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생의 4차 산업혁명 연동기술요소 활용능력 향상을 위한 기술교과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이용진,이종혁,유현석 한국실과교육학회 2019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2 No.3

        In modern society, which is rapidly changing through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xperiences in high-tech core technology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big data, the Internet of Things and autonomous car are being emphasized. However, in Korea's middle school education, it is only a superficial education such as explanation of related terms, and there is a lack of experience-oriented teaching-learning programs that can actually experience or design principles for them.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eaching-learning program using the interlocking technology element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o enhance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core technology and interlock proces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improve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literacy. The study procedure was progressed in four stages of literature reviews, study design,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program using the ASSURE model and completing the final teaching-learning program. Thus, in phase of the literature review, the core technology element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ere analyzed and the related study was analyzed. In the study design phase, Data sensing, Internet communication,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were selected as the interlocking technology element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middle school technology education, and the learning contents of the technology curriculum and textbooks were analyzed to develop the tools for examining interlocking technology literac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program phase, the ASSURE model was applied to develop the teaching–learning program to improve interlocking technology literac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completing the final teaching-learning program phase, the degree of improvement of interlocking technology literac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as verified through actual application of the class, and as a result, the developed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interlocking technology literacy.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terlocking technology process area had a great effect on the sub-area. 4차 산업혁명을 통해 급변하는 현대사회에서는 인공지능,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자율주행자동차 등과 같은 첨단 핵심기술에 대한 경험이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 중등 교육에서는 첨단 핵심기술의 용어 설명과 같은 피상적인 교육에 그치고 있으며, 실제로 첨단 핵심기술에 대한 원리를 경험하거나 직접 설계해 볼 수 있는 체험 위주의 교수․학습 프로그램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기술교육에서 4차 산업혁명 연동기술요소를 활용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중학생의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과 연동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4차 산업혁명 연동기술요소의 활용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연구 목적의 달성을 위해 문헌 고찰, 연구 설계, ASSURE 모형 기반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최종 교수․학습 프로그램 완성의 4단계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문헌 고찰 단계에서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요소를 분석하고 교육 분야에서 관련 선행 연구문헌을 분석하였다. 연구 설계 단계에서는 중학교 기술교육에서의 4차 산업혁명 연동기술요소로 데이터 센싱, 인터넷 통신, 빅데이터, 인공지능을 선정하였으며, 기술교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학습내용을 분석하여 4차 산업혁명 연동기술요소 활용능력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단계에서는 ASSURE모형을 적용하여 4차 산업혁명 연동기술요소 활용능력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최종 교수․학습 프로그램 완성 단계에서는 개발된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실제 수업 적용을 통해 4차 산업혁명 연동기술요소 활용능력의 향상 정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수·학습 프로그램은 4차 산업혁명 연동기술요소 활용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 영역 중 4차 산업혁명 연동과정 영역에서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중학교 기술⋅가정 ‘청소년기 영양과 식행동’ 단원의 교수.학습과정안 개발

        백희연(Baek, Hee Yeon),유세종(Yoo, Se Jong),김유경(Kim, Yookyung)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21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33 No.4

        본 연구는 청소년의 바람직한 식생활 형성을 위해 온⋅오프라인을 연계할 수 있는 ‘블렌디드 러닝’의 수업 방식을 활용하여중학교 기술⋅가정 ‘청소년기 영양과 식행동’ 단원으로 교수⋅학습과정안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교수⋅학습과정안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분석-설계-개발-평가 및 수정’모형을 적용하였다. 블렌디드 러닝에 적합한 교과서내용을 분석하고, 차시별 주제, 교수전략, 매체 및 평가도구를 선정하여 교수⋅학습과정안을 설계하였으며 이를 활용하여 교수⋅ 학습과정안, 활동지, 평가도구를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교수⋅학습과정안은 전문가 검증을 받아 수정⋅보완하였다. 본 연구의결과를 살펴보면, 블렌디드 러닝을 적용한 ‘청소년기 영양과 식행동’ 단원의 교수⋅학습과정안은 현시점에 부합성이 있는 것으로나타났으며 블렌디드 러닝을 적용한 온라인 수업에서는 학생들이 모둠 및 발표 활동을 제시하여 학습자들의 참여도 및 흥미가저하되지 않도록 구성되었다. 그리고 개발된 교수⋅학습과정안은 수업 의도에 맞게 패들렛, 띵커벨과 같은 원격수업 도구를사용하여 온라인 환경에서도 원활하게 수업이 진행되도록 개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교수⋅학습과정안이 온라인 수업에서 청소년기인 학생들의 올바른 식생활을 실천할 수 있는 수업으로 활용될 수 있고, 더불어다양한 수업환경을 띠는 블렌디드 러닝 수업에서도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 for the ‘adolescent nutrition and dietary behavior’ unit of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hrough blended learning teaching method. “Analysis-Design-Development-Evaluation and Revision” model developed by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KICE) was applied to developing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 The authors analyzed subject contents suitable for blended learning, and then designed a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 by selecting the topics, developing the teaching strategies, and deciding on the media and evaluation tools for each class. Based on the plan for each week, the final version of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 handouts for activities, and evaluation tools were developed.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based on the expert verification results. The developed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 which applied blended learning method was considered suitable for the current curriculum, and the group presentation activities implimented in the online classes were found to encourage learners participation and interest. Also, the developed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 could be used in the online only environment without any issues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the classes, by the appropriate use of distance learning tools such as Paddles or Thinkerbells. The developed teaching-learning course plan is expected to be effectively used in either online or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as a means of helping adolescent students improve their dietary life.

      • KCI등재후보

        기술과 교수ㆍ학습 자료 활용 실태 및 요구

        진의남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09 實科敎育硏究 Vol.15 No.1

        이 학교 현장에서는 다양한 교수 학습 매체와 교수․학습 방법별로 교수․학습 자료가 개발되어왔으며, 인터넷 사용 환경의 발전으로 인해 매년 수많은 교수‧학습 자료를 접하고 있다. 그러나 교사들은 막상 수업에 직면해서 적합한 자료를 찾기 어렵다고 하소연한다. 따라서 기술과 수업에서 교수‧학습 자료의 활용 실태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개발 요구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술과 수업에서 중점을 두어야 하는 내용으로는 ‘실생활과 관련된 내용과 학습 활동으로 동기 유발, 그 다음으로 학생들의 수준과 흥미를 고려한 내용을 재구성해야 한다는 의견으로 나타났다. 기술과 수업에서 교과 목표별로 주로 활용하는 교수‧학습 방법에서는 기술적 이해 능력 목표에서는 강의식 수업 방법, 기술적 조작 능력에서는 실험실습법, 기술적 문제해결 능력에서는 문제해결학습법, 기술적 평가 능력에서는 조사 및 과제 학습 방법을 우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과 수업에서 교과 목표별로 주로 활용하는 교수‧학습 자료에서는 기술적 이해 능력, 평가 능력에서는 교과용 도서, 기술적 조작 능력, 문제해결 능력에서는 멀티미디어 자료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과 수업에서 교과 목표별로 주로 활용하는 평가 방법으로는 기술적 이해 능력에서는 선택형과 단답형 문항, 기술적 조작 능력, 문제해결 능력에서는 실습 수행 능력 관찰, 기술적 평가 능력에서는 실습 보고서 평가 등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In schools, teaching‧learning and learning materials have been developed according to various teaching‧learning media, approaches, and methods. Because of the development of internet, very diverse teaching‧learning materials come out every year. However, teachers complain that it is hard for them to find out proper materials for their own class.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actual applications of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analyzing the request of the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materials which are useful in technology.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contents that are emphasized in technology class consist of those related to real life, and motivation as learning activity and those considering students' level and interests. In terms of teaching‧learning methods according to subject goals, among the most applicable teaching‧learning methods, in technology understanding ability goals, lecture type class i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in technology operation ability, test practice method i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in technology problem solving ability, problem solving learning method i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and in technology evaluation ability, survey and task study method i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In the teaching‧learning materials that are mostly used for subject goals, in technology understanding ability and evaluation ability, textbooks are used. In technology operation abil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multi-media materials are used. Among the evaluation methods that are usually used according to subject goals, for technology understanding ability, multiple choice, and short answer type are preferred, for technology operation abil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test performance ability observation is used, and for technology evaluation ability, lab report evaluation are mostly used.

      • KCI등재

        광주ㆍ전남지역 기술‧가정 교과의 기술영역 수업 현황 연구

        김성일 한국기술교육학회 2009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direction of technology education by investigating into the re-educations, the technology unit recognition of teachers and teaching methods of 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10 technology teachers in Gwangju city and Chon-nam province and analyzed.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and the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methods such as experiment·practice, project method, cooperation learning, etc, were found to be necessary for 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 education rather than the focus on a simple knowledge and memory education at middle schools. Second, many teachers, who were graduated from different major department instruct technology subject at middle schools, and have a hard work with teaching the students. Therefore, they need to plan and utilize educational environments such as multimedia education and e-learning, technology practice laboratory, practice hours, instruments, manufacturing machine and hand tools, etc. Third, the appropriate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the manuals of technology education were necessary to provide samples of various education methods for technology education. Forth, technology teachers need various teacher educations on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the use of teaching materials. In-service educations are required to improve the technology education and teachers' quality. 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가정 교과의 기술 영역의 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들의 단원 인식과 수업 방법, 연수 등 설문조사와 분석을 통하여 기술 영역의 교육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데이터는 광주‧전남 지역 기술 영역을 담당하는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얻어졌고, 분석되었다.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의 기술 영역 교육을 위하여 단순 지식이나 암기에 집중하기보다는 실험・실습, 프로젝트 학습, 협동학습 등과 같은 교수-학습 방법의 개발과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기술이 아닌 다양한 교과를 전공한 교사가 기술수업을 담당하고 있고, 지식의 부족으로 수업을 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러므로 각 학교마다 멀티미디어 교육 및 e-learning, 기술 실습실, 실습 시간, 기구, 실습용 기계와 수공구 등과 같은 교육 환경을 활용하고, 수업을 계획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셋째, 기술교육을 위한 다양한 교육방법의 예를 다룬 실험・실습, 프로젝트 학습, 협동학습 등과 같은 적절한 교수‧학습 방법과 실제 기술 교육 교재의 제공이 필요하다. 넷째, 기술교사들은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 및 교육 기자재의 사용 교육이 필요하며, 기술영역 교육과 교사의 질 향상을 위하여 더 많은 현직 연수가 요청된다.

      • KCI등재

        온라인매체 활용 교육과 가상⋅증강현실 활용 교육에 대한 교사의 TPACK 수준 비교

        고유정,신원석 한국교육방법학회 2020 교육방법연구 Vol.32 No.2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examine differences between online learning and AR (Augmented Reality)/VR (Virtual Reality)-based learning, thereby providing practical implications to support teachers for AR/VR-based teaching and learning. For the study, an onlin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186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PACK) framework with teacher individual-level factors (i.e., content knowledge, pedagogical knowledg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professional development (ICT PD), level of technology use, constructivist beliefs) and school-level factors (i.e., school infrastructure, support, and atmosphere)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eachers' TPACK level for online and AR/VR-based learning as dependent variables. Results showed that teachers' technology knowledge, technological content knowledge, technological pedagogical knowledge, and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online learning were higher than those of AR/VR-based learning. Among individual-level factors, ICT PD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influencer both in online and AR/VR-based learning, but constructivist beliefs influenced online learning only. Among school-level factors, school atmosphere for technology integration was the most influencing variable. When all variables considered, ICT PD was found to have the most importance for technology-enhanced teaching and learning. 본 연구는 교육현장에서 활발하게 쓰이기 시작하고 있는 가상⋅증강현실이 기존의 온라인매체 활용 교육과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살펴보고, 이를 통해 가상⋅증강현실의 교육적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교사들에게 어떠한 지원이 필요한지 논의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86명의 초등학교 교사들로부터 온라인 설문형태로 응답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TPACK) 모형을 기반으로 온라인매체 활용교육과 가상⋅증강현실 활용 교육에 대한 교사 개인수준의 변인(내용교수지식, ICT 연수, 테크놀로지 활용수준, 구성주의 교육신념)과 학교수준의 변인(테크놀로지 시설, 활용지원, 활용분위기)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TPACK 모형에서 교사들의 테크놀로지 관련 지식(TK, TCK, TPK, TPCK)은 가상⋅증강현실 활용 교육에 비해 온라인매체 활용 교육이 높게 나타났다. 교사들의 개인적 배경 중 교사들의 ICT 연수는 두 형태의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 모두에서 주요한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구성주의 교육신념은 온라인매체 활용 교육의 TPACK에는 영향을 미쳤으나 가상⋅증강현실 활용 교육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수준 변인 중 학교의 분위기는 가상⋅증강현실 활용 교육을 하는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모든 변인들을 고려하였을 때, 테크놀로지를 활용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ICT 연수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테크놀로지 활용 관련 연수의 중요성 등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 KCI등재

        사회과 수업에서 테크놀로지의 통합

        배영민(Yung-Min Bae)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8 사회과교육 Vol.47 No.4

        오늘날 사회과 교육자들은 사회과 수업에서 테크놀로지를 어떻게 의미 있게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하여 진지하게 고민해 보아야 한다. 필자는 이 글에서 ‘의미 있는 사회과 학습’을 위하여 테크놀로지가 사회과 수업에 통합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다시 말하면 기존의 전통적인 교사 중심의 교수법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테크놀로지가 부수적으로 수업에서 ‘첨가’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 필자의 주장이다. 대신에 테크놀로지는 학생들이 도전적이고 복잡한 과제를 능동적으로 해결하는 일을 돕도록 교수 학습의 핵심적인 부분으로서 수업에 ‘통합’되어야 한다. 본문에서 필자는 먼저 기존의 교수 및 학습에 관한 연구 문헌을 검토하여 사회과 수업에서 테크놀로지 통합의 이론적 토대를 제시한다. 즉, 사회과 수업에서 테크놀로지 통합이 마땅히 추구해야 할 의미 있는 학습이 무엇인지를 제시한다. 그 다음 이러한 의미 있는 사회과 학습을 도와주기 위하여 새로운 테크놀로지가 어떤 기여를 할 수 있는지를 검토한다. 이같은 이론적 토대와 더불어, 수업에서 의미 있는 사회과 학습을 위한 새로운 테크놀로지 통합의 실제를 두 연구 사례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기존의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을 비판적으로 고찰함으로서 글을 끝맺는다. Today social studies educators must think over how technology could be meaningfully employed in classroom teaching. In this paper, I argue that technology ought to be integrated into social studies classroom for the meaningful social studies learning. In other words, I insist that technology should not be added incidentally in classroom teaching in the way conventional teacher-centered practice is reinforced. Instead, as a central part of teaching and learning technology should be integrated into classroom in order to help students actively perform challenging and complex tasks in their own ways. Reviewing previous studies of teaching and learning I propose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technology integration into social studies teaching. That is, I first explain the meaningful social studies learning, the conceptual framework for technology integration. Then I discuss how new technologies can make contributions to support this meaningful social studies learning. In addition to the theoretical foundation, I also survey, through two research cases, real classroom practices that integrate new technologies into classroom for the meaningful social studies learning. I end this paper criticizing current classroom practices that use technologies based upon what I discussed.

      • KCI등재

        기술교사 학습공동체의 참여 동기와 교수 전문성 개발에 관한 연구

        함형인,김기열,이정훈,김기수 한국기술교육학회 2014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4 No.1

        본 연구는 기술교사 학습공동체에 기술교사가 참여하게 되는 동기와 교수 전문성 개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자는 2013년 3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10개월 동안 광주기술교사모임이라는 기술교사 학습공동체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총 10명으로 모두 광주기술교사모임에 자발적으로 참여한 현직 기술교사들이였다. 본 연구의 수행과정과 결과도출에 있어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심층면담과 참여관찰, 내용분석과 같은 자료수집방법의 삼각측량법(triangulation)을 활용하였다. 또한, 연구자는 심층면담을 통해 발견된 내용들을 참여관찰이나 내용분석과정을 통해 그 타당성을 검토하였으며 연구에 참여한 연구참여자(피면담자)들로부터 연구결과물에 대한 검토과정(member check)을 거쳤다. 위의 과정을 거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교사 학습공동체에 기술교사가 참여하게 되는 동기는 단위학교 교과협의회의 한계, 바람직한 기술수업에 대한 생각을 공유하고 싶은 욕구, 학습공동체를 통한 전문가로서의 성장 욕구, 학생들과의 소통 욕구로 나타났다. 둘째, 기술교사 학습공동체에 참여한 기술교사의 교수 전문성 개발에 미치는 영향은 크게 기술교과 수업에 대한 전문성 개발영역과 기술교과 내용에 대한 전문성 개발영역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기술교과 수업에 대한 전문성 개발영역에서는 수업에 대한 자기반성, 기술교과 교수-학습 방법 습득, 학습자 중심의 수업관으로 나타났으며, 기술교과 내용에 대한 전문성 영역은 기술교과 내용 지식 습득, 교육과정과 교과서 재구성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motives of technology teachers for participating in the technology teachers learning community and the development of teaching competence. The technology teachers learning community called Gwangju Technology Teachers Association was selected as the research subject and was examined for 10 months from March 2013 to December 2014.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a total of 10 in-service technology teachers who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Association. In order to secure the validity in the process of conducting this research and deriving the results, the triangulation of data collection methods such as in-depth interviews,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content analysis were utilized. Also these researchers examined the validity of the contents discover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rough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content analysis process and had the research participants (interviewees) who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go through the review process on the research results. The research conclusion derived from the above-mentioned process is as follows. First, the motives of technology teachers for participating in the teachers learning community were found to be the limitations of unit school curriculum consultative council, the sharing of ideas about desirable technology instruction, growth into experts through the learning community, and desire to communicate with students. Second, the development of teaching competence of technology teachers in the teachers learning community was found to be divided roughly into the domain of the development of competence regarding technology subject instruction and the development of competence regarding the contents of technology subject. To put it in detail, the domain of the development of competence regarding technology subject instruction was found to comprise the self-reflection of instruction, the acquisition of the technology subject teaching-learning methods, the learner-centered view of instruction, and the domain of competence regarding technology subject contents was found to comprise the acquisition of technology subject contents, the curriculum, and the reorganization of textbooks.

      • KCI등재

        온라인매체 활용 교육과 가상⋅증강현실 활용 교육에 대한 교사의 TPACK 수준 비교

        고유정(Ko, Yujung),신원석(Shin, Won Sug) 한국교육방법학회 2020 교육방법연구 Vol.32 No.2

        본 연구는 교육현장에서 활발하게 쓰이기 시작하고 있는 가상⋅증강현실이 기존의 온라인매체 활용 교육과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살펴보고, 이를 통해 가상⋅증강현실의 교육적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교사들에게 어떠한 지원이 필요한지 논의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86명의 초등학교 교사들로부터 온라인 설문형태로 응답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TPACK) 모형을 기반으로 온라인매체 활용교육과 가상⋅증강현실 활용 교육에 대한 교사 개인수준의 변인(내용교수지식, ICT 연수, 테크놀로지 활용수준, 구성주의 교육신념)과 학교수준의 변인(테크놀로지 시설, 활용지원, 활용분위기)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TPACK 모형에서 교사들의 테크놀로지 관련 지식(TK, TCK, TPK, TPCK)은 가상⋅증강현실 활용 교육에 비해 온라인매체 활용 교육이 높게 나타났다. 교사들의 개인적 배경 중 교사들의 ICT 연수는 두 형태의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 모두에서 주요한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구성주의 교육신념은 온라인매체 활용 교육의 TPACK에는 영향을 미쳤으나 가상⋅증강현실 활용 교육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수준 변인 중 학교의 분위기는 가상⋅증강현실 활용 교육을 하는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모든 변인들을 고려하였을 때, 테크놀로지를 활용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ICT 연수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테크놀로지 활용 관련 연수의 중요성 등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examine differences between online learning and AR (Augmented Reality)/VR (Virtual Reality)-based learning, thereby providing practical implications to support teachers for AR/VR-based teaching and learning. For the study, an onlin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186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PACK) framework with teacher individual-level factors (i.e., content knowledge, pedagogical knowledg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professional development (ICT PD), level of technology use, constructivist beliefs) and school-level factors (i.e., school infrastructure, support, and atmosphere)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eachers TPACK level for online and AR/VR-based learning as dependent variables. Results showed that teachers technology knowledge, technological content knowledge, technological pedagogical knowledge, and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online learning were higher than those of AR/VR-based learning. Among individual-level factors, ICT PD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influencer both in online and AR/VR-based learning, but constructivist beliefs influenced online learning only. Among school-level factors, school atmosphere for technology integration was the most influencing variable. When all variables considered, ICT PD was found to have the most importance for technology-enhanced teaching and learning.

      • KCI등재

        인문,사회과학편 : 블랜디드 러닝 전략을 적용한 중학교 체육 교수,학습 방안 연구

        홍석호(SukHoHong) 한국체육학회 2006 한국체육학회지 Vol.45 No.1

        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a new practical way of operation for the integrated education of target areas of physical education following the changes to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through the case of the class applying the 'blended learning'. The teaching characteristic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pplying the blended learning strategy are witnessing a large improvement in individualization, coherence, embodiment, integration, facilitation and ingenuity through various mutual interaction and decision-making process. The class managerial aspect of the teaching-learning activity appeared to have various types of preventive management reducing the possible trouble-making behaviors and a managerial interaction responding to the change of class environment in an appropriate way. By providing the learning materials for motivation in both inducing and non-inducing ways, the class teaching aspect lets the learners to experience the embodiment and coherence of the learning contents. Also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learning contents is carried out orderly through providing the information that can satisfy the individual interest of each learner. The provision of self-driven learning activity displayed to have durability in learning of cognition, high-cognition and appreciation, those not covered in class. This enables to provide the learners the opportunity to internalize the learning target and to strengthen the social function between the learners. The teaching-learning method of physical education applying the blended learning strategy is, microscopically, combining various presentation techniques and communication methods through connecting the e-learning system and, macroscopically, supporting for the assessment that helps the meaningful class and learning, activating the teaching activity that is the learner-centerd, organizing the learning community, utilizing the system infrastructure and constructing the systematic foundation.

      • KCI등재

        교직과목 수업에서 음악 테크놀로지 기반 학습 (Music Technology-Based Learning: MTBL) 활용 사례 연구

        김은진(Eunjin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7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이라는 교직과목에 음악 테크놀로지 기반 학습(Music Technology-Based Learning: MTBL)을 활용한 수업사례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과목에 MTBL를 활용한 팀별 프로젝트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16주간의 수업진행 후 본 사례연구에 대한 개방형 설문과 심층인터뷰를 실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사례연구에 MTBL 활용은 이론중심의 교직과목에 다양한 교육매체를 활용한 수업으로 ‘흥미, 재미’, ‘능동적인 학습 참여’ 등 학습자들의 호의적인 반응과 이와 다르게 MTBL의 활용은 ‘교직과목과 연계가 안됨’, ‘융복합수업의 어려움’ ‘수업 이외 개별 공부 시간이 요구됨’ 등 교직과목에서의 MTBL 활용에 대한 부정적인 학습자들의 시각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교직과목에서 MTBL 활용은 부분적으로 본 사례연구 과목을 이해하는 도움이 되는 결과를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이론중심의 교직과목에 MTBL의 활용은 현재까지 어려움도 가지고 있다. 따라서 MTBL 수업은 하나의 새로운 교수-학습 접근 방안으로 창의적이고 전문적인 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교직과정의 개발 및 운용을 위해 더 많은 사례연구과 수업개발이 필요하다. The researcher’s objective is to analyze a case study from the teaching profession course entitled “Instructional Methods and Educational Technology: IMET,” in which the instructional method ‘Music Technology-Based Learning: MTBL’ has been implemented. In addition to the analysis and the completion of the associated 16-week coursework, the researcher conducted an open-ended survey, and conducted and analyzed in-depth interviews, with participants in the case study. Using MTBL in IMET has elicited mostly favorable responses from participants such as “interesting” and “fun.” They also mentioned “active learning participation.” There were also negative responses to MTBL, citing “the lack of interconnection between MTBL and other teaching profession courses,” “the difficulty of hybrid and convergence classes,” and “the need for additional time and attention in an individual study.” The analysis of this case study indicates that the use of MTBL in teaching profession courses somewhat enhances the understanding of the general concept of integrating technology into education, although some difficulties remain. The analysis of more case studies is required in order to establish more effective training courses, in which learning is not limited to the theoretical aspects of education. Using MTBL as an integrated part of the educational method would help to foster more creative and professional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