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사의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 테크놀로지 활용 동향 분석

        이영주 한국교원교육학회 2016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3 No.4

        최근에는 교사의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해 마이크로티칭, e-포트폴리오, e-멘토링, 온라인 교사학습공동체 등의 다양한 형태로 테크놀로지가 적용되어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최근 10년간 교사의 수업 전문성 향상을 목적으로 적용된 테크놀로지에 관한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동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RISS의 키워드 검색을 통해 최종적으로 34편의 분석 대상 연구물을 추출하고 1)교사 유형, 2)학교급별 유형, 3)매체 유형, 4)테크놀로지 활용 방법, 5)수업 전문성 요소로 분류 유목을 나누고 코딩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 현직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들보다 압도적으로 많았다. 예비 교사의 경우, 마이크로티칭, e-포트폴리오, e-멘토링 사용 빈도가 높았고, 현직 교사의 경우, 온라인 교사학습공동체의 활용 비중이 높았다. 둘째, 교사의 수업 전문성 증진을 위해 비디오 매체를 활용한 마이크로티칭이 가장 많이 활용되는 것으로 나타냈다. 셋째, 수업 전문성의 하위 요소별 분석 결과, 수업의 계획과 실행을 위한 수행적 요소의 향상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교과 내용적 전문 지식의 기억과 이해에 관한 인지적 요소의 비중이 가장 낮았다. 넷째,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 테크놀로지 적용에서 동료 교사와의 협력을 통한 수업 전문성 신장이 강화되고 있었다. 다섯째, SNS기반 모바일 테크놀로지 활용이 확산되고 있다. 여섯째, 교사의 반성적 사고를 위한 메타인지적 지원에 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drastic growth in technology use for improving teachers’ teaching professionalism such as microteaching, e-portfolio, e-mentoring, online teacher communities. This study aims to conduct a systemic analysis and find trends on technology use for improving teaching professionalism for 10 years. Subject of analysis includes a total number of 34 research by keyword search on the RISS and is coded into 1)teacher type, 2)school type, 3)media type, 4)technology use method, 5)teaching professionalism sub-item. The summary of the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there were a great number of studies found for pre-service teachers rather than in-service teachers. Second, microteaching with video was utilized most. Third, the goal of teaching professionalism was to enhance teaching plans and practice, Fourth, there was an emphasis on teachers’ collaboration to improve teaching profssionalism. Fifth, there was a wide spread of SNS mobile technology. Last, there was a need for metacognitive support to foster teachers’ reflections.

      • KCI등재

        COVID-19 환경에서 영어교사의 수업역량이 학생 수업이해도에 미치는 영향: 교사 테크놀로지 활용능력의 매개효과

        오영교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0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 technology utilization ability between English teachers' teaching competency and students' class comprehension in distance learning in the COVID-19 environment. Methods The data of 155 English teachers in the 6th Bus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in 2021 were used for teachers' teaching effectiveness and related variables. I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English teachers' teaching competency as a predictor variable, student class comprehension as an outcome variable, and English teachers' technology utilization ability as a mediator were selected. Results The research findings showed that the English teachers' ability to use technology showed a positive effect on the students' comprehension of English classes, and the English teachers' teaching competency had a positive mediating effect on the students' comprehension of English classes via the English teachers' technology utilization ability. In particular, the ability to use educational content such as Edunet and T-CLEAR, among the sub-domains of English teachers' technology utilization ability, showed a direct positive effect on students' comprehension of English classes. Conclusions For the effectiveness of English classes, the overall ability to use technology is important, but in particular, the importance of using educational content was confirmed. Accordingly, the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using Edunet and T-CLEAR for English teachers were suggested. 목적 이 연구에서는 COVID-19 원격수업 환경에서 중학교 영어교사들의 수업역량이 교사 테크놀로지 활용능력을 경유하여 학생수업이해도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방법 2021년 6차년도 부산교육종단연구 영어교사 155명 자료를 대상으로 교사의 수업 관련 변인을 활용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에서 예측변수로 영어교사 수업역량, 결과변수로 학생 수업이해도, 매개변수로는 영어교사 테크놀로지 활용능력을 선정하였다. 결과 분석결과 영어교사의 테크놀로지 활용능력이 학생의 영어 수업이해도에 정적 효과를 보였고, 영어교사 수업역량이 테크놀로지 활용능력을 경유하여 학생의 영어 수업이해도에 이르는 정적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특히, 영어교사 테크놀로지 활용능력의 하위영역 중 에듀넷 등의 교육용 콘텐츠 활용 능력이 학생의 영어 수업이해도에 직접적인 정적효과를 보였다. 결론 영어 수업효과성을 위해서 교사의 테크놀로지 활용능력 전반이 중요하지만 특히, 교육용 콘텐츠 활용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있었다. 이에 영어교사의 에듀넷⋅티-클리어 활용 방안 및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테크놀로지 활용 과학 수업에서 분산인지 이론 기반 수업 전략의 개발 및 타당화

        노자헌,손준호,김종희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24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7 No.1

        이 연구는 테크놀로지 활용 과학 수업을 위한 분산 인지 이론 기반 수업 전략을 신뢰도와 타당도가 확보 된 절차에 따라 개발한 설계·개발 연구이다. 수업 전략 개발을 위해 설계·개발 연구 방법론 절차에 따라 개발 연구와 타당화 연구를 진행하였다. 개발 연구에서는 선행 문헌 검토와 사전 전문가 검토 방법으로 초기 수 업 전략을 개발하였다. 타당화 연구에서는 내적 타당 화(전문가 타당화, 사용성 평가)와 외적 타당화(현장 적용 평가) 방법으로 수업 전략을 타당화하고 최종 수 업 전략을 개발하였다. 최종 수업 전략은 3개의 수업 원리와 9개의 수업 전략, 38개의 세부 지침으로 구성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연구자는 테크놀로지 활용 과 학 수업을 위한 수업 전략의 적합성, 블록과 교수·학습 과정안의 유용성, 인지적 도구로서 테크놀로지의 활용 가능성, 테크놀로지 활용 교수 역량 함양을 위한 교사 의 노력 필요, 수업 전략 적용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을 고려한 수업 설계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is a design and development study that developed instructional strategies based on distributed cognitive theory for science classes using technology according to procedures that ensured reliability and validity. To develop instructional strategies, development study and validation study were conducted according to design and development research methodology procedures. In the development study, an initial instructional strategy was developed through prior literature review and prior expert review. In the validation study, the instructional strategy was validated using internal validation (expert validation, usability evaluation) and external validation (field application evaluation) methods, and the final instructional strategy was developed. The final instructional strategy consisted of 3 instructional principles, 9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38 detailed guidelines. Through this study, the researcher suggested the suitability of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science classes using technology, the usefulness of blocks and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es, the possibility of using technology as a cognitive tool, the need for teachers' efforts to cultivate teaching capabilities using technology, and the needs lesson plan that takes into account conditions affecting the application of instructional strategies.

      • KCI등재

        초등학교 수업에서 정보통신 테크놀로지 활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 연구

        권성연 ( Soungyoun Kwon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7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3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수업에서 정보통신 테크놀로지 활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파악함으로써 교육 패러다임 변화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는 ICT활용 방안에 시사점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수업에서 ICT 활용의 목적과 형태, 그리고 활용의 필요성 및 효과성, 장애요인 등에 대한 인식을 묻는 설문을 개발하여 서울·경기 및 충청권 소재 초등학교에 재직 중인 초등 교사 12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ICT 활용이 필요하다는 의견에는 보통 이상의 긍정적 반응을 나타냈다. 효과성 측면에서는 ICT 활용 수업이 학습내용과 개념 이해를 돕고, 수업목표 달성에 효과적이라는 것에 가장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으나 학습자 중심 수업, 고차원적 학습을 촉진한다는 응답은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하였다. 둘째, 수업에서 ICT 활용의 장애요인으로는 테크놀로지 인프라의 부족을 가장 크게 인식하였고 그밖에 시간과 지원인력 부족도 높게 인식하였다. 셋째, 수업에서 ICT를 활용하는 목적으로 학생의 흥미유발과 주의집중을 위해서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구체적인 예나 추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라는 응답이 다음 순위를 나타냈다. 반면 학습자 주도적 활동을 위해 ICT를 사용한다는 응답 비율은 낮게 나타났다. 넷째, ICT 활용 수업은 교사 중심적 형태로 운영하는 비율이 높았다. 학습자 중심 수업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이유로 교실 내에 학생이 사용할 수 있는 컴퓨터가 갖추어져있지 못해서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학생의 통제와 주의집중이 어려워서 라는 응답이 다음으로 많았다. 이러한 결과는 교육정보화의 고도화 단계로 인식되는 국내의 ICT 활용 수준이 학교 현장에서는 충분히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에 기반하여 학습자 중심의 ICT 활용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strategies and plans for ICT utilization leading to the educational change by identifying the current status of ICT use and teachers` perception of needs, effectiveness and barriers of the utilization of ICT in elementary school.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ed at 123 teachers who work at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perceived the needs of utilization of the computer technology moderately, in terms of effectiveness, the most positive perception was that computer technology could facilitate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learning content, and the following was computer could help to achieve the learning objectives. But the perception of facilitating the student-centered high-order learning as for using computer was relatively low. Second, the biggest barriers of utilizing computer technology was low accessibility to computers in classroom, and irrelevant computer equipment, lack of time and technical support were following. Third, the most frequent purpose of the utilizing ICT in class was to facilitate students` interest and gain attention, the next was to provide concrete examples and additional information. Whereas, the utilizing ICT for the sake of student-directed activities was very few. Fourth, computer technology integrated class was more teacher-centered than student-centered, the most severe barriers to implement student-centered class was lack of computer for students in classroom, and difficulty in control and concentrating of students during the class.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were suggested to utilize computer technology for more student-centered way in classroom.

      • KCI등재

        초등 사회과 수업에서 교사들의 테크놀로지 활용 실태 분석

        이경윤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8 시민교육연구 Vol.5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atus and teachers’ awareness of utilizing technology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class. Through this study, it could be researched what teachers need to utilize technology in social studies class effectively. An embedded design amongst mixed methods of research was used. The main research method was quantitative and the secondary research method was qualitative, which allowed for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quantitative data.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186 teachers, who teach elementary social studies, Among them, 5 teachers were selected for in-depth understanding. The result are as follows. First, most teachers belonged to the type of “teacher-centered”. Second, there was a large gap between the ideal and the real regarding utilizing technology. Third, teachers who had a career of less than 5 years tend to think students’ role as being passive in technology class. 본 연구는 초등 사회과 수업에서 교사들이 테크놀로지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렇게 사회과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 실태를 분석함으로써 교사들이 사회과 수업에서 효과적으로 테크놀로지를 활용하기 위해서 무엇이 필요한지 파악할 수 있다. 연구 방법은 혼합 연구 방법의 내재 설계로, 주 연구방법은 설문조사 수집 및 분석을 통한 양적 연구 방법, 부 연구 방법은 면담을 통한 질적 연구를 활용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부산, 대구에 소재한 초등학교 3~6학년 담당교사 186명이며 이 중 설문조사에 응답한 다섯 명을 선정하여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과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테크놀로지 활용 유형은 ‘교사 중심’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과 수업에서 교사가 생각하고 있는 이상적인 테크놀로지 활용 모습과 현실에서 활용하고 있는 모습에는 차이가 있었다. 셋째, 5년 이하 경력의 교사는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에서 학생의 역할을 수동적으로 파악하고 있었다.

      • KCI등재

        온라인매체 활용 교육과 가상⋅증강현실 활용 교육에 대한 교사의 TPACK 수준 비교

        고유정,신원석 한국교육방법학회 2020 교육방법연구 Vol.32 No.2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examine differences between online learning and AR (Augmented Reality)/VR (Virtual Reality)-based learning, thereby providing practical implications to support teachers for AR/VR-based teaching and learning. For the study, an onlin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186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PACK) framework with teacher individual-level factors (i.e., content knowledge, pedagogical knowledg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professional development (ICT PD), level of technology use, constructivist beliefs) and school-level factors (i.e., school infrastructure, support, and atmosphere)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eachers' TPACK level for online and AR/VR-based learning as dependent variables. Results showed that teachers' technology knowledge, technological content knowledge, technological pedagogical knowledge, and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online learning were higher than those of AR/VR-based learning. Among individual-level factors, ICT PD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influencer both in online and AR/VR-based learning, but constructivist beliefs influenced online learning only. Among school-level factors, school atmosphere for technology integration was the most influencing variable. When all variables considered, ICT PD was found to have the most importance for technology-enhanced teaching and learning. 본 연구는 교육현장에서 활발하게 쓰이기 시작하고 있는 가상⋅증강현실이 기존의 온라인매체 활용 교육과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살펴보고, 이를 통해 가상⋅증강현실의 교육적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교사들에게 어떠한 지원이 필요한지 논의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86명의 초등학교 교사들로부터 온라인 설문형태로 응답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TPACK) 모형을 기반으로 온라인매체 활용교육과 가상⋅증강현실 활용 교육에 대한 교사 개인수준의 변인(내용교수지식, ICT 연수, 테크놀로지 활용수준, 구성주의 교육신념)과 학교수준의 변인(테크놀로지 시설, 활용지원, 활용분위기)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TPACK 모형에서 교사들의 테크놀로지 관련 지식(TK, TCK, TPK, TPCK)은 가상⋅증강현실 활용 교육에 비해 온라인매체 활용 교육이 높게 나타났다. 교사들의 개인적 배경 중 교사들의 ICT 연수는 두 형태의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 모두에서 주요한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구성주의 교육신념은 온라인매체 활용 교육의 TPACK에는 영향을 미쳤으나 가상⋅증강현실 활용 교육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수준 변인 중 학교의 분위기는 가상⋅증강현실 활용 교육을 하는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모든 변인들을 고려하였을 때, 테크놀로지를 활용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ICT 연수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테크놀로지 활용 관련 연수의 중요성 등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 KCI등재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미술수업의 쟁점과 대안: 중학교 미술교사의 목소리로부터

        김지서,김은주,안지연 한국조형교육학회 2024 造形敎育 Vol.- No.90

        본 연구는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미술수업에서 미술교사들이 공통적으로 마주하는 애로점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이에 대한 쟁점과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먼저 현장과 괴리되지 않으면서도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고자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였다. 이어 이론과 실습, 수업 실행과 반성으로 이루어진 연수에서 미술교사들과의 수업 나눔을 통해 주요 쟁점을 도출하고 대안을 모색하여 연구자 간 논의를 통해 정리하였다. 그 결과, ‘수업 설계’에서 미술교과의 본질 지키기,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을 위한 환경 조성하기, 교사의 테크놀로지 활용 역량 강화하기를, ‘수업 실행’에서 발상과 결과물의 수준 높이기, 학습자 참여시키기, 차이 조절하기, 미술과의 디지털 소양 고려하기를, ‘평가’에서 과정중심평가 활용하기, 맞춤형 학습과 공정한 평가 사이의 균형 잡기, 테크놀로지 활용 미술수업의 특수성 인지하기, 수치화 불가능을 인정하기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현장의 애로점에 근거한 연구, 물리적 환경 조성, 교원의 역량 강화, 일원화된 교수⋅학습플랫폼의 개발을 개선 사항으로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art teachers’ common difficulties in technology-based art classes and to explore key issues and possible alternatives. To this end, the authors attempted to establish a theoretical foundation that aligns with the practical school setting from comprehensive analyses of relevant prior studies. By qualitatively analyzing the data from lesson-sharing with ten art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training program, critical issues and corresponding solutions were drawn. In 'class design,' maintaining the essence of art education, creating environments suitable for technology-based classes, and strengthening art teachers' technological capabilities were highlighted; in 'class implementation,' raising the level of artistic ideas and outcomes, encouraging student participation, adjusting individual differences, and considering digital literacy in art education were emphasized; in 'evaluation,' focusing on process-oriented assessment, balancing personalized learning with fair assessment, recogniz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echnology-based art classes, and acknowledging the impossibility of quantification were derived.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posed conducting further research on school challenges, creating supportive physical environments, enhancing teachers' capabilities, and developing unified teaching and learning platforms.

      • KCI등재

        온라인매체 활용 교육과 가상⋅증강현실 활용 교육에 대한 교사의 TPACK 수준 비교

        고유정(Ko, Yujung),신원석(Shin, Won Sug) 한국교육방법학회 2020 교육방법연구 Vol.32 No.2

        본 연구는 교육현장에서 활발하게 쓰이기 시작하고 있는 가상⋅증강현실이 기존의 온라인매체 활용 교육과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살펴보고, 이를 통해 가상⋅증강현실의 교육적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교사들에게 어떠한 지원이 필요한지 논의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86명의 초등학교 교사들로부터 온라인 설문형태로 응답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TPACK) 모형을 기반으로 온라인매체 활용교육과 가상⋅증강현실 활용 교육에 대한 교사 개인수준의 변인(내용교수지식, ICT 연수, 테크놀로지 활용수준, 구성주의 교육신념)과 학교수준의 변인(테크놀로지 시설, 활용지원, 활용분위기)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TPACK 모형에서 교사들의 테크놀로지 관련 지식(TK, TCK, TPK, TPCK)은 가상⋅증강현실 활용 교육에 비해 온라인매체 활용 교육이 높게 나타났다. 교사들의 개인적 배경 중 교사들의 ICT 연수는 두 형태의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 모두에서 주요한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구성주의 교육신념은 온라인매체 활용 교육의 TPACK에는 영향을 미쳤으나 가상⋅증강현실 활용 교육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수준 변인 중 학교의 분위기는 가상⋅증강현실 활용 교육을 하는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모든 변인들을 고려하였을 때, 테크놀로지를 활용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ICT 연수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테크놀로지 활용 관련 연수의 중요성 등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examine differences between online learning and AR (Augmented Reality)/VR (Virtual Reality)-based learning, thereby providing practical implications to support teachers for AR/VR-based teaching and learning. For the study, an onlin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186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PACK) framework with teacher individual-level factors (i.e., content knowledge, pedagogical knowledg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professional development (ICT PD), level of technology use, constructivist beliefs) and school-level factors (i.e., school infrastructure, support, and atmosphere)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eachers TPACK level for online and AR/VR-based learning as dependent variables. Results showed that teachers technology knowledge, technological content knowledge, technological pedagogical knowledge, and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online learning were higher than those of AR/VR-based learning. Among individual-level factors, ICT PD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influencer both in online and AR/VR-based learning, but constructivist beliefs influenced online learning only. Among school-level factors, school atmosphere for technology integration was the most influencing variable. When all variables considered, ICT PD was found to have the most importance for technology-enhanced teaching and learning.

      • KCI등재

        스마트 테크놀로지 활용 과학 수업 계획 시 발생하는 초등 예비교사의 질문과 수업과정안 분석

        나지연 ( Na Jiyeon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21 초등과학교육 Vol.40 No.2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들이 스마트 테크놀로지 활용 과학 수업을 계획할 때 발생하는 질문의 유형과 작성한 수업과정안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96명의 예비교사들이 작성한 수업과정안과 질문을 수집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사들은 시뮬레이션 앱, 정보제공 앱, clicker 평가앱, 천문관측 앱을 활용하였으며, 수업의 도입 단계에서는 시뮬레이션 앱과 clicker 평가 앱을, 전개 단계에서는 시뮬레이션 앱을, 정리 단계에서는 clicker 평가 앱을 가장 많이 활용하였다. 둘째, 스마트 테크놀로지를 사용하는 주체는 학생인 경우가 교사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수업의 전개 단계에서 그 특징이 더 두드러졌다. 셋째, 수업과정안에서 활용한 스마트 테크놀로지의 콘텐츠 유형은 체험형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도구형, 자원형 순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상호작용지원형이나 학습기회확장형은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났다. 넷째, 예비 교사들이 작성한 과정안에는 학생들이 직접 실험이나 체험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대신 체험형 스마트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가상 체험으로 대체하는 경우가 다수 나타났다. 다섯째, 예비 초등 교사들은 스마트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과학 수업을 계획하면서 다양한 질문을 제기하였으며, 총 7개 범주 25개의 질문 유형이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ypes of questions raised by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hen planning a science class utilizing smart technology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lesson plans. For this purpose, lesson plans and questions written by the 96 pre-service teachers were colle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Pre-service teachers used simulation apps, information offering apps, clicker evaluation apps, astronomical observation apps. Simulation apps and clicker evaluation apps were used the most in the introduction stage of the class, simulation apps in the development stage, and clicker evaluation apps in the finishing stage. (2) In the lesson plans, the activities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e smart technology showed more than those used by teachers, and its characteristics were more prominent in the development stage of the class. (3) As for the content type of smart technology, experience type was the highest, followed by tool type and resource type. In comparison, there were relatively few interaction support types and learning opportunity extensions. (4) There were many cases in which pre-service teachers replac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virtual experiences using experience type instead of providing opportunities to experiment or experience directly. (5) Pre-service teachers asked various questions while planning science class utilizing smart technology, and a total of 25 question types appeared in 7 categories.

      • KCI등재

        테크놀로지 활용에 따른 교육활동의 변화와 교사의 심리적 배경의 영향

        신원석(Won-Sug Shin) 한국콘텐츠학회 201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9

        요약 본 연구에서는 테크놀로지 활용 이후 교사들의 교육활동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제작·배부하여 311명의 초중등 현직교사로부터 회수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5개의 요인을 추출하였다. 또한 이러한 요인들이 교사들의 심리·태도적 배경변인인 테크놀로지에 대한 태도와 테크놀로지 유능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학교현장에서 테크놀로지의 활용으로 인해 교사들의 교육활동에 상당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을 나타내주고 있다. 한편 교사들의 테크놀로지 활용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테크놀로지에 대한 태도보다는 교사 스스로 테크놀로지를 잘 활용할 수 있다는 테크놀로지 유능감에 따라 교육활동의 변화에 대한 차이가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echnology integrated instruction change teachers' activities in schools since using technology in classrooms. A total of 311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ive factors were extracted. In addition, technology attitude in education and technology competence as psychological factors are analyzed to be influenced by the five extracted 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re are outstanding change since using technology in schools. Also changing of teachers' activities in schools is influenced by technology competence which reflects teachers‘ confidence on using technology rather than technology attitude in education which reflects teachers'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technology integrated instru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