore, it is estimated as the product of intentional adaption. Yeungnam University 46 jang-version <Gyewoljyeon> changes enemy general ‘Maenggil’ to ‘Maengdal’ in War Story 2 to deliver the fact that marine enemy Maenggil is a different person from Wu•Cho’s general Maengdal. Also, by omitting the part where Gyewol competes with Boguk, it intends to recover the dignity of Boguk. Maengdal is set additionally because of the narrative doubt about marine enemy Maenggil becoming Wu•Cho’s general and omitting the part where Gyewol fights against Boguk is attributed to the judgment that the dignity of Boguk is tarnished too much. War Story 2 in Yeungnam University 46 jang-version <계ᅌᅯᆯ젼> omits Hong Sirang’s journey of evacuation. This is seen as part of getting rid of boredom coming from repeated family meeting and parting and balancing the narration with Boguk. But omitting the journey of evacuation rather raises a new problem of destroying the predicting composition. Moreover, the awkward and hasty conclusion of Yeungnam University 46 jang-version <Gyewoljyeon> is attributed to the mixture between the ‘delay’ of punishing Maenggil due to the revision of War Story 2 and the narrative blank resulted from the ‘destruction’ of the predicting composition. There are total five kinds of different versions having the same narrative as Yeungnam University 46 jang-version <Gyewoljyeon>. Compared to the two previous lines, they show distinctive differences in the introduction, War Story 2, journey of evacuation, and the ending,. So, we have the ground to set up the new line necessarily. Yeungnam University 46 jang-version <Gyewoljyeon> was transcribed earliest among the five kinds of different versions and indicates almost no faults in the contents. Therefore, it would be appropriate to take it as ‘the good basis’ of those new five different versions and name them as ‘the Yeungnam University 46 jang-version line’. With the Yeungnam University 46 jang-version line, we can clearly see that <Honggyewoljeon> was transmitted as more than three lines divided around the late 19th century. 본고는 영남대 46장본 <계월젼>의 서사적 특징과 이본적 가치를 탐색한 글이다. 영남대 46장본 <계월젼>의 도입부에는 시공적 배경이 ‘대명 홍무 연간에 청주 구계촌’으로 설정되어 있고, ‘시주・발원 대목’이 새롭게 추가되었으며, 원전 계열에 명시된 ‘세 번 죽을 액’이란 문구가 그대로 수용되어 있다. 이는 단국대 103장본 계열과 한중연 45장본 계열의 도입부와는 확연히 다른 의도적 개작의 결과로 추정된다. 영남대 46장본 <계월젼>은 군담 2에서 적장 ‘맹길’을 ‘맹달’로 바꾸어 수적(水賊) 맹길과 오·초의 장군 맹달이 별개의 인물임을 분명히 했고, 계월과 보국의 겨루기 대목을 생략하여 실추된 보국의 위신을 회복하고자 했다. 맹달을 별도로 설정한 것은 수적 맹길이 오초의 장군이 된 것에 대한 서사적 의문 때문이고, 계월과 보국의 겨루기를 생략한 것은 보국의 위신 추락이 도를 넘었다는 판단 때문이다. 영남대 46장본 <계ᅌᅯᆯ젼>의 군담 2에는 홍시랑의 피난여정이 생략되었다. 이는 가족이합의 반복에서 오는 지루함을 극복하고 보국과의 서술 균형을 맞추기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보인다. 하지만 피난여정의 생략은 오히려 예언구도의 파괴라는 새로운 문제를 야기하였다. 그리고 영남대 46장본 <계월젼>의 어색하고 촉급한 결말은 군담 2의 변개에 따른 맹길 처벌의 ‘지연’과 예언구도의 ‘파괴’에 따른 서사 공백이 어우러진 결과이다. 영남대 46장본 <계월젼>과 동일한 서사를 지닌 이본은 모두 5종이다. 이들은 기존의 두 계열에 비해 도입부, 군담 2, 피난 여정, 결말부에서 분명한 차이를 보이므로 새로운 계열을 설정해야 할 당위적 근거를 지녔다. 영남대 46장본 <계월젼>은 5종의 이본 중에서 가장 이른 시기에 필사되었고 내용상의 결함도 거의 없는 것으로 확인된다. 따라서 이를 새로운 이본 5종의 ‘선본’으로 삼고, 이들을 ‘영남대 46장본 계열’로 명명하는 것이 타당하다. 영남대 46장본 계열을 통해 <홍계월전>이 19세기 말경에 이르러 세 계열 이상으로 분화된 채 전승된 사실을 명확히 알 수 있다.

      • KCI등재

        영남대본 『發心修行章』 연구 - 자료의 實相과 復原을 중심으로 -

        정우영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1 민족문화논총 Vol.48 No.-

        This paper conducted researches on three viewpoints in regard to Yeungnam University collection (嶺南大本) of Balsimsuhaengjang (發心修行章). Chapter two of this paper reviews the bibli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tructural contents of Yeungnam University collection (嶺南大本). Chapter three compares and contrasts Songgwangsa Edition (松廣寺板) with Seobongsa Edition (瑞峯寺板) to highlight the latter’s status and significance as materials for the of Korean historical linguistics. Both Editions are Korean annotations of the Buddhistic classics that exhibit the geographical use of Sino-Koream pronunciation about the year 1580. The study of the former shows that palatalization was distributed in Suncheon(順天) areas of Jeolla Province. The examination of the latter reveals that it was not distributed whatsoever in Yongin(龍仁) of Gyeonggi Province and the central dialect. Chapter four addresses some problems in restoring missing or damaged pages in Yeungnam University collection by examining the present situations of it and Tokyo University collection of Seobongsa Edition. We proposed some principles of reconstructing and restoring it from the standpoint of Korean linguistics and bibliography, and used computer graphic techniques to restore Yeungnam University collection of Balsimsuhaengjang and Chobalsimjagyeongmun (初發心自警文) in Seobongsa Edition. In conclusion, the paper has made some important contributions to restoring and providing original images of Yeungnam University collection of Balsimsuhaengjang of Seobongsa Edition and the 1583 version of Seobongsa Edition that has not been released to the academic circles. 이 글에서는 嶺南大本 『發心修行章』을 중심으로, 주로 세 가지 관점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제2장에서는 우리나라에 유일하게 남아 있는 영남대본 『發心修行章』의 書誌의 특징과 구성 내용 등을 개관하였다. 제3장에서는 松廣寺板(1577)과 瑞峯寺板(1583)의 상호 비교・대조를 통해 서봉사판의 구체적 實相과 국어사자료로서의 位相을 밝혔다. 이 두 판본은 1580년을 전후하여 한국한자음의 지역적 분포를 보여주는 佛典諺解 자료이다. 송광사판을 통해서는 전라도 순천 지역에 구개음화가 확산되어 있음을, 서봉사판을 통해서는 경기도 용인 및 중앙방언에서 구개음화가 전혀 진행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제4장에서는 영남대본 『發心修行章』에서 훼손되거나 낙장된 여러 張을 복원하기 위하여 일본 東京大本과 함께 실태를 조사하여 여러 문제점을 검토하였다. 이와 함께 국어학・서지학적 관점에서 再構・復原 원칙을 수립하였으며, 컴퓨터그래픽 기술로 영남대본 『發心修行章』과 서봉사판 원간본 『初發心自警文』을 復原하였다. 이 글은 그동안 학계에 공개되지 않았던 영남대본 『發心修行章』 및 1583년의 서봉사판 원간본의 전체를 복원함으로써 학계에 원본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 KCI등재

        <명주옥연기합록>의 이본과 영남대본의 가치

        박은정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2 민족문화논총 Vol.51 No.-

        Korean novel Myeongjuokyeongihaprok is the third work in the series of Hyeonssiyangungssangringi, which is connected to Myeongjugibong, and Myeong- juokyeongihaprok. The novel is composed of 25 volumes and 25 books and there are 2 versions of Korean manuscripts: Yeungnam University Version and Sogang University Version. This study aims at raising the values of the two different versions of the novel by reviewing them bibliographically and by contrasting them. Yeungnam University Version was transcribed between 1895 and 1898 by three court ladies including Kim Cheolyeong who was King Cheoljong’s concubine, and Seo Yusun, a court lady belonged to Jeodonggung. They transcribed the novel by hand on the back of letters called Geulwolji. One can find the fact that they transcribed the novel through the record of transcription written by Mrs. Yun Baekyeong. The beautiful style of court ladies' handwriting called Gungche and the handwriting of Mrs. Yun Baekyeong herself raises the value of Yeungnam University Version. Sogang University Version does not have any record about the work of transcription, so it is not possible to estimate when it was transcribed exactly. Notwithstanding, the handwriting is very neat and it has been kept in a very good condition. These two different versions of Myeongjuokyeongihaprok has little difference in the contents that can influence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work, so it seems that any version can be selected as the subject of a study. There are only a few differences in the title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and the phonetic transcription of some Korean words, but it is not easy to tell which version precedes even after considering such differences. Yeungnam University Version of Myeongjuokyeongihaprok has high values in a variety of views including the novel history, bibliography, calligraphy, and Korean linguistics. First, it shows the fact that Korean novels were read and transcribed in palaces at the end of 19th century and early 20th century. Second, it delivers the fluent handwriting Gungche used for the transcription by hand. Third, it tells us the changes of Korean language at that time. In short, it is a living witness that shows vividly the scenes of court ladies being absorbed in reading Korean novels. <명주옥연기합록>은 <현씨양웅쌍린기>, <명주기봉>, <명주옥연기합록>으로 이어지는 <현씨양웅쌍린기> 연작의 세 번째 작품이다. 현재 25권 25책의 한글 필사본 2종이 전하고 있다. 본고는 <명주옥연기합록>의 두 이본에 대한 서지적 검토와 대비 고찰을 통해 각 이본의 가치를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영남대본은 1895년에서 1898년 사이 철종 황제 후궁인 김상궁 철영 씨와 저동궁 지밀상궁인 서유순 씨 외 또 다른 궁녀가 글월지의 이면에 필사한 것이다. 이들의 필사 사실은 윤백영 여사가 직접 남긴 필사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서강대본은 특별한 필사기가 없어 필사시기를 추정할 수는 없지만, 정제된 서체로 필사되어 있으며 보관상태가 매우 좋다. 두 이본은 한자 표제와 표기법, 오기와 탈락 등에 있어서 다소 차이를 보인다. 한자 표제는 어느 것이 옳은 표기인지 확정하기 어려우며, 표기법은 영남대본이 다소 선행된 형태를 띠고 있다. 오기와 탈락은 영남대본에서 좀 더 많이 나타나지만 서강대본의 경우도 오류가 없는 것은 아니다. 둘 다 작품 해석에 큰 영향을 미칠 만한 정도의 것은 아니어서 어느 이본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도 무방하리라 판단된다. <명주옥연기합록>은 이르면 19세기 초반, 늦으면 19세기 중반 무렵에 전문작가에 의해 창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영남대본을 통해 20세기 전후 궁궐에서의 한글소설 독서 및 필사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본문 필사에 사용된 유려한 궁체와 윤백영 여사의 필체가 담긴 필사기는 영남대본의 가치를 높여준다. 영남대본은 소설사적・서지학적・서예학적・국어학적으로 그 가치가 매우 높은 자료이다. 궁중 여인들의 한글소설 탐독 현장을 생생하게 담고 있는, 살아 있는 자료라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