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 수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 고찰

        정영근 ( Young Keun Jeong ),이근호 ( Keun Ho Lee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1 교육과정연구 Vol.29 No.3

        본 연구는 교육과정 자율화에 따른 학교 현장의 부정적 시각의 배경을 밝혀 보기 위해 교사의 수용이라는 측면에서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의 특성과 수용 실태를 탐색해 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첫째, 지금까지 학교 현장에 보급된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의 특성을 교사의 수용이라는 관점에서 고찰한다. 둘째, 교사 대상의 양적 조사를 통해 교육과정 자율화에 대한 수용 양상의 실제를 파악한다. 이러한 두 방향에서 고찰한 후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에 대한 교사의 수용을 논의하고 있다. 교사의 수용이라는 측면에서 교육과정 자율화 특성을 탐색해 본 결과 교육과정 자율화의 역설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원인으로는 정책 방안이 교사의 교육과정 활동을 제한하는 통제성과 제한적자율성, 강제된 자율성이라고 하는 속성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조사 결과 우리나라 교사들의 대부분은 교육과정 자율성에 대한 요구가 대단히 높지만 정책 산물로서의 교육과정 자율화 방안의 세부 사항이나 교육과정 자율화에 따른 자율성의 확대 및 발휘 등에 대해서는 공감적 수용 정도가 대단히 낮은 것으로 나타나, 교육과정 자율화에 따른 정책적 기대와 교사 수용 실제의 차이를 보여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자율화에 대한 당위론적 접근보다는 학교 현장의 요구에 기반 한 자율화 정책의 수립·보급과 함께 학교 현장의 수용 기반을 구축하는 정책적 뒷받침을 통해 교사의 공감적 수용을 촉진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concerns itself with the realities of school curricula management in the light of schemes for school curriculum autonomy. Especially, the study aims to explore teachers` acceptance of curriculum autonomy policie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first, we try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licies regarding school curriculum autonomy since the 6th National Curriculum and ponder especially on the meaning of 6.11 Plan and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Second, we diagnose the realities of school curriculum autonomy and investigate the outcomes of a series of curriculum autonomy policies through a quantitatively designed survey. We also investigate the fall-out of such policies in terms of school teachers` acceptance of them, and then put forward some helpful suggestions.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 Most curriculum autonomy policies have been originated from the needs of policy makers, not from the needs of schools and the requests from teachers. This makes feel teachers and schools such autonomy policies as not being autonomous but impelling. - Overall, school-teachers were shown to have understood the purpose of curriculum autonomy policies but, in regard to more detailed areas, are also shown to underestimate the degrees of its expansion and potential effectiveness. - Therefore, policies regarding curriculum changes should be based on the realities of schools and the requests from teachers and secure teachers` understandings and cooperations.

      • KCI등재후보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의 양적·질적 관점에 따른 실태 분석과 개혁의 방안

        김소영,김두정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교육연구논총 Vol.36 No.3

        This study assumed that the autonomy of the school curriculum would be strengthened through collaboration and cooperation rather than competition among national, regional, and school levels. The purposes of the study are: 1) to search for the concept of autonomy of the school curriculum in terms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points of view, 2)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the autonomy of the school curriculum, and 3) to explore the tasks to reform autonomy of the school curriculum. The major results are the three-fold. First, too much emphasis on only the distribution of authority, which is quantitative concept of autonomy of the school curriculum, is made. Second, autonomy of the school curriculum is built through close cooperation among the Ministry of Education(MOE), local education districts, and schools, not through competition and independence among them. Third, the school curriculum autonomy should not bring about disparities among schools. The tasks needed in order to reform the autonomy of the school curriculum are as follows. First, the MOE should regard local education districts and schools as self-determination institutes, not as subordinate. Second, the local education district should regard schools as independent institutes which need both autonomy and support in order to build their capacities. Third, teachers should strive to improve their professionality required for autonomy of the school curriculum. 본 연구는 학교 교육과정의 자율화를 국가, 지역, 학교 간 독립성과 경쟁보다 협동과 협력으로 상호 영향을 미치는 동반 관계로 학교 교육과정을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그래서 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재량을 국가, 지역, 학교 간 서로 많이 가지고 적게 가지는 문제로 보는 양적 관점과 서로 간 재량을 공유하는 협력적 관계로 보는 질적 관점으로 나누고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의 방안을 새로운 시각에서 논의해 보고자 한다. 연구 문제는, 1) 교육과정 자율화의 개념을 양적 관점과 질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2)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의 현 실태를 분석하고, 3) 마지막으로, 교육과정 자율화를 개혁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양적 관점에서의 자율화는 학교가 보다 많은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의 권한이 이양되어 학교가 자율권을 갖도록 하는 것이며, 질적 관점에서의 자율화는 부족한 학교의 재량을 시·도교육청과 교육부가 보충해주는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강화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를 나열하면 다음 몇 가지이다. 첫째,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의 개념을 양적으로 권한의 적절한 분배나 이양에만 강조점을 두지 않는다. 둘째,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는 학교와 지역 교육청, 정부의 힘겨루기가 아닌 서로 간의 이해와 긴밀한 협조 관계가 구축된다. 셋째,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가 학교 간의 경쟁에 의해 격차를 심화시키는 일이 없도록 한다.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를 개혁하기 위한 방안은 세 가지이다. 첫째, 국가는 시·도교육청을 중앙정부의 획일적인 계획과 정책만을 수행하는 하부 기관으로만 여기지 말고 자기 결정권을 갖도록 해야 한다. 둘째, 시·도교육청은 학교 교육과정의 자율화가 구축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셋째, 교사는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에 필요한 자질과 전문성을 향상시키는데 힘써야 한다.

      • KCI등재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에 대한 초등 교원의 인식 조사 연구

        백경선 ( Kyeong Sun Baek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0 초등교육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형식과 구조 및 내용의 변화 등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또한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는 가속화될 것이라는 전제하에 교원들의 인식 조사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의 개념과 국가 교육과정 문서에서의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의 변화 과정을 살펴보았다. 또한 초등 교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의 바람직한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1)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는 지역과 학교 규모 등에 따른 차별적 접근이 필요하다. (2) 교원의 교육과정 전문성 신장이 교육과정 자율화의 선결 조건이 되어야 한다. (3) 시.도 교육청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과 지역교육청의 장학자료는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대한 규제가 아닌 지원재의 역할을 수행하여야 한다. (4)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의 실효성을 담보하기 위한 실행 여건 조성을 병행해야 한다. (5) 학교 교육과정 평가가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의 출발점이 되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 초등학교 교원들은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에 대한 기대와 우려를 동시에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가 성과를 높이고 우려를 줄이는 방향으로 전개되도록 지속적인 정책적 보완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esent the desirable direc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based curriculum autonomy, based on the survey of teachers' perception, under the premise that both of curriculum form and structure in national level and contents have been changed, as well as the school based curriculum would be accelated. To achieve this purpose, the research examined the notion of school based curriculum autonomy and the change process of the school based curriculum in the document of the national curriculum. Also, elementary teachers survey was conducted by the regional stratified sampling.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he desirable direction of the school based curriculum autonomy was suggested as followed; (1) The school based curriculum autonomy needs the discriminative approach regading region and school scale. (2) The improvement curriculum professionalism of teachers should be prerequisites. (3) Both of the organization . management guidelines and the school inspection data of local education authority should not be the regulation about organization . management of school based curriculum, the role of support-materials. (5) The evaluation of school based curriculum should become the start point of school based curriculum autonomy. In this research,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d expectation and worries about school based curriculum autonomy at the same time. Therefore, continuos supplementation would be followed, boosting up the outcome and diminishing the worries of the school based curriculum autonomy.

      • KCI등재

        초등학교 학교교육과정 자율화 수준 저해 요인 분석

        김종희(Kim, Jong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2

        공통필수 교육과정을 단일본 형태의 교과서 중심 수업으로 구현하는 초등학교에서 교육과정 자율화는 어느 정도 가능할까?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교교육과정 자율화 수준을 저해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국가­지역­학교로 이어지는 각 교육과정 결정 수준에 속하는 교원들을 대상으로 개별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자율화 수준은 제6차 교육과정을 계기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자율화의 의미와 내용을 추구하던 시기에서 지침 준수를 중심으로 형식과 의무를 중요시하는 시기로 변해왔으며, 저해요인으로는 초등학교 특성을 고려하지 못한 자율화 방안, 교과서 중심 수업, 교사의 교육과정 전문성 부족, 관료적 교육행정 시스템 등이 제시되었다. 초등학교 교육과정 자율화 수준을 신장하기 위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교육과정기준에서는 초등학교가 공통필수 교육과정이므로 고등학교의 선택 중심 교육과정과 구분되는 특성을 고려하여 자율화 지침이 제시되어야 한다. 둘째, 교육부­교육청­학교로 이어지는 관료적 행정라인, 경성 행정업무 중심에서 학교교육과정 중심의 연성 교육 시스템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셋째, 교사들이 교육과정을 적극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교육과정 전문성 신장과 함께 학생, 학부모, 교원의 합의로써 이루어지는 교육과정 중심 학교교육을 위한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To what extent is the autonomous organisa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possible in primary schools which share a compulsory curriculum and a common set of text books? This study explored the factors which inhibit such autonomous practices in primary schools based on in-depth individual interviews with educators from the national, municipal and school levels. Between the introduction of the 6th national curriculum in 1992 and the amended curriculum in 2015, the emphasis in the pursuit of the autonomous organisa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shifted from what such practices mean and what they should involve to the formal obligations around compliance with the relevant guidelines. In this context, the factors inhibiting such autonomous practices include: guidance that does not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primary level education; a textbook-focused teaching approach; teachers’ lack of expertise in curriculum design; and a bureaucratic education administrative system. The recommendations of the study for improving the relevant practices in primary schools include: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should provide suitable guidelines concerning how primary schools’ common and compulsory curriculum differs from the choice-based curriculum offered in high school; the bureaucratic, rigid and administration-focused education system comprising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municipal education offices and schools should become a flexible system centred around the school curriculum; teachers’expertise in actively interpreting the curriculum needs to increase; and a change in wider attitudes is needed to enable the development of a school curriculum based on a consensus between children, parents and teachers.

      • KCI등재

        유아교육과정 자율화의 과제와 전망

        김규수 ( Kyu Soo Kim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연구 Vol.32 No.5

        본 연구는 유아교육과정 자율화의 당위성 및 실효성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유아교육과정 자율화의 과제를 짚어보고 앞으로 방향을 전망해 보고자 하였다. 유아교육과정 자율화 논의의 근거는 유치원교육과정 해설서 총론에 제시되고 있으며, 각 유치원에서 유치원 교육과정을 편성 운영해야 하는 이유는 교육의 효율성, 적합성, 교원의 자율성과 전문성의 신장을 위해서 그리고 교육의 다양성을 추구하기 위해서 유치원 교육과정이 필요하다고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유아교육과정 자율화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과정 자율화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구성원들의 확고한 의지가 요구된다. 둘째, 원장과 교사의 전문성을 강화해야 한다. 셋째, 정부와 교육청 그리고 단위 유치원의 역할 분담이 잘 이루어지고 이들의 상호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교육과정 편성 운영에서 교사의 책무성이 요구된다. 한편, 유아교육과정 자율화에 대해 전망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에서 교육과정 자율화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질 것이다. 둘째, 정부의 책무성 역시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셋째, 유아교육과정 자율화는 획일적으로 실시하는 것보다는 준비와 역량이 된 유치원부터 점차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넷째, 유아교육과정 자율화의 수준과 질에 대한 평가가 수행될 것이다. 다섯째, 교육과정 자율화 추세는 유·초등 연계 교육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problems of localiz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and draw a picture for the localiz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The background of localiz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is based on the summary section of Handbook of Korean National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References indicate that localiz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is necessary for the effectiveness and appropriateness of education and autonomy and professionalism of teachers. The problems address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new understanding on localiz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and firm persistency of stake holders are needed. Second, professional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and staffs is needed. Third, cooperation among government, educational district, and individual kindergarten is needed. Fourth, strong accountability of teacher is required. Prospects of localiz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on localiz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will be increased. Second, the accountability of government will be increased. Third, localiz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should be administrated from the qualified kindergarten. Fourth, the quality of localiz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should be evaluated.

      • KCI등재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에 대한 교육 전문가의 인식 분석 및 지원 방향 탐색

        이미숙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12 교육과학연구 Vol.4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ritical perceptions of the policy of school curriculum autonomy and the need for support to discuss what should be improved. Data were collected from interviews with and surveys of educational specialists and head teachers at middle schools. Results showed that teachers believed that staffing quotas need to be enforced by law and that there should be an increase in full-time teaching posts. Some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in-depth interviews and surveys are discussed as follows. First, some restrictive guidelines should be alleviated and follow-up guidelines should be minimized because they limit curriculum autonomy. Second, the subject and boundaries of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should be adjusted to conform to the guidelines of curriculum autonomy in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ird, school curriculum consulting should be implemented to help structure the organization and implement a school curriculum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chool. 이 연구에서는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에 대해 교육 전문가 및 교사들이 어떠한 문제 인식을 갖고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중학교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바람직한 지원 방향은 무엇인가를 조사하여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의 정착을 위해 향후 개선되어야 할 점은 무엇인가를 논의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24명의 교육전문가 및 교사 대상 심층 면담과 중학교 교사 대상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교육 과정 자율화 정책을 현장에 정착시키기 위해 어떠한 지원이 요청되는가에 대한 교사 대상 설문 조사 결과, ‘교원 법정 정원 확보 및 정규 교원 수 증원’에 대한 요구가 가장 강한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청에서 ‘학교 교육과정의 특성화 지원을 위한 전문 인력 확보 및 수시 자문 체제 구축’을 통해 자율화를 지원해야 한다는 의견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심층 면담 결과 및 설문 조사 결과에 기초하여 교육과정 자율화의 방향과 거리가 있는 규제적 지침을 완화하고 자율화의 취지를 제한하는 후속 지침을 최소화해야 하며, 학업 성취도 평가 대상 교과 및 범위를 조정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된 자율화 지침에 연동되는 성취도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 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교육과정 자율화를 위한 기반 탐색

        정광순 ( Kwangsoon Jeong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21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5 No.1

        이 연구는 교육과정을 자율화하기 위한 학교와 국가 두 차원의 기반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그리고 이런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자율화를 위한 지역(시도 교육청과 교육지원청) 차원에서 할 수 있는 역할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학교 차원에서는 새교육-열린교육-혁신학교 운동을 해 오는 동안 교사들이 차시나 단원을 재구성하고 개발하는 경험을 축적해 왔다는 점에서, 교육과정을 자율화 하는데 필요한 로컬에서 교육과정을 개발해서 실천할 만한 준비를 어느 정도 갖추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국가 차원에서는 그 동안의 교육과정 정책을 교육과정분권화-교육과정 지역화 및 교육과정 다양화하는 방향으로 추진해 왔다는 점에서, 교육과정 자율화를 위한 정책적 기반을 어느 정도 조성해 왔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은 교육청과 지원청의 역할 초점을 정하고, 교육과정을 자율화하는 새로운 시스템을 만들어서 작동시키는 역할을 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foundation of two dimensions: school and country to autonomous curriculu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proposed a role that can be played at the local level (city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and education support offices) for the autonomy of the curriculum. First of all, the study found that teachers have accumulated experiences in reorganizing and developing through new education, open education, and innovation school campaigns, And teachers are somewhat prepared to develop and implement local curricula needed to autonomy of the curriculum.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government has established a policy foundation for autonomy of curriculum, decentralization of curriculum and diversification of curriculum. Based on these findings, we propose that the region should focus on the role of the Office of Education and the Support, and play a role in creating and operating a new system that autonomy the curriculum.

      • KCI등재

        학교 교육과정의 자율화 방향

        이혜란(Hearan Lee)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23 교육발전 Vol.43 No.1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발표에 따라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가 강화되고 확대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사 수준의 전문성 신장 운동에서 현재의 혁신학교에 이르기까지, 국가 및 지역 차원에서 진행된 교육과정 시행과 개정을 통해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의 방향과 준비 과정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의 본래 취지를 살리는 데 걸림돌이 되는 현안을 살펴보고 이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요건과 질 관리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교육과정에 집중하기 어려운 현실적 이유, 문서 중심의 학교 평가 및 교육과정 편제의 경직성, 자율성보다는 강제성이 부과된 정책의 실행을 문제점으로 거론하였으며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에 필요한 선행요건으로 top-down 방식과 bottom-up 방식을 병행하고 이를 확대할 것과 교사의 교육과정 문해력 제고, 행정적 지원의 강화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에 따른 질 관리 방안으로 수업과 교육과정 나눔 방식의 변화, 지역 교육청이 중심이 되어 관내 학교 연결망 구축, 질적 평가방식을 보완한 자율화 평가방식을 제안하였다. With the announcement of the 2022 revised general outline of the curriculum, the autonomy of the school curriculum was strengthened and expanded. Accordingly, this study confirmed the direction and preparation process of autonomy the school curriculum to the present through the implementation and revision of the curriculum at the national and regional levels, from the teacher-level professional development movement to the current innovative school. Subsequently, it examined pending issues that hinder the original purpose of the autonomy of the school curriculum and discussed the requirements and quality management measures necessary to solve them. Realistic reasons for difficulty concentrating on the curriculum, rigidness of document-oriented school evaluation and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compulsory policies rather than autonomy were mentioned. In addition, as a quality management plan for the autonomy of the school curriculum, changes in classes and curriculum sharing methods, the establishment of a school network in the jurisdiction, and an autonomous evaluation method were proposed.

      • KCI등재

        대안학교 교육과정을 통해 본 교육과정 자율화의 방향

        김소영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1 교육혁신연구 Vol.31 No.1

        연구목적: 현대 사회는 획일적인 교육에서 벗어나 학생 개인의 적성이나 진로에 맞는 개별화되고 다양화된 교육의 실현을 위한 방안으로 교육과정 자율화의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있다. 이에 일반 학교와 차별화된 교육과정과 운영형태를 지닌 새로운 방식의 학교인 대안학교 교육과정을 통하여 교육과정 자율화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교육과정 자율화의 의미와 공교육체제인 학력 인정 대안학교의 유형, 유형별 관련 법령 및 규정을 탐색하였다. 각종학교 교육과정을 분석하기 위하여 입학 대상별로 유형을 분류하여, 유형별 학교 교육과정을 편성과 운영의 측면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대안학교 교육과정 편성 측면으로는 첫째, 학교의 특성이 반영된 교과가 편성되어 있다. 둘째, 보통교과와 전문교과의 비중은 학생의 흥미와 적성에 따라 자율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셋째, 학생의 진로 탐색에서 상급 학교의 진학도 선택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있다. 대안학교 교육과정 운영 측면으로는 첫째, 교과 활동과 비교과 활동의 연계를 활용하고 있다. 둘째, 다양한 교과를 개설하여 학생의 과목 선택권을 확대하고 있다. 셋째, 다양한 기관과의 협약 등을 통해서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구축하여, 협력 기반을 구축하고 있다. 논의 및 결론: 교육과정 자율화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면, 첫째, 교육과정 실행 주체들의 협력 기반을 구축해야 한다. 둘째, 입시에서 전문교과나 비교과 활동 등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지역사회 요구를 교육과정에 반영하는 형태로 교과의 추가․신설이 필요하다. Purpose: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urriculum autonomy as a way to realize diversified education according to students' aptitudes and career paths in modern society. Therefore, we want to present the direction of curriculum autonomy through an alternative school curriculum that is different from that of ordinary schools. Method: The meaning of curriculum autonomy and the types of alternative schools that are recognized as a public education system, and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for each type were explored. In order to analyze the curriculum of miscellaneous schools, we classified the types according to the enrollment target and looked at the aspects of organizing and managing the school curriculum for each type. Results: In terms of alternative school curriculum composition, first of all, subject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 are arranged. Second, the ratio between regular subjects and specialized subjects is managed autonomously according to students' interests and aptitudes. Third, the curriculum is structured so that students can choose to go to college in their career exploration. In terms of operation of the alternative school curriculum, first, the linkage between the curriculum and comparative activities is utilized. Second, we opened a variety of subjects to broaden our students' choices. Third, through agreements with various organizations, we are building cooperation with local communities and building a foundation for cooperation. Conclusion: To present the direction for course autonomy, it is first necessary to build a foundation for the cooperation of curriculum implementers. Seco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ystem so that specialized subjects and comparative activities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entrance examinations. Third, it is necessary to add and establish new subjects in a way that reflects the needs of the local community in the curriculum.

      • KCI등재

        2009 개정 교육과정의 학교교육과정 자율화에 대한 초등교원의 인식과 관심수준 분석

        정광순(Jeong Kwang Soon),박창언(Park Chang un),이민정(Lee Min 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1 No.4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이 시행된 2010학년도부터 단위 학교가 부여받은 학교교육과정 자율권에 대한 초등교원의 인식과 관심 정도를 알아보고, 이 결과에 기초해서 학교와 교사에게 주어진 단위 학교의 교육과정 자율화가 보다 잘 정착할 수 있도록 돕는데 필요한 논의를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서 2009 개정 교육과정 연구・선도학교 교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CBAM의 관심도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초등교원은 총 시수의 10% 수준에서 수업시수를 증감 운영하되, 국어와 수학은 증배 운영, 바른생활은 감축 운영하는 것을 선호하였다. 그러나 이로 인한 국・영・수 위주의 수업 편성과 인성교육의 약화를 우려하였으며, 원활한 시수 증감을 위해 교・강사가 확충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학년군, 교과군, 집중이수에 대해 초등교원들은 학년군 편성은 가능하다고 보았으나, 학년을 넘나드는 교육과정운영은 선호하지 않았으며, 학년군, 교과군, 집중이수에 따른 전출입 학생의 미이수와 중복이수 문제를 우려하였다. 수업시수 20% 증감 운영에 대해서는 실행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증감 운영, 학년군과 담임연임제 연동, 교과군별 편성・운영의 대상 교과 전면 확대, 집중이수 방식의 개방을 논의하였다. 둘째, 초등교원의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에 대한 관심 수준은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를 도입・준비하는 과정에서 보이는 관심 수준에 있었다. 이에 교사에게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에 대한 협의 참여, 대화 참여, 정보 제공, 의견이나 질문 적극적으로 해결해 주기와 같은 지원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It was known that a curriculum policy is depend on teachers perceptions or concern about it. With this premise, this paper analyzes that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s and concern levels on the school curriculum autonomy and investigates the improvements of the their curriculum autonomy. Data was collected by survey which was based on the curriculum autonomy policies of the 2009 revised Korea National Curriculum with 244 elementary teachers. As a conclusion, First, Most of the elementary teachers was cognizant reasonableness of 10% of teaching. And they think Math and Language Art expand and Disciplinary Life reduce. They could designing and implementing Grades cluster at lower grade and middle grade, Subjects cluster with Moral and Practice Art subject, and Intensive course-taking with Art or Practice Art. Thus, it will be supposed that it is not pre-planing after action, but the total amount after teaching, Grade cluster and classroom teacher system linked, Object of Subject cluster expand to all subjects-matters, openness of Intensive course-taking approach. Most of the elementary teachers do not willing to interest in. Their curriculum autonomy concern level is too low. So it will be supposed that they participate in public forum, work shop, and in-service training programs of several leve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