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활SOC 복합화 시설의 공용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황인혁,곽동화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8

        (연구배경 및 목적) 정부는 2019년‘생활SOC 3개년계획’을 수립하여 생활SOC 시설이 부족한 지역은 확충하고 노후화된 기존 시설은 리모델링을 추진하였다. 그리고 2개 이상의 생활SOC 시설을 하나의 부지 또는 건물에 모아 단일 혹은 연계 시설물로 건립하는 생활SOC 복합화 사업을 핵심과제로 수립하였고, 그 결과 530건의 복합화 시설을 선정하고, 전국 228개 시군구 중 202개에 1곳 이상 복합화 시설 조성을 추진하였다. 생활SOC 3개년계획이 종료된 이후에도 생활SOC 복합화 시설은 각 지자체에서 꾸준히 계획되면서 그 수요와 기대치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어 현재 생활SOC 복합화 시설의 공간 계획에 대한 기준의 보완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선진사례를 통해 복합화 시설의 공용공간에서 나타나는 영역성 분석을 통해서 공용공간의 계획적 방법을 도출하는 것에 있다. (연구방법) 2개 이상의 시설이 하나의 부지 또는 건물에 복합화 된 복합화 시설을 대상으로 한다. 국내·외 선진 사례는 공공시설이 복합화된 우수한 사례를 선정하였고, 국내 사례는 생활SOC 복합화 시설이 복합화 된 사례에 집중하였다. 연구방법은 선행연구를 통해 생활SOC의 개념과 생활SOC 복합화 유형, 공용공간의 개념을 정리한 후, 영역성 측면에서 공용공간의 활용 방법을 파악한다. 이후 국내·외 선진사례의 복합화 유형과 시설 간 결합유형 분석을 통해 복합화 시설에서 공용공간의 물리적 특성을 도출한다. 도출한 내용을 바탕으로 공용공간의 이용 프로그램과 건축 계획 방법을 분석하여, 복합화 시설의 공용공간에 중간영역을 형성하는 계획적 방법을 탐색한다. (결과) 사례 분석 결과, 공용공간의 활용 방법에 따라 복합화 시설의 물리적·기능적 통합의 수준이 달라짐을 알 수 있다. 공용공간이 단순히 이동을 위한 공간으로만 사용되거나 아트리움 등 보이드 공간에 의해 물리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시각적인 연결성만 형성한다면, 각 시설이 물리적·기능적으로 연계되지 않고 공용공간도 제대로 활용되지 않는다. 그러나 공용공간을 매개로 물리적 경계 없이 공간을 연결하고. 내부에 이용자의 활동을 활성화하는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중간영역을 형성할 때, 각 시설의 물리적·기능적 통합으로 이어질 수 있다. (결론) 공용공간은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이지만, 역설적으로 그 역할과 중요성에 대해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 생활SOC 또한 지역 주민이 일상생활에서 자유롭게 이용하는 시설로, 생활SOC 복합화 시설에서 공용공간은 더 중대한 역할을 맡게 된다. 연구를 통해 공용공간을 매개로 한 생활SOC 복합화 시설의 계획적 방법의 중요성을 제안할 수 있었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2019, the government established the ‘Life SOC Three-Year Plan’ to resolve the shortage of Life SOC facilities and to renovate aged facilities. A core business of this plan was the Life SOC complex project, which aimed to construct facilities by combining two or more Life SOC facilities on a single site or building, either as single or interconnected structures. Consequently, 530 complex facilities were selected, with at least one planned in 202 of 228 regions nationwide. Even after the plan ended, the demand and expectation for Life SOC complex facilities continued to grow, with municipalities planning new ones. However, there are currently not enough standards for the spatial planning of complex fac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erritoriality in the common-use spaces of complex facilities based on advanced cases and derive planning methods for common-use spaces. (Method) This study focuses on facilities where two or more structures are combined on a single site or within a single building.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advanced cases were selected as superior cases with complex public facilities, and the domestic cases focused on cases with life SOC complex facilities. The research methodology involves reviewing previous studies to organize the concepts of Life SOC, Life SOC complex types, and common use spaces, and then identifying how these spaces are utilized from the perspective of territoriality. Following this, an analysis of the complex types and types of integration between facilities in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s is conducted to derive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common-use spaces in these complex facilitie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analyzes the utilization programs and architectural planning methods for common-use spaces and explores planning methods that make intermediate territories within these spaces. (Results) The analysis reveals that the level of physical and functional integration of complex facilities varies depending on how common-use spaces are utilized. When these spaces are merely used for circulation or are visually connected by voids like atriums without physical connection, the facilities remain functionally and physically disconnected, and the common-use spaces are underutilized. However, when common-use spaces are used to connect areas without physical boundaries and programs that activate user activities are introduced to form intermediate territories, it can lead to the physical and functional integration of the facilities. (Conclusions) Although common-use spaces are intended for everyone’s free use, their role and significance are often overlooked. Similarly, Life SOC facilities are designed for everyday use by local residents, and the common-use spaces in Life SOC complex facilities play an even more important role. This study was able to suggest the significance of planning methods that utilize common-use spaces as intermediaries in Life SOC complex facilities.

      • KCI등재

        연속보호체계형 은퇴주거단지 내 지역사회 연계형 공용공간의계획과 디자인

        김미희 한국주거학회 2018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29 No.6

        The paper presented here is concerned with planning and design of the common spaces for continuing care retirement communities (CCRCs). More specifically, the aims are to investigate what kinds of common spaces are desirable to be open to the community and then to propose an ideal layout of the common spaces.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for this, from March to early May in 2018, with a group of thirteen experts specialized in senior housing or social welfare. The findings from this are as follows: 1) In independent housing, walking trail, the library, auditorium, and fitness center are considered to be most desirable to be open. Whereas, the library and auditorium are most desirable in assisted living and nursing home. 2) In planning of independent housing, common spaces are proposed to be grouped together of similar activities to secure the privacy of individual housing units and also to promote the social interactions of residents. In planning of assisted living and nursing home, these are then proposed to be scattered as small groups and placed close to individual housing units. 3) When running such open common spaces, it was finally suggested that external users should be accessed upon registration and reservations with fees; and the service should be operated by a professional management agency. 노인시설 중의 하나인 연속보호체계형 은퇴주거단지(continuing care retirement communities, CCRCs)의 공용공간은 로비나 라운지, 도서실, 다목적 홀 등으로 구성되고 commom space로 불리운다. 이러한 공용공간의 공간구성방식은 거주자의 활동 특성과 교류형태에 영향을 미치므로 단순히 공간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거주노인의 사회적 교류와 참여를 독려하는 공용공간을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에서는 은퇴주거단지 내 공용공간의 계획과 디자인을 위하여 CCRCs 내 자립주거와 생활보조주거 및 요양시설 각각에 필요한 공용공간의 종류를 파악하고, 공간구성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공용공간의 배치와 분산의 형태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이러한 공용공간이 지역사회와의 연계되기 위해서 요구되는 공간구성의 특성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 델파이(Delphi)조사를 활용하였는데 조사대상은 노인복지 및 설계전문가 등 13명으로 구성하였다. 1차 조사는 2018년 3월 5일부터 3월 31일까지, 2차 조사는 2018년 4월 23일부터 5월 8일까지 이루어졌다. 조사내용은 1) 공용공간의 중요성과 지역사회에 개방할 경우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공용공간, 2) 노인시설 공용공간의 최근 디자인 트랜드, 3) 공용공간의 배치와 분산형태, 4) 노인시설이 지역사회 연계형으로서 개발 될 경우 일반 노인시설과 다른 공용공간의 디자인 특성과 운영방안 등으로 구성되었다. 조사결과 다음과 같이 결론을 내린다. 첫째, 전문가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자립주거의 공용공간은 산책로, 클럽라운지, 의료시설, 피트니스센터, 사우나, 디너식당 등이었는데, 클럽라운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공용공간이 개방되어도 바람직할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생활보조주거 및 요양시설에서 비교적 중요하게 생각하는 공용공간은 의료시설, 산책로, 상담실, 미용실, 종교모임장소 등이었고. 개방할 경우 바람직하다고 여기는 시설은 강당, 도서관 등이었다. 둘째, 전문가들이 생각하는 노인시설의 공용공간의 디자인의 최근 트랜드는 ‘유니버설 디자인을 배려’, ‘거주자의 프라이버시를 확보’, ‘건강증진 및 여가활동 공간 추구’, 그리고 ‘자연 친화형 및 지역사회 통합형 디자인’이었다. 셋째, 전문가들은 자립주거의 공용공간에서는 유사활동을 그룹화하여 소규모로 분산배치하고, 자립주거의 시각적 프라이버시를 보장하며 사회적 교류를 유도하는 디자인과 지역사회와 소통이 가능하고 접근성이 용이한 위치을 바람직하게 여겼다. 반면에 생활보조주거 및 요양시설의 공용공간은 별도의 커뮤니티 동을 두지 않고 거주공간 가까이 주거 동 내부에 소규모 스케일로 분산 배치하는 디자인을 중요하다고 생각하였다. 넷째, 일반 노인시설과는 다르게 지역사회 연계시키는 경우에 자립주거의 공용공간의 디자인은 거주자의 프라이버시 보장을 확보하면서 동시에 외부인이 접근하기 편리하도록 계획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보조주거 및 요양시설 역시, 거주자의 안전과 프라이버시를 최대한 보장하면서 거주자와 외부인간의 영역과 출입동선을 분리하는 디자인이 이상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공용공간을 지역사회에 개방할 경우 전문가들이 제시하는 바람직한 운영방안은 무엇보다도 거주자를 우선적으로 배려할 수 있는 시설과 프로그램을 개발시키는 것이었다.

      • KCI등재

        창의적 연구환경을 위한 공용공간 계획방법에 관한 연구

        김도년(Kim, Do-Nyun),양성민(Yang, Sung-min),김대성(Kim, Dae-sung) 한국도시설계학회 2013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4 No.3

        본 연구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거점지구인 기초과학연구원 본원을 대상으로 과학자들간의 접촉과 소통을 증진시킬 수 있는 공용공간 계획방법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창의적 연구환경의 특성과 이에 따른 공용공간 계획방법을 도출하고 이를 기초과학연구원 본원에 적용함으로써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연구환경에서 좋은 공용공간의 조건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연구 활동시 소통환경을 제공하고, 세계적인 연구자들 간의 공감 공간으로서 창의적 연구활동이 자연스럽게 발현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다. 이러한 조건을 구현하기 위해 공용공간의 계획방법을 설정하였다. 새롭게 설정된 공용공간 계획방법은 네 가지로 정리될 수 있다. 첫 번째 공용공간은 연구동에서 단지 중심으로 확장됨에 따라 위계화 되어야 한다. 두 번째 커뮤니티 프로그램은 성격, 기호, 규모에 맞게 공용공간과 복합화 되어야 한다. 세 번째 연구시설 저층부 공간은 실내외 공용공간과 커뮤니티 프로그램이 연계되는 장소가 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단지전체가 커뮤니티 코리도에 의해 연계되어야 한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offer guidelines for common use space that provides a ‘Creative Research Environment’ in the Institute for Basic Science(IBS) in Daejeon, Korea. The criteria for common use space that is highly efficient and creative in research environment are as follows: it attracts leading scientists, functions as a place for meeting and communicating information between disciplines, and allows creative research methods through the gathering of many cultures. This study offers 4 new approaches in designing common use space. First, common use space should consider its expansion according to the scale of site from architectural plan to site plan. Second, community programs should be designed in the consideration of their goal, number of users, and common use space. Third, the ground floor area of buildings should be connected to both the community program and common use space. Lastly, all common use spaces and community programs in the site should be connected to the Community Corridor to allow communication throughout the entire site. By applying the new possibilities in designing common use space for a creative environment to the IBS, this study also provides a model for creative research environment.

      • KCI등재

        공동주택단지 내 이웃교류장소로서 공용공간에 대한 거주자 만족도 연구 - 일산 내 저층 및 고층 공동주택단지에 따른 비교를 중심으로 -

        김슬기,이유미,이윤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5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7 No.5

        개인화되고 소외되어가는 공동주택의 현실 속에서 이웃 간 소통과 나눔으로 건강한 공동주택문화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산에 위치한 저층 및 고층 공동주택단지를 대상으로 이웃교류장소로서 주동 내·외부 공용공간환경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주동 내·외부 공용공간환경에 대한 거주자 만족도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현황분석은 총 10개의 공통적인 공용공간에 대해 이웃교류장소로서의 접근성, 연계성, 쾌적성, 활용성, 영역성, 개방성, 유지관리성 측면에서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는 조사대상지 거주자를 대상으로 이웃교류장소로서 공용공간환경에 대한 만족도를 물어보았다. 현황분석 및 설문조사 내용을 종합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주동 내부 공간의 경우, 고층 공동주택단지는 면적이 넓고 채광과 시야의 개방성이 좋으며 공간을 이웃과 우연한 만남의 기회가 있도록 활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주동 외부 공간의 경우, 저층 공동주택단지는 단지 내 보행로에서 통과교통을 완전히 배제하여 보행전용도로가 뚜렷하게 형성되어 있었다. 이로 인해, 보행로를 중심으로 다른 공용공간으로 연속된 동선을 확보하고 있어 대부분의 주동 외부 공용공간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생각되었다. The interaction and solidarity among neighbors found in a traditional society is rapidly being dismantl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nvironment of interior and exterior communal space in residential buildings as a place of interactions among neighborhood in multi-family housing, and based on them, to analyze the residents’ satisfaction of it. A field survey is conducted in respect of accessibility, connectivity, comfortability, utilization, territoriality, openness, maintainability in 10 common spaces and question survey is conducted to ask the satisfaction of communal spac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When it comes to interior space, high-rise housing is spacious and well lighted. It also has an open view around the space. The satisfaction rate of the environment of communal space of interior space is considered relatively high as it gives a chance to meet neighborhood accidently. When it comes to exterior space, low-rise housing form the pedestrian flow clearly along the pedestrian lanes in that it exclude the through traffic in footpaths. As a result, the satisfaction rate of most exterior space is considered relatively high as it gives excellent accessibility and connectivity to communal space along with the continuous walking line focused on the footpaths.

      • KCI등재

        에이징 인 플레이스(Aging in Place)를 위한 커뮤니티 공용 공간의 고령 친화 디자인에 관한 연구 -상하이 도심 지역 거주 노인을 중심으로-

        라결여,김경숙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5

        (연구배경 및 목적) 고령화시대로 인해 야기되는 노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국에서는 사회경제적 현황 및 전통적 가족 개념이 반영된 에이징 인 플레이스(Aging in Place)가 현재 중국의 주류 양로(養老)방식으로 선호되고 있다. 그러나 커뮤니티 공용 공간은 에이징 인 플레이스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지만, 현재 중국에서는 매우 미흡한 상태이며, 고령층의 수요를 충족시키는 것 또한 매우 부적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령화 사회에 대처하고 기존의 커뮤니티 공용 공간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고령자를 위한 커뮤니티 공용 공간 디자인에 적용될 수 있는 중요한 고령 친화 디자인 요소를 도출하고 고령 친화 디자인 원칙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 이론고찰과 선행연구를 통해 관련 변수의 개념을 정리하고 연구 모델을 수립하여 변수 간의 가설을 제시하였다. 또한 중국 도시 및 지역의 고령 인구수와 비율에 따라 상하이 도심 지역의 낙후된 커뮤니티에 거주하는 60세 노인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고, 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진행한 설문조사는 SPSS 및 Amos 통계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여 가설을 검증하고 커뮤니티 공용 공간 디자인 요소의 중요도 순위를 도출하여 고령 친화 디자인 원칙을 제시하였다. (결과) 고령 친화 디자인 요소인 '접근성', '편의성', '안전성', '식별성', '쾌적성', '다양성'은 노인의 커뮤니티 공용 공간 이용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개방성'은 이용 만족에 뚜렷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고령 친화 디자인 요소가 노인의 커뮤니티 공공 공간 이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일부 채택하였다. 또한 노인의 커뮤니티 공용 공간 이용 만족은 노인의 에이징 인 플레이스 생활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관련 가설을 채택하였다. 동시에 표준화된 경로계수의 크기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고령 친화 디자인 요소의 중요도 순위는 안전성>편의성>접근성>다양성>쾌적성>식별성의 결과로 나타났다. (결론)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대응하기 위해 노인의 특성과 니즈를 파악하여 커뮤니티 공용 공간에 적용할 수 있는 고령 친화 디자인 요소를 도출하고 고령 친화 디자인 원칙을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기존 커뮤니티 공용 공간의 개선 시. 해당 고령 친화 디자인 요소 및 원칙을 합리적으로 활용하여 노화로 인한 각종 스트레스와 어려움에 직면한 고령층에게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안전하고 편리한 커뮤니티 공용 공간을 제공하는 시도는 향후 에이징 인 플레이스를 보다 잘 지원하기 위한 커뮤니티 공용 공간 고령 친화 디자인에 대하여 시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공간구문론 기반 대학캠퍼스 공용공간의 도로 접근성 분석 및 평가 - 전남대학교 광주캠퍼스를 중심으로 -

        사린,우완성,정정호 한국기초조형학회 2022 기초조형학연구 Vol.23 No.5

        대학 캠퍼스 공용공간의 도로 접근성은 캠퍼스 공용공간에서 환경자원의 합리적 배치를 가늠하는 중요한 지표이다. 현재 캠퍼스 공용공간의 환경디자인에 관한 연구는 많지만 캠퍼스 공용공간의 도로 접근성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과학적인 평가방법을 적용하여 캠퍼스 공용공간 조성에 새로운 시각과 정량적 평가의 새로운 지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은 공간구문론을 통해 대학의 공용공간 도로 접근성을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전체통합도, 국부 통합도, 명료도 등 3가지 변수를 통해 전남대 광주캠퍼스 공용공간도로의 전체적 접근성, 국부적 접근성, 지각적 접근성을 각각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국부적 접근성과 지각적 접근성의 결과는 비교적 양호하나, 전체적 접근성이 개선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격자형 도로가 공간도로의 접근성에 유리하며, 자연형 도로는 다른 도로 유형과 비해 파악이 쉽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제안을 한다. 첫째, 캠퍼스 전체의 도로 유동권을 구축하고 전체적 접근성을 높인다. 둘째, 녹지공간과 다른 공간 사이의 도로 연결성을 강화하고국부적 접근성을 높인다. 셋째, B구역 내의 각 공간의 통로를 뚫어주고 도로의 감지적 접근성을 높인다. 향후 연구에서는 공간과 사용자와의 관계 속에서 접근성의 분석과 평가를 바탕으로 축선공간도와볼록공간도를 결합하여 캠퍼스 공용공간의 도로 접근성을 측정한다. 이를 통해 대학 캠퍼스의 공용 공간과 도로 접근성 발전을 위해 보다 의미 있는 아이디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

        집합주거 공용공간에 대한 사회적 요구와 건축적 지침의 상관성

        한지형 ( Ji Houng Han )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13 프랑스문화연구 Vol.27 No.-

        이 연구는 사회적 요구의 변화가 집합주거의 공용공간 계획에 어떻게영향을 미치는지,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에 대해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공용공간에 대한 사회적, 계획적 논의의 흐름을 살펴보고, 이에 대응되는 파리 주택의 공공시행사가 제시한 건축 지침서(1990년대와 2000년대 발행)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 지침의 내용은 집합주거의 설계 단계에서 계획적 방향제시와 구체화를 위해 실제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사회학의 영향으로 1960년대와 1970년대 건축가들은 이상적인 커뮤니티 공간을 만들고자 하는 많은 시도를 하였으나, 이 공간의 사용 측면에서 효용성과 관리가 문제시되고 개인주의가 발달함에 따라 사적 공간의 요구가 상대적으로 증가되었다. 또한 이 시기에 설계된 집합주거에서 나타난 공용공간의 문제점은 공적 공간과 사적 공간 사이의 불분명한 경계설정과 각 공간영역의 역할이 정해져 있지 않아 발생한다고 여겨졌고, 이와 관련된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에 민감한주거 건설의 사업주체들은 안전, 관리, 유지의 주요 현안을 바탕으로 보다 경제적이고 보다 효율적인 최소한의 공용공간 계획을 필요로 하였다. 이로써 더이상 공용공간은 ‘공유성’, ‘이웃과의 친분’을 위한 공동체적 결속의미는 상실되었고, 사적 영역과 공적 영역의 경계에 형성되는 ‘매개공간’의 의미만 남게 되었다. 공용공간에 대한 사회적 요구의 변화에 따른 건축 계획적 요소와 내용의 변화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거의 안전성에 대한 문제는 공적 공간과 시적 공간의 ‘경계’에 대한 재정의를 유도하고 계단실을 독자적기능의 단위체로 적용한 물리적 ‘분리 시스템’을 건축 계획시 적극적으로 활용하도록 하고 있다. 둘째, 합리적인 관리와 경제적인 유지를 위해 수직동선 체계를 일관성있게 계획하고 거주 공간의 집합적 단위체를 재정의하여 공용공간을 세부분할하고 개인공간화하고 있다. 이러한 내용들은 건축지침서의 공용공간 처리에 대한 설계 사항에 반영되어있음을 확인할 수있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현대 파리 집합주거의 공용공간은 집단적 공유와 참여의 공간이 아닌 개별화된 관조와 통과동선의 공간으로 계획되고있다. 또한 진입방식, 재료선택, 외부공간 처리방식 등의 지침 내용에서도 이러한 변화의 건축적 장치 유도를 포착할 수 있다.

      • KCI등재

        커뮤니케이션 강화를 위한 오피스 공용공간 디자인 사례 연구

        송다혜(Song, Da Hye),김연정(Kim, Yeon J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6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2 No.1

        최근의 기업들은 사회구조가 빠르게 변화함에 따라 보다 창의적이고 순발력 있는 발상이 가능한 커뮤니케이션을 요구하고 있다. 그에 따라 업무공간의 형태도 조직원에게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팀워크를 강화할 수 있는 공간으로 변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사전연구에 의하면 창의적인 커뮤니케이션은 조직원들이 자유롭게 만나고 휴식하는 공간에서 더욱 활발하게 일어나며, 이는 곧 기업의 혁신으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양한 이론적 배경과 사례분석을 통해 커뮤니케이션 강화를 위한 공용공간의 역할 및 중요성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 조사를 통해 현대업무공간의 형태 및 커뮤니케이션 방법의 변화를 살펴보았고, 사례분석을 통해 공용공간에서의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분석하고 적합한 디자인방법을 탐색해 보았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용공간은 조직원간의 상호작용을 원활하게 하고 공간에서의 커뮤니케이션 흐름을 유동적으로 만들기 위해 개방성을 가져야 한다. 둘째, 공용공간은 구성원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독창성 있는 사고와 감각을 일깨우기 위한 유희성을 가져야 한다. 셋째, 공용공간은 조직원들로 하여금 공간에 대한 안정감을 이끌어 내고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여 업무에 대한 신선한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도록 자연친화적이어야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조직원들의 창조적 사고와 업무능률 향상을 위해 기업들이 커뮤니케이션 강화를 목적으로 한 공용공간 디자인에 주목하고 있음을 파악하였고, 공용공간의 디자인 방법들은 조직원들의 어매니티를 우선으로 생각하는 인간적인 디자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를 기반으로 잘 디자인 된 공용공간은 조직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 시키며 업무능력 향상과 기업의 이미지 제고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기업은 변화하는 오피스 환경에 발맞춰 디자인을 기획해야 하며, 이는 더 나아가 창조경제의 실현을 가능케 하는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As the structure of community has rapidly changed, the recent companies also require the creative opinions and agile communications. Accordingly, the office space is also tend to evolve into the place where the members can achieve the vitality and teamwork, which breaks the traditional. In previous literatures, the creative opinions are more actively inspired in freely accessible and resting spaces, and it leads to the corporate innovations. Therefore, this study is focused on proving the role and importance of communal space in the communication reinforcement based on various theories and case studies. We study the previous literatures to examine the degree of changes in the modern office spaces and its roles in communications. Based on the case analysis, we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munal space in communication reinforcement and discover the effective design method.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t first, the communal space should own the openness which elevates the interactions among the members and communication flows. Secondly, the communal space should include the amusement which promotes the interests of members and their creative thinking. Lastly, the communal space should be environment-friendly which draws the members’ comforts in space and charges the refresh energy for working members by providing the pleasant environment. In conclusion, we find that the most of company are paying high attention to the design of communal spaces for communication reinforcement in the perspective of creative innovations and work efficiency; the method for effective communal space aims the humain aspects by achieving the amenities of members. A well-designed communal space can advocate the group communication, business ability, and corporate image. Thus, a company should design the office space in accordance with the changing office environment, and it can be the milestone of the company to realize the creative economy.

      • KCI등재

        국내 도심 복합상업시설의 건축적 공공성에 관한 연구 -내부 공용공간을 중심으로-

        최예지,김한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7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 도시에서 복합상업시설은 단순한 소비공간을 넘어 다양한 여가와 문화를 제공하는 공간으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운영자의 입장에서는 이러한 시설들이 수익 창출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불특정 다수가 주요 수용 대상이 되며, 외부공간이 부족한 도심 복합상업시설에서는 사계절 이용이 가능한 내부 공용공간의 공공성이 더욱 중요한 요소로 부각된다. 본 연구는 도심 복합상업시설의 내부 공용공간을 건축적 공공성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이를 통해 향후 내부 공용공간의 공공성 증진을 고려한 도심 복합상업시설의 건축 계획적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으로 서울 도심지역에 위치한 대형 복합상업시설인 더현대서울, 잠실롯데월드몰, IFC몰을 선정해 내부 공용공간을 건축적 공공성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우선 선행연구를 통해 복합상업시설 내부 공용공간의 개념과 건축적 공공성의 정의를 고찰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계성, 개방성, 접근성, 쾌적성, 인지성의 요소로 구성된 건축적 공공성 분석의 틀을 설정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각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종합하여 내부 공용공간의 건축적 공공성을 파악해 결론을 도출했다. (결과) 사례분석 결과 도심 복합상업시설의 내부 공용공간은 수평적, 수직적, 시각적 연계를 높이고 이를 외부 도시공간과 유연하게 연결하는 방식으로 공공성을 확보하였으며, 오픈스페이스, 수직공간 등을 활용하여 개방성을 확보하고, 외부 도시공간과 입체적이고 직접적 방식으로 연결하여 접근성을 높였으며, 자연채광, 자연적 요소, 휴게공간을 활용하여 심리적·기능적 쾌적성을 높였고, 상징적 공간요소와 조형적 건축요소를 통해 위치 및 방향 인지성을 제공하여 공공성을 확보하였다. (결론) 공적 역할이 확대되고 있는 도심 복합상업시설의 내부 공용공간 공공성 증진을 위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연계성 강화: 도시 조직과의 연계를 강화하여 수평 및 수직 이동을 원활히 하고, 시각적으로 개방된 공간을 통해 층간 단절을 해소하는 계획, 2)개방성 확대: 수평 및 수직 오픈스페이스를 분산 배치하여 시설의 전체적 개방감을 높이고, 외부 공간과 시각적으로 연결하여 개방감을 확보하는 계획, 3)접근성 향상: 모든 주요 가로에서 접근 가능한 출입구를 배치하고, 지하 대중교통시설과 연결 동선을 제공하여 접근 편의성을 높이는 계획, 4)쾌적성 증진: 천창, 측창, 수직 보이드 등을 통해 자연채광을 극대화하고, 수공간, 식재 등 자연 요소와 휴게시설을 공간구성과 연계·배치하여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는 계획, 5)인지성 제고: 명료한 주 동선 형태와 랜드마크 역할을 하는 상징적 공간 및 조형적 요소를 활용하여 이용자의 위치 및 방향 인지성을 높이는 계획이 필요하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modern cities, urban commercial complexes are perceived as spaces for leisure and cultural experiences. However, from the operators' perspective, these facilities are designed to generate revenue, making the attraction of visitors and extension of their stay crucial for the successful operation of the facilities. Particularly in urban commercial complexes with limited outdoor space, the public nature of year-round indoor common spaces becomes an increasingly important factor, given a large number of unspecified visitor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ndoor common spaces of urban commercial complexes from the perspective of architectural publicness, providing architectural planning resources that consider the enhancement of publicness in these spaces. (Methods) The study focuses on three large urban commercial complexes located at urban center areas in Seoul : The Hyundai Seoul, Lotte World Mall in Jamsil, and IFC Mall. These facilities wer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architectural publicness. The research method began with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to examine the concept of indoor common spaces in urban commercial complexes and to define architectural publicness. Based on the findings from prior research, an analytical framework was established, comprising elements of connectivity, openness, accessibility, comfort, and spatial recognition. This framework was then used to analyze each case study, leading to conclusions about the architectural publicness of indoor common spaces. (Results) The case study analysis revealed that the indoor common spaces of urban commercial complexes secure publicness by enhancing horizontal, vertical, and visual connectivity and flexibly linking these spaces with the urban environment. Openness was achieved through the use of open spaces and vertical spaces, while accessibility was enhanced by directly and three-dimensionally connecting the facilities to the urban spaces. Comfort was increased by utilizing natural lighting, natural elements, and rest areas, and publicness was ensured through symbolic spatial elements and architectural features that enhance the recognition of location and direction (Conclusion) The conclusions drawn for enhancing the publicness of indoor common spaces in urban commercial complexes are as follows: 1)Strengthening Connectivity: Ensure connectivity with the urban fabric by circulation paths. Provide continuous horizontal movement and open vertical movement to maintain a smooth flow. Create visually open spaces to resolve floor-level disconnections. 2)Expanding Openness: Increase the overall sense of openness by dispersing horizontal and vertical open spaces and ensuring visual connections with external spaces through side windows. 3)Improving Accessibility: Enhance accessibility by placing entrances accessible from all major streets and planning pathways directly connected to underground public transportation facilities. 4)Enhancing Comfort: Maximize natural lighting through skylights, side windows, and vertical voids, and create a pleasant environment by incorporating natural elements. 5)Enhancing spatial recognition: Improve user recognition of location and direction by employing clear main circulation paths, landmark spaces.

      • KCI등재후보

        도시형 실버타운 공용공간의 배치 및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임은영,황연숙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6 No.1

        고령화와 도시화의 영향으로 도시형 실버타운의 개발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도시형 실버타운의 노인 거주자들은 사회활동과 친교활동이 점차 감소하는 연령대이므로 도시형 실버타운의 공용공간은 노인들의 건강과 일상생활을 지원하고 사회성향상을 돕도록 계획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조사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형 실버타운 공용공간의 공간배치 특성을 평면배치와 입면배치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평면배치는 다양하였으나 입면배치의 경우는 집중형과 연계형이 가장 많았다. 둘째, 공용공간은 편의, 친화, 교육, 운동, 의료공간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각 실은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설치되어 있었으나 옥외공간의 활용은 낮은 편이었다. 셋째, 공용공간 각 실의 공간특성은 각 실의 성격에 적합한 공간분위기가 연출되고 있었으나 가구 및 시설물은 노인의 신체적 특성을 배려하여 보다 안전하게 계획되어야 한다. There has recently been a increasingly faster development of city-like silver towns as a result of aging and urbanization. Since the elderly residents of city-like silver towns are at an age range in which they experience decrease in social activities, there is a need for public spaces to support their health and everyday liv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upon examination of the 2D spacial arrangement and 3D spatial arrangement, while the 2D arrangement showed a wide range of variations, the 3D spatial arrangement was comprised mainly of the focused type and the connected type. Secondly, public spaces are categorized into spaces for convenience, socializing, education, exercise and medical support, and there was a low level of usage of outdoor space. Thirdly, while the interior of these spaces were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e spaces, there needs to be a higher level of consideration for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in order to better ensure their saf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