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학교 수준 교육과정의 개발 및 운영: 캐나다 학교의 사례

        김두정 한국비교교육학회 2003 比較敎育硏究 Vol.13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학교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에 대한 시사를 받기위해 연구자가 캐나다 브리티쉬 컬럼비아주(BC)에 장기간 체제하며 학교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에 관한 자료를 수집한 결과를 보고하는 것이다. 자료는 관련 문헌 조사, 교육부와 현장학교 방문 등을 통하여 수집되었다. 그 밖에. 대학의 교육과정 전문가 등과의 면담을 통한 자료도 수집되었다. BC 주의 학교 교육과정 관련 법령 조항, 주 수준의 학교 교육과정 지침인 통합자원 팩케지(IRP)가 주요 교과별로 자세하게 검토되었다. 교육과정 관련 법령 조항과 주의학교 교육과정 지침인 IRP의 주요한 특징은 다음 두 가지로 요약된다: (1) 교육과점지침의 핵심은 교과별 학습 결과이며 교과별, 영역별로 학습결과-수업전략-평가 전략-학습 자원의 연계가 명시된다. (2) 교육부가 중등학교 졸업 요건으로써 11-l2학년의 교육과정을 기초 영역과 선택 영역으로 나누고 학점 이수 및 주요 과목에 대한 학생들의 성치 기준을 직접 점검하고 있다. BC 주 소재 3개의 중등학교(8-12학년)별 학교의 일반적 특성, 교육과정 편성(학년별 과목의 설정, 교과목 내용 등). 교육과정 운영(시간표 작성, 수업, 학기 및 학년 운영 등) 등이 기술된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의 재정리와 함께 캐나다 학교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이 우리나라 학교 교육과정 체제, 편성, 운영에 주는 시사점이 논의되고 있다. 주요한 시사점에는 다음 몇 가지가 포함된다. 우선, 국가 수준의 우리나라 교육과정이 현재처럼 학습 내용을 위주로 자세하게 나열되기보다 학습 결과가 제시되어야 한다. 둘째, 현재와 같은 복합적인 내용의 과목 구성과 개설보다 다양한 수준의 과목들이 분산되어 구성, 개설되어야 한다. 셋째, 블록 시간제의 도입으로 현재의 학급 단위 집단에 의한 수업에서 동일한 과목 선택 학생 집단에 의한 수업으로의 변화가 시도되어야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일제 식민지기 학교 교육과정의 전개

        김두정 한국교육과정학회 2000 교육과정연구 Vol.18 No.1

        교육과정의 개념을 공식적 교육과정과 비공식적 교육과정으로 분류해 보는것은 일제 식민기의 교육과정을 살펴보는데 유용하다. 1906년 통감부 설치부터 다져보면 일제 식민기에는 교육 법령이 여섯 차례나 바뀌었고 그에 기초한 공식적 교육과정은 그 보다 더 많이 일곱 차례나 크게 바뀌었다. 관련 교육 법령에 규정된 교육 내용과 수업이 공식적 교육과정으로 분석되었다. 실제 학교 현장의 교육과정 실천과 기타 교육 기관 및 사회 단체가 중심이 된 비공식적인 교육과정으로는 학교 교과와 운동회를 통한 애국심 고취, 학생 과외 활동을 통한 민족 의식 고취, 동맹 휴학, 민중 계몽 운동, 해외 이주민 민족 교육, 서당의 유교 경전 교수 등이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일제 식민기 교육과정 전개의 종합적 성격과 시사점이 제시된다. The concept of school curriculum can be defined as twofold : formal curriculum and informal curriculum. This definition is especially useful to explain the school curriculum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Korea since the curriculum had been implemented by schools or other social institutions quite differently from the formal curriculum which educational authorities intended at that time. The formal curriculum is the officiallly specified written documents about what the school should do implement by educational authorities in the form of laws, mandatory, and guidelines. The informal curriculum is what the school or other institutions actually implement implicitly or explicitly. The study examined the six educational law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terms of the formal curriculum change. In order to examine the informal curriculum change during the period, various subject matter or sports activities in schools, student extracurricular activities, collective student strike of school absenteeism, education for general illiterate citizens, education for national identity for korean people in foreign country, and the Suh-dang education which was primary education during period were analyzed. In conclusion, the formal school curriculum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intended to realize economically and politically. However, the informal curriculum which was intended by some korean educators or leaders was against the japanese imperialism implicitly of explicitly. The several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proposed. Our educational system and school curriculum are still influenced by those of the colonial period. We should remove irrational tradition and set up new curriculum on the basis of national tradition. We should make students free from rigorous school regulations and system which mainly were handed down by the colonial period. We should make students free from excessive emphasis of such virtues as respect for parents, and honesty which the colonial system intended something else thru the virtues. Nowadays we should not emphasize excessively the formal curriculum regardless of the informal one. We should make better the experiences during the colonial period in terms of the school curriculum such as 3 term system, educational practice, and integration among subjects.

      • 무기체계 SW GUI 사용성 평가 체크리스트 개발

        김두정,강태호 대한산업공학회 2018 대한산업공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18 No.11

        정보의 고도화로 인해 소프트웨어의 취사선택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었다. 이에 사용성에 대한 개념과 문제가 다양한 방식으로 연구 및 적용되었다. 하지만 무기체계의 경우 소프트웨어 GUI에 대한 사용성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무기체계 소프트웨어 GUI에 대해 가중치 개념을 적용하여 정량적 평가를 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를 5단계의 과정을 거쳐 개발하였다. 가중치는 AHP를 사용하여 부여하였다. 1단계에서는 기 공표된 각종 사용성 설계기준과 VOC를 수집하여 정리하여 새로운 기준을 도출했다. 2단계에서는 도출한 기준에 대해 요인분석 설문을 실시하였다. 3단계에서는 관련성이 적은 기준을 제거했으며, 4단계에서는 AHP 설문을 통해 가중치를 도출하였다. 5단계에서는 체크리스트를 작성하였다. 본 연구는 무기체계 소프트웨어 GUI의 사용성 평가에 대한 기반 연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학교 교육의 격차 해소 방안으로서의 정보통신기술 : 대전, 충남 지역 경우의 탐색

        김두정,신동욱 한국교육과정학회 1999 교육과정연구 Vol.17 No.2

        우리나라 상황에서 거의 보편적인 학교 교육의 격차를 정보 통신 기술을 활용함으로서 해소하는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 방법으로 선행 연구의 고찰, 16명의 관련 전문가와의 면담과 설문지가 사용되었다. 특히 설문지는 학교의 정보통신기술 활용의 현황과 교육 격차 해소를 위한 정보 통신 기술의 구체적인 활용 방안 등을 조사하기 위한 문항들로 구성되고 대전·충남 지역 315개 학교의 정보 교육 담당 교사들에게 배포되어 136통의 응답을 받았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학교 교육 격차 해소를 위해 정보 통신 기술이 큰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응답자들은 학교 교육의 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우선적인 정보 통신 기술의 교육적 활용 방안으로 교사 연수와 교수-학습용 웹(web) 자원을 들고 있다. Educational disparities are so general phenomena in Korea. The study aimed to explore a solution to the phenomena with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ICT). The research problems were:1) is there any possibility to slove educational disparities as utilizing ICT ? 2) if we utilize ICT as a solution to the disparities, what are necessary pre-conditions fulfilled foremost? 3) what specific ICT's are most appropriate to solve the disparities in korea's context? Face-to-face interview and survey were conducted to collect educators's opinions concerning current status and appropriate use of ICT. Sixteen professionals in the field of ICT were interviewed and 136 teachers responded to the survey. Major findings are:1) respondents think that ICT can play big roles to solve the educational disparities in Korea, 2) some pre-conditions are met to utilize the ICT in schools such as facilities, considerable network speed, and web servers in each school 3) the most appropriate ICT's are those for teacher inservice training and web resources for teaching-learning in korea's context. Four implications were suggested on the basis of the study results in such fields as network capacities, teacher training, wide use of ICT, and further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