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카페 공간의 오감과 감성디자인 표현에 관한 연구

        채호진,이정교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2

        (Background and Purpose) Recently, the South Korean cafe market has become over-saturated. Cafes are places where people not only drink coffee and relax but also spend time for meetings, working on personal duties, and leisure activities. Recently, there has been a tendency to visit exotic cafes and consume new experiences within the individual’s daily lifestyle. However, most cafes do not reflect the needs of consumers and their lifestyles, and they offer only fragmentary services, under-performing and failing to satisfy customers with their uniqueness or differenti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nduct a study on cafe spaces, to provide a new concept of service that all cafe should have, with a differentiated affective design applied to a positive function and the five senses. (Method) This research derives the spatial meaning of cafe spaces and the necessary elements of affective space expression directing characteristics through prior research and theoretical reflection, and utilizes them as elements of design expression. Through these parameters and factors, we propose the evaluation model for assessing the affective design of cafes, and derive the correlation and justification of elements including five senses and affective space designs. Based on the factors analyzed, this research aims to extract the necessary expression elements in the cafe space and propose the case analysis model through the five senses that can be applied to the space. (Result) According to the case analysis, it was revealed that each cafe's space was designed to fit the consumers' demand for something new, instead of a ordinary store presentation. It was also indicated that the cafe sought differentiation through service and sharing emotional experiences that it could not experience in other cafes even if the direction of expression differed. Depending on the meaning of the space and the purpose of the consumers' visit, different elements of expression were first provided through space research to reveal their unique characteristics. (Conclusion) We could see that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based on five senses and six elements of expression of affective design, there were expressions that should be prioritiz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visitor or the location of the place. However, design expression focused on only one direction could be directed into a consistent and unique cafe space, but it was also reflecting that the many spaces did not reflect the various demands of the consumers. Therefore, the meaning of this research is our hope to be able to offer this research as fundamental data and understanding of affective design in the future and wish to enlighten affective design cafe space research that requires five-sense of this era.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우리나라 카페시장은 과포화 상태에 이르고 있다. 카페는 사람들이 단순히 커피를 마시고 휴식을 취하는 것은 물론이고, 만남, 개인 작업, 여가활동을 하며 시간을 보내는 곳이기도 하다. 최근에는 독창적인 이색카페를 찾아다니며 새로운 경험과 각 개인의 라이프 스타일속으로 일상화하는 소비를 하고 싶어 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 그러나 카페는 이용객들의 니즈와 그들의 라이프 스타일을 반영하지 못할뿐더러, 독특함과 차별화로 고객에게 만족감을 주지 못하면서, 단편적인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곳이 대부분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카페가 가지고 있어야 할 순기능과 오감요소를 적용한 차별화된 감성디자인 표현이 적용된 새로운 개념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카페 공간에 관하여 연구를 진행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선행연구 및 이론고찰을 통해 카페 공간의 공간적 의미와 감성 공간 표현 연출특성 필요 요소를 도출하여 감성디자인 표현 요소로 활용한다. 이러한 인자요소를 통해 카페의 감성디자인 평가를 위한 상관관계의 평가모형을 제안하며 오감과 공간 감성디자인 요소들의 상관적 관계와 당위성을 도출한다. 그리고 분석한 요소들을 바탕으로 카페 공간에 필요한 표현요소를 추출하고, 공간에 적용할 수 있는 오감요소를 통해 사례 분석 모형을 제안한다. (결과) 사례 분석 결과 각 카페 공간들은 일률적인 매장 연출에서 벗어나 새로운 것을 요구하는 소비자들의 원츠에 맞게 연출하려고 하였다. 또한 카페가 추구하는 공간의 감성이 다르지만 다른 카페에서 경험할 수 없는 감성적 경험의 공유와 서비스를 통해 차별화를 추구하려고 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각 카페 공간들은 공간의 의미나 방문객의 방문 목적에 따라 각기 다른 표현요소들을 우선으로 공간연구를 통해서 제공하여 독특함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카페 공간에서 오감을 바탕으로 한 공간의 특성, 감성디자인의 표현 요소 6가지 중, 방문자의 목적이나, 그 장소의 위치에 따라 우선시해야 하는 표현요소들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하나의 방향으로만 집중된 디자인 표현은 일관성과 독특성 있는 카페 공간으로 연출이 될 수 있으나, 그 공간들은 니즈들의 다양한 원츠를 반영하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를 통해서 앞으로 차별화된 감성 공간 요구의 특성 이해 및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바라며, 현시대에 필요한 오감이 적용된 감성디자인 카페 공간 연구가 활성화되길 바라는 것이 의의라 할 수 있다.

      • KCI우수등재

        카페의 식민지근대, 식민지근대의 카페: 재조일본인 사회, 카페/여급, 경성

        박진경(Park, Jin-kyung),미야지마 요코(Miyajima, Yoko) 한국여성학회 2020 한국여성학 Vol.36 No.3

        본 논문은 일제강점기 재조일본인 사회와 카페/여급에 관한 연구이다. 식민지조선의 카페와 카페여급에 관하여 그동안 여성학, 문학, 역사학 등의 분야에서 많은 논의가 있어 왔다. 본 연구는 기존의 논의에서 아직 다루어지지 않은 문제, 즉, 재조일본인 사회가 바라본 식민지 조선의 카페와 카페여급에 관하여 논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재조일본인 사회의 대표적인 종합잡지라고 할 수 있는 『조선공론(朝鮮公論)』(1913-1944)에 나타난 카페, 카페여급, 그리고 카페가 위치하였던 경성의 도시공간에 관한 기사를 분석한다. 특별히 본 논문은 카페와 카페가 위치한 도시공간의 ‘혼혈성’, ‘혼종성’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한다. 카페는 서구의 산물이지만, 일본을 거쳐 식민지조선에 들어오면서 카페여급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혼성적 성격을 가지게 되었다. 1920년대 일본인 거류지인 경성의 남촌(본정)을 중심으로 카페영업이 활발하였으나 1926년 총독부 광화문 이전과 함께 종로가 개발됨에 따라 북촌에도 대형카페가 들어서게 된다. 본 논문은 재조일본인 사회의 재력가와 실업자들의 북촌진출과 그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근대의 총아이자 자본주의 소비사회의 핵심적 장소로 부상한 카페를 개발, 운영하는지를 보여준다. 카페는 근대의 유흥공간으로서 식민자와 피식민자의 명확한 경계를 그려내기 힘든 식민지의 혼혈적 공간이었음을 밝히고, 이것이 여성주의 역사연구에 가지는 함의를 짚어보고자 한다. This paper examines Japanese settler society, cafe, and cafe waitress in colonial Seoul under Japanese rule (1910-1945). Over the last two decades, scholars in various disciplines including women’s and gender studies, literature, and history have probed the evolution of cafe and the rise of cafe waitress as a new profession in colonial Korea. This study explores these issues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which takes seriously how Japanese settler society viewed colonial cafe and cafe waitress. It does so by focusing on Chōsen Korōn (Korea Review, 1913-1944), colonial monthly magazine published by Japanese settler society. Along with its coverage on cafe and cafe waitress, this paper interrogates the development of urban spaces of both namchŏn(South Village) and bukchŏn(North Village) in colonial Seoul, and seeks to recontextualize the modern cafe and cafe waitress, especially in bukchŏn as emblematic of the capitalist work of Japanese settler society. In particular, this paper utilizes notions of “cultural hybridity” and “mixed-bloodedness” of cafe in the transformaing urban space of bukchŏn. In colonial Korea and Seoul, cafe was built as a cultural hybrid that mixed the Western forms of architecture and its interior with the Japanese appropriation of Western culture which had the young cafe waitress serving the male customer. It has been typically believed that colonial cafe was first built in the lucrative commercial area of namchŏn under heavy control of Japanese settler society and later on spread out to bukchŏn known as the main business district of Koreans. This study showcases how aggressively profit-minded Japanese businessmen developed colonial Seoul and bukchŏn, building cafe chains in Chŏngro of North Village to expand their market into the Korean communities. This essay demonstrates how these Japanese businessmen established and operated modern cafe as the visible symbol of modernity, capitalism, and civilization. Colonial cafe as the icons of both decadence culture and the economy of pleasure mirror an ambiguous urban space of modern “mixed-bloods” in which one could not easily draw boundaries of colonizer and colonized. This point has further implications for critical feminist scholarship on gender history and colonial modernity of Korea.

      • KCI등재

        카페, 제 3의 공간 특성이 몰입과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라이프스타일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형주,서지연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23 산업혁신연구 Vol.39 No.2

        It is an atmosphere where the third space characteristics of cafes become more important as the corona era passes. It is not just a simple concept of drinking coffee and meeting people, but it has become a special space where people can heal their minds and hearts, and they have a consciousness of consumption that reflects their cultural identity as a kind of ‘culture’ through cafes. Accordingly, this study began with the logic that the third space characteristics of various cafes depending on individual lifestyles would have different effects on the preference for continuing to use cafes with a psychological bond. In other words, to study the effect of the third space characteristics of cafes on immersion and preference and to confirm the moderating effect of lifestyle,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users in Seoul and Gyeonggi area. 255 copies were distributed and 240 copies were collected. For empir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24 program, and hypothesis verification was conduct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ird space of cafes are four sub-factors of concentration, communication, value expression, and resting space, immersion and affinity are each one factor, and lifestyle is derived from three factors: social friendliness, affiliation-oriented, and fashion-seeking type. It became. In the hypothesis test, first,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ird space of the cafe, the value expression spa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ly on immersion, so hypothesis 1 was partially accepted.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value expression space among the tertiary spatial characteristics of caf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ly on the degree of preference, and Hypothesis 2 was partially accepted. The fact that the value expression spac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immersion and preference implies that the purpose of visiting a cafe means a change in the consumption trend, which means that the purpose of visiting a cafe has become a tool to value and reveal one's identity and consumption value expression. can do. Third, it was found that immers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gree of preference, so Hypothesis 3 was adopted.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socially friendly type among the lifestyles had a moderating effect between concentration space, value expression space, resting space and preference among the third space characteristic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affiliation-oriented type had a moderating effect between the value expression space and the degree of liking, and the fashion-seeking type had a moderating effect between the communication space and the degree of preference, and Hypothesis 4 was partially accepted. Through this, since the lifestyle reflects the individual's inclination, taste, activity style, etc., it can be confirmed once again tha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having a preference for the cafe if it mee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ird space of the cafe.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believed that companies, individuals, and prospective entrepreneurs who operate cafes can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third space characteristics and use it as basic data when establishing store operation strategies. It is also hoped that it will be used as data that can support the growth of the cafe market. 코로나 시대를 지나오면서 카페의 제 3의 공간 특성이 더욱 중요해지는 분위기이다. 커피를 마시고 사람들을 만나는 단순한 개념이 아니라, 사람들의 심리와 마음까지도 힐링할 수 있는 특별한 공간이 되었고, 일종의 ‘문화’로서 이용자 자신의 문화적 정체성을 반영하는 소비라는 의식을 카페를 통해 갖게 되었다. 이에 개인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다양한 카페의 제 3의 공간 특성들이 심리적인 유대감을 가지고 카페를 지속적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애호도에 각각 다른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는 논리를 가지고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즉, 카페의 제 3의 공간 특성이 몰입과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고, 라이프스타일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여, 서울과 경기 지역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55부를 배포하였고, 240부가 수집되었다. 실증분석을 위해 SPSS 24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고, 가설검증은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실시하였다. 카페의 제 3의 공간 특성은 집중, 소통, 가치표현, 휴식공간의 4개 하위요인, 몰입과 애호도는 각각 1개 요인, 라이프스타일은 사회친화, 소속지향, 유행추구형의 3개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가설검증에서는 첫째, 카페의 제 3의 공간 특성 중 가치표현공간이 몰입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쳐 가설 1은 부분채택되었다. 둘째, 카페의 제 3의 공간 특성 중 가치표현공간이 애호도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2는 부분채택되었다. 가치표현공간이 몰입과 애호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은 시사하는 바를 통해 카페 방문 목적이 자신의 정체성과 소비가치표현을 중요시하고 드러낼 수 있는 도구가 되었다는 소비트랜드의 변화를 의미한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셋째, 몰입은 애호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3은 채택되었다. 넷째, 라이프스타일 중 사회친화형은 제 3의 공간 특성 중 집중공간, 가치표현공간, 휴식공간과 애호도 간에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속지향형은 가치표현공간과 애호도 간에 조절효과가 있으며, 유행추구형은 소통공간과 애호도 간에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4는 부분채택되었다. 이를 통해 라이프스타일은 개인의 성향, 취향, 활동 스타일 등을 반영하므로, 카페의 제 3의 공간 특성에 부합할 경우, 해당 카페에 대해 애호도를 가질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카페를 운영하는 기업, 개인, 예비 창업자들이 제 3의 공간 특성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매장 운영전략을 수립할 때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또한 카페 시장 성장에 뒷받침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해 본다.

      • KCI등재후보

        카페 메뉴 만들기로 한국어 활용 수업 : 말하기 중심으로

        황은영(Eun-young Hwang),나은영(Eun-young Nha),양주리(Ju-ri Yang)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20 한국어교육연구 Vol.- No.13

        본 연구는 국내 외국인 근로자들에게 실용 문화적 측면에서 대중문화인 카페 음료 만들기를 통하여 한국어와 카페 음료 조리법을 교육하고자 한다. 외국인 근로자들의 경우 4년 10개월의 체류가 끝나면 자국으로 돌아가야 하는데 이들 중에는 한국에서 배운 기술로 사업을 하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 많다. 현재 한국에서 대중적인 사업의 하나인 카페 창업은 외국인들도 관심을 가지는 사업 테마이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카페 메뉴로 음료를 만드는 과정을 통해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쉽고 흥미 있는 수업을 제공함과 동시에 실습을 함으로써 비즈니스와도 연결할 수 있다고 보았다. 연구를 위해 먼저 이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카페 메뉴를 찾아 한국어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수업 내용으로는 주제와 관련된 동영상 시청하기, 카페 메뉴 선별하여 레시피 교재 만들기, 레시피 교재 내의 수업의 과정을 메뉴별로 정리하였다. 연구 대상은 광주지역의 세종외국인문화센터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 근로자 중 이 수업에 관심 있는 신청자 6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3명씩 2조로 하여 하루 2시간씩 주 2회로 6주 동안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 결과, 카페 음료 주문하기와 손님 응대하기 등의 카페와 관련한 실제적 한국어 말하기 향상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학습자들이 카페 메뉴를 만드는 기술을 배워서 본국으로 돌아간 후 카페 사업의 가능성도 열어 줄 수 있다는 점에서도 부수적인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educate foreign workers in Korea on how to speak Korean naturally by making cafe drinks in practical and cultural aspects. Foreign workers are required to return to their countries after their four-year and 10-month stay. Many foreign workers want to go back to their home country and do business by learning technology during their stay in Korea. Currently, one of the popular businesses in Korea is the setup of a cafe. Therefore, the study aims to teach foreign workers Korean easier and more interestingly and practice the process again through the process of making drinks with a cafe menu, one of Korean culture. The class also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nnect with business after going back their home countries. First, we looked at the prior research related to this and found out how to use the cafe menu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content summarizes that practical Korean language classes are possible by watching videos related to the topic, selecting cafe menus, making textbooks, and using conversations used in cafes in Korean conversation textbooks. The study was conducted twice a week (Saturday, Sunday) for two hours a day, with six applicants interested for the class, by the two groups of three each among foreign workers learning Korean at the Sejong Foreign Cultural Center in Gwangju. This class not only helped them speak Korean about making cafe drinks, but also helped them speak practical Korean about cafes such as ordering cafe drinks and serving customers. In addition, they learned how to make cafe menus and opened up the possibility of cafe business after going their home countrie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learners rose in practical Korean speaking levels and had good beverage manufacturing skills effectively.

      • KCI등재

        베이커리 카페의 방문수요 결정요인 분석 - 수도권 베이커리 카페 중심으로 -

        이우승 한국외식경영학회 2022 외식경영연구 Vol.25 No.4

        This study aimed to empirically identify the determinants and influences on the demand for visits to bakery cafes in consideration of service qualit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urpose of visit by identifying the determinants that affect the demand for visits to bakery cafes metropolitan area.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SPSS 25.0 and LIMDEP 8.0 were used for analysis and Truncated Poisson and Truncated Negative Binomial were used for determinant analysis. In the results, among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t was found that high income, high education, married, and femal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number of visits to bakery cafes and among factors of the purpose of visiting bakery cafes, it was found that healing and relax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number of visits to bakery cafes. Among the service quality factors, the physical environmen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number of visits. These findins are expected to provide practical information on factors affecting the demand for visits to bakery cafes, and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 marketing strategy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bakery cafes through demand management for bakery cafes. 본 연구는 수도권 베이커리 카페 방문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파악하여, 베이커리 카페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방문목적, 서비스품질을 고려한 베이커리 카페 방문수요에 대한 결정요인 추정 및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 되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SPSS 25.0 및 LIMDEP 8.0을 활용하였고, 결정요인 분석은 Truncated Poisson 모형과 Truncated Negative Binomial 모형을 사용하여 추정하였다. 연구결과 인구통계학적 특성의 경우, 소득이 높고, 고학력의 기혼 여성들이 베이커리 카페 방문횟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베이커리 카페 방문목적의 경우 힐링 및 휴식이 베이커리 카페 방문횟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베이커리 카페 서비스품질의 경우 물리적 환경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베이커리 카페 방문수요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대한 실질적 정보를 제공하고, 베이커리 카페에 대한 수요 관리를 통해 베이커리 카페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

        설치미술이 적용된 카페공간의 특성에 관한 연구-중국 운남성 사례를 중심으로-

        손옥박(제1저자) ( Yubo Sun ),이정교(교신저자) ( Junggyo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5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0 No.6

        (연구배경 및 목적)중국은 개혁개방 이후에 급속한 경제발전으로 인해 소비자들이 물질적인 소비 단계를 넘어 정신적 소비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 그리고 경제 발전과 함께 예술분야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특히 설치미술은 현대 예술가들이 선호하는 표형방식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경제와 예술의 발전은 새로운 문화를 형성시키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영향으로 카페와 설치미술이 결합된 복합 공간은 상품 소비와 문화 소비가 동시에 일어나고 있으며, 양적으로도 증가하고 있다. 운남성(雲南省)은 중국 대륙 최초의 커피 재배지 및 미래 경제발전의 중요한 구역으로서 그곳의 잠재력이 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설치미술이 적용된 대표적인 카페를 선정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고 향후 발전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본 연구는 중국의 여행 사이트에서 추천된 인지도가 높은 카페를 수집한 후에 그 중에서 설치미술이 활용된 운남성의 카페를 연구사례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제 2장 이론적인 고찰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설치미술과 카페공간의 특성을 살펴보고, 카페의 사례별 특성을 정리하여 평가기준의 항목을 유형화 하고 재분류하였다. 그 다음에 사례분석을 위해 제 3장에서는 설문조사의 방법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기술통계의 방법을 이용해서 평균값을 계산하였다. 설문대상들이 평가의 이유 및 기준을 분석하기 위해서 재조사를 하였다. 측정 방법은 5점 척도를 사용하여, 다이어그램 분석을 하였다. 마지막 제 4장에서는 연구 내용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여 결론을 제시하였다.(결과)첫째, 카페의 기능적인 특성은 고르게 발전되고 있었다. 이중에 소통, 힐링, 노마드 특성은 상대적으로 약하게 나타났다. 둘째, 설치미술 특성 중에 상호작용성과 일시성은 상호 연계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카페 공간 특성 중에 문화 소비 특성과 힐링 특성은 밀접한 관계에 있음을 발견하였다. 셋째, 설치미술과 카페 공간 특성은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상호작용성은 소통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로 연계성이 있었다. (결론)현대적인 카페는 식음(食飮)만 판매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문화 소비 활동을 체험할 수 있는 복합적인 공간으로 변모되어야 할 것이다. 중국 운남성의 카페는 전반적인 시설 면에서 고정적인 공간에서 장기적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이동, 변형, 개설하기가 쉽지 않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시대와 시류에 부합하며, 설치미술이 적용된 이색적인 카페 공간을 만들어 제안하고자 한다. 아울러 중국의 카페는 양적으로 성장을 이루었으나, 질적인 면에서의 고려가 필요하므로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하고자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China`s dramatic economic development following the economic reforms enables Chinese consumers to be in psychological consumption stage beyond physical consumption stage . Along with rapid economic development, the field of art is changing fast. Illustration art is particularly gaining popularity as a form of expression preferred by modern artists. The development of economy and art is giving rise to a new culture. Due to this change, complex spaces combining cafes and installation art demonstrate product consumption and cultural consumption at the same time. Further, the number of complex spaces is increasing. Yunnan Province is the first coffee plantation in China and is an important economic development zone with high potential. (Method) This study collected the data on famous cafes from Chinese tourism website and selected the cafe in Yunnan Province to examine the role of installation art. As discussed in chapter two, this study examined previous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installation art and the cafe space and reclassified the items of assessment standard after reviewing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cafe. Next, for the case analysis, given in chapter three, this study analyzed data collected from a survey and calculated the average value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For the purpose and assessment of the survey, another survey was conducted on a five-point scale using diagram analysis. Lastly, chapter four comprehensively summarizes the study and provides conclusions. (Results) First,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cafe were evenly developed. Among those characteristics, communication, healing, and nomad were relatively weak. Second, an interrelation between interactivity and temporality among the traits of installation art was found. Furthermore, both the traits of cultural consumption and healing were closely related to many traits of the cafe space. Third,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traits of installation art and the cafe space. The interactivity influenced the trait of communication, and both were found to be connected . (Conclusions) A modern cafe does not only serve food and beverages but is also a complex space where a consumer can perform various cultural consumption activities. In Yunnan province in China, most of the cafes operate in a fixed place for a long time as a facility, thus, the movement, transformation, and establishment of a cafe are not easy. To solve this issue, this study suggests the establishment of a unique cafe space with installation artworks in line with the current trends. Additionally, this study warrants a qualitative study on cafe spaces as the said cafe demonstrated a quantitative growth. Moreover, although the Chinese cafe achieved a quantitative growth, the qualitative aspects also need to be considered, and more studies need to explore this further.

      • KCI등재

        Tobit 모형을 활용한 디저트카페 외식소비 지출결정요인 분석

        이원옥 한국관광연구학회 2022 관광연구저널 Vol.36 No.3

        외식산업에서 디저트 외식시장이 기여하는 경제적 효과와 발전 방안 모색을 위해서는 소비자들이 디저트 시장에서 지출한 비용의 추정과 소비 지출구조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디저트카페를 이용해본 경험이 있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지출결정요인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즉 디저트카페에 대한 소비 지출이 어떠한 유형의 변수로부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가를 파악하여 이에 대한 수요와 지출 특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추정하기 위해 Tobit모형을 적용하여 분석을 실시하고 설명변수와 종속변수의 인과관계를 추정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국내 디저트 카페 지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실무적으로 디저트카페 소비자들의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소비지출 특성을 고려하여 디저트카페를 운영함으로써 소비자의 만족도 제고 및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학술적으로는 디저트시장의 경제적 파급효과와 관련하여 소비자의 지출 구조 분석 및 소비지출 결정 요인에 대해 실증분석을 실시함으로써 디저트 외식시장의 산업효과에 대한 근거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디저트카페 상품의 지출결정요인을 추정하기 위해 Tobit 모형을 적용하여 설명변수와 종속변수의 인과관계 추정결과를 살펴보면, 평균 연령이 37세로 고소득의 여성일수록 상대적으로 디저트카페에 많은 지출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디저트 종류 중에서 베리에이션 커피와 베이커리가 소비지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디저트카페에 대한 정보획득경로가 인터넷이나 SNS일수록 지출비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저트카페 선택속성에 대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디저트카페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은 메뉴특성 요인과 분위기 요인일수록 소비지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디저트카페를 방문하는 동기에서는 맛의 향유 요인이 소비지출에 긍정적인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연구결과에 따른 시사점을 도출하였고, 최근 디저트 카페유형과 디저트 종류가 세분화 및 다양화됨에 따라 향후 연구에서는 이를 반영한 조사가 이루어진다면 디저트 외식시장에 대한 좀 더 면밀한 파악이 가능할 것이며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초석을 다져나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제주지역 특성을 반영한 카페건축에 관한 연구

        김정일,김형준 중소기업융합학회 2021 융합정보논문지 Vol.11 No.6

        본 연구는 제주지역 카페 중 제주의 고유한 특성을 반영하여 건축한 카페를 연구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이는 제주의 특성을 반영한 카페가 차별성과 고유성을 확보하여 나름의 경쟁력과 관광객의 지속적인 관심을 유지하고 있다 는 점에서 제주에서 카페를 창업하고자하는 예비창업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함이다. 또한 카페 건축에 적 용된 제주 고유의 특성들을 살펴봄으로써 제주지역을 이해하는 학술적 기반과 적용가능한 제주의 특성을 정리하였다. 연구는 문헌분석과 현장답사를 병행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카페에서 적용된 제주지역의 특성으로서 다음과 같은 내용을 알 수 있었다. 첫째, 현상적 물성의 반영이다. 이는 제주의 현무암 등 독특한 건축재료, 형태, 지붕 등 기존 건물의 물리적 요소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제주의 해석적 일상의 반영이다. 이는 제주 옛집의 배치, 일상소품 등을 카페에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제주의 서사적 시간성의 반영이다. 이는 기존 건물이 가진 역사적 사건과 이야기, 시간 등이 누적된 모습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점에서 제주에서 제주의 특성을 반영한 카페를 창업할 경우, 위의 세 가지 특성을 융합하여 구축한다면 매우 특성 있는 카페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a cafe built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Jeju among the cafes in Jeju. This is to provide practical help to prospective prep entrepreneurs who want to start a cafe in Jeju. The cafe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Jeju maintains its own competitiveness and constant interest of tourists by securing differentiation and uniqueness. In addition, by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of Jeju applied to cafe architecture, the academic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the Jeju and applicable characteristics of Jeju were summarized. The study was conducted in parallel with literature analysis and on-site analysis, and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tents were found. First, it is a reflection of Jeju's phenomenal materiality. Second, it is a reflection of Jeju's interpretive everyday life. Third, it is a reflection of Jeju's materiality time. In this regard, if prep entrepreneurs start a cafe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Jeju, they can create a cafe with very specific characteristics if they integrate the three characteristics above.

      • 소비자가 향유적인 카페를 선택하는 요인

        이지현,서주환 한국마케팅관리학회 2022 한국마케팅관리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04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국내의 커피 시장은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수요가 많은 만큼 과 잉공급으로 인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커피 업계에서는 고, 중, 저 가격대로 분류하 여 그에 맞는 고객의 니즈와 원츠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그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 커피 시장은 여러 프랜차이즈 커피숍부터 특색 있는 개인 카페들이 각각의 고객을 확보하고 있다. 2010년 무렵부터는 일정 지역에 커피숍의 점포가 밀집되어 있으면서 소비자들에게 단순히 커피 를 제공하는 것 이외에도 소비자들이 원하는 긍정적인 감정과 삶의 만족도를 높여주는 향유적인 형태의 커피숍 환경을 제공해주는 곳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Labbe et al. 2015). 기존의 선행연구에 서는 카페를 선택하는 요인이 단순히 접근성, 가격, 편리성 등으로 측정하거나 실용적인 카페와 향유적인 카페 중 선택하는 이유를 분석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대중화된 커피 문화 속에 서 커피를 선택하는 기준이 고급화되었다는 점을 고려하여 같은 향유적인 카페의 범주 안에서도 소비자들의 선택이 달라질 수 있는 다양한 원인이 무엇인지를 해석수준이론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같은 향유적인 환경에서도 소비자들의 선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연구하는 점에서 차별성을 가 질 수 있고 향후 카페 업계 이해도와 전략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국내 관광도시인 부산의 도시 중심부와 외곽 주변부의 다른 향유적인 환경을 비교하였다. 도시 중심부는 비교적 접근성이 좋으며 유동인구의 활동이 많은 장소이고, 이 에 반해 외곽 주변부는 모두 바다로 둘러싸여 있는 자연적 특징과 대중교통의 접근성이 좋은 편 은 아닌 곳에 위치해 있다. 부산에서 대표적으로 꼽히는 향유적인 카페 거리는 해운대, 광안리, 영도, 기장, 전포 지역이며, 각 지역의 카페거리는 특색 있는 이미지를 가진 고유한 카페거리를 형성하였다 (박은경, 김신원 2017). 해운대와 광안리는 오래 전부터 유명한 관광지였고 여러 유흥 문화가 많은 곳으로서 오로지 카페 방문만의 목적으로 고려했던 본 연구의 취지와는 맞지 않아 제외하였다. 그리하여, 크게 같은 특징의 지역으로 영도와 기장을 묶고 전포를 다른 특징의 지역 으로 나누어서 2개의 지역적 특성을 가진 향유적인 카페로 비교 분석하였다. 우선, 영도와 기장은 원도심에서 벗어나 접근성이 떨어짐에도 불구하고, 해안가를 따라 바다의 자연적 경관을 살린 고 급스러운 카페촌이 생겨나서 최근 들어 소비자들이 카페를 목적으로 방문하는 곳이다. 두 지역은 자연적, 지리적, 문화적인 특징과 함께 고급스러운 서비스스케이프 카페 공간이 결합되어진 곳이 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영도는 섬으로서 한국전쟁 당시의 많은 피난민들이 정착하였던 곳이라 과거의 역사적 흔적은 있지만, 현재는 고급스러운 카페 지역으로 재탄생하였다. 도심에서 이어지 는 다리로만 영도를 들어갈 수 있고 산과 비슷한 지역적 특성 때문에 운전이 쉽지 않고 접근하는데 제약이 있다. 기장은 동해바다를 배경으로한 화려한 구조물의 카페 50여개가 20km가량 이어 져있다. 이 곳은 부산의 주거 지역과 다소 거리가 떨어졌고 대중교통의 제약이 있어 대부분의 사 람들이 자동차를 이용하여 방문한다. 반면, 도시 중심의 전포 지역은 바다와 같은 자연적 환경은 없지만, 고급스러운 인테리어와 독 특한 소품 등이 트렌디한 감성을 이끌어낸다. 전포는 2013년 약 30여개의 카페들이 모이면서 최 초의 카페거리, ‘전리단길’이 형성되었다 (이숙희 2019). 커피를 주제로 매개한 특화거리가 형성되 어 (박수옥, 이웅규 2019), 현재는 대략 300개 이상의 카페가 모여 있다. 이 곳은 미국커피협회에 서 결점두가 적고 테이스팅 점수가 높다고 인정한 스페셜티 커피를 제공하는 커피 전문점이 많다. 앞서 언급한 두 지역의 카페와 가장 큰 차이점은 어느 지역에서도 접근성이 뛰어나고 영도와 기 장에는 없는 지하철이 카페 근처에 있어 교통이 편리하다. 그렇다면, 명확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 기장과 영도 그리고 전포의 향유적인 카페지역을 소비자 들이 선택하는 기준이 무엇인지를 해석수준이론(Construal Level Theory; CLT)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해석수준이론에 의하면 (Trope, Liberman 2010) 거리가 멀수록 일상에서 벗어나 자유 및 휴 식 등 추상적인 상위 수준으로 해석하여 판단한다. 반면, 거리가 가까울수록 기능 및 수단 등 구 체적이고 목적성 있는 하위 수준으로 해석하여 판단한다 (Kim et al. 2014). 즉, 거리가 먼 외곽 지 역의 카페를 선택하면 복잡한 곳에서 벗어나 자유와 휴식과 같은 감성적 동기에 의한 선택을 한 다. 반면, 거리가 가까운 시내 중심의 카페를 선택하면 커피 그 자체의 기능적, 수단적 측면에 주 목할 것으로 본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각 수준별로 영향을 주는 요인들은 크게 세대, 정보원천, 지출, 성별 등의 다양한 변수들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로지스틱스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기장과 영도 그리고 전포 지역으로 나누어서 각 지역을 선택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소비자들의 요인이 어 떤 것이 있는지 해석수준이론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가장 대중적으로 이용하는 카페를 통해 세대의 소비 행동을 이해하고 소비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아 브랜드 타겟팅과 가격 전략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게다가, 향 유적 카페를 선택하는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앞으로 생겨나게 될 카페 거리에 무엇이 필요한지 알 수 있고, 카페거리는 지역의 문화적, 경제적 부가가치 창출에 기여할 수 있다.

      • KCI등재

        부산시 카페 생존분석: 프랜차이즈와 독립카페 간 비교

        최누리,김인신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022 호텔경영학연구 Vol.31 No.7

        This study estimates the survival function of coffee shops and examines commercial gentrification which is threatening coffee shop business locations in Busan, Korea. Data from 1972 to 2022 were collected from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and survival analysis of a total of 9,362 coffee shops that have opened in Busan, Korea were performed using R. 4.1.3 version. Analysis results showed 50% of coffee shops in Busan failed within five years. That is, the most important period for survival of coffee shop in Busan is the first five years. Kaplan-Meier analysis results indicated significantly different survival rates among Jeonpo, Oncheoncheon, and Yeongdo. Coffee shops in Yeongdo showed to have a higher survival possibility than those located in Jeonpo and Oncheoncheon. Additionally, a difference test of survival rates between franchise and independent coffee shops in three locations was performed to verify commercial gentrification. The survival time of franchise coffee shops was more likely to survive than independent-coffee shops in Jeonpo and Yeongdo while survival time was not different between franchise and independent coffee shops in Oncheoncheon. According to these findings, we present implications on the need for local government’s support and policies for the long-term survival of coffee shops. 이 연구는 부산시에 위치한 카페의 생존함수를 추정하였으며 현재 부산시 카페상권에서 위협으로작용하는 상업젠트리피케이션 현황을 진단하였다. 행정안전부에서 제공한 데이터를 통해 1972년부터 2022 년까지 개업한 카페 9,362개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를 R. 4.1.3버전을 사용하여 생존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부산 전체 카페는 개업 직후부터 폐업의 위험에 직면하며 5년이 되는 시점에서 생존율이 50%에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산지역에서 개업한 전체 카페의 50%는 개업 후 5년까지 지속적으로 폐업위험에 노출되고 있었다. 또한 카플란마이어 분석을 수행하여 전포, 온천천 및 영도 카페상권의 생존함수를비교한 결과, 세 지역의 생존함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영도 카페상권이 전포 및 온천천카페상권 보다 폐업 위험율이 낮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상업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을 진단하기 위해 세곳의 카페상권을 프랜차이즈카페와 독립카페로 분류하여 생존함수를 도출한 결과, 전포와 영도 카페상권의경우는 생존함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나, 온천천 카페상권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방정부에 카페의 생존기간을 길게 유지시키기 위한 정부 차원의 보호 및 지원정책과함께 카페상권의 특성을 반영한 세부 지원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