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 미디어 파사드와 AI 미디어 파사드 광고 효과 - 주목성, 다양성, 몰입성과 브랜드 태도를 중심으로 -

        이미숙,전효진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0 한국디자인포럼 Vol.25 No.3

        Backgroun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made a difference in the advertising field. As AI-equipped media advertisements of products appeared, the consumer's reaction was curios and interest. We thought that the consumer's reaction to the existing digital media facade and AI media facade advertisements would differ in immersion, attention, and brand attitud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and analyze the attention, diversity, immersion, and brand attitude of advertising evaluation factors for digital media facades and AI media facades through consumer surveys. Methods Evaluation factors were derived and hypotheses were set based on prior studies. By selecting the general people who live in the city of G, are interested in automobiles, and commute to and from their cars, survey was conducted after watching the video. For data processing,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and the independent media T-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hypothesis, and the advertising effects of the digital media and AI media facades were verified. Result There was a difference in attention, diversity, immersion, and brand attitude between the digital media facade and the AI ​​media facade and the AI ​​media facades were all statistically higher than the digital media facades. In particular, the immersiveness and cognitive attitude showed that the AI ​​media facade had a much greater effect than the digital media facade. Conclusion Validation of consumer attitudes toward both types of advertising will help in the selection of appropriate advertising strategies and understanding of consumer behavior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also considered to be different from other studies in that it was the first attempt to verify the advertising evaluation factors for the AI ​​media facade. 연구배경 4차 산업혁명은 광고 분야에서도 변화를 가져왔다. AI를 탑재한 제품의 미디어 광고들이 등장하면서 소비자의 반응은 호기심과 관심으로 나타났다. 기존 디지털 미디어 파사드 광고와 AI 미디어 파사드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이 몰입성과 주목성 그리고 브랜드 태도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소비자의 설문을 통해 디지털 미디어 파사드와 AI 미디어 파사드에 대한 광고 평가요인으로 주목성, 다양성, 몰입성, 브랜드 태도에 대해 검증하고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선행연구를 토대로 평가요인을 도출하고 가설을 설정한다. 설문은 G시 지역에 거주하고 자동차에 관심이 많으며 자차로 출퇴근하는 일반인을 선정하여 동영상을 관람하게 한 후 조사를 실시한다. 자료의 처리는 요인분석, 신뢰성분석, 상관관계분석, 가설검증을 위해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여 디지털 미디어 파사드와 AI 미디어 파사드의 광고 효과에 대해 검증한다. 연구 결과 디지털 미디어 파사드와 AI 미디어 파사드 간의 주목성, 다양성, 몰입성, 그리고 브랜드 태도에 있어서 차이가 있었으며 AI 미디어 파사드의 수치가 디지털 미디어 파사드의 수치보다 통계적으로 모두 높게 나타났다. 특히 몰입성과 인지적 요소는 AI 미디어 파사드가 디지털 미디어 파사드보다 훨씬 큰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두 유형의 광고에 대한 소비자 태도의 검증은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적절한 광고전략의 선택과 소비자 행동의 이해에 도움이 될 것이며, 또한 AI 미디어 파사드에 대한 광고 평가요인의 검증을 처음으로 시도했다는 점에서 다른 연구와 차별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뉴미디어, 미디어 파사드 기술의 구현방법에 관한 연구

        김정환 ( Jeong Hwan Kim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0 예술과 미디어 Vol.9 No.1

        1960년대의 뉴욕 시가지 재개발 프로젝트에서 출 발한 건축외벽을 이용한 그래픽의 역사는 이후 1966년 미국에서 슈퍼그래픽이라는 개념으로 발전 하여 오늘날 공간그래픽(Space Graphic)이나 환경 그래픽(Graphic in Environment), 거리예술(Out- Door Wall Painting), 그리고 공공예술(Public Art)의 개념으로 자리잡고 있다. 조명, 영상, 정보 통신기술발전과 맞물려 인간의 야간활동이 왕성해 지면서 일몰 후의 홍보수단들이 다양하게 개발되는 데 가장 최근에 등장한 기술이 미디어파사드 (Media Facade)로 지칭되는 뉴미디어 기술이다. 새로운 형식의 매체커뮤니케이션의 수단으로 등 장한 미디어 파사드는 조명, 영상, 정보기술(IT)이 결합되면서 홍보, 예술, 디자인 분야를 중심으로 활 발하게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미 국내에서 2004 년 갤러리아 백화점에서 홍보용으로 초연된 바 있으며 최근에는 청와대, 서울시청, 삼성화재, 금호아시아나, 상암동 DMC 등과 같은 정부, 대기업에서 홍보와 이미지 광고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유명 연예 엔터테인먼트 회사들에서 혁신적 홍보용 수단으로 활용되기도 하였다. 일찍이 독일의 평론가인 발터 벤야민(Walter Benjamin)은 21세기의 예술의 경향은 예술과 뉴미 디어와의 만남을 통해서 이루어질 것이라고 예측한 바 있다. 미디어 파사드라는 새로운 미디어의 등장 은 브랜드의 이미지제고와 홍보마케팅 수단으로 활용되기 시작하였으며, 더 나아가 미디어예술의 범주를 넓히는 데도 일조하고 있다. 미디어 파사드를 구현하는 기술적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디자인 매핑(Mapping) 방식과 LED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초기에 국내에 도입된 방법은 주로 LED를 이용한 방법이었다면, 최근에는 여러 대의 빔프로젝터를 이용하여 실시간 으로 3D영상물을 건물 전체나 부분에 주사하는 디자인 매핑방식이 선호되고 있다. 별도의 스크린을 설치하지 않고, 순수 건물외벽에 프로젝션 장비만으로 선명한 고화질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구현하여 입체감 있는 3D영상을 선보이는 기술이다. 본인은 건축외관을 이용하여 커뮤니케이션 인터페이스를 구축하는 미디어 파사드 기술의 특징과 국내외 기술동향을 살펴보고, 크게 두 가지로 구분 되는 디자인 매핑방식과 LED방식의 구현방법을 비 교분석하고자 한다. 아직 국내에서 생소한 워치아웃 시스템(Watchout System)을 이용한 디자인 매핑 방식 미디어 파사드 기술을 소개하여 새로운 기획 과정에 다양성을 부여하고자 한다. The history of graphic using an outer wall from a redevelopment project in New York City in 1960`s has been developed as a concept of Super Graphic in US in 1966. Today, it has placed a type of Space Graphic or Graphic in Environment, Out-Door Wall Painting, and Public Art. As human`s activities are increased at night along with development of lighting, image, IT people have established ways of promoting after sunset, one of which is a new media technology called Media Facade. Media Facade as a tool for a new type of media communication has been studying increasingly around promotion, art, and design by combining lighting, image and IT. It is already shown for the first time for a promotion in department of GALLERIA, Seoul in 2004. Moreover, lately, it is used as a promotion for the government or major companies like Cheongwadae(the Blue House), the City Hall of Seoul, SAMSUNG Fire & Marine Insurance, KUMHO ASIANA, Sangam DMC and so on. What`s more, it is recently used for an innovative method of promotion in famous entertainment agencies. Walter Benjamin, a critic in Germany, forecasted early that the art tendency in 21 century would be a combination of art and new media. The advent of new media called Media Facade has begun to be used as a tool for branding to improve its image and promotion and furthermore, it contributes to widening a range of media art. There are two ways of technical realization of Media Facade which are categorized as Design Mapping and LED. In the beginning the method of realization in South Korea was usually to use LED, however, in recent years it is preferred to a way of Design mapping which is to project 3D images onto the whole or partial outer wall in real time by using a number of beam projectors. It is a technology to shows 3D images, which have visual depth perception, by realizing high quality images in real time, not installing special screen but only with projection equipment. This study will examine technical trend in and outside the country and characteristics of Media Facade technology which builds communication interface by using outer wall. After that, this paper will compare and analyze a way of realization categorized by Design mapping and LED methods. In addition to that, this study will assign diversity in a new planning process by introducing Design mapping method, Media Facade technology that uses Watchout System which is not familiar with in South Korea.

      • KCI등재

        서울시 미디어파사드의 관련 제도와 설치사례 분석

        김동찬(Dong Chan Kim),김신원(Shin Won Kim),김영주(Young Ju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1

        야간경관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미디어파사드의 국내 설치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나, 그에 대한 구체적 실태분석은 미진한 편이다. 따라서 국내에 도입된 미디어파사드의 현황을 알아보고, 차후 적절한 관리 및 설치방법을 도출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중구·종로구·강남구 일대에 설치된 미디어파사드로 선정하였으며, 관련 제도와 설치현황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조사 내용을 바탕으로 현행 제도와 설치 사례의 부합성을 분석하였다. 우선 관련 법률과 제도의 내용을 조사하여, 규정의 변화 과정 및 세부사항을 고찰하였다. 또한 대상지의 설치 현황을 조사하여 그 사례들을 콘텐츠, 조명방식, 조명환경관리지역, 근접 도로별 등으로 유형화하였다. 분석 결과, 미디어파사드 도입 초기에는 업무 용도의 고층 건물이 설치 사례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나, 점차 설치 건물의 용도와 규모가 다양화되고 있었다. 따라서 그에 따른 적합한 관리를 위해 관련 제도의 정비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그러나 현재 서울시의 현행 제도는 미디어파사드가 가진 물리적·내용적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었다. 우선 분석 대상의 상당수가 서울시에서 규정한 ``조명환경관리지역`` 중에서 ``일반상업지역``으로 분류되어있어, 지역마다 미디어파사드의 차별적인 관리가 이루어진다고 보기가 어려웠다. 또한 콘텐츠의 내용이 예술작품으로 한정되어 있어 다양한 정보전달이 어려워, 지역적 특색이 반영된 콘텐츠 개발에 한계가 될 수 있었다. 그리고 광고물 콘텐츠 상영 제한에 대한 구체적인 심의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서울시의 조례 및 가이드라인에서, 미디어파사드가 조명의 한 종류로 정의되어 ``미디어``라는 매체의 특성을 반영하기 어려운 상황이었다. 미디어파사드가 본래 의미를 실현하고 지역적 특성이 반영된 야간경관이 조성될 수 있도록, 각 지자체에서 세부적인 디자인가이드라인과 정확한 심의기준을 제시하여 관련 제도를 개선해야한다고 판단된다. Media Facade, the important thing as an element of Exterior Lighting, are increased in Korea, However, the detailed analysis about korean Media Facade is not entirely satisfactory, Therefore Authors searched about current situations of Media Facade in Korea to find suitable method of management and installation. Objects of Study are the Media Facade in Junggu, Jongnogu, and Gangnamgu. Authors checked the related systems and installation cases, and analyzed their coincidence based on them. At first, this thesis researched the related systems and laws to check the details and transformation process of rules, next, classified the Media Facade according to contents, lighting system, light environment management district, and approaching road based on the installation case. As a result, most of the Installation cases are located in high-rise building for business. However, purposes and scale of buildings are diversified gradually. Therefore it is needed to improve the related systems for suitable management, but current systems of Seoul don`t reflect the physical and thematic features of Media Facade. First, most of objects are located in ``General Commercial District`` of ``The Light Environment Management District``, so it is hard to mange Media Facade characteristically by each locality, In addition, the contents are limited to ``Art work``, it is difficult to express various information, It can be limitation to development contents that reflect the local features, Also, There are not detailed standards about limitation of showing advertisement at Media Facade. Lastly, Seoul`s ordinance and guideline defined the Media Facade as just ``one of lighting fixtures``, so it is hard to reflect the character as a ``media``, For realizing of original meaning about media facade, and constructing the Exterior Lighting according to local feature, related systems are needed to improve by suggesting detailed guideline of design and standard in each local government.

      • KCI등재후보

        미디어 파사드의 국내 연구 현황

        서윤경(Seo, Yoon Kyoung)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3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3 No.4

        미디어 파사드는 건물 외피를 지칭하는 파사드 (facade) 와 미디어 (media)의 합성어로서 도시 디자인적 요소로서의 건축물과 도시정보 매개체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담당한다. 현재, 네트워크 정보기술의 발전과 ‘유비쿼터스 도시의 건설 등에 관한 법률’ 제정 등으로 미디어 파사드 설치는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본 연구는 미디어파사드가 국내에 도입된 2004년 이후 현재까지 진행된 미디어 파사드 연구의 흐름을 분석하여 관련연구의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미디어 파사드를 주제로 하는 56편의 학회지 게재 논문을 분석했다. 그 결과, 미디어 파사드에 접근하는 연구 관점을 크게 네 가지로 유형화 할 수 있었는데, 건축 디자인적 관점, 미디어 콘텐츠 디자인적 관점, 도시경관 디자인적 관점,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적 관점이 그것이다. 유형별로 분류된 연구논문들 중 연구목적의 구체성, 논리적 결과 도출, 연구조사방법의 타당성을 기준으로 중요 논문을 선정한 후, 논문에 드러난 주된 내용들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 대조했다. 미디어 파사드 연구 경향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초기 연구들이 미디어 표현방식과 기술에 대한 유형화와 유형별 사례연구에 치중한 반면, 최근 3년 동안의 미디어 파사드 연구는 ‘인터랙티브 미디어’적 성격이 부각된 콘텐츠 개발로 그 초점이 이동되고 있다. 둘째, 미디어 파사드의 도시경관 디자인적 요소가 강조되면서 미디어 파사드를 이용한 도시정체성 모색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셋째, 미디어 파사드의 상호작용적 특성이 강조되면서 연구조사방법 또한 사례연구 중심에서 선호도 평가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경향분석은 향후 미디어 파사드의 연구가 물리적, 기술적 서술에서 벗어나 도시환경의 맥락에서 사용자경험 중심의 디자인 개발로 이어져야 함을 보여준다. The compound word "media facade" is formed from the words "facade" and "media", thus implying that it serves as an architectural element in urban design and as a medium to communicate messages to citizens. The construction of media facades has increased,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legislation on Ubiquitous City Construction enacted in 2008.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domestic research trends in media facades since 2004 when the first media facade was constructed in Seoul. This study categorized all 56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journals from 2007 to current days into 4 research perspectives: (1) the perspective of architectural design; (2) the perspective of media contents design; (3) the perspective of urban design; (4) the perspective of communication design. Among the research papers, some papers with the clear representation of research objectives, the logical generation of research results and the validity of research methods were selected to review. This study summarizes the research trends in media facades as followings. First, the early studies of media facades placed more emphasis on categorizations of representational modalities and technologies of media facade. Later studies, however, have moved towards the subject of interactive contents development. Second, more studies have paid attention to the urban identity media facades may form. Third, the interactive features of media facades have been increasingly underscored, thus shifting the research methodology from case studies to user preference surveys. This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media facades directs future research towards user-experience-oriented design development beyond the physical or technical analysis of media facades.

      • KCI등재후보

        도시형 인터랙티브 미디어 파사드의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이준수 ( Jun Soo Lee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3 예술과 미디어 Vol.12 No.4

        미디어 파사드는 건축 구조물과 디스플레이의 결합에 의해 탄생된 새로운 분야이다. 디지털 테크놀로지는 도시 건축물이 위치한 대중 공간에서 사용자와 설치자 또는 사용자들 간의 쌍방향 소통을 추구함으로써 새로운 장르의 인터랙티브미디어인 urban screen이라고도 불리는 매체를 만들었다. 이 미디어 파사드는인터랙티브 미디어의 대중 공간의 지각적, 경험적 그리고 지식적 확장성에대한특징들을 내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인터랙티브 미디어와 미디어 파사드의 정의를 서술하고 다섯 개의 국내외 미디어 파사드 사례를 통하여 새로운 미디어 파사드를 디자인 할 때 고려해야 하는 것들을 인터페이스, 물리적 구조물과 환경적통합, 콘텐츠 개발, 견고함, 그리고 사회적 관계변형 이라는 다섯 가지 과제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그에 따른 발전 방향들을 도출 하고자 한다. Media facades are a new category of interactive media concerned with the integration of displays into the building structure. Courtesy of the digital technologies, Media facade which is called as urban screen in interactive media fields is made by pursuing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users and installer or among users on public spaces of urban buildings. This media facade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interactive media which are perceptual, experiential and knowledge-able extension. This research explores the concept of interactive media and media facade. And then, through the five instances of domestic and foreign media facades, the research suggests the development per-spective of media facade with the challenges concerned a broad range of issues: interfaces, physical structure and environmental integration, contests, robustness and social relations for designing a new media facade.

      • 미디어 파사드의 뉴미디어 가능성에 대한 연구

        서은선(Seo, Eunsun)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3 디자인지식저널 Vol.26 No.-

        뉴미디어와 미디어 파사드와 의 상호적 교류를 연구함에 있어 미디어 파사드의 콘텐츠 적 요인과 디지털 미디어를 보는 시각에 대해 알아 볼 필요가 있다. 교감 소통이 트렌드화 되고 있는 추세에 미디어 파사드의 기능은 영상물과는 다른 뉴미디어적 감성을 자극한다. 오히려 뉴미디어는 영상물의 제한적 상영 공간과 시간을 기존의 기술, 표현 양식을 변화시켜 융합적 다중 매체성을 띠게 되는 것이다. 이 연구는 미디어 파사드의 단편적 특수효과의 영상에서 벗어나 스토리텔링으로의 가능성에 대해 그동안의 사례와 함께 연구하였다. 디지털 미디어 산업은 언어, 행위로 발달하여 사회와 문화를 만들며 더 나아가 공간과 시간 속에 그 텍스트의 변이를 이루고 있다. 미디어와 산업이라는 두 텍스트의 만남은 또 다른 텍스트로의 변이를 준비하여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뛰어 넘을 준비를 하고 있다. 그동안은 미디어 파사드는 상업 물과 미적 공익성이 주류를 이루었다. 그러나 미디어 파사드의 입체감을 극대화한 시각적 효과를 이용하여 스토리텔링이 가능한 영상이 나온다면 새로운 뉴미디어 아트로의 확장이 될 것이다. Prior to researching the mutual interaction between new media and media-facade, it is necessary to look into the content feature of media-facade and the perspective of digital media. While communion has become a trend, the function of media-facade stimulates the sensitivity of new media that is unique from other medias. New media rather change the limited showing place and time with existing technologies and presentation styles so make itself a multi-fusion media. Storytelling about the possibility of escape research the media facade fragmentary special effects in the video, and studied with the case in the meantime. Digital media industry developed by texts and behavior, created community and culture and bring further changes of the texts in space and time. The convergence of media and industry has prepared the further changes towards another type of texts and is ready to move beyond the limits of time and space. Until today, media-facade was mainly consisted of commercial and aesthetic public interests. However, if story-telling medias are created by using the visual effect that is maximized by the cubic effect of media-facade, it will expands into a new media art.

      • KCI등재

        창의 역사적 변화를 통해 본 미디어 파사드에서의 창의 의미

        김민지(Kim, Min Ji)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4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 역사적 변화에 대한 분석에 기반해서 미디어 파사드에서 창이 갖는 의미를 고찰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창의 역사에 대한 계보학적 분석법을 취했으며, 창을 단일의 스크린으로 사용하는 미디어 파사드에서부터 개별 창을 화소단위인 픽셀로 간주하는 윈도우 래스터 애니메이션 기술을 사용한 미디어 파사드에 이르는 실천들에서 창이 갖는 의미를 분석했다. 서양 고대의 영혼의 창에 관한 비유에서부터 르네상스 선 원근법의 가상의 창을 거쳐, 근대건축의 투명창에 이르는 창의 역사적 변화과정은 창을 사용한 미디어 파사드의 스크린 실천들이 시각중심 문화와 관계된 것임을 드러낸다. 창의 투명성이 증대됨에 따라 실내 공간과 실외 공간의 상호 관계는 시각적 소비 행위로 변모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미디어 파사드에서와 같이 창 그 자체가 스크린화되는 단계에 이르렀다. 특히, 21세기 도시에 등장하고 있는 윈도우 래스터 애니메이션 기술을 사용한 미디어 파사드는 창의 투명성을 래스터 디스플레이로 재맥락화한다. 이 과정에서 스크린으로서의 창의 의미는 기술적으로 구체화된다. 결과적으로 미디어 파사드에서 창의 의미는 하이테크 사회의 스크린으로서, 인간과 미디어 사이의 관계를 매개하는 새로운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가능성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window in media facade, drawing upon historical change of window. To achieve this, I take a genealogical methodology on history of window and analyse the meaning of window in the practice from media facade using window as single screen to raster animation technology that consider window of facade as pixel. Historical process from windows of the soul in ancient times to virtual window in Renaissance linear perspective and transparent window of modern architecture makes it possible to identify that the origin of screen practice such as media facade using window is visual-oriented culture. With the increase in transparency of window, interrelation between interior space and exterior space transformed into visual consumption. This change approached the level of window itself becoming screen such as window in media facade. Especially media facade using window raster animation technology in the 21st century city re-contextualize the transparency of window as raster display. In this process, meaning of window as screen technically take concrete form. As a result, meaning of window in media facade as screen in high-tech era has significance for presenting possibility of new interface design mediating the relation between human and media.

      • KCI등재

        건축과 미디어 기술이 통합된 미디어 파사드 사례의 색채

        김주연(Juyeon Kim) 한국색채학회 2013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7 No.4

        최근에는 기계적인 반응을 넘어 감성적 반응을 향해 진화하는 미디어 파사드가 지역의 특성을 나타내는 요소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다양한 미디어 파사드들의 각 브랜드들 특성과 야간 색채경관을 살펴보고자 일본 도쿄에서 선정된 현장을 2012년 10월 20일부터 11월 10일까지 20일간 직접 방문하여 조사하였다. 조사 지역은 긴자거리와 오모테산토 힐즈로 총 10곳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선정된 미디어 파사드 사례들의 범위가 일본의 미디어 파사드 색채 경향을 대표할 수는 없지만, 선정된 연구 사례 범위에서 현재 일본 미디어 LED 조명 기술에 의한 야간 색채를 살펴보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일본 건축 디자이너의 미디어 색채 활용에 대해서도 살펴볼 수 있었다. 연구 방법은 문헌과 인터넷 정보를 통해 선정된 사례들의 건축적, 미디어 파사드 특성 및 색채조사이다. 색채 측정은 디지털 카메라(Canon G10)와 휘도계(Minolta CS-100s)를 이용하고 동영상 촬영을 병행하였다. 측정 시간은 일몰 시간인 오후 7시에서 11시로 미디어 파사드를 켜는 시간에 맞추어서 진행하였다. 측정 위치는 보행인들이 전체 파사드를 볼 수 있는 100m 거리 이내에 설치하여 측정 하였다. 측정된 데이터는 CIE x,y 다이어그램을 이용하여 색 분포도와 색상간의 거리 값을 분석하였다. 측정된 색 공간 분포도는 시간에 따른 색차이 및 색도에 대한 값으로 CIE색 좌표에 의해 색채를 추출하여 개발된 씨아이이컬러애널라이저(CIEColorAnalyzer) 프로그램에 의해 분석하였다. 디지털 색 공간에서는 휘도의 밝기에 따르는 색상간의 자극 값 등을 살펴 볼 수가 있다. 분석한 CIE x,y 다이어그램의 거리 값은 디지털 미디어의 색채 변화 속도와도 관계성을 모색해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미디어 파사드 색채 구성이 도시 미관 기능을 넘어 건축적 재료로써 건축과 미디어 기술의 통합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최종의 목표는 색채 데이터베이스 구축이다. 향후 본 연구의 색채 데이타는 그 자체만으로도 미디어 파사드 디자인을 위한 색채 제안에 중요한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the construction of beautiful media facade, which has been evolving from mere mechanical response to emotional response, is considered to be important region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designated areas in Tokyo from October 20 to November 10, 2013, to observe both brand characteristics and night color landscapes of various media facades. We carefully selected total ten places in the Ginza Street and the Omotesado Hills for our research. Although we recognize that our study is not able to represent the general trend of the Japanese media facade colors, it is still significant to show night color trend based on developing urban media technology. Furthermore, we were able to detect the media color usage trend of the contemporary Japanese architects. Our research methodology is a case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al media facade of the chosen samples as well as archival and internet search. We used a digital camera (Canon G10) and a Chroma meter(Minolta CS-100s) for color measurement and supplemented it with a video recording. The time frame was between 7 PM and 10 PM when the media faces were on. The measurement location was within 100 meters of the facades where pedestrians are easily able to see them. We analyzed the distance value between a color distribution chart and the color of our data by using the CIE x,y diagram. We further analyzed the measured data of color space distribution chart, which is the chronological value of color difference and chromaticity, by using the ‘CIEColorAnalyzer’ program that is developed by color extraction based on the CIE color coordinates. Through our analysis, we are able to observe the stimulus value of different colors based on the lightness of brightness in digital color space. We also confirm that the analyzed distance value of the CIE x,y color diagram will enable to predict the speed of color change of digital media. Since the goal of our study i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media facade color coordination as architectural materials, which goes beyond its function as urban aesthetic views, as well as to construct a color database, we are confident that the color data of our study will constructively influence the media facade design community for their color choice.

      • KCI등재

        미디어 파사드의 특성 요소가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장소영(Jang, Soyoung),이태일(Lee, Taeil)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5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4 No.2

        연구배경: 최근 미디어 파사드의 활용 사례가 증가함에 따라 이를 활용 한 브랜드 홍보 방법이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미디어 파사드의 특성 요소가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방법 : 이를 위해 문헌 조사와 선행 연구 자료를 통해 미디어 파사드의 특성 요소 4개를 추출하고 (이미지, 문자, 사실, 메시지), 각 특성이 잘 표현된 5가지의 미디어파사드 사례를 선정하였다. 더불어, 관여도와 편익을 기준으로 4개의 상이한 브랜드도 선정하였다. 선정된 각각의 브랜드를 설문응답자에게 제시하고 5가지 미디어파사드 비디오를 제시된 브랜드를 홍보하기 위한 것이라 가정하여 시청하도록 한 후 설문을 진행하였다. 하나의 브랜드 당 15명씩 총 60명이 조사에 응하였다. 설문 조사를 통해 평소 브랜드에 대해 갖고 있는 생각과, 미디어 파사드를 시청한 뒤 브랜드와 관련하여 어떠한 느낌을 갖게하는가를 질문하였다. 분석 단계에서 미디어 파사드의 특성 요소가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뿐 아니라 브랜드 유형에 따른 결과의 차이도 알아보기 위해 다양한 기준으로 브랜드를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분석 결과 이미지 요소와 메시지 요소는 브랜드 자산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문자 요소는 주로 브랜드 리더십에 부정적이지만 브랜드 성향에 따라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 요소는 고관여의 기능적 편익이 높은 브랜드일 경우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쾌락적 편익이 높은 경우 정보 요소를 사용하는 것이 브랜드 이미지에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결론 : 미디어 파사드가 가지는 특성 요소들을 브랜드가 추구하는 전략적 방향성에 따라 홍보 수단으로서 미디어파사드를 활용한다면 미디어 파사드 디자인 기획의 기본적인 방향성 설정에 참고가 될 것이라고 판단된다. Background : Recently media facades are gaining attention as a means to promote brands.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characteristic elements of media facade on brand equity. Methods : The study extracted 4 characteristic elements of media facade (image, text, facts, message)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previous research, and selected 5 examples of media facade that expressed each characteristic faithfully. Also, 4 different brands were selected based on involvement and benefit. Each subject was given a brand and were shown videos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5 types of media facade was publicizing the chosen brand. A total of 60 subject participated in the investigation, with 15 subjects per brand. Using a questionnaire, they were asked of their initial opinion of the brand and their feelings regarding the brand after watching media facade. In the analysis stage, brands were analyzed by categorizing them with various standards in order to find out not only the ffects of characteristic elements of media facade on brand equity, but also the differences in results depending on the types of brands. Result :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image and message element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brand equity. While text elements affeced brand leadership in a negative way, it also had positive effects according to brand propensity. It was revealed that while information elements had positive effects for brands with high involvement and functional benefit, they had negative effects for the brands with high hedonic benefit. Conclusion : It is thought that the brands may have to apply the characteristic elements of media facade in accordance with their strategic direction, when they set the fundamental direction of planning media facade designs.

      • KCI등재

        디지털영상으로써 미디어파사드의 매체적 의미성 연구

        이종한(Lee, Jong Han)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3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31

        멀티미디어 환경의 급격하고 다양한 예술적 변화와 함께 사회 인프라의 디지털 첨단화로 문화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도시환경 건설이 활성화되고 있다. 최근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는 미디어 파사드(Media Facade)라 표현되는 도시 건축물 전면의 대형 영상이미지들은 이제 전혀 새로운 것이 아니다. 또한 도시 공간속에 녹아는 IT 기술은 이제 건축과의 만남을 통하여 새로운 미디어로서의 가능성을 시험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인프라적 확산과는 다르게, 미디어 파사드에 대한 정의가 불분명하여 야간의 경관조명이나 옥외 영상광고 정도의 수준에서 제도가 구축되었다. 이러한 가이드라인은 미디어 표현의 다양한 시각적 예술성 표현의 가능성 보다는 부정적 측면에서의 규제를 목적으로 하고 있어 미디어 파사드의 본질적 개념을 살리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은 미디어 파사드의 뉴미디어적 측면에서의 의미를 찾아 도시 캔버스화라는 매체적 차원에서 의미를 분석한다. 이에 따라 미디어 파사드의 각각의 사전적 정의를 조사하여 미디어파사드의 본질적 정의는 무엇인지 라는 용어는 한.중.일 3개국에서만 통용되고 서구권 나라들에서는 미디어아트의 한 분야로 인식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결국 미디어파사드는 경관조명 차원에서 기술적으로 분류되기 위한 목적이 강하며, 학술적으로 명확이 규명되지 않는 용어이다. 예술분야에서 바라보는 미디어 파사드는 신 매체적 차원에서 미디어아트의 한 분야로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도시 미디어파사드 정책에 대한 올바른 가이드라인이 구축되어야 할 것으로 보며, 이 가이드라인을 통해 무분별한 조명연출이 아닌 도시의 캔버스화라는 개념에서 예술적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With rapidly changing multimedia environment, various artistic changes and digitalized up-to-date social infra, urban environment construction based on culture contents has been activated. The large image in front of urban building that is expressed as media-facade, increasing rapidly in a recent period, is not a new thing at all. In addition, IT technology molten in city space is testing the possibility of new media through the meeting with architecture. However, unlike its infra enlargement, the definition about media-facade is not clear so the system was constructed a level of night lightscape or outdoor image advertisement. The purpose of this guideline is the regulation from the negative aspect rather than the possibility of various visual, artistic media expressions. Therefore, it could not show essential concept of media-facade. Moreover, most of companies or building owners focus on short-term profit and marketing effect rather than prepare various contents so they can not use constructed infra properly. After all, in many cases, they discolor the meaning of media-facade. This paper is a pilot study to grasp the current definition of media-facade to construct right guideline of medial-facade. On the basis of this study, it will prepare academic definition of media-facade and construct the guideline for design eval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