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고등학교 중국어과 대입 평가 문항분석을 통한 대입 평가 방법 연구 : 以曆代考試問題的分析爲基礎

        박소연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이화교육논총 Vol.13 No.-

        曆代代入考試明顯地影響了我國高中學校的敎育. 雖然代入考試按照高中學校敎育課程實行, 而其結果應該再反映了高中學校敎育課程, 但是曆代考試只是敎育課程的終点, 不會擔任타本然的脚色. 從這樣的問題出發的本硏究, 首先調査了在高中學校敎育課程中漢語課的內容, 同時考察了在曆代大入考試里漢語課的地位. 本고分析的對象是從1985到1992學年度「大學入學學力考試」和2001和2002學年度「大學修學能力考試」. 這個考試是在第3次~第6次敎育課程期進行的, 那時期高中漢語課的目標在于啓發語言技能而培養溝通能力, 以可以加强韓中兩國文化的理解. 漢語課敎育內容以「語言技能」與「語言材料」爲標准提示了具體的內容. 1985學年度實施的漢語考試問題50個題, 以50分爲滿, 考生可以選澤在漢語, 德語, 法語, 日語, 西班牙語英語中一個外語. 1986和1987學年度的問題是20個題, 以20分爲滿. 1987年的考生要選擇漢語類的第二外語課和實業課中一門. 在1988~1992年的考試中, 考生要對最后3個問題直接寫出答案, 對其他14個問題選擇唯一的答案. 其后, 漢語課考試在大入考試中停止了, 2001年再復活了. 2001~2002年的考試都是30個題, 以40分爲滿, 整個題用選擇答案的方法進行的. 漢語課不是所有考生考的課. 而是志愿者才能考的. 本고基礎資料「大學入學學力考試」和「大學修學能力考試」的分析標准在于「言語技能」與「言語材料」. 因爲타們都是在高中敎育課程里的標准, 用這個標准來看大入考試, 可以知道曆代考試是否保持敎育課程的目標和敎育內容. 本硏究把言語技能分成廳·說·讀·寫的四個技能, 把語言材料分爲發音·詞匯·語法和句型·資料文. 經過語言技能的結合, 我們可以溝通意見, 獲得知識, 所以語言技能和溝通能力的培養是語言敎育最重要的目標, 可是分析的結果說明了曆代告試不太重視語言技能和溝通能力. 聽力考試從來沒有實施過, 說話有關的考試也只是以簡接方式進行, 所以不能說眞正地評价了說話能力. 而且有關讀的內容太多, 對詞匯知識和語法知識的問題也超過了40%. 最近兩年, 有關寫的問題都是選擇型問題, 所以不會知道考生不能寫漢字和漢語병音寫得正確. 這樣的事實就證明了曆代考試不太遵守敎育課程的目標, 沒有充實反映了敎育內容. 同時, 因爲大部分考的內容是獨立的語言知識, 不能評价實際語言的使用能力. 大入告示應該克服這些問題而包括敎育課程的評价要素, 對高中敎育産生了好影響. 爲此, (1) 要進行聽力考試. 發音, 漢語병音和文字的關係, 通過聽力考試又直接又正確地評价了. (2) 說話有關的評价, 無可奈何地以書面方式而進行, 然而積極地采用各種各樣的資料文, 問題方式才能解除타的限制, 比如說, 用照片和地圖之類的視覺資料, 讓考生說明타的內容. 讀一部分的說話, 讓考生想想타的結構而完成了整個對話. (3) 詞匯和語法等的閱讀評价, 必須理解資料文以后才能深求答案. 因爲使用語言時我們不把這樣的語言材料分開, 接受了"一塊語言". (4) 寫方面的評价, 尤其直接寫出答案, 不要濫用選擇答案的方式. 타要與有關聽·說·讀的評价結合, 讓大入考試更接近我們溝通意見的方式. (5) 對發音, 語法和句型, 首先要進行漢語和韓語的比較, 以比較內容爲基礎啓發考試. (6) 考試資料文的素材求于考生的生活方面, 利用韓中文化關的內容, 加强理解文化背景. (7) 一般語言評价的重点在于語言使用的熟練, 不在于語言使用的正確. 雖然大學考試是評价語言的正確, 但是在一般課堂敎學里爲了熟練地掌握語言能力, 讓學生積極地參加敎學活動. 通過以上的硏究, 希望大入考試更加接近敎育課程的內容, 以高中漢語課加强語言溝通能力.

      • KCI등재

        전문직으로서의 의사 직업윤리: 사회적 직관주의 이론을 바탕으로 한 일개대학 의학전문대학원생과 부속병원 전공의 간 비교

        박소연,권복규,권오영,윤태영 한국의료윤리학회 2014 한국의료윤리학회지 Vol.17 No.2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moral intuitionsof medical students and those of residents in clinical fields. A total of 370 of 490 (75.5%) students(n=340) and residents (n=30) at one university in South Korea responded to a survey consisting of theMoral Foundations Questionnaire (MFQ30) and additional items on moral judgments concerning theduty to care during pandemic influenza. Both groups selected beneficence/non-maleficence (as opposedto autonomy or justice) as the primary ethical principle(s) in medical practice. The mean scores on a0~5 scale for the five moral foundations for the studen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the residents (harm; 3.6 vs. 3.4, fairness; 3.5 vs. 3.3, loyalty; 3.1 vs. 3.0, authority; 2.9 vs. 2.8, sanctity; 3.1vs. 3.0, respectively). However, there was considerable variability in individual items forming the scalesfor the fairness foundation. Interestingly, when respondents chose justice first among ethical principles,they felt that physicians had a duty to treat patients with influenza, even if in doing so they placed themselvesor their families at risk (OR 2.27, 95% CI 1.23~4.18). Our data suggest that social intuitionismmay be useful for explaining differences in Korean physicians’ moral judgments and also that it may bean effective tool for feedback in medical ethics education. 의료의 전문적 특성으로 인해 의사들에게는 고유의 직업 윤리가 요구되며, 임상 현장에서 접하게 되는다양한 문제들의 해결에 개별 의사의 윤리의식은 중요하게 작용할 수 밖에 없다. 그러므로 의과대학생때부터 올바른 윤리적 판단을 내릴 수 있는 훈련이 되어있어야 하고, 의료윤리 교육은 이를 위한 도구를제공하는 역할을 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사회적 직관주의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의학전문대학원생들과전공의들의 도덕적 직관의 범주를 측정하고, 의사들의 직업적 책임감의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는 서울의 한 의학전문대학원 학생들과 대학병원 전공의를 대상으로 하였다. Moral FoundationsQuestionnaire를 번안한 설문지를 통해 ‘배려’, ‘공정성’, ‘충성심’, ‘권위’, ‘고귀함’의 다섯 영역으로 구분된 도덕적 직관을 확인하였으며, 여기에 의사의 직업윤리에 관련된 내용을 추가하였다. 설문 응답률은75.5%였으며 응답자 중 의학전문대학원생은 340명, 전공의는 30명이었다. 환자를 진료하는 데 있어 학생과 전공의 모두 자율성 존중의 원칙이나 정의보다 ‘선행/해를 가하지 않는 것’을 가장 우선적인 윤리원칙으로 선택하였다. 도덕적 신념에 대한 인식은 배려>공정성>충성심 및 고귀함>권위 순으로 두 군에서 동일하였다. 전반적으로 전공의에 비해 학생들의 평균 점수가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각 항목의 하위 질문들 중에는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이 있었다. 의사들의 직업윤리와 도덕적 신념들 사이의 관련성 확인을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정의를 기본 윤리원칙으로 두는 경우다른 사람들에 비해 본인의 위험을 감수하고서라도 환자를 치료해야 할 직업적 의무가 있다고 생각하는것으로 나타났다(OR, 2.27; 95% CI, 1.23~4.18; p=0.008). 사회적 직관주의는 도덕적 직관의 범주들이 한국 사회에서 어떻게 기능하는 지를 파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료윤리 교육과정에서 학생들이 피드백을 통해 스스로의 직관에 대해 회고해보는 계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미국의 알코올 및 약물 남용자에 대한 처벌과 치료에 관한 고찰

        박소연,이홍직 한국교정학회 2007 矯正硏究 Vol.- No.34

        21세기 들어 알코올 및 약물중독의 문제는 범죄, 실업, 가족구성원간의 갈등 및 불화, 마찰의 증가, 그리고 개인적 심리사회적 고통과 같은 심각한 사회문제의 주된 원인이 되고 있다. 이로 인해 개인은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의 위협을 받고 있으며, 많은 국가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많은 사회적, 경제적 대책을 모색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 대응에 있어서는 물론 다양하고 구체적인 해결 방안이 제시될 수 있으나, 이러한 해결방안들은 궁극적으로 ‘예방 및 치료’ 또는 ‘처벌’이라는 두 가지로 견해로 구분되어 진다. 본 논문은 이러한 두 가지 견해를 중심으로, 미국사회가 알코올 및 마약중독에 관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어떠한 선택을 했는지에 대한 고찰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미국의 약물퇴치정책에 관한 소사(小史), 사회적 의미로서의 중독의 개념과 이에 따른 해결방안, 마약과 범죄와의 관련성, 치료의 효율성측면에 대한 고찰, 음주운전자의 치료와 처벌의 효율성에 대한 비교, 그리고 치료와 처벌에 관한 비용-효과 분석에 관해 논의하였다. In the twenty-first century, drug and alcohol abuse will continue to bring about social problems such as crime, lost occupational productivity, increased family conflicts, and personal misery. For most societies this will result in significant health, social, and economic costs. According to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the most common disease encountered by physicians today is substance abuse, and the 2001 National Household Survey on Drug Abuse reported that 15.9 million Americans aged twelve or older had used an illicit drug in the month prior to the survey. Clearly, substance abuse is a social problem that must be addressed. Most proposals for dealing with substance abuse and abusers tend to emphasis either treatment or punishment. Taking a balanced and critical look at both alternatives, this article covers the following topics: 1) the history of substance-abuse policy; 2) conceptions of addiction—i. e. addiction as immoral conduct, as disease, or as maladaptive behavior; 3) substance abuse and the criminal justice system; 4) effectiveness of treatment for substance abuse 5) effectiveness of treatment and punishment among drunk drivers; 6) a comparison of the respective cost-effectiveness of treatment and punishment and 7) conclusion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