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멍게껍질 추출색소 및 CLA (Conjugated Linoleic Acid)가 함유된 사료를 섭취한 고등어 (Scomber japonicus)의 일반성분 및 지방산 조성
박은정,김종태,강석중,최병대 한국수산과학회 2010 한국수산과학회지 Vol.43 No.6
To examine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and ascidian tunic extracts in fish, we compared mackerel fed ascidian tunic extract and CLA (CA25) and a control group. The daily growth index of CA25 was 1.92 compared to 1.86 in the control group. The viscerosomatic index of CA25 was 36.7%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fter 8 weeks, the protein content decreased from 19.7 to 17.5% in the CA25 group. The ascidian tunic extract content in the viscera was much higher than in muscle (0.13 vs. 0.03 mg/100 g) after 8 weeks. At the start, the n-3 fatty acid content of the experimental fish was 25.2% in muscle and 23.7% in viscera. The CLA content in muscle in the CA25 group was 2.1% after 4 weeks and 2.3% after 8 weeks. By contrast, the CLA content in viscera did not change after 8 weeks.
멍게껍질 추출색소 및 CLA (Conjugated Linoleic Acid)가 함유된 사료를 섭취한 고등어 (Scomber japonicus)의 항산화 활성
박은정,박시향,강석중,하영래,최영준,최병대 한국수산과학회 2011 한국수산과학회지 Vol.44 No.3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antioxidative properties of lipid from aquacultured mackerel Scomber japonicus fed with a diet fortified with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and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tunic extracts by radical scavenging assay. The fish were separated into squid oil (Control) and 2.5% CLA (CA25) groups during the 8-week feeding period. The reducing power of each sample showed high levels of activity compared with α-tocopherol and butylated-hydroxyanisol (BHA) at 0.2-1.0 mg/mL of lipid. Inhibition of linoleic acid oxidation in samples from Control and CA25 groups showed similar activity after 2 days of incubation at 40℃. The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superoxide,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CLA and carotenoid-deposited sample (CA25)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lipid extracted from the viscera of mackerel showed slightly higher antioxidant activities than that from the muscle.
박은정 한국사회법학회 2022 社會法硏究 Vol.- No.48
This paper reviews the right to organize, considered to be one of the labor’s three primary rights, from the viewpoint of ratification of ILO Convention No. 87 and constitutional guarantee. No one would challenge that the right to organize has an aspect of the right of freedom. This paper starts from basic critical minds such as what the right to organize as a right of freedom means, what position the right to organize has in the labor’s three primary rights as constitutional right of freedom, and what the relation between the constitutional right to organize in Korea and freedom of association or the right to organize in the ILO Convention No. 87 is. What follows after sorting out the critical minds mentioned above is, of course, the freedom to organize. The freedom to organize means not only the freedom to or not to organize, but is freedom to negotiate and act based on that freedom. Because the whole freedom to organize connected to right to dignity in Article 10 of the Constitution can be meaningful by including the freedom to negotiate and act, and can get the meaning as right to organize going beyond the constitutional freedom of association. When considering the right to organize in this viewpoint, the limits of union shop system, union establishment report system, and exclusion of conciliation service of labor relations boards. 본고는 노동3권이라고 표현되는 권리들 가운데 단결권을 ILO 제87호 협약 비준과 헌법적 보장의 측면에서 검토한 것이다. 단결권이 자유권으로서의 성격을 갖는다는 것에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은 아마도 없을 것이다. 다만, 본고는 자유권으로서의 단결권이라는 것이 어떤 의미를 갖는 것인지, 헌법상 기본권으로서 노동3권의 보장 가운데 단결권은 어떤 위치에 놓이는지 그리고 우리나라 헌법상 단결권과 ILO 제87호 협약상 결사의 자유 내지 단결할 권리는 어떻게 관계 지워야 할 것인지 등에 대한 기본적인 문제의식을 갖고 출발하였다. 위와 같은 문제의식들을 정리하면서 얻어낼 수 있는 결론은, 단결의 자유이다. 단결의 자유는 단지 단결할 혹은 단결하지 않을 자유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단결의 자유가 바탕이 된 교섭과 행동의 자유이다. 교섭과 행동의 자유를 포함함으로써 헌법 제10조의 존엄권과 연결되는 온전한 단결의 자유가 의미를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헌법상 결사의 자유에 머무르지 않는 단결권으로서의 의미를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의미로 단결권을 바라보았을 때 유니온숍 제도, 노동조합 설립신고제도, 노동위원회 조정서비스 배제 등의 한계를 함께 읽어 나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
토혈과 원통 모양의 토물을 주소로 내원한 Trichosporon beigelii 식도염 1례
박은정,황진복,안욱수,전창호,김용진,Park, Eun-Jung,Hwang, Jin-Bok,Ahn, Wook-Su,Jun, Chang-Ho,Kim, Yong-Jin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1999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2 No.1
We experienced a case of Trichosporon beigelii esophagitis in a 16-month-old boy who was presented with hematemesis with a large amorphous material. A spit-out material was silky, $10{\times}1.2\;cm$ in size and like a part of hollow viscus organ. Emergent gastrofiberscopy revealed that this silky material was teared up from upper and to lower esophagus and was threw with hematemesis. It was suggested that pseudomembrane on esophagus was peeled off followed by mucosal bleeding. Pathologic study revealed this material was pseudomembrane with esophageal mucosa of T. beigelii esophagitis and was teared at lamina propria level from submucosa.
신의료기술평가 (New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nHTA)
박은정 대한외과학회 2021 대한외과학회 학술대회 초록집 Vol.2021 No.5
신의료기술평가는 새로운 의료기술(치료법, 검사법 등 의료행위)의 안전성과 임상적 유용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2007년에 처음 국내 도입이 되었으며, 새로운 의료기술의 검증을 통해 국민의 건강을 보호하고 한정된 의료자원의 효율화를 목적으로 보건복지부는 평가체계를 마련하여 2010년부터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이하, 보의연)으로 이관하여 운영 중이다. 건강보험등재를 결정하기 위해 관련 학회와 임상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여 진행하였으나, 전문가 간 의견 불일치와 의사결정 지연 등이 제기되어 의료전문가로 구성된 분야별 전문평가위원회(소위원회)에서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하여 안전성과 유효성을 검토하고 신의료기술평가위원회에서 최종 심의를 진행하여 객관성, 중립성, 전문성을 갖춘 평가체계를 확보하였다. 새로운 의료기술(의료행위)의 의료현장 진입을 위해서는 의료기술에 수반되는 새로운 의료기기는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의 허가(또는 인증·신고)를 우선 받아야 하며, 허가받은 의료기기를 활용한 의료행위는 기존 건강보험에 등재된 의료행위와의 유사여부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평원)으로부터 확인을 받아야 한다. 그 결과, 심평원에서 ‘기존기술’로 결정이 되면 의료현장에서 사용이 가능하나, ‘신의료기술평가 신청 대상‘으로 결정이 되면, 신의료기술평가를 보의연에 신청해야 한다. 신의료기술평가 결과, 안전성·유효성이 인정되어 ’신의료기술‘로 결정되면 심평원에 ‘요양급여 결정신청’을 할 수 있으며 최종결정·고시 전까지는 의료기관에서 비급여로 사용이 가능하다. 신의료기술평가의 제도개선의 일환으로 세 가지 절차(□식약처 허가, □심평원 급여・비급여 여부, □보의연 신의료기술평가)를 동시에 진행하는 ‘통합운영’, ‘원스탑 서비스’ 제도와 신의료기술평가와 급여여부 평가를 동시에 진행하는 ‘신의료기술평가-보험등재 동시진행’ 제도를 마련하여 새로운 의료기술의 의료현장 진입기간을 단축시키고자 추진하였다. 또한 신의료기술평가를 일정기간동안 유예하는 제도와 감염병 체외진단검사 건강보험등재절차 개선 시범사업도 별도 운영 중이다. 이 뿐만 아니라, 2014년부터 신의료기술평가 결과에서 ‘연구단계기술’로 결정되었지만 안전성이 인정되는 경우, 임상적 근거창출을 조건으로 일정기간동안 특정 의료기관에서 사용한 후, 재평가하는 ‘제한적 의료기술’ 평가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최근 2018년 7월, 바이오헬스산업 육성과 의료기기 규제 혁신대책으로 ‘혁신의료기기 별도 평가트랙’을 마련하여 혁신(첨단)의료기술은 문헌적 근거(evidence)가 다소 부족하더라도 기술의 잠재적 가치(potential value)를 고려하여 그 가치가 높은 경우에는 ‘조건부 신의료기술’(=혁신의료기술) 형태로 건강보험권에서 일정기간동안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하였다. 보의연은 다양한 제도개선과 더불어 신의료기술평가 신청을 준비하는 의료인, 학회, 업체 등을 대상으로 제품개발에서부터 임상시험, 신의료기술평가에 이르기까지 전주기 맞춤형 지원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제품 개발단계에서는 국내외 임상문헌 검색 지원서비스를 수행하고 있으며, 식약처 허가목적의 임상시험계획서도 신의료기술평가 관점에서 자문서비스를 운영 중이다. 또한 신의료기술평가 관련 제도 중에서 어떤 제도를 활용하는 것이 가장 신속하게 의료현장에 진입할 수 있는지에 대한 맞춤형 컨설팅도 지원하고 있다. 신의료기술평가는 전 국민을 대상으로 보편적인 의료현장에서 의료기술을 사용할 정도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확보하였는지에 대해 중립적이고 객관적으로 임상적 근거를 평가하는 것으로서 전주기 의료기술평가를 안착하여 국민의 건강권을 보호하고 건강보험재정의 효율화와 국내 의료산업 육성을 위한 인프라도 강화해 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 임상학회차원에서 근거수준이 높은 임상근거를 생성하기 위한 노력들이 활성화되어야 하며, 의료현장에서 새로운 의료행위를 적용하는 임상전문가의 관심과 지속적인 참여가 절실히 필요하다.
독일 정당의 가족정책 프레이밍 분석 : 2002년 이후 기독 연합당과 사민당의 정책 프레임 변화를 중심으로
박은정 한독사회과학회 2019 한독사회과학논총 Vol.29 No.2
이 연구는 주요 정책행위자로서 연합당과 사민당의 프레임 변화과정을 분석함으로써 독일 가족정책 변화의 프레임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 시기는 독일 가족정책 패러다임 변화의 담론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2002년 적녹연정시기부터 2018년까지로 제한하였다. 그리고 정당프로그램, 연정협약서, 가족보고서 등 정책 텍스트를 바탕으로 포괄적인 내러티브를 서술하는 프레이밍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가족정책 변화 과정에서 연합당의 정책 프레임인 선택의 자유와 사민당의 정책 프레임인 파트너성이 경합하며 독일 가족정책의 변화를 추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민당의 프레임이 정책 프레임 경쟁에서 승기를 잡으면서, 독일 가족정책은 기존의 보수적인 가족정책 기조에서 벗어나 파트너성에 기초한 양성평등적인 정책 프레임으로 이동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frames of changes of German family policy by analyzing the framing as the frame change process of the Union and the SPD as major policy actors. The timing of the analysis was limited to the period from 2002 to 2018 when the discourse of the change of the German family policy began in earnest. In this study, a framing analysis method was used to describe a generic narrative based on policy texts, such as party programs, coalition agreements, and family reports. As a result, ‘free choice’ as the policy frame of the Union Party and the partnership as the SPD's policy frame competed with each other and this has led to a change in German family policy. The frame of the SPD won in the political frame competition and consequently, the German family policy has shifted from the conservative frame to the frame of a gender equality policy based on partnersh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