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죽음 충동 개념에 관한 철학적 전망 : “호모 루덴스”의 죽음 충동

        남경아 대동철학회 2016 大同哲學 Vol.75 No.-

        필자의 논의는 우리 인간에게 있어서의 “모든 충동은 죽음의 충동”이라는 라캉의 주장에 대한 동의에서 출발한다. 「쾌락 원칙을 넘어서」에서 프로이트가 죽음 충동 개념을 도입한 이래로 죽음 충동에 관한 많은 유의미한 논의들이 있어왔다. 그러한 논의 중에는 엄밀성에 있어서 가치 있는 연구들도 있었고 삶의 가치를 풍요롭게 해 줄 연구들도 있었다. 개념 자체에 관한 논의들은 프로이트의 기획의 본 의도를 더욱 명확하게 해 준 것들도 있었고, 그의 논의가 가진 맹점을 날카롭게 비판한 것들도 있었다. 개념의 엄밀성을 보다 정교하게 해 줄 연구들은 지금도 여전히 풍부하게 진행 중일 것이다. 그래서 필자의 연구는 그와는 다소 다른 관점에서 기획됐다. 필자는 오늘날 우리에게 가장 절실한 것으로서 삶에 대한 보다 건강하고 건전한 이해를 도울 수 있는 설명을 꼽는다. 그리고 그러한 설명이 다름 아닌 철학함이고, 철학 실천이라고 이해하고 있다. 본 연구는 철학에 관한 필자의 그와 같은 기본적 이해 혹은 신념의 바탕에서 출발한 것으로 필자는 본고에서 죽음 충동 개념을 통해 새로운 철학적 전망을 제시하고자 한다. 필자는 “말하는 주체”로서 우리가 처한 구조적 현실에서의 여러 고통들은 상징과 실재를 등가화하려는 시도 속에서 발생한다고 본다. 결코 등가화될 수 없는 불가능한 것들 사이에서 끊임없이 시도되는 실재의 상징화는 또 다른 불가능으로 치달을 수밖에 없지만, 그러한 충동들은 그 과정에서 우리에게 ‘너머의 쾌’를 제공해주기도 한다. 또한 충동하는 주체에게는 상징의 무한 부정을 통해 자유롭게 삶을 새롭게 해석해낼 수 있는 자유가 허락된다. 필자는 그런 종류의 충동들을 다름 아닌 “호모 루덴스”의 “죽음 충동”으로 해석하고 있으며, 이것이 고통을 넘어서는 고양된 삶에 이바지 한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My argument in this paper starts at the agreement with the assertion of Lacan, J. that "every drive is virtually a death drive". Since S. Freud introduced the concept, Death Drive first in the 'Beyond the pleasure principle', there have been many meaningful discussions regarding it. Some studies are valuable concerning their strictness and some of them are significant as they enrich life values. Some discussions about the concept itself made the original intention of Freud clearer and there were sharp criticism the weak point of his argument. There should be a lot of studies that can make his argument more sharply and they must be on going. So my project for the concept, Death Drive heads for the slight different direction from them. I regard an explanation that can give a help to the healthful and sound life as the most urgently needed nowadays. And I understand that it is nothing but a philosophy or in other words philosophical practice. This study starts from such basic understanding or belief, and I intend to suggest a new philosophical project by the concept, Death Drive in this paper.

      • KCI등재

        1960년대 시의 죽음충동과 신체 훼손의 이미지 : 권일송, 조태일의 시를 중심으로

        조은주(Cho, Eun-joo) 구보학회 2020 구보학보 Vol.0 No.25

        본 논문은 1960년대 시 문학에서 ‘죽음충동’이 재현되는 양상을 ‘신체 훼손’의 이미지를 통해 검토한 것이다. 지젝, 벤야민 등에 의하면 ‘혁명’은 창조적인 행동이자 ‘죽음충동’의 극단적인 침입이다. 즉 4·19 혁명은 죽음충동이 침입한 순간이며 5·16 쿠데타는 혁명을 저지하고 이를 상징계로 봉합하는 원리였다. 그러나 1960년대 참여시 계열의 시인들은 희생자들의 ‘죽음’을 지속적으로 회고함으로써 4·19 혁명의 이념을 실천하려고 애썼고 결과적으로 ‘죽음충동’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었다. ‘죽음충동’의 실현이란 곧 ‘죽음’(의 실천)이므로 대부분의 작가들은 그러한 강박에 정면으로 맞서지 못한 채 무기력과 자책, 수치심에 사로잡혔다. 죽음충동은 외부로 투사될 때 공격적인 속성을 보여주는 반면 내부로 투사될 때 자기 파괴적인 속성을 보여준다. 1960년대 시 텍스트에서 죽음충동은 주체의 내부로 투사됨으로써 ‘훼손된 신체’라는 각별한 이미지를 만들어 냈다. 본고에서 주목한 권일송과 조태일은 1960년대 참여시를 지향한 『신춘시』 동인으로 활동하면서 4월 혁명의 계승의지를 밝혔고 자신들의 문학적 정체성을 ‘저항’에 정위한 시인들이다. ‘시신’, ‘주검’, ‘앓는’ 신체(권일송), ‘흐느끼는’ 육체, ‘상한 처녀막’(조태일) 등은 모두 죽음충동이 내적으로 투사된 결과 탄생한 이미지로 해석할 수 있었다. 두 시인의 텍스트에 나타난 죽음충동과 신체 훼손의 이미지를 검토하는 작업은 1960년대 ‘혁명’을 실현하려고 지속적으로 시도하며 ‘죽음충동’을 재현하였던, 소위 ‘참여시’가 지닌 특수성을 밝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examines images of ‘bodily injury’ shown in the poetry of the 1960s to identify how ‘death drive’ was materialized in them. According to scholars such as Zizek and Benjamin, a revolution is a creative act and an extreme penetration of ‘death drive’. Politically active poets of the 1960s did not forget ‘revolution’ and continued to recollect ‘death’ of the victims to practice the ideology of the April 19 Revolution. Since practicing ‘death drive’ means ‘death’, most writers could not confront this compulsion head on, and thus were gripped by a sense of lethargy, guilt, and shame. When projected externally, death drive usually reveals an aggressive nature, and when projected internally, it is manifested in a self-destructive way. In the texts of the poetry of the 1960s, death drive was projected into the inner self of the protagonists, creating unique images of ‘injured body’. Poets Kwon Ilsong and Jo Taeil participated in the coterie magazine ‘Shinchunsi’, clearly stated their intention to inherit the ideology of the April 19 Revolution, and aligned their literary identity with ‘resistance.’ Images of a ‘dead’ body and ‘ailing’ body(Kwon Ilsong), women with a ‘weeping’ body and ‘injured hymen’(Jo Taeil) can be seen as images that were created through internal projection of death drive. An examination of death drive and images of bodily injury as shown in the texts of these two poets’ work is expected to shed light on unique characteristics of politically charged poem of the 1960s that attempted to reconstruct a ‘revolution’.

      • KCI등재

        4월혁명과 죽음충동- 1960년대 참여지식인의 정신사적 심층에 대한 시론(試論)

        박대현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4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63 No.-

        4월혁명의 본질은 죽음충동이다. 1960년대 이후 한국 지식인들은 4월혁명의죽음충동에 주박당해 살아왔다고 할 수 있다. 지식인들은 군사정권이라는 상징계를 파열시키고자 하는 죽음충동을 지니고 있었으나, 그것은 거세되고 억압되어야했으며, 혹은 “보존적 원리”로서의 죽음충동으로 순치되어야 했다. 4월혁명단(김긴태)의 죽음충동과 대학생들의 시위가 지속적으로 벌어지긴 했으나, 1960년대 후반으로 갈수록 지식인의 죽음충동은 점차 거세될 수밖에 없었으며, 문학에서의 죽음충동 역시 남정현의 「혁명이후」처럼 왜곡된 형태로 표출되곤 했다. 김주열은 4월혁명의 절대적 표상이자 죽음충동으로 존재했다. 그러나 오히려 4월혁명의 죽음충동은 지식인과 문인들에게 감당할 수 없는 압박감으로 존재했다. 이것이 바로 4월혁명문학의 불모성을 야기한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1970년 전태일의 분신자살은 4월혁명의 죽음충동을 다시 지속시킨 역사적 사건으로서 혁명적 전환점에 해당한다. 김주열에서 전태일로의 죽음충동의 전이는 빈민․ 노동자 문제와 결합한 반독재 투쟁으로서 ‘생사투쟁’을 초래했던 것이다. 이로써 1960년대 지식인의 자기한계가 극복되는 계기가 마련되었다고 할 수 있다. The essence of the April Revolution is ‘death drive’. After 1960s, Korean intellectualshave been living with being tied by death drive of the April Revolution. They haddeath drive which could break military regime as the symbolic, but it had to becastrated and repressed or obliged to be domesticated to “principle of preservation”. Despite sustaining death drive of the April Revolution’s corps(Kim, Gin-tae) anddemonstration of university students, as it had went toward the late 1960s, deathdrive of intellectuals could not more avoid of being castrated. And Death drive hadbeen often expressed in distorted form, like 「after Revolution」(Nam, Cheong-hyun). Kim, Ju-yeol had existed as a representation and death drive of the April Revolution,but death drive of the April Revolution had been unbearable pressure to intellectualsand writers. This is a cause of sterility in the April Revolution literature. Chun, Tae-il’ssuicide by fire in 1970 is a historical turning point that Korea society resumed deathdrive of the April Revolution. That is to say, death drive of the April Revolutionhad been transferred from Kim, Ju-yeol to Chun, Tae-il in the early 1970s. It hadbrought about “life-or-death-struggle” of anti-dictatorship combined with the poor andlabors. So intellectuals of 1960s could established oppotunity to overcome theirparticipatory limits.

      • KCI등재

        죽음에의 공포와 매혹 ‘사이’ : 김동리 소설에 나타난 죽음의 이중성을 중심으로

        신정숙(Shin, Jung-Suk) 한국문화융합학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2

        이 논문에서는 김동리의 주요 작품 「무녀도」(1936), 「진달래」(1955), 「저승새」 (1977), 「우물 속의 얼굴」(1979)의 분석을 통해서 죽음에 대한 공포/매혹이라는 이중적 인식이 에로티즘에 대한 열망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는 사실을 고찰하였다. 김동리가 문학을 창작하게 된 근본적인 동기는 죽음에 대한 공포를 극복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문학작품은 죽음에 대한 공포뿐만 아니라 죽음에 대한 충동, 또는 죽음에 대한 신비/매혹이 혼종되어 나타나는 양상을 보여준다. 이러한 죽음에 대한 이중적 인식은 분리/단절된 개인 간의 소통/합일/융합을 지향하는 에로티즘에 대한 강렬한 열망과 밀접한 연관성을 갖고 있다. 왜냐하면 죽음은 인간의 분리/단절의식의 근본적 원인으로 볼 수 있는 육체의 소멸(와해)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타자와의 소통/합일/융화에 대한 상상력, 즉 에로티즘에의 열망을 작동시키는 계기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그의 작품 중에서 초기 소설 「무녀도」는 신성의 에로티즘을 통해서 죽음에 대한 공포를 극복하는 양상이 드러난다. 이는 죽음이란 인간의 노력과 의지를 통해서 극복할 수 없는 불가능한 영역이고, 종교(신화)를 통해서만이 극복 가능하다는 인식이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진달래」, 「저승새」는 에로티즘에 대한 열망이 죽음에의 충동으로 전환되는 모습이 나타난다. 이러한 전환의 계기는 각각 근친상간의 금기와 사회적 계급이 다른 남녀 간의 결합에 대한 금기이다. 이러한 사회적 금기로 인해서, 남녀 간의 에로티즘은 현실에서 억압될 수밖에 없고, 죽음을 통해서 에로티즘을 완성하고자 하는 열망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이 두 소설들은 사랑하는 남녀 간의 육체적 에로티즘과 심정적 에로티즘에 대한 강렬한 열망이 죽음에의 충동의 근본적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우물 속의 얼굴」은 죽음에 대한 공포와 신비/매혹이 동시에 나타난다. 여기서 죽음을 신비/매혹의 대상으로 인식하게 되는 계기는 유일한 소통의 대상이었던 사람의 죽음이다. 죽은 이와 소통하고자 하는 열망, 즉 심정적 에로티즘이 죽음을 신비/매혹의 대상으로 인식하게 되는 핵심적인 요인이다. 이와 같이 김동리 문학작품은 에로티즘의 세 가지 유형, 즉 신성의 에로티즘, 육체적 에로티즘, 심정적 에로티즘이 죽음의 공포를 죽음에 대한 충동으로, 그리고 죽음을 신비/매혹의 대상으로 전환시키는 핵심적인 요인으로 작용하는 양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소설적 경향의 근본적 원인은 인간의 존재방식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인간은 분리된 하나의 개체로 존재하며, 이는 그가 독립된 생명체로 존재하기 위한 기본적인 전제이다. 인간은 죽음을 통해 육체를 벗어나지 않는 이상 개인 간의 분리/단절이라는 존재적 상황에서 결코 벗어날 수 없다. 그러므로 인간은 하나의 생명체로서 죽음이 공포스러울 수밖에 없지만, 역설적으로 죽음은 육체적 분리/단절의 극복 가능성을 상징한다는 점에서 신비/매혹의 대상으로 인식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This paper studied the fact that the duplex perception like fear or fascination of death would be closely related to the desire for erotism through the analysis on Kim, Dong-Lee’s main works including 「A Shaman’s Story」(1936), 「Azalea」(1955), 「A Bird of the World Beyond」(1977), and 「Face in a Well」(1979). The fundamental motive for Kim, Dong-Lee to create literature was to overcome the fear of death. Nevertheless, his literary works also show the hybrid aspect of fear, impulse, or mystery/fascination of death. Such a duplex perception of death is closely related to a strong desire for erotism aiming for communication/unity/conversion between separated/severed individuals. As the death means the extinction (collapse) of body which could be the fundamental cause for humans separated/severed consciousness, it works as an opportunity to activate the imagination of communication/unity/convergence with others. Out of his works, the initial work 「A Shaman’s Story」 shows the aspect of overcoming the fear of death through the sacred erotism. It might reflect the perception that the death could be overcome only through religion(myth) as an area that could not be overcome by humans’ efforts and will. 「Azalea」 and 「A Bird of the World Beyond」show that the desire for erotism is changed to an impulse to die. The chances of this change are the taboo such as incest and union between man and woman in different social class respectively. Because of this social taboo, the erotism between man and woman is inevitably suppressed in reality, which is led to the desire for the completion of erotism through death. Thus, in these two novels, the strong desire for physical erotism and sentimental erotism between lovers worked as a fundamental factor of impulse to die. And 「Face in a Well」 shows the fear and mystery/fascination of death at the same time. Here, the chance to perceive the death as an object of mystery/fascination is the death of human who used to be the only object of communication. Like this, the desire for communication with the dead, that is the sentimental erotism is the key factor of perceiving the death as an object of mystery/fascination. Like this, in Kim Dong-Lee s literary works, the three types of erotism such as sacred erotism, physical erotism, and sentimental erotism are working as a key factor that changes the fear of death to an impulse to die, and also changes the death to an object of mystery/fascination. The fundamental cause for this novelistic tendency might be originated from humans’ method of existence. Humans exist as a single separated entity, which is the basic premise for the existence as an independent life. Therefore, humans cannot get out of the existential condition of separation/severance between individuals without getting out of body through death. Thus, as a single life, it is so natural for humans to feel afraid of death. However, paradoxically, the death is perceived as an object of mystery/fascination as it symbolizes the possibility to overcome the physical separation/ severance.

      • KCI등재

        유흥업소 여성종업원의 죽음에 대한 태도가 자살충동억제의지에 미치는 영향

        김유리(Yoo-Ri Kim),한흥식(Heung-Sik Han),제민지(Min-Ji Je),천경주(Kyung-Ju Chun),장철훈(Chulhun L. Chang),김성수(Sung-Soo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1

        목적: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 소재 유흥업소 여성종업원(룸살롱/바)을 대상으로 이들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자살관련 요인들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방법: 120명의 유흥업소 여성종업원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죽음에 대한 태도에 관한 총 7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죽음해방인식, 죽음자연현상수용, 죽음공포, 죽음생각회피, 나의 죽음이 가족에게 주는 충격, 죽음생각빈도, 자살충동억제의지로 구분된다. 결과: 룸살롱 여성종업원들은 ‘월수입 만족도’가 높을수록 죽음에 대해 생각하는 빈도가 낮았으며, 자살충동억제의지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룸살롱 여성들의 ‘자살충동억제의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요인은 ‘나의 죽음이 가족에게 주는 충격’과 ‘월수입 만족도’로 나타났다. 그러나 바 여성종업원들의 경우 ‘죽음해방인식’ 요인만이 ‘자살충동억제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룸살롱 여성종업원들의 경우 ‘월수입 만족도’가 죽음에 대한 태도와 자살에 관한 생각을 정립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개인이 가진 죽음에 대한 태도와 자살과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은 어려운 상황에서 자살이라는 최악의 선택을 하지 않게끔 도울 수 있는 또 하나의 방법이 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 toward death among Korean hostess (room salon/bar) in Busan and their suicide-related factors. Methods: The questionnaires were administrated to 120 Korean hostess. The questionnaires consist of 7 major concepts: death as liberation, death as natural phenomenon, fear of death, avoidance of thought about death, fear for the impact of death on family, frequency of thought of death, their capacities to resist suicidal impulses. Results: Interestingly, satisfaction for hostess working in room salons with their monthly income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frequency of thought of death and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ir capacities to resist suicidal impulse. Moreover, in terms of the factors influencing ‘their capacities to resist suicidal impulse’, for hostess working in room salons, ‘fear for the impact of death on family,’ and ‘satisfaction with their monthly income’ were found to significantly influence ‘their capacities to resist suicidal impulses’. However, for hostess working at bars, ‘death as liberation’ was found to be the only one factor showing significant effect on ‘their capacities to resist suicidal impulses’. Conclusion: For hostess working in room salons, their perceived monetary reward seems to affect their attitudes toward death and suicide-related thoughts. Understanding a person’s attitudes toward death can be another way to help people in a difficult situation to prevent them from carrying out the worst.

      • KCI등재후보

        『잘자요, 엄마』에서 보여 지는 구원적 의미의 죽음 충동

        김영지(Kim Young-Ji)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인문과학연구 Vol.0 No.25

        『잘 자요, 엄마』('night, Mother, 1983)는 1970년대 등장한 미국의 여류 극작가 마샤 노먼(Marsha Norman)의 대표작으로서, 자살을 결심한 딸 제씨(Jessie)와, 딸의 죽음을 막아보고자 애쓰는 엄마 델마(Thelma)사이의 대화로 구성된 작품이다. 극의 구조는 비교적 단순한 형태를 취하고 있지만, 작가는 이 안에서 가부장제 사회로부터 억압받고 있는 여성들의 현실과, 주체성을 지닌 인간으로서 얻고자 하는 진정한 자아의 해방, 나아가 삶의 의미를 박탈당한 개인에게 있어 죽음이 가져다주는 의미에 대해 말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노먼은 제씨의 죽음을 예고에 그치지 않고 실행에 옮김으로써, 주체적 자아를 추구하는 그녀에게 현재 죽음이란 것이 얼마나 '필요한 것인지를 강조한다. 그리고 작가는 두 모녀 사이의 마지막 대화를 통해 비참했던 제씨의 지난 삶의 모습들을 드러내고, 그러한 현실 속에서 제씨가 느꼈을 고통을 표현해냄으로써, 그녀가 선택한 죽음의 당위성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 제씨는 자신의 의지대로 살 수 없었던 고통스러운 삶으로부터의 해방을 원했으며, 어느 순간부터 죽음만이 이에 대한 해결책이 될 수 있음을 깨닫는다. 작품 속에서 쭉음을 자신 삶의 최종 목적지로 여기며 이를 간절히 갈망하고 바라는 제씨의 심리 상태는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의 죽음 충동 이론을 통해 더욱 자세히 이해해 볼 수 있다. 인간이 견딜 수 없는 극한의 상황에 처했을 때 아무런 고통도 느낄 수 없는 무(nothingness)의 상태 즉, 죽음을 추구한다는 프로이트의 이론은 고통으로부터의 해방을 가져다준다는 점에서 제씨가 죽음을 바라보는 시각과 상당한 유사점을 보인다. 그녀에게 있어 죽음은 자아를 파괴하는 행동이 아닌, 진정한 자아 존재를 위한 수단으로서 작용한다. 다시 말해, 죽음을 향한 충동은 '삶을 위한' 마지막 희망 이었고, 그녀는 자신의 삶을 구제해줄 가장 확실한 수단으로 자살을 택하게 됨으로써, 그녀 삶의 고통을 죽음과 함께 제거해 버린다. 가부장제의 숨 막히는 억압과 실존의 무의미함 속에서 지금까지의 삶 자체가 죽음이었던 제씨에게, 자살은 포기가 아닌 자신의 삶을 의지대로 통제하고자 하는 최초의 선택이자 권리로써 작용한다. "night, Mother' (1983), representative work of American playwright Marsha Norman who made her debut in the 1970s, is a play of a relatively simple plot, which traces the conversations between a daughter, who decides to kill herself and a mother, who tries to dissuade her daughter. Through their dialogue, the author talks about women oppressed in patriarchal society, their desires as an independent human, and finally what is the real freedom that the characters want to have at the cost of death. The author also explains what made Jessie, the daughter choose such an extreme end, suicide and how her oppressed independence is restored by her suicide. In addition, psychological factors in her unconsciousness which made her decide to kill herself are examined on the basis of Sigmund Freud's concepts of death drive and life drive. As these two kinds of drive coexist in human unconsciousness, rather than conflicting with each other, Jessie also tries to maintain tensions of intense life drive to survive. Despite her effort, however, the world does not give her fair reward, and thinking continually how absurd life is, she believes that committing suicide as planned is the only way to help her become an independent self in this world where she cannot obtain what she wants. She chooses death not for 'self destruction,' but for real 'self establishment.' In other words, death drive is her last hope 'for life,' and she removes absurdity of her life by choosing suicide as a most secure means to save her life. For Jessie whose life itself has been death amid the choking patriarchal oppression and existential meaninglessness, suicide is the first ever choice that she makes in her life and a right to control her life as she wants, not to give it up.

      • KCI등재후보

        1960년대 소설에 나타난 죽음의 유형

        주지영(Joo, Jiyoung) 돈암어문학회 2015 돈암어문학 Vol.28 No.-

        이 연구는 1960년대 소설에 나타난 죽음이 갖는 의미 연구를 통해 1960년대 소설의 한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권력통제에 대한 도전이며, 체계가 지닌 억압적이고 강제적인 통합에 대한 비판을 담고 있는 의도된 죽음을 다루는 작품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1960년대 소설 나 타나는 죽음은 세 가지로 유형화할 수 있다. 첫째 충동적 죽음의 유형이다. 이 유형에 속하는 작품들에는 죽음의 계기로서 작동하는 상징계의 모순이 단편적인 한두 가지 사건이나 삽화로 제시되어 있다. 이는 상징계의 모순에 대한인식이 구조적이고 본질적 측면에 까지 나아가지 못하고, 단편적이고 개별적인 현상에 한정 되어있음에 기인한다. 그 결과 죽음은 상징계의 모순과 내적 필연성을 갖고 밀접하게 연결되지 못하고 다분히 우연적이고 충동적인 측면을 띠게 되며, 죽음을 통해 모순을 극복하고자 하는 의지도 제시되지 않고 있다. 다만 상징계의 모순에 대한 단편적 인식과 파괴에의 욕망에 의한 충동적 죽음만 제시되어 있을 뿐이다. 둘째 , 역설적 죽음의 유형이다. 이 유형에 속하는 작품들은 상징계의 모순에 대한 인식이 단편적 측면을 넘어서 구조적 측면으로까지 나아가고 있다. 이 구조적 인식에 의해 상징계의 본질적 모순이 포착되고, 그러한 모순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그 결과 죽음의 계기로 작동 하는 상징계의 모순은 여러가지 사건단위들을 통해 다각적으로 제시되고 있고, 더불어 각각의 사건들은 유기적으로 결합 되어 하나의 전체 사건으로 통합된다. 이를 통해 사건이 전개 될수록 상징계의 모순은 점점 강화되고, 죽음은 상징계의 모순과 내적 필연성을 확보하게 된다. 그리고 죽음을 통해 상징계의 모순을 비판하면서, 그러한 모순이 극복된 상징계의 ‘자아이상’을 지향한다. 따라서 이 유형의 죽음은 겉으로는 상징계의 모순에 패배한 것처럼 보이지만, 그 패배를 통해 모순극복 방식을 제시함으로써 역설적 죽음의 의미를 띤다. 셋째 , 초월적 죽음의 유형이다. 이 유형에 속하는 작품들은 상징계의 모순에 대한 구조적 인식을 바탕으로 하여, 상징계가 나아갈 올바른 역사방향성을 문제 삼고 있다. 이 유형의 작품은 죽음의 계기로 작동하는 상징계의 모순을 여러가지 사건단위들을 통해 총체적으로 제시하고, 그러한 모순이 극복된 세계를 지향한다. 그런데 그 세계는 상징계가 아니라 상상계이다. 곧 죽음을 통해 상징계의 모든 사회 문화 규범 체계를 전면적으로 부정하고, 어머니의 자궁속과 같은 상상계를 강렬히 지향한다. 그러한 상상계에서의 ‘이상적 자아’의 회복은 상징계의 인간으로서는 실현불가 능 한것이지만, 주체의 소멸과 무화를 통해 궁극적으로 회귀해 야 할 원초적 고향과 같은 것이다. 이러한 지향성으로 인해, 이 유형의 죽음은 상징계의 모순을 가장 강력하게 전복시킬 수 있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이 죽음은 상징계에서 상상계로의 초월적 죽음에 해당된다. The works dealing with death in 1960’s novel have difference in method of social contradiction-conquest. this difference depends on what the work want to restore through the death do, that is ‘le Je-ide´al’ of l"imaginare or ‘l"ideal du moi’ of le symbolique. By this standard, the death in 1960’s novel fall into three types. The first type is the impulsive death. In this works, the contradiction of le symbolique letting the character die is presented in fragments. As a result, this works haven’t suggested an alternative that can conquest the social contradiction and suggest the desire that destroy le symbolique. The second type is the paradoxical death. In this works, the perception towards the contradiction of le symbolique has strengthened with structural dimension. As a result, this works have suggested an alternative that can conquest the social contradiction through the death and selected the death to secure self-identity in the new le symbolique. The third type is the transcendental death. this works have impeached the right directivity of history based on the structura perception towards the contradiction of le symbolique. As a result, this works give all-out criticism le symbolique through the death and selected the death to secure self-identity in l"imaginare such as maternal uterus.

      • KCI등재

        이응준 소설 『약혼』에 나타난 죽음 의식

        김혜경(Hae Kyung Kim) 어문연구학회 2015 어문연구 Vol.84 No.-

        이 논문은 이응준의 『약혼』에 나타난 다양한 죽음의 양상들을 세 가지 관점에서 분석하고 고찰한 것이다. 이응준의 죽음에 대한 인식은 단순히 소설의 소재 차원을 넘어선다. 그는 『약혼』에서 비극적이며 파괴적인 죽음의 모습들을 다루는 데 집중해 있다. 『약혼』에서 그려지는 죽음 가운데서 가장 많은 죽음의 유형은 자살이다. 그러나 뚜렷한 원인이나 죽음의 사유, 삶에 대한 고민의 흔적은 드러나지 않는다. 「어둠에 갇혀 너를 생각하기」의 승희처럼 그저 자살함으로써 현실로부터 탈주하는 문제적 개인을 구현하는 의미 있는 이정표를 제시할 뿐이다. 이는 존재 거부로의 죽음이며 탈주의 욕망을 지향하는 것이다. 작가에게 있어서 죽음에 대한 사유는 작품 내에서 예술적 자율성과 결합하며 작가의 존재방식이 된다. 또한, 『약혼』의 죽음 가운데는 파괴적이며 전복적인 죽음들도 발견된다. 무의미한 삶에 대한 절망으로 인한 죽음, 광기로 인한 자기 살해, 절망에 항거하는 수단으로서의 자살, 전략적 자살, 유행적 자살 등은 실패한 죽음이며 자유와 축제가 될 수 없는 파멸이다. 「약혼」에서의 병우와 해원의 죽음, 「내 어둠에서 싹튼 것」의 '그녀'의 죽음은 자존을 지켜내기 위한 이성적인 죽음이 아니라 파괴적이며 전복적인 죽음이다. 마지막으로, 『약혼』의 죽음들은 세속적 물질에 영혼과 정신을 소멸당한 무가치하고 의미 없는 삶에 지친 존재들의 죽음이다. 그들은 타락한 사회를 이겨내지 못하고 자멸해 버린다. 「내 어둠에서 싹튼 것」의 칠순 노인의 죽음과 「황성옛터」의 '현경'에 얽힌 죽음이 그렇다. 그들에게는 치열하게 살아 가야할 어떠한 희망이나 목적도 발견되지 않는다. 오염된 세상, 타락한 현실에 맞설 용기도 없는 그들의 죽음은 그래서 더욱 허무하다. 이처럼 『약혼』은 현실의 규범을 무화시키고, 일탈적이며 파괴적인 죽음의 형태들이 이응준의 소설을 관통하는 키워드임을 확인할 수 있다. 그의 소설에 나타난 죽음의 양상들은 삶을 소멸하기 위한 비극적이며 파괴적인 거리두기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review a variety types of death on three features in Eungjun Lee's novels of 『The Engagement』. The most frequently found types of death in 『The Engagement』 is a suicide. However, any clear causes or reasons of death, or the trace of struggling agony over life were not uncovered. Just like Seunghee of 「Thinking about you while being stuck in the darkness」, only a meaningful milestone was presented to realize problematic individuals who were escaping from reality by committing a suicide. This is a death toward drive of death by denying existence and seeking for a desire of escape. In addition, destructive and subversive deaths were found in those of 『The Engagement』. They are failed deaths and destructions that cannot be a liberty and festival. Those are deaths caused by a despair of meaningless life, killing oneself, a suicide as a mean of resistance of despair, a death with a strategy, a death as a trend and so on. For example, Byeongwoo' death and Haewon's one in 「The Engagement」 and 'her' death in 「What springs up inside my darkness」 are not for reasonable deaths to defend self-esteem but just destructive and subversive ones. Finally, the deaths in 『The Engagement』 were existences' deaths whose lifes were exhausted due to meaningless and worthless life where their spirit and mind died off because of secular materials. The existences were self-destructed without being able to overcome corruptive society. For instance, a death of an old man of seventy years old in 「What springs up inside my darkness」 or the one of 'Hyeongyeong' in Hwangsung yettar (a historic site of ruined castle ruins) are those cases. In fact, there were no strong hope or purposes found for them to live fiercely with. Therefore, their deaths were even more empty as they had no courage to face contaminated and corruptive reality. As confirmed above, 『The Engagement』 cut off laws in reality.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the key words of Eungjun Lee's novel were deviant and destructive deaths through out his novels. The features of death found in his novels were keeping distance catastrophically and destructively to go out of existence in life.

      • KCI등재

        최승자 시에 나타나는 사랑의 정신분석학적 연구

        이혜원(Lee, Hye-won) 한국비평문학회 2016 批評文學 Vol.- No.59

        본고에서는 최승자 시에 나타나는 사랑과 죽음의 충동을 정신분석학적으로 탐구해보았다. 이를 통해 최승자가 인간 심리의 심층을 구성하는 본질적인 이 두 충동의 관계를 누구보다도 깊이 있게 체험하고 통찰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최승자 시의 여성 주체는 절망과 상처로만 귀결되는 사랑을 끊임없이 반복한다. 라캉의 정신분석학에 의하면 사랑을 대하는 근본적인 차이로 인해 남자와 여자는 각각 결여와 상실에 이를 수밖에 없다. 최승자 시의 여성 주체는 사랑의 좌절을 반복하면서도 타자의 욕망 속에서 자신의 자리를 찾으려 하는 여성 주체의 욕망을 반영한다. 최승자의 시에서 사랑의 실패로 절망에 빠진 여성 주체는 죽음충동으로 반동 심리를 표출할 때가 많다. 사랑의 실현 불가능성에 직면한 여성 주체는 죽음충동을 통해 불쾌의 경험을 쾌의 감정으로 역전시키고 상징계에서 벗어나 실재계에서 자유롭게 꿈꾸려 한다. 즉 죽음충동을 통해 고통을 향유한다. 최승자 시에서 죽음은 주체가 세상을 관통하여 무한을 향해 가는 방법이다. 상징계 너머에서 좌절된 사랑의 고통은 충만한 사랑으로 승화된다. 최승자 시의 환상적 주체는 자기애를 넘어선 사랑을 행하며 지극한 향유의 상태에서 숭고의 미에 도달한다. 이처럼 사랑의 좌절에서 고통의 향유, 그리고 숭고미의 구현에 이르기까지 최승자 시의 주체가 보여주는 사랑의 역정은 우리시에서 드물게 역동적이다. 최승자의 시는 끝없이 좌절되면서도 사랑이 반복되는 이유, 죽음충동이 절망의 표출이 아닌 향유의 방식이라는 사실, 사랑의 고통이 환상을 통해 충만한 사랑으로 승화되는 과정을 선명하게 확인할 수 있는 증거이다. This paper focuses on psychoanalytical understanding of love in Choe Seungja’s poetry. We can see how deeply experienced and insighted Choe Seungja is about the relationship of two impulses that organize the depth of human psychology. The woman subject in Choe Seungja’s poetry repeats the love that may result only despair and hurt constantly. She reflects woman subject’s desire to find her place in other’s desire although her repeated frustrations of love. In Choe Seungja’s poetry, the woman subject who falls in despair because of failure of love is often express reactionary sentiment by death impulse. The woman who faces impossibility of love reverses the unpleasant experience to pleasurable emotion by death impulse and enjoys the pain. In Choe Seungja’s poetry, the woman subject penetrates this world and goes toward the infinite by death. This fantastic subject does love over self-love, and arrives at the sublime beauty in a extreme jouissance. Like this, the way of love that is seen by the woman subject in Choe Seungja’s poetry is so dynamic that happens once in Korean poetry. Choe Seungja’s poetry is a evidence that can check the reason why love is repeated although it is frustrated endlessly, the fact that death impulse is not an expression of despair but a method of jouissance, and the precess that a pain of love transformed into a fullness of love by fantasy.

      • KCI등재

        1980년대 한국영화에서의 죽음과 에로스의 단면 - <변강쇠>에서의 노동과 유희의 불가능한 병치

        이윤종 상허학회 2016 상허학보 Vol.47 No.-

        1980년대 주류 한국영화, 즉 흔히 ‘에로영화’라 불리는 극장용 성인영화들 대다수는 주인공의 죽음으로 끝맺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에로영화에서의 죽음으로의 이러한 귀결은 성애와 에로티시즘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장르임에도 불구하고 성적 본능이나 유희에 충실한 나머지 생활현장에서의 노동 전반에 대한 충성도와 밀도가 떨어지는 가공의 인물들에게 죽음이라는 윤리적 징벌을 가하는 아이러니를 낳는다. 즉, 프로이트(Simund Freud)가 인간 삶의 이원론적 에너지로서 상정한 성욕을 통한 삶에 대한 건설적 갈구, 즉 ‘에로스(Eros)’와 삶 이전의 무생물 상태로의 비밀스러운 회귀를 꿈꾸는 자기파괴적 욕망인 ‘죽음 충동’이 1980년대 에로영화 속에서 변증법적 합(synthesis)를 이루는 것이 아니라 대립적 갈등 끝에 죽음 충동으로 인한 비극적 결말로 치닫는 것이다. 본고는 1980년대 한국영화에서 이렇게 빈번하게 드러나는 죽음 충동의 에로스에의 승리라는 가학적 종결을 전두환 정권의 은근히 과도한 영화 검열 정책과 박정희 정권의 뒤를 이어 국민을 문화시민보다는 선진 산업자본주의 사회 건설을 위한 일꾼으로 복무시키기 위한 푸코(Michel Foucault)적 생체권력의 집행으로 해석하고자 한다. 1980년대 제5공화국은 3S 정책이라는 이름으로 소위 3S라는 영화(스크린), 스포츠, 성 산업(섹스)을 장려한다는 미명 하에 국민의 유희와 쾌락을 권장하는 척 하는 가면을 쓰고 있었지만, 실제로 3S에서 섹스와 스크린의 두 가지 요소가 결합된 에로영화 속에서는 성적 쾌락, 에로스에 과도하게 탐닉하는 이들은 스스로 죽음 충동의 덫에 빠져들어 자살 내지는 타살이라는 최고의 형벌을 받을 수밖에 없음을 강조함으로써 국민의 적극적 유희 추구를 저지하는 것이다. 본고는 1980년대 한국 에로영화 속에서 노동하지 않고 유희와 성적 쾌락만을 추구하는 이가 다다르는 귀결이 죽음이라는 강력한 예증을 보여주는 영화로 <변강쇠>(1985)를 들어 영화의 텍스트 분석을 통해 한국사회에서 서구 자본주의의 유입이 어떤 식으로 노동과 유희의 불가능한 병치를 재현하는지 고찰하고자 한다. 베버(Max Weber)가 제시한 바 있듯 서구 자본주의는 프로테스탄트 금욕주의와 배금주의가 기묘하게 결합되어 쾌락 추구를 죄악시하고 노동을 강조하고 있는데, <변강쇠>라는 사극에서 이것이 한국적 토속주의와 맞물려 노동하지 않는 성적 신체에 대한 천벌로서의 죽음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살펴볼 것이다. The closure of ero film, the mainstream adult-targeted theatrical cinema of South Korea in the 1980s prevails with the death of its main protagonists. Given that ero film is a genre utilizing eroticism and sexuality at its best, it is ironical that its conventional ending with death aims to morally punish those who are not eager to work hard in their pursuit for sexual pleasure. In other words, a dialectical synthesis between Freudian Eros and death drive cannot be made but undone by their struggling conflicts in many ero films, which incurs the tragic end in them. Postulated by Sigmund Freud, Eros and death drive are dualistic energies propelling human life, in which the former is a constructive force led by libido and sexual reproduction and the latter is a mystic self-destructive drive into an inanimate state prior to the life. This paper attempts to construe this conquest of death drive over Eros, namely the sadistic endings prevalent in the 1980s ero film not only as the result of the Chun Doo-Hwan regime’s implicitly excessive censorship of the national cinema but also as the regime’s cultural succession to the Park Chung-hee administration by enforcing Foucauldian ‘biopower’ that had turned the nationals into working machines serving to construct their fatherland as the advanced industrial capitalist country. The 5th republic of South Korea masqueraded as a promoter of cultural liberalism under the banner of the 3Ss Policy encouraging 3Ss, namely screen, sport, and sex so that the production of ero films could be invigorated by the Policy in that the film genre is combined screen with sex. However, the republic, in fact, discouraged South Koreans to actively seek (sexual) pleasure and leisure by emphasizing that those who were engrossed with Eros and sexual pleasure in the ero film not only trapped themselves into self-destruction caused by the death drive, but are also literally punished with death, whether suicidal or homicidal. This paper analyzes the film, Byun Gangswoe (1986) as an exemplary text among the 1980s ero film showing that those who seldom work but play are punished with death. In so doing, it inquires into how the ero film represents the incompatibility of labor and enjoyment in South Korean society of the 1980s inasmuch as it was influenced by the spirit of Western capitalism that Max Weber explained as the peculiar union of protestant asceticism and mammonism. Insofar as Byun Gangswoe ends with the hypersexual punished by Korean indigenous religious figure, jangseung rather than the Christian God, this paper seeks the meaning of the incompatibility and vernacular linkage between Eros and death in ero films in the context of South Korean society in the 1980s rather than Christian ascetic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