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헤겔연구사

        이동희 새한철학회 2000 哲學論叢 Vol.20 No.-

        이 논문은 본 연구팀에 의해 수집 분류된 헤겔의 연구문헌목록(김윤구, 이동희, 헤겔연구문헌목록, 철학논총 17집, 1999)에 기초해서 한국의 헤겔철학수용과 그 연구사를 다루고 있다. 연구 대상의 범위는 『정신현상학』과 『논리학』을 제외한 이제까지 한국에서 발표된 헤겔연구와 관련한 모든 논문, 즉 『법철학』, 『역사철학』, 『종교철학』, 『미학』, 『자연철학』, 『청년기저작 및 엔치클로패디』, 『기타』 등이다. 이 연구대상의 범위는 공식적 학위취득을 목적으로 해서 쓰여진 석박사학위논문이며, 다른 하나는 개별적 연구자들에 의해 자유롭게 학술지에 발표된 개별적인 논문, 즉 단논문으로 다시 나누어져 다루어졌다. 연구팀이 이제까지(1998년 9월 15일) 수집한 결과에 따르면, 국내에서 헤겔과 관련한 석박사학위논문은 총 270개로 집계된딘 그리고 단논문은 총 454로 집계된다. 이 논문이 분석의 대상으로 삼은 미학, 법철학, 종교철학, 자연철학에 관련한 논문들을 이 중에서 다시 추려보면 석박사학위 논문은 총편수 270중 128편이고, 단논문은 총편수 454 중 212 편이다. 세분하면, 미학은 17편(석박사 12, 단논문 7), 자연철학 10편(석박사2, 단논문 10), 종교철학 40편(석박사19, 단논문 21) 역사철학 64편(석박사24, 단논문40), 범철학 110편(석박사65, 단논문, 45), 청년기저작 21편(석박사6, 단논문15), 기타 78편(단논문 78)이다. 이 논문의 연구방법으로는 주로 시기별 통계방식을 사용했고, 시기별로 헤겔연구사의 경향과 특징들을 적어 놓았다. 예외적으로 헤겔의 법철학과 관련해서 주제별 통계방식도 사용하였다. 헤겔철학의 현실관련성 때문 탓인지, 한국에서 행해진 헤겔철학의 연구경향과 연구주제는 시기별로 시대적 문제의식이 뚜렷하게 드러나지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성은 연구물들 이 특정한 몇몇 주제와 텍스트에 주로 편중되어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다행스러운 일은 시기별로 보면 헤겔철학의 다양한 주제의 연구들이 매년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는 점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주철의 고상조직변화에 관한 기초연구 (1)

        이동희,김문일,양훈영 대한금속재료학회(대한금속학회) 1971 대한금속·재료학회지 Vol.9 No.2

        鑄鐵의 固相反應에 의한 組織變化, 特히 鑄鐵內의 黑鉛狀態의 變化를 고찰하였다. 本 基礎硏究에서는 鑄鐵에 Mg을 여러 條件下에서 擴散시킨 結果 鑄鐵組織內의 固相反應에서도 黑鉛이 球狀化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또한 時效에 의해 球狀黑鉛이 成長함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인지양식 ( 장의존 - 장독립 ) 으로 본 유아의 보존과제 수행능력의 차이

        이동희 한국아동교육학회 1999 아동교육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conservation achivement according to Field-Independence and Field-Dependence cognitive styles of Kindergarden children. The subjects were 55 four year old children(24 boys and 31 girls) and 119 five year old children(60 boys and 59 girls). They were administered Figure Embedded Cognitive Style Test and asked to solve conservation task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ield-Independent cognitive style children solve the conservation tasks better than Field-Dependent children. Second, 5 year-old children solve the conservation tasks better than 4 years-old children. Third, 5 year-old children with Field-Independent cognitive style solve the conservation tasks better than those with Field-Dependent cognitive style. But there is no difference of the conservation task completion capabilities between two different cognitive styles in 4 year-old children. Fourth, Boys with Field-Independent cognitive style solve the conservation tasks better than those with Field-Dependent cognitive style. But there is no difference of the conservation task completion capabilities between two different cognitive style in girls.

      • KCI등재

        환계락 대여음의 가변성

        이동희 한국국악학회 2018 한국음악연구 Vol.64 No.-

        This dissertation is based on research conducted on Hwangyerak, which is included in the female gagok. I found that in most of the old scores-including the four types of Geomungo scores such as Hyungeumoeumtongron, Bangsanhanssigeumbo, Hakpogeumbo, Gagokgeumbo as well as the three types of Yanggeum scores such as Seogeumgagok, Yukyangaun, Bangsanhanssigeumbo-those that contained Hwangyerak, the melody of Daeyeoeum (prelude or postlude), did not appear to be consistent. So, I compared these old scores with today's Geomungo and Yanggeum scores to identify which portion of the old scores match today’s melody of Hwangyerak Daeyeoeum, and analyzed these old scores in chronological order to determine changes in Hwangyerak Daeyeoeum. Also, I identified differences between the old scores and the current scores in the melody proces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In case of old Geomungo scores, today’s Hwangyerak Daeyeoeum is equal to the Hwangyerak Daeyeoeum of Hakpogeumbo, the Urak ‘Jegalyang’ Daeyeoeum of Gagokgeumbo, the Eolak Daeyeoeum of Bangsanhanssigeumbo and the Pyunlak Daeyeoeum of Hyungeumoeumtongron. Also, in the case of old Yanggeum scores, the Hwangyerak Daeyeoeum of Bangsanhanssigeumbo is recorded as ‘same as the Daeyeoeum of Soeneun-urak’. And the Hwangyerak Daeyeoeum of Yukyangaun and Seogeumgagok are recorded as ‘same as the Pyunlak Daeyeoeum’. This is because the gagok was originally variable music. Through the epilogue of Park Hyo-gwan in Gagokwonryu as well as the preceding studies of Shin Kyung-sook and Kim Woo-jin, it was proven that in gagok there were many ways of changing in terms of editorial, musical composition, rhythm, gender, combination of songs and editorials, and interpretation of music. This study showed that variability lasted until the late 19th century, and that continuation was particularly noticeable in Daeyeoeum of Hwangyerak. In addition, all of the melodies of the Hwangyerak Daeyeoeum in various old scores are the melodies of the 'nak' series, so it was shown that the Daeyeoeum of 'nak' series was used to perform the Hwangyerak with flexibility. 환계락이 수록된 『현금오음통론』, 『방산한씨금보』, 『학포금보』, 『가곡금보』의 4종 거문고 고악보 및 『서금가곡』, 『역양아운』, 『방산한씨금보』의 3종 양금 고악보 중 대부분의 악보에서 대여음이 나타나지 않거나 다른 고악보의 대여음을 사용한다고 표기되어 있음을 발견하여, 이 고악보들을 현행의 거문고보 및 양금보와 비교하여 현행 환계락의 대여음 선율이 각 고악보에서 어떤 부분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하고 이를 시대순으로 분석하여 어떠한 변화 양상을 거쳤는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거문고 고악보에서 현행 환계락의 대여음은 『학포금보』 환계락 대여음, 『가곡금보』 우락 ‘제갈량’ 대여음, 『방산한씨금보』 얼락 대여음, 『현금오음통론』 편락 대여음과 동일하였다. 또한 양금 고악보에서 『방산한씨금보』 환계락 대여음은 ‘쇠우락의 대여음과 같다.’고 기록되어 있고, 『역양아운』과 『서금가곡』의 환계락 대여음은 ‘편락의 대여음과 같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는 가곡이 본래 가변적인 음악이었기 때문이다. 『가곡원류』에 실려 있는 박효관의 발문과 신경숙, 김우진의 연구를 통해 가곡은 사설, 악조, 장단, 성별, 곡과 사설의 결합, 음악의 해석 등에 권변지도가 있었음을 입증해주는데, 본 연구를 통해 가변성이 19세기 후반까지 지속되었으며 환계락에서는 유독 대여음에서 두드러짐을 알게 되었다. 또한 다양한 고악보 내의 환계락 대여음 선율은 모두 ‘낙’계열 악곡의 선율이므로, 결국 환계락 연주에 ‘낙’계열의 대여음을 유동적으로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조선시대 양로연 음악의 현대적 공연콘텐츠 복원 연구

        이동희 한국국악교육학회 2019 국악교육 Vol.48 No.48

        This research is aimed at restoring the ‘Yangroyeon’(a banquet for in honor of the aged in Joseon Dynasty), which was preached for the realization of the virtues of kings in the Joseon Dynasty and ideal national construction, to a modern performance. In order to restore, this study was designed to historical evidence by analyzing various materials related to music such as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Gukjo Oryeui, Gukjo Sok-oryeui, Chungwanji and Akhakgweom and so on. The period when you can take a closer look at the music of ‘Yangroyeon’ during the Joseon Dynasty is the reign of King Sejong, Seongjong, Sukjong, Yeongjo and Jeongjo. The music used in ‘Yangroyeon’ was different from period to period, but the combination of ‘A-ak’ and ‘Sok-ak’ was common, among them ‘A-ak’ was mostly retrievable even if it wasn’t played today. On the other hand, because ‘Sok-ak’ is difficult to restore the music from the old scores, we need to look at the direction of using ‘Sok-ak’ played today and consider the variable possibilities of the composition of the folk music repertoire based on Akhakgweom. In the case of ‘Hwailgok’ used in King Jeongjo’s ‘Yangroyeon’, the method of saving lyric should be taken as it is directly linked to the filial piety, which is the core of the ‘Yangroyeon’ restoration project. When looking at the music of ‘Yangroyeon’ in its entirety by period, it is most possible to restore and have a live relationship with the old from the Jeongjo era, so the music of ‘Yangroyeon’ should be reconsidered based on this. However, we will also have to look at other ‘Yangroyeon’ music, which has been highly sought to diversify performance content. Kings of the Joseon Dynasty have been constantly agonizing over the use of music and the practice of ‘Yangroyeon’ and the spirit of which should still be inherited today. Further discussions on the direction of future restoration of music should be discussed in detail, and I hope that the contents analyzed in this article and the stated direction will serve as a cornerstone for restoration. 본 연구는 조선시대 왕들의 덕치 실현 및 이상적인 국가 건설을 위하여 설행되었던 양로연을 현대적 공연콘텐츠로 복원하기 위하여 양로연 중 음악과 관련된 사항들을 『조선왕조실록』, 『국조오례의』, 『국조속오례의』, 『춘관지』, 『악학궤범』 등의 문헌 및 각종 도상자료를 분석하여 역사적으로 고증하고자 하였다. 조선시대 양로연의 음악 내용을 소상히 살펴볼 수 있는 시대는 세종조, 성종조, 숙종조, 영조조, 정조조가 있다. 양로연에 사용된 음악들은 시대별로 상이하였으나 아악과 속악을 겸하는 현상이 일반적이었고, 그중 아악은 오늘날 연주하는 음악이 아님에도 대부분 복원이 가능하였다. 반면 속악은 고악보에 수록된 음악을 그대로 복원하기 어렵기 때문에 오늘날 연주되는 속악을 사용하는 방향을 모색할 필요가 있으며, 『악학궤범』을 근거로 하여 속악 레퍼토리 구성의 가변적 가능성을 생각해 보아야 하겠다. 정조조 양로연에 사용했던 화일곡(化日曲)의 경우 양로연 복원사업의 핵심인 효(孝) 사상과 직접적으로 연계되므로 악장을 살리는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 시대별 양로연의 음악을 전체적으로 조망해 보았을 때 정조조 양로연의 복원과 실연이 가장 가능하므로, 이를 기준을 양로연의 음악을 재고해야 하겠으나, 공연콘텐츠의 다양화 모색을 위해 고증된 다른 양로연 음악들도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조선시대의 왕들은 양로연의 설행과 용악(用樂)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고민해왔고, 그러한 정신은 오늘날에도 마땅히 계승되어야 한다. 향후 음악의 복원방향에 대한 논의가 구체적으로 더 논의되어야 할텐데, 글에서 분석한 음악적 내용들과 그 내용들을 토대로 제언한 방향성이 복원을 향한 초석이 되기를 희망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