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서비스마케팅 국가간 비교연구

        주전전,김병대 한국마케팅관리학회 2023 한국마케팅관리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04

        최근 사회경제 구조가 “서비스”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 선행연구는 서비스 업종의 비교연 구 이외에도 서비스의 비교문화연구 또한 중요한 연구 분야이지만 최근의 서비스마케팅 비교 문화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최근 5년간 서비스마케팅에관한 한•중 학 술지 연구 주제어를 분석하고, 주요 이슈들과 향후 연구 과제를 도출하고 한•중 연구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각 논문별 키워드를 R을 활용한 워드클라우드를 적용하여 서비스마케팅 비교연 구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17년~2021년 한•중 학술지(한국 RISS, 중국 CNKI)에 게재된 서비스마케팅 관련 연구를 대상으로 ‘서비스마케팅’을 주제어로 제목 또한 키 워드를 검색하여 최근 5년간 총 204편(한국 160편, 중국 44편)을 수집하였다. 분석결과에서 한•중 서비스마케팅에 대한 연구편수는 약 4배의 차이가 있다. 한국은 SNS , 고객만족, 내부마케팅, 마케팅, 마케팅믹스, 서비스마케팅, 서비스품질 등의 순으로 나타난다. 중국은 서비스마케팅, 대학도서관, 공공디지털문화서비스, 서비스디자인, 마케팅, 도서관 등의 순으로 나타난다. 한국의 서비스마케팅연구는 세계적인 연구동향에 맞추어, 연구주제, 연구범 위가 다양하게 증가하고 있다. 중국 서비스마케팅 연구현황 및 전략적으로 집중 연구를 하고 서비스마케팅에 대한 주제어 세분화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한국은 SNS, 고객만족, 내부 마케팅이 같은 연구의 주제가 지속적으로 등장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중국은 서비스마케 팅, 대학도서관, 공공디지털문화서비스 등 연구의 주제가 지속적으로 등장하고 있는 것으로 확 인된다. 본 연구는 한중 서비스마케팅의 최근 5년간의 연구동향 비교연구를 파악하고 향후연구를 위한 현안들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한국명화작품에 대한 아트 인퓨젼 효과: 작품유형과 문화적 요인 이 명화차용제품태도에 미치는 영향

        정보희 한국마케팅관리학회 2019 한국마케팅관리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10

        과거 상류층이 향유하는 고급문화로 간주되던 예술작품은 오늘날 브랜드 차별화 와 시장 선점을 위한 전략적 마케팅 도구로써 대중화되고 있다. 아트인퓨젼(art infusion effect)은 이러한 기업의 명화 사용전략에 대한 긍정적 효과를 설명하고 있는 개념이다. 보 다 구체적으로, 아트인퓨젼이란 사람들이 지각하는 명화에 대한 인지적 범주에서 유발된 고급스러움(luxury)이 해당 명화가 차용된 제품에까지 전이(spillover)되어 해당 제품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게 됨을 의미한다(Hagtvedt and Patrick 2008). 그러나 최근 연구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시장에서 많이 사용된 일반적이고 익숙한 형태의 서양명화차용은 오히려 소비자로 하여금 부정적인 제품태도를 유발할 수 있다(Jung, Joo and Lee 2016). 뿐만 아니 라 시장에서도 다양한 종류의 서양명화들이 여러 범주의 제품군에서 이용되면서, 보다 차 별적이고 구체화된 형태의 명화차용전략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Naletelicha and Paswanb, 2018). 이러한 필요와 함께 국내 명화의 차별적 경쟁력을 확인, 제안하고자 본 영화는 국 내명화의 유형을 구분하고(동양화기법oriental vs. 서양화법occidental) 이에 대한 아트인퓨 전 효과에 대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제안하고 있는 명화가 유발하는 고급스러움의 제품 전이라는 매커니즘과 함께(Hagtvedt and Patrick, 2008), 명화차 용제품이 가지게 되는 독특성(uniqueness)에 대한 평가가 궁극적으로 제품평가에 어떠한 영 향을 미치는지 검증해보고자 한다. 명화(masterpiece)를 규정하는 예술작품에 대한 평가는 문화(culture)와 긴밀한 관계 를 맺고 있다(Mcrobbie 1999). 특히 다수의 문화심리학 관련 연구들은 서구문화권과 동양문 화권의 사람들을 사물을 관찰, 인지, 추론하는 방식에 있어서 서로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 을 지적하고 있다(de Oliveira and Nisbett, 2017; Hofstede, 1980; Morris and Peng, 1994; Nisbett, Peng, Choi, and Norenzatyan, 2001; Varnum, Grossmann, Kitayama, and Nisbett, 2010). 즉 같은 대상에 대해서도 사전지식에 차이가 존재하는 다른 문화권에서는 다른 평가를 내 리게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Fiske and Linville, 1980). 이러한 맥락 하에서 한국작가의 작품 이 차용된 명화제품에 대한 평가에 있어서도 작가와 같은 문화권에 속한 한국소비자와 다 른 문화권에 속한 소비자 간 차별적 효과가 나타날 수 있음을 예상해 볼 수 있다. 정리하면,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명화의 우수성을 시장에 알 리고, 대중화를 위한 방법을 찾아보고, 기존 서구명화를 자극으로 하여 이루어져왔던 아트 인퓨젼 연구 결과의 확장을 위하여 한국작가의 국내명화를 그 기법에 따라 두 가지 유형 (동양화법oriental vs. 서양화법occidental)으로 구분하여 명화차용의 효과성을 검증해보고 자 하였다. 둘째, 대상에 대한 차별적 평가를 내리게 되는 주 요인 중 하나인 소비자의 문 화적 특성에 따라 국내명화 유형에 따른 아트인퓨젼 효과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확인해보고 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존에 제안되지 않았던 새로운 아트인퓨젼 효과의 매개변수로서 명화에서 유발되는 제품 디자인의 독특성 지각의 효과를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모형은 [Figure 1]과 같다. 본 연구는 가설 검증을 위해 한국과 미국 각각에서 온라인 서베이 수행하였으며, 총 270개 데이터(한국: 137개(male 65(48.8%), mean age: 35.11(20-49), art major 6(4.5%), 미 국: 137개 (male 65(47.4%), mean age: 33.42(19-69), art major 8(5.8%))를 수집하였다. 실험은 2 (art type: oriental vs. western; within-subject factors) x 2 (cultural background: Korea vs. US; between-subject factor) 혼합설계로 디자인 하였다. 실증연구결과, 작품유형이 동양화기법인 경우 서양화기법인 경우보다 차용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고, 소비자가 미국인인 경우(vs. 한국 소비자) 한국명화차용제품에 대한 태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상호작용효과 의 구체적인 검증을 위하여 문화적 배경이 한국일 경우와 미국일 경우로 나누어 ANOVA 분석을 수행해 본 결과, 한국소비자의 경우에는 작품유형의 주효과가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미국소비자인 경우에는 동양화기법의 명화가 차용된 제품에 더 호의적인 평가를 하였다. 즉 한국작가의 작품이 동양화 기법인 경우 서양화 기법인 경우에 비해서 차용된 제품에 대 한 태도가 전반적으로 호의적이었으며, 특히 서양 문화권의 경우에는 서양화기법을 차용한 제품에 대한 태도가 특히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효과는 제품에 대한 독특성지각과 고급스러움 지각의 이중매개에 의해 설명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명화의 유형이 명화차용제품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지각된 고급스러움의 매개효과는 서양문화 권 소비자보다 동양문화권 소비자에게서 더 크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기존 명화차용 연구에서 다루고 있지 않던 국내작가의 작품에 대한 아 트인퓨젼 효과를 국내와 미국시장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살펴봄으로써, 학문적으로는 기존 아트인퓨젼 연구를 확장하고, 실무적으로는 국내명화를 통한 제품 차별화 가능성과 국내 명화 자체의 세계시장에서의 대중화 가능성에 대한 전략적 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국내외 마케팅 학술지의 영향력: Kor-Factor와 Impact Factor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조은성,송재도 한국마케팅관리학회 2011 마케팅관리연구 Vol.16 No.2

        This study has four research goals. Firs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eight Korean marketing journals. Previous ranking studies on Korean marketing journals collected citation data of only one or two journals, and their results were fundamentally influenced by self-citation. Our analysis controls self-citation by utilizing citation data of more than 1,000 journals included in Korea Citation Index (hereafter, KCI). Second, this study offers an updated report on the rankings of international marketing journals. While many studies have examined the rankings of international marketing journals, extensive reviews are rarely found. This study provides useful information by comparing the results of existing studies with various types of analysis based on recent data. Third, this study raises extensive criticism against Impact Factor and Kor-Factor (a new journal influence measure that is sponsored and published by KCI). Finally, this study introduces recent advances in journal influence indicators. We used Thompson Reuters' 2008 Journal Citation Report, Scopus' 2008 SJR indicator and SNIP for analyzing international marketing journals' influence. This study examined eight Korean marketing journals, that is, Journal of Korean Marketing Association (JKMA), Journal of Consumer Studies (JCS),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Research (JMMR),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Korean Marketing Journal, Journal of Distribution Research, Advertising Research, and Journal of Global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Citing and cited data of the journals were from KCI. Impact Factor failed to produce good descriptions of international marketing journals' rankings. For example, JCR scored only tenth in 2008 Impact Factor, lagged behind JCP, JPIM, JCA, JIM, and IJRM. Five-year Article Influence and h-j index report the most reasonable rankings. Their Top Four list coincides and consists of JM, JMR, JCR and JCR. Their Top Ten list also coincides and includes JCP, JIcM, JAMS, JPIM, IJRM and JR. In Korean marketing journals, JKMA ranked top in all of the influence measures. JCS and JMMR occupied second and third, respectively. Keywords: Citation analysis, Marketing journal rankings, Journal ranking, Journal influence, Impact Factor, Kor-Factor, h-index, Eigenfactor, Article Influence, SJR indicator, SNIP 본 연구는 네 가지 연구목적을 갖고 있다. 첫째, 본 연구는 국내 마케팅 분야 8개 주요 학술지의 영향력을 분석한다. 국내 소비자와 광고 분야 학술지의 영향력을 조사한 기존 연구들은 자기인용을 통제하지 못했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아직 마케팅 전 분야를 포괄하는 학술지의 영향력 조사는 발표된 바 없다. 둘째, 본 연구는 기존 연구 결과 및 최신 자료를 이용한 다양한 지표들을 제시함으로써 해외 마케팅 학술지의 영향력을 제시한다. 셋째, 본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이 발표한 Kor-Factor의 논리적, 실증적 문제점을 지적한다. Kor-Factor는 국내 학술계 전반에 큰 파급효과를 미칠 수 있으나, 아직 그 문제점을 지적한 연구는 찾을 수 없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Kor-Factor 및 Impact Factor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최신의 연구 결과들을 소개한다. 구체적으로는 학술지용 h-지수, Eigenfactor의 Article Influence , SJR indicator, SNIP 등의 방법들이 논의된다. 본 연구의 해외 마케팅 학술지 관련 분석은 Thompson Reuters and Scopus 홈페이지의 2008년 기준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국내 마케팅 학술지 분석은 마케팅 분야 8개 학술지에 대한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의 2004년부터 2008년까지의 인용 및 피인용 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해외 마케팅 학술지의 영향력을 분석함에 있어 Impact Factor보다는 학술지용 h 지수, Article Influence, SNIP 등의 최신 지표들이 더욱 타당성 있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국내 마케팅 학술지에 적용한 결과 모든 영향력 지표에서 마케팅연구가 1위를 기록하였으며, 소비자학연구와 마케팅관리연구가 각각 2위와 3위를 차지하였다.

      • KCI등재

        B2B 시장에서 디지털 기반 고객추천 마케팅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이한근,강성호 한국마케팅관리학회 2018 마케팅관리연구 Vol.23 No.4

        The use of customer reference marketing based on digital media such as web-page, social network service, and mobile channel to facilitate marketing and sales in business to business markets has received growing interest among practitioners and academics. Customer reference marketing can be considered part of customer-based assets, which are accumulated through the relationships the firm has built with its customers and are often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type of marketing assets. Although studies have highlighted the effectiveness of digital-based customer reference in reducing the potential buyer’s risk and increasing the supplier’s firm value, the existing research remains unclear about how firms are actually leveraging digital based customer reference as marketing assets.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and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digital-based customer reference marketing and to explore the ways in which digital-based customer reference marketing can be leveraged as marketing assets. To test the hypotheses, qualitative data of 10 in-depth interviews and 141 responses from the managers implementing the digital-based customer reference marketing were obtained. The proposed model was estimat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uggest that digital-based customer reference marketing is positively related to market-based leverage and resource-based leverage. Also, market-based leverage and resource-based leverage are positively related to the firm’s performance. In addition, we found a positive moderating effect of market turbulence between digital-based customer reference marketing and market-based leverage.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nd limitation of the research are discussed together with future research directions. 최근 디지털 환경의 도래로 B2B 기업들은 디지털 마케팅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B2B 기업들은 자사의 웹페이지, SNS, 모바일 등의 채널을 토대로 디지털 기반 고객추천 마케팅을 실행하고 있다. 고객추천 마케팅은 기존고객이 공급업체의 제품, 서비스, 솔루션 등을 추천하는 디지털 기반 커뮤니케이션 활동으로서, 시장에서의 브랜드 인지도 및 브랜드 자산의 구축, 구매위험 감소 등 다양한 기업가치를 창출하는 마케팅 수단이다. 하지만 고객추천 마케팅의 다양한 효과성에도 불구하고 실무자들은 여전히 고객추천 마케팅이 어떠한 메커니즘으로 기업의 자원을 레버리지하고, 그 효과성의 구체적 내용은 무엇인지에 대한 의문점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급업체의 디지털 기반 고객추천 마케팅에 대한 레버리지 요인(시장기반 레버리지와 자원기반 레버리지)과 효과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고객추천 마케팅은 시장기반 레버리지와 자원기반 레버리지를 모두 증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고객추천 마케팅이 잠재고객들에게 자사의 역량을 소구할 수 있는 가치 증거로서 활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공급업체들은 기존고객의 추천사례, 자사의 솔루션 평가 등을 통하여 시장기반 학습을 함으로써 기업의 자원을 레버리지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시장기반 레버리지는 시장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자원기반 레버리지는 기업의 R&D성과를 증대시키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마지막으로 시장 동태성이 높을수록 공급업체들은 고객추천 마케팅을 통한 시장기반 레버리지에 더욱 초점을 맞추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즉, 공급업체는 고객의 욕구가 다양할수록 기존고객들과 수행하였던 다양한 프로젝트와 솔루션 등을 잠재고객에게 제공함으로써 자사의 브랜드 가치, 기업역량 등을 전달하는데 고객추천 마케팅을 활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정성적·정량적 분석을 토대로 다양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마케팅관리연구 』발간 10년과 미래방향

        유창조 한국마케팅관리학회 2005 마케팅관리연구 Vol.10 No.3

        올해로 마케팅관리연구는 발간을 시작한지 10년을 맞이하게 되었다. 마케팅관리연구는 1995년 동남마케팅연구를 발간하면서 출발하여 1996년 마케팅관리연구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2000년부터는 년 3회 발간을 시작하여 이제 10권의 마지막 호를 발간하게 되었다. 마케팅관리연구의 편집장으로 본인은 학술지 발간 10년을 축하하고 기념하면서 김종배와 이민영 (2005)의 마케팅관리연구에 게재된 논문의 종합분석과 함께 마케팅관리연구의 미래방향에 관한 특별기고란을 편성하여 마케팅관리연구의 과거를 돌아보고 현재의 문제점과 미래의 발전방향을 논의하고자 한다.

      • KCI등재

        문화마케팅과 전통적 마케팅 전략이 소비자의 소매점 평가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이문규,문연경 한국마케팅관리학회 2008 마케팅관리연구 Vol.13 No.2

        Many marketers these days are offering consumers cultural events and promotions (or ‘culture marketing’ in short) to appeal to their emotions. This research makes an attemp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uch culture marketing activities as compared to those of traditional marketing (a.k.a., marketing mix) on consumer evaluations and loyalty. Major department stores and their customers were selected and studied in the present research since those stores were heavily engaged in such promotional activi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as expected, traditional marketing performance has a significant and direct impact on consumer store evaluations and loyalty, measured as perceived service quality and repurchase/ word-of-mouth intentions,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culture marketing activitie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onsumer evaluations and loyalty only through their effect on traditional marketing performance. The study provides an important insight for researchers and marketers alike in the sense that it has separated the direct effect of traditional marketing from the indirect impact of cultural marketing on consumer behavior.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in this paper. 최근 마케터들은 소비자들의 감성에 어필하기 위하여 여러 형태의 문화마케팅적 활동에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화마케팅 노력이 전통적인 마케팅 활동에 비하여 얼마나, 그리고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행해졌다. 연구의 대상으로서 현재 문화마케팅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는 백화점과 그 이용객들이 선정되었다. 연구결과, 전통적인 마케팅 활동은 소매점 서비스품질에 영향을 미치고, 또한 이를 통해 소비자 충성도를 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문화마케팅은 항상 전통적 마케팅(즉, 마케팅믹스)에 대한 평가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서비스품질과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소매점 소비자 평가에 대한 전통적 마케팅 활동의 직접적 효과와 문화마케팅의 간접적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리해낸 데 그 학술적, 전략적 시사점을 갖는다. 연구결과에 대한 의미가 본 논문에서 토의된다.

      • COVID-19 Restrictions and Variety-Seeking in Travel Choices and Actions : The Moderating Effects of Previous Experience and Crowding

        한국마케팅관리학회 한국마케팅관리학회 2021 한국마케팅관리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05

        This paper investigates how the perceived threats caused by COVID-19 affect consumers’ travel choices and actions by influencing their intentions to seek variety. Four studies show that the perceived threat of COVID-19 increases variety-seeking in travel choices. Study 1 finds that travelers who perceive a greater threat of COVID-19 tend to undertake more varied activities during their travel. Study 2 shows that the main effect exists only for individuals who have previously visited the destination. Study 3 replicates the moderating effect of previous visiting experience by using a different way to manipulate the perceived threat of COVID-19. Study 4 illustrates the moderating impact of another important factor; the number of travelers included in the companies’ communication messages. The paper concludes by discussing the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