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게슈탈트 모래놀이치료 집단상담이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 및 자존감에 미치는 효과

        유채은 ( Chae Eun Yoo ) 한국게슈탈트상담심리학회 2019 한국게슈탈트상담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게슈탈트 모래놀이치료 집단상담이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과 자존감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부산시 소재 D대학교에 재학생 중 집단상담에 참가를 희망하는 학생 20명이다. 이들은 실험집단 10명과 통제집단 10명으로 무선배치되었다. 실험집단은 주 1회, 매회 120분, 총 10주 동안 게슈탈트 모래놀이치료 집단상담에 참가하였다. 집단상담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측정도구는 대인관계능력척도와 자존감척도를 사용하였고,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게슈탈트 모래놀이치료 집단 상담은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만족감, 감정이해, 의사소통, 개방성의 대인관계능력 하위척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게슈탈트 모래놀이치료 집단상담은 대학생의 자존감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게슈탈트 모래놀이치료 집단상담은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 및 자존감 향상에 효과적이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상담영역에서 게슈탈트 모래놀이치료 집단상담의 활용 가능성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ffects of Gestalt Sandplaytherapy Group Counseling on college students' interpersonal relation skills and self-esteem.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er surveyed 22 college students of D university. They were randomly allocated 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each of which consisted of 10 members. Measurement devices used to verify hypotheses made here were Interpersonal Relation Skills Test and Self-Esteem Test. After these tests, the group counseling was applied over 10 sessions, with 1 session a week and 120 minutes per session based. To verify effects of the Gestalt Sandplaytherapy group counseling on those college students' interpersonal relation skills and self-esteem, further, mean and standard deviation values were calculated with scores from pre- and post-tests in accordance with hypotheses proposed here. Then, t-tes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significance of mean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of the study can be described as follows. First, the group who participated in Gestalt Sandplaytherapy Group Counseling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core for interpersonal relation skills than the other group who didn't. Second, the group who participated in Gestalt Sandplaytherapy Group Counseling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core for general skills as a sub-area of self-esteem than the other group who didn't.

      • KCI등재

        집단상담 숙련전문가의 발달 특성 분석

        권경인,지희수 한국상담학회 2010 상담학연구 Vol.11 No.3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analyze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skilled expert's expertise in group counseling. In this study, the skilled expert means professionalist corresponding to the stage before the group counseling master after the master's and doctor's courses which hasn't been researched in the developmental of the existing group counseling. The group counseling skilled experts as study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by using the purposive sampling method. As for their concrete criteria for selection, first they practically experienced in group counseling for over 10 years and second, are still taking care of group counseling and third, are training control professional counselors of the Group Counseling Association or counselors who proceed with group counseling super vision and fourth, are counselors with counseling related certificates for over 5 years. The counselors in compliance with these criteria for selection were called group counseling skilled experts and finally 10 study participants were selected. For a consistent interview with the study participants, an interview schedules was prepared and twice individual interviews were performed and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by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Strauss & Corbin, 1998). As a results of categorization of the interview data through open cording, axial cording and selective cording, 53 notions, 31 sub-categories and 12 categories were deducted. In the analyzed result, the important subjects in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group counseling skilled experts are as follows. They are selection of group counseling, recognition of group counseling as an important method to maintain expertise, conversion to deeper expertise, initial demand and demand of consistent expertise elevation, serious events which influenced the group counseling skilled experts / disappointment felt as a person and group counselor and its countermeasures, contribution to personal life, method for maturity, application of flexible theories and skills, change to an expert, professional characteristics and evaluation basis on the group counseling performance and etc. 본 연구는 집단상담 숙련전문가의 전문성 발달 특성을 분석하는데 목표가 있다. 본 연구에서 숙련전문가는 기존의 집단상담 발달 연구에서 탐색되지 못한 대학원 석⋅박사 과정 이후부터 집단상담 대가 이전의 단계에 해당하는 전문가들을 의미한다. 연구 참여자인 집단상담 숙련전문가는 목적표집 방법으로 선정하였고, 이들의 선정 기준은 첫째, 집단상담 실무경험이 10년 이상, 둘째, 현재에도 집단상담을 진행하고 있는 상담자, 셋째, 집단상담학회 수련감독 전문상담사이거나 집단상담 수퍼비전을 진행하는 상담자, 넷째, 상담 관련 자격증을 소지한 지 5년 이상인 상담자였다. 이에 부합하는 상담자를 집단상담 숙련전문가로 명명하고 최종 10명의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였다. 연구 참여자와의 일관된 면담을 위해 면담흐름표를 작성한 후 2차에 걸친 개별면담을 실시하였고, 면담 자료는 근거이론 접근 방식(Strauss & Cobin, 1998)으로 분석하였다.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을 통해 면담자료를 범주화한 결과, 53개의 개념, 31개의 하위범주, 12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분석 결과 나타난 집단상담 숙련전문가의 발달 특성의 중요 주제는 다음과 같다. 집단상담의 선택, 집단상담을 전문성 유지를 위한 중요한 방식으로 인식, 더 깊은 전문성으로 전환, 초기 요구와 지속적인 전문성 고양의 요구, 집단상담 숙련전문가에 영향을 미친 중대 사건/ 사람, 집단상담자로서 느끼는 좌절과 대처 방법, 개인적 삶의 기여, 전문성을 유지, 성숙 시키는 방법, 융통성 있는 이론과 기법의 적용, 전문가로의 변화, 전문적 특성, 집단상담 성과에 대한 평가 근거 등이다.

      • KCI등재

        진로의사결정 상담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 능력에 미치는 효과

        이현림(Hyun Rim Lee),김지영(Ji Young Kim) 한국상담학회 2001 상담학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진로의사결정 상담프로그램을 이용한 진로상담이 대학생들의 진로의사결정 능력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문제는 첫째, 진로의사결정 상담을 받은 집단과 받지 않은 집단 간의 진로의사결정 유형 변화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다. 둘째, 진로의사결정 상담을 받은 집단과 받지 않은 집단 간의 진로의사결정 수준 변화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다. 셋째, 진로의사결정 개인상담과 집단 상담을 받은 집단 간의 진로의사결정 능력변화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정된 가설은 첫째, 진로의사결정 상담을 받은 집단은 받지 않은 집단보다 진로의사결정 유형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향상 될 것이다. 둘째, 진로의사결정상담을 받은 집단은 받지 않은 집단보다 진로의사결정 수준이 향상될 것이다. 셋째, 진로의사결정 개인상담과 집단상담을 받은 집단간에는 진로의사결정 능력 변화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연구대상은 대전시에 있는 4년제 남녀 대학생으로 구성하였으며, 개인상담집단에 15명, 집단상담집단에 15명, 통제집단에 15명씩 무선 배정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진로의사결정 프로그램과 진로의사결정 검사를 사용하였으며, 자료처리는 가설별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F검증을 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진로의사결정 상담을 받은 집단은 받지 않은 집단에 비해 합리적 유형이 향상되었으며, 직관적 유형과 의존적 유형은 감소되는 효과를 가져왔다. 둘째, 진로의사결정 상담을 받은 집단은 받지 않은 집단보다 진로의사결정 수준이 향상되었다. 즉 상담을 받은 집단은 상담을 받지 않은 집단에 비해 학교에 대한 적응수준, 직업계획수준, 전공에 대한 확신 및 이해수준이 모두 향상되는 효과를 가져왔다. 넷째, 진로의사결정 개인상담과 집단상담을 받은 집단 간에는 진로의사결정 능력 변화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진로의사결정 유형 변화에 있어 합리적 유형은 향상되고 직관적 유형과 의존적 유형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나 양자 간의 결과에 차이가 없었다. 또한 진로의사결정 수준 변화에 있어서도 학교에 대한 적응수준, 직업계획수준, 전공에 대한 확신 및 이해수준의 향상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소설에 나타난 집단상담 분석: 조경란 작가의 ‘사소한 날들의 기록’을 대상으로

        김원중(Won-joong Kim) 한국교육상담학회 2022 교육상담연구 Vol.3 No.1

        이 논문에서는 집단상담을 소재로 한 소설을 분석하였다. 소설 속의 집단상담 리더는 상담심리학 교수인데 집단원들에게 말로는 자발적이라 하지만 실제로는 강제로 자기공개를 하게 한다. 집단원들은 부담스러워하고, 집단원들의 관계는 친밀해지기는커녕 어색하고 불편해진다. 자기공개를 한 사람과 하지 않은 사람 간에는 갈등이 일어난다. 집단상담 집단원 중 한 명인 소설 속 화자는 이 집단상담을 낯설고 비현실적이며 작위적인 게임이라고 생각하면서, 그 효과가 실제 생활에서도 지속될까 의심한다. 연구자는 분석의 준거로 자기공개의 정의와 순기능 및 역기능을 이론과 선행연구를 통해 살펴본 후, 이를 토대로 소설 속 집단상담 리더와 집단원의 관계, 집단원들의 자기공개 과정과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소설 속 집단상담에는 여러 가지 문제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그 원인을 한국 집단상담 대가들의 면담 내용을 통해 추론하였다. 끝으로 집단상담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과 자기공개의 후속연구를 제언하였으며, 상담가가 되려는 상담학도들에게 위험을 피할 수 있는 방법을 조언하였다. In this paper, group counseling in a novel was analyzed. The leader who is a professor of counseling psychology forces group members to open themselves up. Self-disclosure is voluntary in words but compulsory in practice. Group members feel burden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group members becomes awkward and uncomfortable rather than intimate. There is a conflict between those who disclose their past and those who do not. The narrator in the novel, one of the participants in the group, considers the group counseling a strange, unrealistic and contrived game, and doubts that the effect will continue in real life. As the criteria of analysis, the researcher examined the definition, function and dysfunction of self-disclosure through theory and prior research, and based on this, the relationship between group leader and group members in the novel, the process and content of group members’ self-disclosure were analyz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various problems, and the cause was inferred through the interview contents of Korean group counseling masters. In conclusion, a method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group counseling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researches of self-disclosure were suggested, and persons who wanted to become counselors were advised how to avoid risks.

      • KCI등재

        교류분석상담 이론을 활용한 집단상담이 성폭력 가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자율성 및 대인관계 변화에 미치는 효과

        서혜석(Hye Seok Seo),김희숙(Hee Suk Kim) 한국교정상담심리학회 2022 교정상담학연구 Vol.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교류분석상담 이론을 활용한 집단상담이 성폭력 가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자율성및 대인관계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는 데 있다. 참가신청자 20명을 실험집단(10명)과 통제집단(10명)에 사전과 사후 검사를 진행하였다. 실험집단 진행은 2021년 1월부터 2월까지 각 회기별 120분씩매주 1회 8주 간에 걸쳐 제공되었다. 집단상담 실시 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검증을 위해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집단상담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해 먼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각변인들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마지막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공변인을 사전검사로 하고, 종속변인을 사후검사로 하여 공변량(ANC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질적인평가로서 연구자와 관찰자 중심기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교류분석상담 이론을 활용한 집단상담은 성폭력 가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자율성 및 대인관계 변화에 미치는 효과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여러 가지 급격하게 변화하는 어려운 한계 속에서 성폭력 가해 청소년의자아존중감, 자율성 및 대인관계 변화의 갈등과 정서적, 심리적인 부분을 다루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교정상담 관련 기관과 청소년상담 관련 임상 현장에서 본 집단상담의 활용 가능성을 제공하는 데에큰 성과와 의의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group counselling using transactional analysis on self-esteem, autonom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adolescent sexual offenders. 20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10 participants), the control group (10 participants), and pre-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The group counselling took place from January 2021 to February 2021, The experimental groups did these tests for 120 minutes once a week for 8 weeks. The t-test an was performed on an independent sample to an test homogeneity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before performing this program, and wa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calculated for each variable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group consultation after experimental treatment. ANCOVA analysis putting the pre-test score with the covariate variable and post-test with dependent variable was performed to verify whether the program was effective and consistent. Also for subjective evaluation observers and researchers focus techniques were used. The result revealed that group counselling by transactional analysis positively influenced on self-esteem, autonomy, and interpersonal relations change for adolescent sexual offenders. This study's great achievements and meaning revealed the possibility of using this program in practical and clinical fields related to counseling for adolescents and institutions related to correctional counseling, which deals with interpersonal relations and the troublesome, emotional and mental part of psychological well-being for adolescent sexual offenders where there are many kind of rapidly changing hard limits.

      • KCI등재

        상담심리 전공 대학생을 위한 핵심역량 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공감 능력과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효과

        김미영(Miyoung Kim),조민아(Mina C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4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상담심리 전공 대학생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 2020년부터 시작된 COVID-19라는 감염병 시대의 비대면 집단상담과 대면 집단상담의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총 7회기로 이루어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성하였으며,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해 H 대학교 상담심리학과 학부생을 실험 집단(32명)과 통제집단(10명)에 배정하였고, 실험집단은 2개의 대면 집단과 2개의 비대면 집단으로 나누어 실시 되었다. 측정 도구로는 공감 능력 척도, 대인관계 유능성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사전, 사후, 추후 시점에 따라 조사하였다. 분석에는 사전, 사후, 추후 3번의 조사에 모두 응답한 실험집단 14명과 통제집단 8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상담심리 전공 대학생의 핵심역량 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대인관계 유능성과 공감능력은 사전 보다 사후의 결과가 더 높았으며, 추후에도 그 효과가 유지되었다. 반면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 추후 대인관계 유능성과 공감 능력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대면 집단과 비대면 집단은 대인관계 유능성과 공감 능력에 있어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집단에 참여한 학생들이 작성한 매 회기 경험 보고서 자료를 질적 분석한 결과, 자기 이해, 대인관계 역량, 상담 역량에서 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변화를 발견할 수 있었다. 결론 핵심역량 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대면 집단과 비대면 집단 모두에서 상담심리 전공 대학생의 공감 능력과 대인관계 유능성을 증진 시켰으며 추후에도 그 효과가 유지되는 효과가 나타났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ore competency enhancement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psychology regarding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empathic competence. And also this study verified to compare the effects of non-contact and contact program implementing methods. Methods For this purpose, 32 undergraduate students were participated the program group and 10 students were assigned to a control group, and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ore competency enhancement conducted contact and non-contact for 7 weeks. The empathic competence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scale were used as measurement tools,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at pre-test. post-test, and 1-month follow-up test. For the analysis, data from 14 people in the program participation group and 8 people in the control group who responded to all three surveys were used.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counseling program experienced significant increases in each of the scales,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difference according the contact and non-contact participation methods was not significant. Final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xperience report data, ‘self-understanding’,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counseling competency’ were derived. Conclusions The effectiveness of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ore competency enhancement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psychology regarding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empathic competence was verified.

      • KCI등재후보

        집단상담자들이 지각하는 집단수퍼비전의 도움 경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연구

        손승희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19 복지상담교육연구 Vol.8 No.1

        This research explored the group counselor’s helpful experiences in group supervision. A total of 10 group counselors who have group supervision experiences were interviewed about their helpful experiences in group supervision us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For the helpful experiences, 3 core ideas, 8 domains and 24 categories were drawn. In terms of the first core idea, “Managing skills in group counseling” was retrieved and ‘learning diverse facilitating skills’, ‘understanding the group dynamics and group members’, ‘planning and setting next tasks’ were retrieved as domains. The second core set of domains identified were “Development as a group counselor” and ‘awareness as a group counselor’, ‘professionality’ and ‘integration theory and practice in group counseling’. The third core ideas were “Group supervision Interaction” and ‘recognition through comparison and feedback’, ‘support and sharing experiences’ retrieved as domains. Based on these results, several ideas are discussed regarding the application of group counselor’s education in group supervision process including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본 연구는 집단상담자들이 지각하는 집단수퍼비전에서 도움이 되는 경험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집단수퍼비전을 받은 경험이 있는 집단상담자들 10명을 대상으로 ‘집단수퍼비전에서 도움이 된 것으로 지각된 경험’에 대하여 면접을 실시하였으며, 합의적 질적분석방법(CQR)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총 8개 영역과 총 24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8개 영역을 중심개념으로 축약하는 과정에서 크게 ‘집단상담 운영기술’, ‘집단상담자로서 성장 발달’, ‘집단수퍼비전 상호작용’이라는 세 가지 중심개념으로 묶을 수 있었다. 첫째, ‘집단상담 운영 기술’은 다양한 집단촉진기술 습득, 집단역동과 집단원 이해, 집단상담 계획 및 차기 과제 설정이라는 3가지 영역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집단상담자로서 성장발달’에서는 집단상담자로서 자각, 집단상담자의 전문성, 집단상담 이론과 실제 통합이라는 3가지 영역이 도출되었다. 셋째, ‘집단수퍼비전 상호작용’에서는 피드백과 비교를 통한 인식, 지지와 경험 공유라는 2가지 영역이 도출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집단상담자들이 지각하는 도움이 되는 집단수퍼비전 경험에 대한 논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상담경력과 집단상담 윤리 인식: 한국과 미국 집단상담자 비교연구

        권경인,김태선,조수연 한국상담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0 No.4

        This study explored Korean and U.S. group counselors’ views on important ethical factors in relation to years of counseling experience and ethical awareness. A total of 228 group counselors (Korea: 122, U.S.: 106) completed the Group Counselor Ethical Inventory (GCEI) to assess prevailing beliefs about important factors pertaining to group counseling ethics. Findings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unselors’ perceptions concerning the importance for Ethics of Member Rights’ Protection and Education, Ethics of Group Counselor Expertise and Responsibility, and Ethics of Group-Counseling Composition and Process among novice, intermediate and expert group counselors in both Korea and the U.S. U.S. group counselors rated overall ethical factors as more important than did Korean group counselors, with the exception of Confidentiality, Group Participation, and Group Counselor Responsibility and Expertise.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reviewed from educational and cultural perspectives and implications for group counseling practice are discussed.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 집단상담가들이 중요하게 인식하는 집단상담 윤리적 범주들이 무엇인지 경력에 따른 차이와 국가 간 비교를 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집단상담 전문가 228명(한국 122명, 미국 106명)을 대상으로 집단상담 윤리요소들 가운데 어떤 요소들을 중요하게 인식하는지를 ‘집단상담 윤리 요소 질문지’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한국과 미국 모두 집단상담자의 경력별 비교에서 초심, 중간, 숙련의 세 집단의 집단상담자의 집단원 권리 보호 및 교육원리, 집단상담자 전문성 및 책임 윤리, 집단상담 구성 및 과정 윤리의 세 가지 윤리영역에 대한 중요도 인식의 정도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과 미국 집단상담자의 윤리요소 중요성 인식 차이를 비교한 결과 비밀유지, 집단상담 참여, 집단상담자 책임 및 전문성 범주를 제외하고는 모두 미국 집단상담자가 한국 집단상담자보다 윤리 중요성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대한 차이 및 특성을 윤리 교육 및 시스템, 문화적 맥락에서 해석하고 집단상담 실제에 활용하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집단상담 수업 경험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어려움과 대안을 중심으로

        권경인,계은경,김지연 한국상담학회 2017 상담학연구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tudents’ thoughts about the issues with group counseling classes to identify difficulties when attending lectures and understand the current lecture system. For data, 106 students were polled and CQR-M was used for analysis. Our analysis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the dissatisfaction of group counseling lectures in education contents were categorized as 4 domains; management skills of group counseling, theory of group counseling, ethics of group counseling and case study of group counseling. Second, the dissatisfaction of the educational methods used for such lectures were classified as 5 domains; discontentment at direct practical training, lectures, presentations of students, and indirect practical training and difficulties with understanding of reality due to the nature of group counseling. Third, the embarrassment related with double-relationship issues were categorized as 4 domains; the problem of self-disclosure, influence by the negative effects of actual relationship, affection by the authority of professors, difference between experience in class and experience in reality. In addition, the students responded the problems of system and management of curriculum and the embarrassment of qualification and attitude of professor are important matter. Lastly, this study identified the major improvement with learning group counseling. They are; efficiently managing an class, arranging administrative infrastructure, expanding opportunity of practical training, supplying opportunity of indirect study, providing substantive education, preventing ethic problems, offering diverse education, and strengthening specialty of professor. Based on the study results, we discuss with diverse aspects of education and training for group counselor. This paper concludes with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 of the study. 본 연구는 집단상담 수업을 수강했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경험했던 집단상담 수업에 대한 회고를 통해 집단상담 수업에 대한 어려움과 대안이 무엇인지에 대해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총 106명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했고 분석은 CQR-M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상담 수업 내용과 관련하여 어려웠던 부분은 집단상담 운영기술, 집단상담 이론, 집단상담 윤리, 사례를 통한 간접학습 등 4개 영역으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상담 수업 운영방식에 대한 어려움으로는 직접실습방법에 대한 어려움, 강의에 대한 어려움, 발제에 대한 어려움, 간접실습방법에 대한 어려움, 집단상담 이론과 실제 연계의 어려움 등 5개 영역으로 나뉘었다. 셋째, 집단상담 수업에서 이중관계로 인해 어려웠던 부분은 자기개방의 어려움, 실제적인 대인관계와 연관되어 부정적인 영향을 받음, 교수자의 권위의 영향을 크게 받음, 수업 내의 경험이 현실의 경험과 다름 등 4개 영역으로 나타났다. 넷째, 집단상담 수업과 관련한 기타 어려움으로는 제도 및 운영의 문제, 교수자의 자질 및 태도에 대한 어려움 등 2개 영역으로 나뉘었다. 다섯째, 집단상담 수업에 대한 개선안에 대하여는 효율적 수업 운영, 집단수업을 위한 행정적 기반 마련, 실습 경험 확대, 간접학습 기회 제공, 실질적인 교육 제공, 윤리문제 예방, 다양한 교육 제공, 교수자의 전문성 강화 등 8개 영역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집단상담 리더 교육 및 훈련과정에 필요한 측면이 무엇인지 논의하였고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