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통소반을 재해석한 현대주거공간의 테이블 디자인

        이슬(Seul Lee),최경란(Kyung Ran Choi)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2

        기술, 문화, 감성의 융합시대인 21세기의 문화산업은 디자인 영역을 중심으로 국가경쟁력과 정체성을 확립하는 필수 요소이다. 전 세계적으로 주거환경디자인에 있어 북유럽이 강세를 보이는 반면, 동양 문화권에 대한 오리엔탈리즘도 유행하고 있지만 한국적 디자인의 정체성 확립 및 다양한 상품개발까지 미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에 한국의 정체성에 대한 차별성이 뛰어난 디자인 진흥 정책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적 디자인이 이슈화가 되면서 전통디자인의 원형을 단순히 응용하고 가공한 디자인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그러나 한국적이라는 개념은 전통형식의 모방 및 재현이 아닌 근원적인 한국정서를 드러낼 수 있어야 하는 것으로써 1차적 형상의 계승이 아닌 정신을 현대화함에 의의가 있다. 한국적 디자인은 생활 양식, 문화의 계승 및 현대적 재해석을 통한 실천화에 따른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통의 주생활과 식생활 전반에 걸쳐 가장 오랜 시간 전해지고 있는 전통 대표 가구인 소반을 고찰하여 전통의 미를 유형화 하고, 현대 주거생활문화의 특성과 니즈를 이해함으로써 전통과 현대문화의 융합적 디자인을 꾀하였다. 또한 동양사상 중 전통 창조 원리인 천지인 사상을 재해석하여 테이블디자인에 접목하였으며 이를 통해 정서와 문화가 어우러진 한국적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는 현대 주거문화의 좌식과 입식생활의 혼재를 거스르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한 해결책으로서 문화적 통찰과 전통의 재해석을 통해 한국적 디자인을 제안할 수 있었다. 소반 뿐 아니라 전통 문화의 요소를 적극적으로 연구하여 현재 및 미래의 트렌드와 결합한다면 우리의 정체성과 미감을 원동력으로 하는 세계적 디자인의 창조가 가능하며, 이는 국가 이미지 제고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디자인 문화산업영역에서 위상을 드러낼 것으로 예측된다. The culture industry of the twentieth century, which is the age of the integration of technology, culture, and sensibility, is an essential element that establishes competitiveness and identity of the nation focusing on the design field. While Northern Europe is dominating in the living environment design field all over the world, though the Orientalism from the Asian cultural area is on trend, the Korean design has not yet reached the level of establishing its identity or of developing various products. Hence, the design promotion policy with superior differentiation on the Korean design has been required; so as the Korean design has come into the fore, simple applications and manufactures of the original traditional design are pouring out now. The notion of the Korean style, however, is aimed to reveal the original Korean sensibility, not simply to imitate or realize the traditional form; its significance lies in the modernization of the spirit, not the inheritance of the primary form. Also, perspective and identity of the Korean design can be obtained from collision or integration of the traditional beauty and the modern culture. In that way, the Korean design can be realized in a way of practicing through living style, cultural inheritance, and modern reinterpretation. This study thus, by considering the traditional representative furniture Soban which has been succe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all over the traditional living and eating lives, formalized the traditional beauty, understood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the living life culture, and pursued an integrated design of the traditional and the modern cultures. Also, this research reinterpreted one of the Asian philosophies, the traditional creation principle, the ‘Heaven-Earth-Human’ philosophy and grafted it onto the table design, and through these, intended to suggest a Korean design, accompanied with sensibility and culture. As a result, this study could suggest a Korean design through the cultural discernment and reinterpretation as appropriate solutions within the boundary that does not counter with the coexistence of the sedentary and standing style of modern living culture. If not only the Soban but also the elements of the traditional culture are studied and combined with the present and future trends, it is possible to create a world-class design driven by our identity and sense of beauty; and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not only help the image making of the nation but also reveal our status in the design culture industry field.

      • KCI등재

        문화적 콘텍스트에 의한 한국 제품디자인의 특성 분석 연구

        정채윤(Jung, Chae Yoon),장주영(Chang, Ju Young),윤지영(Yoon, Ji Young),박수진(Park, Soo Ji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7 No.2

        본 논문은 현대의 디자인에 한국문화가 어떠한 방법으로 표현되고 소비되고 있는지 그 특성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문화 전이 디자인 분석 모델을 개발하고 분석의 틀을 토대로 한국 제품디자인의 문화층위별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첫째, 문헌고찰을 통해 문화의 의미와 문화 3층위 구조에 대해 고찰하고, 한국예술의 현대디자인 적용 방법에 관한 논문들을 분석하여 한국예술의 현대 제품디자인 적용방법 분석 모델을 개발하였다 둘째, 사례분석으로 한국문화 콘텍스트에 기반 한 현대디자인 제품 16개를 선정하여 문화전이 3층위 모델로 분석하였다. 물리적, 행동적, 성찰적 요소 가운데 가장 많이 응용되고 있는 방법은 행동적 요소의 생활문화 적용 측면에서의 재창조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전통문화의 맥락을 적용하되 장식을 위한 목적보다 현대생활의 실용적 · 기능적 측면에서의 상품 가치에 비중에 두고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성찰적 요소에서 재창조의 방법도 많이 사용되고 있었는데, 이는 전통적 가치를 재해석하여 한국전통문화에 대한 관심을 이끌어내고 이를 통해 브랜드 이미지 향상을 통해 차별화하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ulture in contemporary design and how it is expressed and consumed. Specifically, a design analysis model for cultural transfer will be develop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product design by cultural level will be analyzed. As for the research method, first, the meaning of culture and the structure of the third level of culture were review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an analysis model of the application method for modern Korean product design was developed by analyzing papers on the application method of modern design of Korean art. As a case study, 16 modern design products based on the context of Korean culture were selected and analyzed as a third-level cultural transition model. Among the physical, behavioral, and reflective elements, the most widely applied method was re-creation in the aspect of behavioral elements to living culture. It can be seen that this applies the context of traditional Korean culture, but is used by putting emphasis on the product value in the practical and functional aspects of modern life rather than the purpose for decoration. The re-creation method was also widely used in reflective elements, which can be interpreted as trying to differentiate through re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values to draw interest in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to improve the brand image through this.

      • KCI등재

        궁서와 디와니서체 캘리그래피를 컬래버레이션한 섬유&패션 제품디자인 개발연구

        소피아 엘콜리,엄경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9 No.1

        Recently, the Korean cultural wave (Hallyu) has been gaining great popularity in the Arab world and spreading rapidly. It has broken the cultural and linguistic barrier between the Koreans and Arabs through (Korean dramas, popular songs, movies, food, fashion, literature, language, etc.). Collaboration across cultures seeks to harmonize people with diverse cultures to benefit from each other and discover a new vision and concept for society. Th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llaborate two types of calligraphy scripts, “Korean Gungseo script” and “Arabic Diwani script” to innovate contemporary collaborative calligraphy designs for textile and fashion products. Which reflects the Korean and Arabic cultural heritage beauty while preserving the identity of each culture and displaying its calligraphy characteristics and aesthetics. The collaborative designs will provide consumers with a new experience that grape their attention to unique designs. In addition, keep pace with the modern trend i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extile and fashion products. Enhance opportunities to establish new markets and economic channels in fashion industry and strengthen design competitiveness. The scope of the study is first, selecting two scripts that have the same commonalities in terms of the place of use in ancient imperial palaces and calligraphy characteristics. The Korean “Gungseo” script was used in the “Korean” palace, and the Arabic “Diwani” script was used in the “Ottoman palace”. As for calligraphy characteristics, both scripts are distinguished by the curved lines. Second, two words were selected “Love and Hope” for the design concept to be implemented in the selected textile & fashion design products to suit female consumers in the age of their twenties and thirties. These words were inspired by the “king’s Sejong” policy and philosophy to improve the lives of his people through love and hope. As for the research method, the collaboration definition and types besides the history of Korean “Gungseo script” and the Arabic “Diwani script”, will be reviewed through related literature, papers, books, specialized websites, museums, and other publications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 Then, designing motifs and sources will be developed by using computer graphics software Photoshop and illustrator, and simulations are conducted to produce prototypes. Analyzing the new collaborative design scripts through the four calligraphy elements such as the sensory element, the semantic element, the constitutive element, and the emotional element. Accordingly, the following conclusion could be obtained from the development of the textile and fashion design products in collaboration between “Gungseo” and “Diwani” scripts. The two calligraphy styles above have their own distinct visual language and cultural significance, and their collaboration can create a harmonious fusion of two different artistic traditions. Both calligraphy scripts have a rich tradition of flexible connection, the strokes are clear and the shape is neat, and there is a variety of thickness in which combining them can create a vibrant and dynamic visual Image. The first design suggestion with the word “Love” was designed to meet the needs of customer’s attention at the age of thirty. Women at this age are practical and effective, and warm-hearted. The second design with the word “Hope” was designed to attract customers in their twenties. People at this age are active, looking to the future, and enthusiastically promote the Korean wave culture. Finally, the newly collaborated calligraphy design is expected to open new markets and economic channels to Korean and Arab consumers who are enthusiastic about the Korean cultural wave (Hallyu). It is also hoped that the new collaborative designs can remove barriers and serve as a cultural bridge between Korea and Arab world. For this reason, this study is expec... 최근 세계에서 한류가 큰 인기를 얻고 있으며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한국 드라마, 대중가요, 영화, 음식, 패션, 문학, 언어 등을 통해 한국과 아랍 사이의 문화적, 언어적 장벽을 깨지고 있다. 따라서 문화 간 컬래버레이션으로 하여금 다양한 문화를 가진 사람들을 조화롭게 만들며 서로 혜택을 주고 사회에 대한 새로운비전의 개념을 발견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궁서체’와 ‘아라빅 디와니체’의 두 가지 서체를 컬래버레이션하여 섬유&패션제품의 현대적 캘리그래피 컬래버레이션 디자인을 혁신하는 것이다. 이는 한국과 아랍 문화유산의 아름다움을반영하면서도 각 문화의 정체성을 보존하고 서체적 특성과 미학을 보여준다. 컬래버레이션 디자인은 소비자들에게 독특한 디자인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새로운 경험을 제안함과 동시에 섬유&패션 제품의 디자인과 구현에 있어 현대적인 추세에 발맞춤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패션산업의 새로운 시장과 경제 채널을 구축할 수있는 기회를 선도하고 디자인 경쟁력을 강화한다. 연구범위는 첫째, 한국(조선)과 아랍(오스만 튀르크) 궁중에서 각각 고대 황궁의 사용처와 특성의 측면에서공통점이 있는 서체인 ‘한국 궁서체’와 ‘아라빅 디와니체’를 선정하였다, 이 두 서체의 특징은 모두 곡선의부드러움이 강조된 것이다. 둘째, 한글을 창제하신 세종대왕의 한글 창제 정신을 담은 사랑(Love), 희망(Hope)을 콘셉트로 하여 20~30대 소비자에게 적합한섬유&패션 상품에 응용하였다. 연구방법은 이론적 고찰을 위한 국내외 선행연구를바탕으로 관련 논문, 박물관 자료, 서적, 인터넷, 기타각종 간행물 등에서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는 것으로시작하였다. 이러한 제안을 위해 두 서체의 공통점과특징을 살리고 4가지 요소로서 감각적 요소, 의미적요소, 구성적 요소, 감성적 요소를 파악하고자 했다. 컴퓨터 그래픽 소프트웨어 포토샵, 일러스트를 이용한디자인 리소스와 모티프를 전개하였고, 시제품을 제작하기 위하여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이에 따라 한글 궁서와 아라빅 디와니 서체의 컬래버레이션 섬유&패션 제품디자인 개발이 가능하다는 결과를 도출시켰다. 위의 두 서체 양식은 그들만의 독특한시각적 언어와 문화적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그들의 협력은 두 가지 다른 예술적 전통의 조화로운 융합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이 두 서체는 글자의 연결이 유연하며획이 깔끔하여 이를 조합하면 생동감 있고 역동적인 다양한 시각적 이미지를 만들 수 있다. 첫 번째 제안 ‘사랑’은.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감각, 따뜻한 가정의 느낌즉, 활동적인 30대 여성의 니즈를 부합하도록 디자인하였다. 두 번째 제안 ‘희망’은 역동적인 미래를 내다보며, 한류 문화를 열정적으로 증진할 에너지를 가진 20대들이 열광하는 한류문화의 느낌을 표현하였다. 마지막으로 새롭게 컬래버레이션한 캘리그래피 디자인이 ‘한류’에 열광하는 한국과 아랍 소비자들에게 새로운 시장과 경제 채널들을 열어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이를 컬래버레이션한 현대 디자인 제품의 다양성을 통해 한국과 아랍 국가 간 장벽을 제거되고 문화적 다리가 놓여지길 기대한다. 이러한 이유로본 연구는 한국과 아랍권의 문화적 협력을 통해 섬유&패션 제품디자인의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강조된다.

      • KCI등재

        K-디자인에 기반한 아이덴티티 전략 및 문화상품 개발

        김진경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4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76 No.-

        21세기 K-컬처가 전 세계적으로 각광 받는 시점에 한국 고유의 아이덴티티를 지닌 디자인 문화상품은 한국 문화를 알리는 데 큰 영향력을 전파하고 있다. K-디자인에 기반한 문화상품은 한국적 미감을 지닌 아이디어가 구체화되고 생산, 유통, 서 비스 과정을 통해 실제 상품으로 출시한다. 본 연구는 한국적 가치가 담긴 우수한 문화상품 발굴의 중요성 및 K-디자인 아이덴티티가 분명한 문화상품 활성화에 목적이 있으며 본 연구 목적에 맞게 문헌연구, 사례분석, K-디자인 문화상품 개발 순으로 진행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K-디자인에 기반한 문화상품의 아이덴티티는 정체성, 독창성, 연상성, 역사성의 네 가지 특성으로 도출하였으며 이 후 2022년-2020년의 대한민국 관광기념품공모전에 당선한 문화상품을 선정하여 사례 분 석하였다. 사례분석을 토대로 실제 K-디자인 문화상품 4종을 개발하여 아이덴티티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결론적으로 K- 디자인에 기반한 아이덴티티 전략으로는 한국문화를 대표하는 정체성, 한국문화를 연상하는 연상성, 한국문화의 역사를 반 영한 역사성, 한국문화와 연계한 차별화된 독창성이다. 한국문화의 고유성을 오래도록 기억할 수 있는 디자인 요소의 아이 덴티티를 연구하여야 하며 아이디어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K-디자인 전략을 세운 후 실제 제품에 적용하여 상품화 해야 함을 시사한다. 상품 기획을 도출하고 실제 상품으로 출시하는 과정에서 한국문화의 정체성을 바르게 세워 이미지를 통합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문화상품은 향후 실질적 상품화를 통하여 한국문화를 알리는 아이덴티티 전략 확보를 목표로 하며 후속 연구를 통해 실효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K-디자인 전략은 세계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잠재력 있는 자원이며 국가 위상을 높일 수 있는 활동이다. 본 연구로 인하여 한국의 고유한 전통과 문화적 가 치를 지닌 경쟁력있는 디자인 문화상품 발굴과 발전에 밑거름이 되길 기대한다. At a time when 21st-century K-culture is gaining global recognition, Korean design cultural products with a unique Korean identity are spreading significant influence in promoting Korean culture. These cultural products based on K-design are being developed by concretizing ideas imbued with Korean aesthetics, going through the processes of production, distribution, and services, culminating in the release of actual products. This study aim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discovering outstanding cultural products with Korean values and to activate cultural products with a clear K-design identity. To achieve this goal, the research proceeded in the following sequence: literature review, case analysis, and the development of K-design cultural products.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the identity of cultural products based on K-design was derived with four characteristics: identity, originality, association, and historical context. Subsequently, a case analysis was conducted by selecting cultural products that had won awards in the Republic of Korea's tourism souvenir competition Between 2022 and 2020. Based on the case analysis, four actual K-design cultural products were developed and the validity of their identity was verified. In conclusion, the identity strategy based on K-design includes representing the identity of Korean culture, evoking associations with Korean culture, reflecting the history of Korean culture, and showcasing distinctive originality linked to Korean culture. Research on the identity of design elements that can help preserve the uniqueness of Korean culture for a long time is necessary. After establishing a K-design strategy that reinterprets ideas in a contemporary context, it is important to apply it to actual products for commercialization. The stud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ccurately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Korean culture through the process of deriving product planning and releasing actual products. we intend to verify their effectiveness through subsequent research. We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the discovery and development of competitive design cultural products with Korea's unique traditions and cultural values.

      • KCI등재

        한국 전래동화를 활용한 아동용 텍스타일 디자인 연구

        이미숙(Mi Suk Lee),정경희(Kyung Hee Ch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 No.4

        문화적 콘텐츠가 중요시되고 있는 시기에 상품 경쟁력의 근원은 바로 디자인을 통한 문화 해석력과 창조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국내 아동용 텍스타일들은 대부분 아동을 대상으로 만화, 비디오, 영화 등과의 연관성 있는 캐릭터가 많이 이용되고 있는데 주로 외국의 캐릭터가 수입되어 사용되고 있고, 국내 캐릭터도우리 문화의 고유성이 반영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적·교육적 가치를 지니는 한국 전래동화를 모티브로 활용한 고감성 아동용 텍스타일 디자인을 시도해봄으로써 한국의 문학적요소가 지닌 디자인 소스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과 내용은 먼저 관련문헌과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전래동화의 개념 및 특징, 전래동화의 교육·문화적 가치, 한국 전래동화의 역사 및 특징, 아동용 텍스타일 디자인의 특성과 선행연구를 고찰한 다음, 한국 전래동화 ‘해와 달이 된 오누이’를 모티브로 활용한 텍스타일을 개발하였다.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은먼저,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캐릭터별 디자인과 이야기 장면별 디자인을 한 후, 벡터 이미지로의 변형, 컬러 조정 등의 단계를 거쳐 3종류의 텍스타일을 디자인하고 이를 활용하여 의류, 액세서리, 인테리어 소품등의 디자인에 시뮬레이션 하였다. 텍스타일 디자인, 시뮬레이션 작업은 Adobe Illustrator CS 5.0과 Adobe Photoshop CS 7.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용 텍스타일 디자인을 위해 한국 전래동화 중 인지도가 높고 아동복 캐릭터 모티프로 가장 어울리는 것으로 나타난 ‘해와 달이 된 오누이’를 디자인모티프로 선정하고 핸드 드로잉과 수채화 기법을 활용하여 전래동화 속 캐릭터와 장면별 디자인 한 후, 3종의 텍스타일 디자인을 제시하고 이를 활용하여 의류, 액세서리, 인테리어 소품 등의 디자인에 적용하여 시뮬레이션 하였다. 텍스타일 Design 1은 “해와 달이 된오누이” 장면별 디자인을 모두 활용한 아기자기하고 귀여운 이미지의 텍스타일 디자인으로, 핸드 드로잉과수채화의 붓 터치를 강조하였다. Design 2는 전래동화이야기의 밤 장면들을 활용한 디자인으로, 밤하늘에 반짝이는 별과 달을 연상시키는 환상적인 이미지의 디자인을 하였다. Design 3은 불규칙한 옐로우 도트 패턴에 오누이와 해와 달 캐릭터 이미지를 합성하여 따뜻하고 귀여운 이미지의 디자인이다. 이상에서 전개된텍스타일 디자인을 의류, 액세서리, 인테리어 소품 등의 디자인에 적용하여 시뮬레이션 하였다. 둘째, 본 연구를 통해서 정형화된 이미지를 갖고있지 않은 한국 전래동화는 아동에게 창의적인 시각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아동용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을 위한 디자인 소스로서의 특징들을 갖고 있고 한국 전래동화 등장인물의 캐릭터화와 스토리텔링을 통한 텍스타일 디자인의 새로운 방법론을 모색해 보는계기가 되었으며, 융복합형 문화 콘텐츠디자인의 산업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아동용품이 개성화, 고급화, 패션화 되고있고 문화 해석력에 바탕을 둔 독창적인 디자인이 중요시되고 있는 시기에, 한국 전래동화를 모티브로 활용한 아동용 텍스타일 디자인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앞으로도 디자인 모티브로써 무한한 가능성을 지니고 있는 한국 전래동화를 활용한 고부가가치, 고감성 문화상품 개발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In a time period of regarding cultural contents asimportant, the source of product competitiveness iscultural interpretation and creation through design. However, most of textiles for kids in Korea useanimation-, video-, movie-related kids characters, which are mainly imported from foreign counties. Evendomestic characters do not reflect uniqueness of Koreanculture.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the possibility to use Korean literature elements as adesign source by applying Korean folktales withcultural and educational value as a motive andattempting high sensitive textile design for kids. For the methods and contents of study, first, thisstudy reviewe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educational and cultural value, history andcharacteristics of Korean folktales, the characteristics oftextile design for kids, and previous researches basedon related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Then, textileswere develop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Brotherand Sister who Became the Sun and the Moon’. Thedevelopment of textile design was first made bydesigning the characters and story scenes of the story. Three kinds of textiles were designed via the phasesof change into a vector image and color adjustmentswere simulated in clothes, accessories, and interior propdesign. Adobe Photoshop CS 7.0, and Adobe IllustratorCS 5.0 programs were used for the textile designs andsimulations. The results and conclusion of this studywere as follows. First, ‘The Brother and Sister who Became the Sunand the Moon’ was selected as a design motive fortextile design for kids as it was found to have thehighest recognition in Korean folktales and be the mostsuitable for kids wear. Using hand drawing andwatercolor techniques, characters and story of thisfolktale were designed and three kinds of textile designwere suggested. Finally, the developed textile designwas applied to and simulated in clothes, accessories, andinterior prop designs. Design 1 applied all scene designof ‘The Brother and Sister who Became the Sun andthe Moon’, represented a pretty and cute image, andstressed hand drawing and watercolor brush touch. Design 2 used the night scenes of the story andrepresented a fantastic image which suggests twinklingstars and the moon. Design 3 combined the brother andsister with the sun and the moon character imagesalong with an irregular yellow dot pattern andexpressed a warm and cute image. The developedtextile design was applied to and simulated in clothes, accessories, and interior prop design. Second, this study showed that Korean folktaleswhich have no a fixed image have the nature of a designsource to develop textile design for kids to improvechildren`s creative perspective. Also it served as anopportunity to explore new methodology of textiledesign through character- making of Korean folktalecharacters and storytelling and confirmed thepossibility of the convergence cultural contents designindustry.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it suggested textiledesign for kinds in the motive of a Korean folktale inthe time period when kids goods have becomeindividual, advanced, and fashionable and lay stress onoriginal design based on culture interpretation. Further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develop highvalue-added and high sensitive cultural products usingKorean folktales having limitless possibilities of adesign motive.

      • KCI등재후보

        동양과 서양의 문화적 차이에 의한 건축과 가구의 디자인 관계성에 관한 연구

        정광호 ( Kwang Ho Jung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4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38 No.-

        동양과 서양은 과거에서부터 현재까지 서로의 문화적 차이를 인정하며 각자 발전을 추구 해왔다. 최근 인터넷 등의 영향으로 이러한 문화적 경계의 구분이 완화되어가고 있다. 그러나 수세기동안 각자의 문화권에서 발전을 이루어 왔던 보이지 않는 차이는 존재 한다. 따라서 디자인의 원천적인 소스는 다르다고 할 수 있다. 그중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 중의하나로 서양에서는 건축가가 가구를 직접 디자인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현상은 과거에서부터 현재 까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동양에서는 가구는 가구디자이너가 건축은 건축가가 따로 디자인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동서양이 문화적, 경제적으로 교류가 활발해진 최근에도 이런 관행은 지속되어가고 있다. 이는 분명히 역사적으로 특별한 계기가 있었으리라 추정할 수 있다. 연구의 절차로는 문화형성과 디자인의 체계, 건축과 가구의 연계성에 중점을 두었다. 연구하다 보면 표면적으로는 드러나지 않지만 동양과 서양의 오랜 관습과 문화를 바탕으로 디자인의 영역이 구분되어 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이 현재의 디자인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향후에는 가구디자인 분야가 건축, 인테리어 등 다양한 분야와 조율되어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동양과 서양의 문화적 차이에 의한 디자인과 관계된 다른 사례도 많이 있을 것이지만, 이번 연구를 기반으로 추후 유사한 맥락에서 연구할 분야가 많을 것으로 보여 진다. Eastern and Western has recognized each other``s cultural differences and pursued the development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Recently, this cultural boundary is becoming mitigate the distinction due to the impact of Internet. However, invisible cultural differences which have developed separate ways for centuries are exist. Therefore, the original source of the design can be different. Among them, we have to pay attention that the architects have designed furnitures directly in many cases in the Western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In the Eastern, however, the role of furniture designer and architect is generally separate. This practice is continuing even though the Eastern and Western cultural and economic exchanges become active, recently. Historically, there was a special occasion which would obviously can be deducted. The study of this phenomenon is revealed that the area of design is divided based on the old customs and culture of Eastern and Western while it is not come to the front. The research process as Focused on the design scheme, the link between architecture and furniture, and cultural forms. This phenomenon also affects the modern design. In the future, field of furniture design can be developed by blending various fields such as architecture, interior and all that sort of things. There are many other examples of designs relating with the cultural difference between Eastern and Western to be revealed. This study can be a starting point of further study in the similar context.

      • KCI등재

        한국과 터키 밥솥의 문화적 이해에 대한 비교

        소여담라,나건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4 No.3

        Every design product has a cultural connection with its users. Culture influences the way people give meaning to design products and the way they use them. One of the good examples of the culture-design connection is the case of rice cooker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ultural understanding of the rice cookers in Turkey and Korea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The research focuses on three main points which are the differences in meanings, the user behavior and design of the rice cookers. First, the history of the rice cookers was studied; then the cultural differences of rice in the two countries were examined; and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culture of ric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rice cooker designs, how people use them, and what meaning they give to them were investig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how a design product is understood and used differently in Korea and Turkey and to give insight about the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which affect the meaning and the use of a design product. As methods of research, we have collected and examined documents that are related to rice cookers and rice; newspapers, magazines, blog posts, articles, advertisements, product reviews, and comments. We have conducted interviews with both Korean and Turkish people, we have done content analysis and participant observation. Using the freelisting and pile sorting methods we have sorted all the data, compared the results for the two countries, found out the patterns, and examin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e final results in the paper give insights about the rice cooker’s social effects and its change over tim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lture and the design, and the importance of the context and meaning for the usefulness of design. As expected, our findings have shown that the differences in the use of the rice cooker design come from a social and traditional background of the cultures, cultural habits of people, and the emotional connection they have with rice. With this research, we clearly see that understanding the culture is important to create localized products that are more meaningful and useful for people. 모든 디자인 제품은 사용자와 문화적으로 연결되어있다. 문화는 사람들이 제품을 디자인하고 사용하는방식에 의미를 부여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친다. 문화- 디자인 연계의 좋은 사례 중 하나는 밥솥이다. 이 논문은 터키와 한국의 밥솥에 대한 문화적 이해와 그차이점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 연구는 밥솥의 의미, 사용자 행동 및 디자인의 차이점 인 세 가지 주요 사항에 중점을 두었다. 첫째, 밥솥의 역사를 연구하였고, 다음으로 두 나라의 쌀에 대한 문화적 차이를 조사했다. 그리고 밥 문화에 대한 이해와 함께 밥솥 디자인의 차이점, 사람들의 사용 방식, 그 의미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디자인 제품이 한국과 터키에서 어떻게 다른 방식으로 이해되고 사용되는지, 그리고 디자인 제품의 의미와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양국 간의 문화적 차이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는 데있다. 연구 방법으로서, 우리는 밥솥 및 쌀과 관련된문서를 수집하고 조사하였다. 신문, 잡지, 블로그 게시물, 기사, 광고, 제품 리뷰 및 의견을 검토하며 한국인과 터키인의 인터뷰를 실시했으며 그에 따른 내용 분석 및 참가자 관찰을 수행하였다. 프리리스팅(freelisting) 및 파일 분류 방법을 사용하여 모든 데이터를 정렬 하였고, 두 나라의 결과를 비교하고, 패턴을 발견하여, 유사점과 차이점을 조사하였다. 이 논문의 최종 결과로 밥솥의 사회적 영향과 시간 경과에따른 변화, 문화와 디자인의 관계, 디자인의 유용성에대한 문맥과 의미의 중요성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 하였다. 예상한 바와 같이, 도출된 결론은 밥솥 디자인사용에서 차이점이 문화의 사회적, 전통적 배경, 사람들의 문화적 습관, 쌀과 감정적인 연관성에서 비롯된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우리는 문화를 이해하는 것이 사람들에게 의미 있고 유용하게 사용될 수있는 현지화 된 제품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명확히 알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한국 전통이미지의 재해석을 통한 콘솔디자인 개발 연구 - 생활용 가구 제품 개발을 중심으로

        최진식,김미자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7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1 No.-

        While interest in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products seems to increase, various product development is still insufficient. In the traditional craft industry, the situation is similar, and it is experiencing a lot of difficulties due to changes in domestic and overseas market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nsole design that reflects the traditional culture as a modern image by reinterpreting traditional Korean images. The scope of the study is focused on the functional aspects that give convenience of life and the console design of Korean traditional image that also serves as decorative elements. The focus of the study was on the process of console furniture development, centering on the design development process that reinterpreted traditional Korean images. In this study, first, as an element of Korean traditional image, I extracted curvilinear, which is one of Korean traditional beauty, and applied smooth and simple curve image to the upper part of the console. Second, I applied the design to the motif of architectural structure. The Kongpo of Korean architecture(connecting the pillars and the roof), the image of the column, the 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Korean images and reflected in the console design. Third, cloud pattern is used as a decorative element of console table as a detailed expression element in Korean traditional pattern. In this way, I reinterpreted the traditional image and applied it to the console design as a basic element of the work, and produced three kinds of console furniture. This study is meaningful to reinterpret Korean traditional images and to develop and propose modern products using them, and it is necessary to pursue more efforts for various products in the future. 한국 전통문화와 상품에 대한 관심은 증가하는 것으로 보이는 반면, 다양한 상품 개발은 아직 미흡한 실정에 있다. 전통공예 산업에 있어서도 사정은 이와 비슷하여 현실적으로 국내외 시장 환경 변화에 따른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 전통이미지를 재해석하여 전통문화가 현대적 이미지로 반영된 콘솔디자인 개발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범위는 생활 의 편리함을 주는 기능적 측면과 함께 장식적인 요소로서도 역할을 하는 콘솔디자인을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핵심부 분은 디자인 개발과정을 중심으로 하는 사례개발 과정에 초점을 두었다. 콘솔디자인의 기본적 구조는 기존의 콘솔의 범주에 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여 사용성과 편의성을 확보하도록 하였으며 시각적, 장식적 디자인은 한국 전통적인 이미지에 부합시 켜 디자인의 방향을 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전통이미지의 요소로서 첫째, 한국의 전통미 가운데 하나인 곡선미를 추출하여 콘솔의 상단부분에 부드럽고 단순한 곡선이미지를 적용하였다. 둘째, 건축적인 구조를 모티브로 하여 디자인에 적 용하였다. 한국 건축의 공포(기둥과 지붕을 연결하는 부분)이미지, 기둥 모양, 그리고 창살의 구조를 활용하여 한국의 전통이 미지로 해석하고 콘솔디자인에 반영하였다. 셋째, 한국의 전통적인 문양 가운데 구름문 문양을 세부 표현 요소로 하여 콘솔 테이블의 장식요소로 활용하였다. 이와 같은 요소에서 전통이미지를 재해석하여 작품의 기본 요소로서 콘솔디자인에 적용하 여 3종류의 콘솔가구를 제작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의 전통적 이미지를 재해석하고 이를 적용한 현대적인 상품을 개발하여 시작품을 제안하는데 의미가 있으며 앞으로도 다양한 상품에 대한 연구 개발 노력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수원화성국제연극제의 디자인 현황 및 제안

        윤민희(Min Hie Yun),김동언(Dong Eon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4

        오늘날 문화는 고부가 가치의 산업으로 문화적 경쟁력이 곧 국가의 경쟁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 속에서 지역의 문화적 정체성을 반영하는 다양한 지역 축제가 활성화되고 있다. 1996년에 시작된 수원화성국제연극제는 수원화성의 오랜 역사적 전통과 문화유산을 현대 연극과 접목시킨 측면에서 연극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수원화성국제연극제는 2008년부터 수원화성과 정조임금의 정신과 역사적 사실들을 기본 모티브로 디자인한 포스터·웹사이트·팜플렛 등의 디자인 작업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세계적 축제인 에딘버러 페스티발, 베니스 비엔날레에 비하여 디자인은 체계화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원 화성의 역사가 어우러진 수원화성국제연극제에 관한 디자인 현황을 연구·분석하고 연극제의 디자인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주요내용은 1) 연극제의 현황 및 의의, 2) 디자인 현황 및 사례연구, 3) 국내·외 대표적 축제의 디자인 현황 및 사례연구, 4) 수원화성국제연극제의 디자인 비평 및 제안 등을 중심으로 구성한다. 수원화성국제연극제 디자인 현황연구는 2008-2011년 동안의 홈페이지 디자인, 포스터, 로고타입, 어플리케이션 등을 연구·분석한다. 국내·외 대표적 축제의 디자인 현황 및 사례연구는 대표적 연극제인 에딘버러페스티발, 아비뇽 페스티발과 베니스 비엔날레와 광주 비엔날레의 디자인 현황을 연구·분석한다. 이러한 다각적인 축제의 디자인 사례 연구를 바탕으로 수원화성 국제연극제의 디자인 현황을 분석한 후 연극제 디자인 방향 제안 및 활용 가능성을 제안한다. 수원화성국제연극제의 디자인에서 가장 고려해야 할 부분은 디자인의 총체성을 위한 디자인 시스템과 매뉴얼을 작성하여 홈페이지·그래픽 모티브·로고·어플리케이션 등의 디자인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다.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기술(전용 웹 채널·어플·SNS·QR코드 등)을 활용한 홈페이지 디자인과 그래픽 모티브를 바탕으로 캐릭터를 포함한 다양한 디자인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하는 것이 시대적으로 필요하다. 통합된 홈페이지를 중심으로 한 수원화성국제연극제의 체계적인 디자인은 문화 콘텐츠화, 문화상품의 브랜드 포트폴리오 구축 등으로 다양한 영역에 활용이 가능할것이다. 이러한 연극제의 디자인은 연극제의 콘텐츠 DB구축, 디자인을 통한 연극제 홍보, 연극제의 디자인 문화 상품의 브랜드 포트폴리오 구축, 디자인문화의 다양한 산업적 활용 가능성, 수원시의 이미지 강화 및 산업적 경쟁력 확보 등을 가져올 것으로 예상한다. 이러한 연구는 수원 화성의 역사적 전통과 디자인의 문화적 정체성을 상호 연관하여 다양한 영역의 문화 콘텐츠로써의 활용가능성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21세기 디지털 시대의 문화 원형으로 수원화성의 역사적 중요성과 그것의 현대적으로 활용한 축제와 그 축제에 따른 다양한 시각적 문화콘텐츠를 개발하여 다양한 문화적 가치를 가진 축제의 정체성과 차별화에 기여할 것이다. Today`s culture as high value-added industries is more important globally. With this trend, various local festivals that reflect the cultural identity have been created. Started in 1996, Suwon Hwaseong Fortress International Theatre Festival combines Suwon Hwaseong which based on a long historical tradition & cultural heritage and modern theatres. Since 2008, the basic motifs which are based on historical fact the spirit of the King Jung-Jo and Suwon Hwaseong is designed for Suwon Hwaseong Fortress International Theatre Festival design such as posters, sites, brochures, etc. In comparison to international festivals, Edinburgh international and Venice Biennale, however, Suwon Hwaseong Fortress International Theatre Festival design system is not well organi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design improvement & design usability of Suwon Hwaseong Fortress International Theatre Festival with the analysis of the design status of the festival. The main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status and cultural significance of festival, 2) design status and case studies of festivals, 3) design status and case studies of worldwide international and domestic festivals, 4) design criticisms and suggestions of Suwon Hwaseong Fortress International Theatre Festival For the status of festival design,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festival design that has been partly done from 2008 to 2011 by a design firm. For design status and case studies of worldwide international and domestic festivals, this research analyzes the status of the design for the Edinburgh Festival, Avignon Festival, Venice Biennale and the Kwangju Biennale. After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festival designs, based on the diverse case studies, this study suggests the proposal of design usability of the Suwon Hwaseong festival. The most important consideration in the Suwon Hwaseong Fortress International Theatre Festival design is how the over all design will be coordinated with the totality of design system and manual.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reate a variety of design applications based on site design and graphic motifs utilizing new technologies in the digital age (web channel·application·SNS·QR code·etc.) Suwon Hwaseong Fortress International Theatre Festival`s well organized design with integrated homepage design would probably be utilized in various area of cultural contents design, brand portfolio and so on. The organized design of the Suwon Hwaseong Fortress International Theatre Festival is expected to have many positive effects. Some of major positive effects are: creation of a design database, public relations through design, brand portfolio system of cultural goods, product usability of design, the brand image of enhancement and industrial competitiveness of Suwon. These studies, the historical tradition of Suwon Hwaseong Fortress`s and lt`s cultural identity of design interrelated, suggests the possibility of practical use as cultural contents in a variety of areas.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Suwon Hwaseong Fortress International Theatre Festival`s identity and differentiation with diverse cultural values, developing. the historical importance of Suwon Hwaseong Fortress as cultural archetypes in the digital era of the 21st century, utilizing it as a modern festival, and a variety of visual & cultural contents of the festival.

      • KCI등재

        빅데이터 기반 패션 큐레이션서비스 디자인 중요성에 관한 연구

        엄경희(Eom, Kyoung Hee),오임경(Oh, Rim Ky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4

        본 논문은 정보 과다의 현대 사회 속에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패션 큐레이션서비스 디자인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패션 큐레이션서비스 디자인을 제공받고자 하는 대상에게 효과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패션 산업 분야의 상업적 가치 창출 도모에 이론적으로 도움이 되고자 연구되어졌다. 연구범위는 현재 한국의 인구 비율과 평균적으로 안정된 경제력을 가지고 있는 3 · 40대 한국남성을 중심으로 라이프스타일을 조사하고 소셜 커뮤니케이션 사용 현황을 분석하여 패션 큐레이션서비스 디자인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관한 결론에 이르고 있다, 연구방법은 인터넷을 이용한 국내 정보 데이터를 중심으로 논문과 단행본 도서 · 출판물 및 각 기관 조사 자료를 통하여 조사 및 분석을 중심으로 하였다.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패션 큐레이션서비스 디자인 중요성에 조사 연구 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 시켰다. 첫째, 최근 등장한 빅데이터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빅데이터가 수집하는 방대한 양의 정보가 사용자에게 모두 필요한 것은 아니다. 무분별한 정보 속에서 사용자의 만족을 충족시켜주는 정보를 선별하여 필요한 정보를 수집 전달해주는 큐레이션서비스 디자인이 빅데이터의 중요성과 더불어 현대 사회에 필요한 서비스 디자인으로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3 · 40대 한국남성의 라이프스타일을 조사 분석 해본 결과 다른 연령층에 비해 경제적인 소득이 높은 3 · 40대 한국남성은 외모에 관한 관심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3 · 40대 한국남성의 인터넷 및 소셜 커뮤니케이션의 사용 빈도수, 이용량 및 의존도도 3 · 40대 한국 여성들 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3 · 40대 한국남성의 라이프스타일을 조사 분석 결과 패션 관련 소비가 점차 증가함에 따라 패션 큐레이션서비스 디자인의 필요성에 대한 중요성 확인 할 수 있었다. 셋째, 외모의 관심도와 인터넷 및 소셜 커뮤니케이션에 의존도가 높은 3 · 40대 한국남성은 패션시장이 점차적으로 커짐에 따라 빅데이터는 있으나 3 · 40대 한국남성의 라이프스타일을 충족하기 위한 패션 큐레이션서비스 디자인이 미흡함으로 이러한 문제점을 충족시킬 수 있는 패션 큐레이션서비스 디자인의 중요성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3 · 40대 한국남성이 비율과 소비성향 및 경제력을 바탕으로 호기심과 만족을 충족시킬 수 있는 패션 큐레이션서비스 디자인을 제공함으로써 향후 급부상 되어 지고 있는 남성 패션 마켓에 대응하여 글로벌 마켓에서의 경쟁력을 강화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본 조사 연구를 통하여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3 · 40대 한국남성들을 위한 패션 큐레이선서비스 디자인을 구축하고 활용하면 패션과 디지털 기술 융합의 가치를 창출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effective information to the targets that intend to receive fashion curation service design by recognizing its importance based on the big data in the modern society with excessive information, to theoretically support the commercial value creation in the fashion industry. For the range of study, we researched focusing on the lifestyle of Korean male in their 30s ~ 40s who have stable economic power, average population group in Korea, analyzed the status of social communication use, which led the conclusion about importance and necessity of fashion curation service design. For the research method, we used the survey and analysis through theses, monography, publications, research documents and survey data of institution mainly with domestic data.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are as follows. First, Big data means the technology that can manage, analyze the extensive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s for information managed and analyzed by Big data according to the needs of users refers to curation service. The service focusing on fashion among many of contents curation service design is the fashion curation service design. Second, when researching lifestyle of Korean male in their 30s ~ 40s, they have high interest in appearance, their economic income is higher than other age groups, and show the tendency of increasing fashion-related consumption. In addition, the frequency, use amount, and dependence of internet and social communication by Korean males in their 30s and 40s are relatively higher than those of Korean females in their 30s and 40s. Third, if utilizing fashion curation service design for Korean male in their 30s and 40s who have high interest in appearance, highly dependent to internet and social communication, we can confirm the importance of fashion curation service design for the consumption increase of Korean male in their 30s and 40s that has been bigger in the fashion market. Therefore, if providing a fashion curation service design that satisfies their curiosity and satisfaction based on the ratio, consumption trend and consumption power, respectively, it shows high possibility that it will be developed into an important service design for the future of the male fashion market. Through this research, we can build the value of fashion and digital technology convergence by constructing and utilizing fashion curation service design for Korean male in their 30s and 40th based on Big Data. In addition, we are looking forward to strengthen our competitiveness in the global market in response to the rapidly emerging male fashion mark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