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관상동맥우회술 후 CT 조영술을 이용한 이식편의 조기 열림의 판정

        최종범,이미경,류대웅,최순호 대한흉부외과학회 2004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7 No.7

        배경: 관상동맥우회술 후 이식편의 조기 열림을 판정하기 위한 CT 조영술은 비침습적이고 간단하며 안전한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관상동맥 우회술 환자들에서 수술 후 퇴원 전에 CT 조영술을 시행하여 이식편의 조기 열림의 판정에 대한 여부와 영상에 미치는 인자들을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관상동맥 우회술을 받은 50예에서 수술 후 퇴원 전에 4개의 검출기를 가진 CT기로 조영술을 시행하고 내흉동맥 이식편(50편), 요골동맥편(18편), 대퇴정맥편(56편)의 조영상태로 이식편의 열림을 조사하고 이식편의 조영상태와 문합혈관의 직경, 부행혈류 및 협착정도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 좌관상동맥계에 문합되는 정맥편(24편, 32문합부)은 모두 잘 조영되었으나, 우관상동맥계에 문합된 정맥편(30편, 35문합부) 중 3편(4.7%)은 CT 조영술에서 조영되지 않았고 대퇴동맥을 통한 침습적인 관상동맥 조영술에서도 폐쇄된 소견을 보였다. 내흉동맥편 중 39편(78%)은 CT 조영술에서 잘 조영되었고 8편(16%)은 일부 좁아지거나 끊기는 불완전한 조영을 보였으며 3편(6%)은 조영되지 않았으나 동맥을 통한 침습적인 관상동맥 조영술에서는 모두 정상적인 열림 소견을 보였다. 결론: 관상동맥조영술 후 CT 조영술에서 조영되지 않는 정맥편은 폐쇄를 의미하나, CT조영술에서 조영되지 않는 동맥편은 폐쇄가 아닌 관상동맥과 이식편 사이의 상경혈류 때문에 일어날 수 있으므로 조영이 안 되는 동맥편의 열림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침습적인 관상동맥조영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CT angiography is now available to evaluate the early graft patency after coronary bypass surgery. We investigated whether patency or occlusion of the bypass grafts can be visualized by CT angiography and what factors effect the visuality. Material and Method: Fifty patients underwent scanning with a 4-slice computed tomographic scanner (Somatom Volume ZoomTM; Siemens, Germany) before being discharged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To evaluate graft patency and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y of graft imag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eased coronary vessels, 50 internal thoracic artery grafts, 18 radial artery grafts, and 56 vein graf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Result: All vein grafts (24 grafts; 32 anastomoses) to left coronary artery system were well visualized, but 3 grafts (4.7%) of 30 vein grafts (35 anastomoses) to right coronary artery system were not visualized. The latter was also occluded in invasive coronary angiographic study. Thirty-nine (78%) internal thoracic artery grafts were well visualized, 8 (16%) faintly visualized, and 3 (6%) not visualized, but all the internal artery grafts were well patent in invasive coronary angiographic study. Conclusion: Unvisualized vein grafts in CT angiography means occlusion of the grafts, but unvisualized arterial grafts in CT angiography may not mean occlusion of the graft but result from competitive flow between the graft and coronary artery. To confirm patency of the unvisualized arterial grafts, invasive coronary angiography is needed.

      • KCI등재

        심장동맥 조영술 시 노동맥과 넙다리동맥을 이용한 방법 비교

        안준호,이준행 한국방사선학회 2022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6 No.2

        In this study, 61 patients who underwent coronary angiography from March 2018 to August 2019 were divided into Group I (Radial, n=34 patients) and Group II (Femoral, n=27 patients), and compared and analyzed methods using radial and femoral arteries when coronary angiography was performed.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Catheter usage was reduced in the examination using radial artery, and in the abnormal shape of blood vessels, Loops arterial abnormalities were more in the radial artery (20.6% vs, 0%, p<0.05), and it was found that the abnormal shape of the radial vessels increased with age. 60s, 70s, 80s, 90s or older (0%, 18.2%, 25.0%, 100%) 본 연구는 심장동맥 조영술 천자방법에서 노동맥과 넙다리동맥을 이용하여 조영술의 차이와 혈관의 비정상적인 형태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2018년 3월부터 2019년 8월까지 심장동맥 조영술을 시행한 61명을 대상으로 Group I (노동맥, n=34명), Group II (넙다리동맥, n=27명)로 연구한 결과 넙다리동맥을 이용한 조영술과 노동맥을 이용한 조영술에서 노동맥을 이용한 검사에서 도관 사용량을 줄일 수 있었고, 또한 혈관의 비정상적인 형태가 노동맥에서 Loops가 더 많았으며(20.6% vs. 0%, p=0.012), 또한 연령 60대, 70대, 80대, 90대에서 증가함에 따라 0%, 18.2%, 25.0%, 100% p=0.001로 노동맥에서 비정상적인 형태가 넙다리동맥조영술에 비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노동맥을 통한 심장동맥 조영술과 넙다리동맥을 통한 심장동맥 조영술의 임상적 특징과 시술의 차이를 비교하여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고령 환자의 노동맥과 넙다리동맥의 이상형태와 연령대에 따른 동맥 이상형태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 노동맥과 넙다리동맥을 이용하여 심장동맥 조영술 검사를 시행한 결과 조사시간, 조영제 사용량의 차이는 없었으나, 노동맥을 이용한 검사에서 카테터 사용량을 줄일 수 있었고, 카테터 와이어 사용량이 적음으로써 환자의 불편감과 동맥 파열 및 출혈 등의 가능성을 감소시켜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비용이 적게 든다는 점으로 미루어 보아 본 연구를 통해서 심장동맥 조영술 및 중재적 시술에 도움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 KCI등재

        임상 ; 식이부전으로 소장 조영술을 시행 받은 조산아 46례의 임상적 고찰

        손세형 ( Se Hyung Son ),김윤주 ( Yoon Joo Kim ),이주영 ( Ju Young Lee ),이은희 ( Eun Hee Lee ),손진아 ( Jin A Sohn ),김은선 ( Eun Sun Kim ),김이경 ( Ee Kyung Kim ),김한석 ( Han Suk Kim ),김병일 ( Beyong Il Kim ),최중환 ( Jung Hwan 대한주산의학회 2010 Perinatology Vol.21 No.2

        목적: 조산아에서 식이 진행이 잘 되지 않는 경우에 소장조영술 검사를 시행해 볼 수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조산아에서 소장조영술의 안정성과 유효성 평가가 확립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를 통해 소장조영술의 최근 경험을 조사하여 조산아에서 식이진행이 되지 않을 경우에 소장조영술 검사에 대해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2005년 1월부터 2008년 10월까지 서울대학교 병원 어린이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하여 소장조영술을 시행한 46명의 조산아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평균 재태기간과 평균출생체중은 각각 30(+1)±3(+5)주(24-36주), 1,435±623g (460-2,810g)이었다. 소장조영술을 시행한 평균 수태후 연령은 37(+2)±4(+2)주(중간값 36(+2)주, 27(+2)-45(+4)주)였고 이는 생후 46.8±27.3일(5-126일)에 시행되었다. 소장조영술 검사를 시행한 결과에서 기계적 장폐색이 없었던 경우는 29명(63%)이었고 이들 중 22명(47.8%)은 위장관 이행 시간이 연장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들은 결국 완전 장관 영양에 도달하였고 도달하는 데 걸린 시간은 평균 11.2일이었다(중간값 6일). 소장조영술을 시행한 신생아들을 출생체중에 따라 1.5kg 미만 군과 1.5kg 이상 군으로 분류하였을 때 각각 27명, 19명이었다. 1.5 kg 이상 군에서는 검사를 더 일찍 시행하였다(P=0.027). 1.5kg 미만 군에서는 27명 중 15명(55.6%)에서 인공호흡기 치료를 받거나 인큐베이터 내에서 치료 중으로 침상 옆에서 검사를 시행하였다. 1.5kg 미만 군에서는 신생아괴사성장염, 태변연관 장폐색 및 위장관 수술 과거력이 1.5kg 이상 군보다 유의하게 많았다(P=0.044). 소장조영술 시행 시 사용한 조영제는 바륨, 텔레브릭스, 가스트로그라핀이었고 조영제 사용 후 관련된 합병증으로 구토 및 조영제 정체가 있었으나 대부분 호전되었고 흡인이나 패혈증 등의 부작용은 없었다. 결론: 식이 부전이 있는 조산아에서 적극적인 소장조영술 검사는 식이부전의 원인을 밝히고 이를 해결하는 데에 도움이 되므로 식이를 진행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Objective: Small bowel series (SBS) may be a useful test in identifying the causes of feeding intolerance in preterm infants. Unfortunately, little is known about the safety and effectiveness of SBS in preterm infants. By scrutinizing our recent experiences in performing SBS in preterm infants, we aim to provide basic data concerning the use of SBS in preterm infants with feeding intolerance. Methods: Between January 2005 and October 2008, SBS was done in 46 preterm infants with feeding intolerance, who were admitted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analysis of these preterm infants. Results: The average gestational age and birth weight of the 46 infants were, 30(+1)±3(+5) weeks, 1,435±623 g, respectively. The mean postconceptional age when SBS was done, was 37(+2)±4(+2) weeks, 46.8±27.3days. SBS proved that 29 infants did not have mechanical obstructions and 22 of these infants had delayed bowel transit time. Eventually, 35 infants attained full feeding except those who underwent operation. SBS was done at their bedside in 15 out of 27 infants in the group less than 1.5kg. History of NEC, meconium related ileus, and gastrointestinal operation were more frequent in the group less than 1.5kg. The adverse effects of SBS in preterm infants included vomiting, delayed transit of the contrast media, all of which resolved in the end and there were no reports of aspiration or sepsis. Conclusion: Actively performing SBS test in preterm infants with feeding intolerance will promote feeding advancement by discovering the cause of feeding intolerance and subsequent management of the specific problem.

      • KCI등재

        요추 후관절증후군 환자에서의 후관절 조영술 및 후관절강내 주사요법에 대한 의의 및 효과

        하대호,김태균,심대무,이영 대한척추외과학회 2011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18 No.2

        Study Design: Intra-articular injections of long acting steriod and local anesthetics after lumbar facet joint(LFJ) arthrography are routinely used for therapeutic purposes in selected patients for relief of chronic low back pain. However, because of the difficulty in finding an accurate position of the symptomatic joint, the possibility of complication and the placebo effect, there are doubts about the clinical application of this treatment. Objectiv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the diagnostic value and clinical benefits of lumbar facet joint arthrogram & injection of long acting steriod and local anesthetics in patients with facet joint syndrome.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 radiological relationship and the diagnostic elements of facet joint syndrome need to be analyzed and evaluated for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lumbar injection. Materials and Methods: Fifty two patients with low back pain were enrolled in the trial and they met the following criteria: pain for more than 3 months, no root signs and no history of back surgery. The response to facet joint injection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chief complaints, a provocative test, the Visual Analogue Scale(VAS), the Helbig & Lee(HL) score, the facet block procedure and the arthrogram findings. A questionnaire with a pain scale was administered immediately or the day after injection, and then after 1, 3, 6 and 12 weeks. The arthrograms were reviewed by a radiologist & orthopedic specialist. Results: One hundred sixty nine joint injections were performed in 52 patients (L 3-4, n=33; L4-5, n=64; L5-S1, n=72). Thirty one patients had a chief complain of back pain that was aggravated by extension/rotation of the trunk and the provocative test was positive in 73.1%. The rates of a good response in the study group were 69.2% after one day, 44.2% after 3 weeks and 36.5% after 12 months. Arthrograms revealed synovial cysts in 1 of these patients and 5 patients had abnormal communication with spondylolysis. Two patients had contrast extravasated into the epidural space during injection. Conclusions: Lumbar arthrography showed a low diagnostic value. Lumbar injections, as a useful procedure to diagnosis facet joint syndrome, could be a useful palliative treatment modality for treating chronic lower back pain. But strict diagnostic criteria through a scoring system is needed to achieve a higher degree of predictability and effectiveness of facet joint injection Key Words: Facet Joint Syndrome, Facet Joint Block 연구계획: 요추 후관절 조영술과 관절 내 스테로이드 및 국소마취제 주사법은 만성요통 환자에서 통증완화 및 요통의 원인 진단을 목적으로 이용되어왔다. 그러나 증상을 일으키는 관절의 정확한 위치 확인이 어려우며, 드물게 합병증이 발생하기도 하고 또한, 위약효과의 가능성으로 인해 임상에서의적용에 의구심을 가지게 된다. 목적: 이에 본 연구를 통해 후관절 증후군 환자에서 관절 조영술과 관절강 내 주사법을 시행 후 진단 및 치료적 가치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선행문헌의 요약: 후관절 증후군에서 관절강내 주사법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구성요소의 분류 및 분석이 필요하며 영상의학적 연관성이 필요하다. 대상 및 방법: 3주 이상 요통이 지속되었으며 신경근 증상이 없고 하부요추 수술 과거력이 없는 7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요추 후관절 조영 후 국소마취제 및 스테로이드를 주사하고 3개월 이상 추시 가능하였던 5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후관절 증후군에 해당하는 주증상 분석 및 동통유발검사와 후관절조영술을 시행하였고 시술 전과 시술 후 1주, 6주, 12주에 Visual analogue scale(VAS), Helbig & Lee(HL) score 및 조영술 소견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조영술 분석은 방사선과 전문의와 정형외과 전문의에 의해 시행되었다. 결과: 52명 환자의 169예에 대한 조영술 및 차단을 시행하였으며(요추 3-4번: 33예, 요추4-5번: 64예, 요추5-천추1번: 72예), 후관절 증후군 주 증상에있어서는 59.6%(31명)에서 신전 혹은 회전 시 통증 악화를 호소하였고, 동통 유발 검사에서는 73.1%가 양성을 보였다. 통증에 대한 차단술 효과가 양호이상의 호전을 보인 경우는 시행 후 1일째 69.2%, 3주 후에는 44.2%, 3개월 이상 경우에는 36.5%로 관찰되었다. 또한 관절 조영술에 있어서 활막성낭종이 1예 관찰되었고 5예에서 척추 분리증에 의한 비정상교통이 관찰되었으며 2예에서 경막외누출이 관찰되었으나 신경학적 증상이나 손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후관절 증후군환자 치료에 있어 후관절강내 주사요법을 통한 통증의 경감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으나, 관절 조영술에서 누출, 교통, 낭종이외의 병소는 확인하기 어려웠다. 이는 후관절 증후군에서 진단 및 치료의 한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나 후관절 증후군의 엄격한 진단적 기준이 필요할 것이다. 색인 단어 : 후관절 조영술 및 후관절강내 주사요법약칭 제목: 후관절 증후군에서의 조영술 및 후관절강내 주사요법의 효과

      • KCI등재후보

        경요골동맥 관상동맥 조영술을 시행하는 환자에서 요골동맥 사행성의 빈도 및 예측인자

        박민아 ( Min Ah Park ),박태호 ( Tae Ho Park ),최재혁 ( Jae Hyuk Choi ),박선이 ( Sun Yi Park ),이수이 ( Su Ee Lee ),임태형 ( Tae Hyung Lim ),유정남 ( Jung Nam Yoo ),차광수 ( Kwang Soo Cha ),김무현 ( Moo Hyun Kim ),김영대 ( Young Da 대한내과학회 2006 대한내과학회지 Vol.71 No.4

        목적: 경요골동맥 관상동맥조영술 시행시 요골동맥 사행성은 혈관 박리와 같은 중대한 혈관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지만 요골동맥 사행성을 시술 전에 예측할 수 있는 인자들은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요골동맥 관상동맥조영술을 시행할 환자들을 대상으로 요골동맥 사행성의 빈도 및 시술 전에 사행성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들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2004년 12월부터 2005년 6월까지 본원 순환기내과에 경요골동맥 관상동맥조영술 및 중재술을 시행받기 위하여 입원한 15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요골동맥 사행성을 요골동맥조영술로 평가하여 그 빈도를 확인하였다. 요골동맥 사행성을 예견할 수 있는 인자들은 사행성이 관찰되었던 환자군과 관찰되지 않았던 환자군에서 임상 및 시술에 관련된 특징들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요골동맥조영술은 154명(97.5%)의 환자에서 시행하였고, 관상동맥조영술은 149명(94.3%)의 환자에서 성공적으로 시행할 수 있었다. 요골동맥 사행성의 빈도는 전체 환자의 22%에서 관찰되었고, 다변량 분석에서 요골동맥의 사행성을 예측할 수 있는 독립적인 인자들은 고령과 미니 유도철선의 진입장애 및 고혈압이었다. 결론: 경요골동맥 관상동맥조영술이 예정된 환자에서 시술 전에 요골동맥 사행성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들로는 고령과 미니 유도철선의 진입장애 및 고혈압 등이었다. 따라서 요골동맥 사행성이 있을 가능성이 높은 환자들은 관상동맥조영술 전에 요골동맥 사행성 유무를 확인하는 것이 안전한 시술을 위하여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Background: It is well known that the presence of a tortuous radial artery, in patients undergoing transradial coronary angiography (CAG), may cause undesirable results such as access failure and arterial dissection. Thus, our aim wa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and predictors of the presence of a tortuous radial artery in patients undergoing transradial CAG. Methods: We prospectively investigated the tortuosity of the radial artery in 158 consecutive patients. The tortuosity of the radial artery was determined by radial angiography. A tortuous radial artery was defined as one with a maximal angulation of more than 45 degrees. To determine the predictors of a tortuous artery, we examined clinical and intra- procedural characteristics. Results: A right radial angiography was easily performed in 154 patients (97.5%) without any complications. A tortuous radial artery was identified in 34 patients (22%). On the univariate analysis, advanced age, female gender, short stature, underweight, hypertension, and absence of progression of the mini-guide wir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presence of a tortuous radial artery. Significant independent predictors of a tortuous radial artery by multivariate analysis were: advanced age, absence of progression of the mini-guide wire and hypertension. Conclusions: These data showed that the presence of a tortuous radial artery could be predicted by advanced age, absence of progression of the mini-guide wire and a history of hypertension. Thus, identification of a tortuous radial artery prior to coronary angiography may be helpful for a safe transradial CAG in patients at high risk for a tortuous radial artery.(Korean J Med 71:381-387, 2006)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64절편 다검출기 CT 관상동맥 조영술을 이용한 관상동맥 질환 진단의 정확도

        남궁준 ( June Namgung ),최현민 ( Hyun Min Choe ),권성욱 ( Sung Uk Kwon ),도준형 ( Joon Hyung Doh ),이성윤 ( Sung Yun Lee ),허감 ( Gham Hur ),이원로 ( Won Ro Lee ) 대한내과학회 2008 대한내과학회지 Vol.75 No.1

        목적: 관상동맥 질환의 진단에 있어서 현재까지 가장 정확한 방법은 고식적 관상동맥 조영술(conventional coronary angiography)이었다. 다검출기 CT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MDCT) 관상동맥 조영술은 1999년에 처음 등장한 이래로 빠른 기술적 진보를 보여 최근에 임상에 도입된 64절편 MDCT는 공간 및 시간해상도를 더욱 향상시켜 비관혈적으로 관상동맥 영상을 보다 정확히 규명하기에 이르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64절편 MDCT를 사용하여 MDCT 관상동맥 조영술의 진단 정확도를 확인하여 기존의 관혈적 관상동맥 조영술을 대치할 수 있는지 판정하였다. 방법: 고식적 관상동맥 조영술이 예정된 101명(남자 63명, 여자 38명; 평균연령 63.7±10.5세)을 대상으로 MDCT와 고식적 관상동맥 조영술을 7일 이내에 시행하였다. 관상동맥 각 분절의 유의한 협착은 관상동맥 내경의 50% 이상 협착으로 정의하여 고식적 관상동맥 조영술의 영상과 비교하여 MDCT의 진단적 정확도를 측정하였다. 관상동맥의 유의한 협착정도를 각각 관상동맥의 분절별, 혈관별, 환자별로 구분하여 판정하였다. 결과: 총 1,440개의 관상동맥분절 중 1,348개의 분절(94%)이 MDCT로 분석 가능한 영상을 얻을 수 있었고 이중 고식적 관상동맥 조영술에서 209개의 관상동맥 분절의 유의한 협착이 있었다. MDCT의 진단정확도는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도, 음성예측도가 분절별 평가에서 각각 96%, 97%, 85%, 99%, 혈관별 평가에서 각각 99%, 95%, 88%, 99%, 환자별 평가에서 각각 100%, 94%, 97%, 100%였다. 위양성이 37분절에서 있었고 관상동맥 석회화(26분절)가 위양성의 주요 원인이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64절편 MDCT 관상동맥 조영술은 높은 진단정확도를 보였다. 따라서 선택적인 환자에서 불필요한 관혈적 관상동맥 조영술의 시행을 줄이고 이를 대치할 수 있는 유용한 검사로 판단된다. Background/Aims: Invasive coronary angiography remains the gold standard in the diagnosis of coronary artery disease. However, multidetector CT (MDCT) coronary angiography is an emerging technique that is available for the non-invasive detection of coronary artery stenoses. While the diagnostic accuracy of first generation MDCT is limited, recently released 64-slice MDCT has yielded promising results due to increased temporal and spatial resolu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agnostic accuracy of non-invasive 64-slice MDCT for coronary artery disease. Methods: One hundred one patients (63 males and 38 females; mean age, 63.7±10.5 years) undergoing conventional coronary angiography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ll coronary arteries, including the distal segments and side branches, were analyzed for the presence of significant stenosis (≥50% diameter stenosis) and compared with of the quantitative coronary angiographic findings. Results: Of the 1,440 coronary artery segments studied, 1,348 segments were assessed quantitatively by both MDCT and conventional coronary angiography (94%). Two hundred nine significant stenoses were detected by conventional coronary angiography. On a segment-based analysis, the senisitivity, specificity, and positiv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s of 64-slice MDCT were 96, 97, 85, and 99%, respectively. On a vessel-based analysis, the sensitivity, specificity, and positiv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s of 64-slice MDCT were 96, 97, 85, and 99%, respectively. The corresponding values obtained on a patient-based analysis were 100, 94, 97, and 100%, respectively. Coronary calcification was the major cause of false-positive findings. Conclusions: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64-slice MDCT coronary angiography is of similar accuracy as conventional coronary angiography for the detection of coronary artery disease. In selected groups of patients, 64-slice MDCT may replace the more invasive coronary angiography. (Korean J Med 75:42-53, 2008)

      • 요골동맥을 통한 뇌혈관 조영술의 유용성

        이호희,전재호,문은배,김영재,공성배,이현범,이동환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 2024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지 Vol.27 No.1

        목적: 본 연구에서는 요골동맥 천자 성공률과 뇌혈관 조영술의 성공률을 평가하고, 요 골동맥을 이용한 뇌혈관 조영술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21년 7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요골동맥을 통해 뇌혈관조영술을 진행한 241명 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조영술 시행 전 초음파를 통해 요골동 맥의 직경을 측정하였고, 천자 횟수와 성공률을 평가하였다. 요골동맥을 통한 뇌혈 관조영술의 성공률을 평가하였고 지혈 후 합병증 유무를 확인하였다. 결과: 요골동맥의 크기는 평균 2.79 ± 0.48 mm로 남자가 여자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 게 컸다(p<0.05). 평균 천자 횟수는 1.47 ± 1.01 번이고, 241명중 239명(99.1%) 이 요골동맥 천자의 성공하였다. 혈관의 크기에 따른 천자횟수는 연관성이 없었 다.(p>0.05) 천자의 성공한 환자 중 뇌혈관조영술을 실패한 경우는 4건이었고, 혈 관 협착(1건)과 혈관의 꼬불거림(3건)으로 인해 와이어와 카테터의 진입을 하지 못 했다. 조영술 후 천자부위의 합병증이 발생한 경우는 없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요골동맥을 통한 천자의 성공률과 진단적 뇌혈관 조영술의 성공률 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요골동맥을 통한 뇌혈관 조영술은 환자에게 만족도를 높이 고, 안전하게 시행할 수 있는 방법이라 생각된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success rate of cerebral angiography using the radial artery approach and to assess the utility of cerebral angiography via the radial artery. Materials and Method: A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on 241 patients who underwent cerebral angiography via the radial artery from July 2021 to December 2022. Ultrasound was used to measure the diameter of the radial artery before the procedure, and the number of puncture attempts and success rates were evaluated. The success rate of cerebral angiography via the radial artery and the occurrence of complications were assessed. Results: The mean diameter of the radial artery was 2.79 ± 0.48 mm, with males having a significantly larger diameter than females (p < 0.05). The mean number of puncture attempts was 1.47 ± 1.01, and 239 out of 241 patients (99.1%) succeeded in radial artery catheterization. There was no association between vessel size and the number of puncture attempts (p > 0.05). Among the successfully catheterized patients, four cases of failure in cerebral angiography were observed, with 1 case due to vessel stenosis and 3 cases due to vessel tortuosity. No complications at the catheterization site were observed after angiography. Conclusion: This study catheterization demonstrates a high success rate of radial artery and diagnostic cerebral angiography. Radial artery catheterization for cerebral angiography is considered a method that can increase patient satisfaction and be performed safely.

      • SCIESCOPUSKCI등재
      • 척골 동맥을 이용한 관상동맥 조영술 : 안정성과 효과

        전국진 부산대학교 병원 암연구소 2008 부산대병원학술지 Vol.- No.23

        배경: 요골동맥을 이용한 관상동맥 조영술은 혈관합병증이 거의 없고, 검사 후 환자가 즉시 활동할 수 있는 장점 때문에 현재관동맥 조영술의 유용한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Allen test가 음성 이거나, 요골동맥의 맥박이 미약하거나 해부학적 이상으로 검사할 수 없는 경우에는 요골동맥을 이용한 관동맥 조영술을 시행할 수 없다. 저자들은 이러한 환자를 대상으로 척콜동맥을 이용한 관동맥 조영술을 시행하여 검사에 따른 안정성과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4년 1월부터 2006년 6월 까지 본원에서 척골동맥을 이용하여 관동맥 조영술을 시행 받은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모든 환자는 오른쪽 척골동맥을 이용하여 천자를 하였다. 시술 성공률은 90%(9/10)였다. 실패한 한 명은 천자는 성공적으로 되었으나 유도 와이어가 통과되지 않아 대퇴동맥을 통하여 조영술을 시행하였다. 평균 편차 수는 1.78회였다. 유도초는 모두 5F를 사용할 수 있었으며 진단 카테타도 5F를 사용하였다. 검사 시간 및 Fluro시간은 각각 15분, 3분 이 었다. 척골동맥을 이용한 관동맥 조영술의 화질은 요골동맥을 이용했을 때와 마찬가지로 양호하였다. 검사 후 혈종이나, 신경장애 및 출혈등은 모두 관찰되지 않았으며 퇴원할 때 모든 환자에서 척골동맥은 잘 촉지 되었다. 한 달 후 외래에서 확인한 척골동맥은 모두 잘 촉지되었으며 말초 신경 장애의 이상이나 순환장애, 통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선택된 환자에서 척골동맥을 이용한 관동맥 조영술은 안전하고 유용한 검사로사료된다. Purpose: Transradial approach is a safe and effective method of percutaneous coronary angiography(CAG) and intervention. However, its utility can be limited by incomplete palmar collateral support, access site failure, and anatomic variations. We evaluated the safety and feasibility of transulnar CAG in these selected patients. Methods : We investigated ten patients who had negative Allen’s test and taken transulnar CAG. Results : Success rate was 90%(9/10). Average number of puncture was 1.78. Total procedure time was 15 minutes and fluroscopic time was three minutes. The quality of CAG was acceptable and similar with CAG by transradial approach. Five Fr. sheath was used for all the patients. There was no complications such as bleeding, loss of ulnar pulse, ulnar nerve injury, and formation of an aneurysm or fistula. Conclusions: The transulnar artery approach for CAG is feasible and safe procedure in selected ca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