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조업 근로자가 인식하는 조직문화와 조직유효성 간의 관계에서 조직공정성의 조절효과

        양인준,강혜림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9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5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justi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Korean manufacturing companies. The data of 8,034 manufacturing employees from the 7th year of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2017) were analyzed to achieve the purpose. Research techniques utilized in analyzing data include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oderating effect analysis in which interaction terms are applied to regression analysis eq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innovative, relationship, hierarchical, and rational culture perceived by manufacturing employees directly influence job satisfaction. Second, innovative, relationship, hierarchical, and rational culture directly influe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the effect of innovative, relationship, hierarchical, and rational culture on job satisfaction is moderated through organizational justice. Fourth, the effect of relationship, and hierarchical cultur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moderated through organizational justice.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s findings suggest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practice toward Korean manufacturing companies. First, in order to mitigate the negative effect of hierarchical culture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s should engage in managerial activities that foster communicative actions among employees and improve constructive organizational climate. Second, with the aim of alleviating the negative impact of hierarchical cultur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s should take systemic measures for employees to support their creative work behavior as well as career development. Third, especially in terms of organizational evaluation and reward, political and institutional settings should be reinforced to increase the level of organizational justice so that the positive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re highly enhanced. 이 연구는 국내 제조업 근로자가 인식하는 기업 내 조직문화 유형별 조직유효성 간의 관계와 조직공정성의 조절효과를 구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인적자본기업패널(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7차년도(2017년) 조사에 참여한 제조업 근로자 8,034명의 데이터를 대상으로 위계적 회귀분석 및 상호작용항을 활용한 조절효과 분석방식을 통해 가설검증을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조업 근로자가 인식하는 조직 내 혁신문화, 관계문화, 위계문화 및 합리문화는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제조업 근로자가 인식하는 조직 내 혁신문화, 관계문화, 위계문화 및 합리문화는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셋째, 제조업 근로자가 인식하는 조직공정성은 조직 내 혁신문화, 관계문화, 위계문화 및 합리문화와 직무만족 간의 관계를 조절한다. 넷째, 제조업 근로자가 인식하는 조직공정성은 조직 내 관계문화 및 위계문화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조절한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도출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의 위계문화가 구성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하기 위하여 구성원 간의 결속력 강화, 건설적 경쟁 분위기 조성 등과 같은 조직 환경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조직의 위계문화가 구성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하기 위하여 창의적 업무수행을 촉진하는 보상체계 구축, 다양한 경력개발지원제도 등이 시행되어야 한다. 셋째, 조직의 평가와 보상의 측면에서 공정성의 수준을 제고할 수 있는 사내 정책 및 제도를 정비함으로써 조직문화가 구성원들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력을 강화해야 한다.

      • KCI등재

        자동차 제조업 간접공정에서 파견과 도급의 구별

        이정환 노동법이론실무학회 2022 노동법포럼 Vol.- No.37

        The Seoul High Court’s ruling, 2020na2008508, 2020na2008515, which was decided on January 28, 2022 demonstrates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ive elements; they were presented in 2010da 106436 decided by the Supreme Court of Korea on February 26, 2015 as legal principles. The Seoul High Court conducted a thorough examination of each task and plaintiff, according to the legal principles, which were suggested by the Supreme Court of Korea. The Seoul High Court’s ruling recognized that transportation industry developed on its own in the modern society, and understood the reality of sharing information on manufacturing, which was for the sake of improving efficiency of handling completed vehicles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Moreover, the Seoul High Court analyzed the tasks involving sequence and placement of components of cars, preservation, and export shipping, during an indirect process of manufacturing cars, based on five elements. Subcontract should not be misused as means to elude the enforcement of the Act on The Protection of Temporary Agency Workers. However, it is significant to scrutinize the application of the Act on The Protection of Temporary Agency Workers so that an indiscreet, extensive practice of it should not become the impediments to the reorganization of industrial structure, which are devise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a production process in a manufacturing industry, to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to an effective sharing of information on manufacturing. Applying the legal principles, which were decided by the Supreme Court of Korea in 2015, the Seoul High Court’s ruling managed to reach a reasonable compromise between protecting workers through the Act on The Protection of Temporary Agency Workers and organizing industrial structure effectively, including that of a transportation industry. 대상판결에 관한 상세한 분석을 통해 자동차 제조업에서 근로자파견관계 성립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상당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근로자파견관계는 원칙적으로 협력업체 소속 근로자와 원청 회사 사이의 개별적 근로관계이고, 협력업체 소속 근로자의 담당 업무나 근무형태가 동일하거나 유사하지 않다면 협력업체 소속 근로자 전원과원청 회사 사이에 획일적 판단의 대상이 될 수 없다. 근로자파견 여부를 판단하려면, 대상판결처럼 2015년 대법원판결이 제시한 5가지요소의 관계를 이해하고, 이에 따라 업무별, 원고별 사실관계를 구체적, 개별적으로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독자적으로 발전하는 물류산업의 특성과 완성차 제조업에서 효율성을 도모하기 위한 정보 공유의현실을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서열·불출 업무, 보전 업무, 수출선적업무 등 간접생산공정업무를 살펴볼 필요도 있을 것이다. 도급이 파견법 적용을 잠탈하는 수단으로 악용되어서는 아니 된다는 점에서는 특별한 이견이 있을 수 없다.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 근로자파견관계의 광범위한 확장이 현대 산업사회에서 제조업 생산공정의 효율성 향상을 위한 산업조직 재편성이나 기술적 혁신, 생산정보의 원활한 공유 등에 걸림돌이 되는 것은 아닌지도 균형 있게 살펴볼필요가 있다. 대상판결은 2015년 대법원판결의 법리에 따라 파견법을통한 근로자 보호와 물류산업 등 산업구조의 효율적 발전 사이에서의 적정한 균형점을 모색하고 있다. 이후 대상판결에 대하여 대법원이어떠한 판단을 내릴지 귀추가 주목된다.,

      • KCI등재

        제조업 생산직 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피로와의 융복합적 관련성

        신은숙 한국융합학회 2016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7 No.1

        본 연구는 50명 미만의 소규모 제조업장 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피로의 융복합적 관련성을 파악하며, 피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유의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50명 미만의 소규모 제조업장 14개소에 근무하고 있는 남성 근로자 428명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2015년 9월 1일부터 15일까지 스스로 작성하는 질문지를 통해 이루어 졌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의 피로수준은 직무스트레스(KOSS)수준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피로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 BMI, 주관적 건강상태, 흡연상태, 규칙적인 운동여부, 커피음용여부, 외래진료유무, 직장생활의 만족도, 직무스트레스(KOSS)가 유의하게 나타난 변수이며 변수설명력은 34.1%이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는 소규모 제조업 남성 근로자들의 피로수준은 인구 사회학적 특성별, 건강관련 행위특성별, 직무관련 및 직무스트레스와 유의한 융복합적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determine the fatigue symptoms(MFS) and its convergence association with occupational stress(KOSS) among small scale manufacturing male workers.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428 workers employed in 14 work places under 50 members of manufacturing industries during the period from September 1st to 15th, 2015. As a results, the level of fatigue symptoms(MF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occupational stress(KOSS).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factors of influence with explanatory powers of 34.1% on fatigue symptoms(MFS) included sex, BMI, subject health status, smoking, regular exercise, drinking coffee, visiting out-patient department, sense of satisfaction in job life, and occupational stress(KOSS). Above results suggested that the level of occupational stress(KOSS) is so convergence influenced by variable factors as well a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 related characteristics and job-related characteristics, to a greater extent, by occupational stress(KOSS).

      • KCI등재

        식품제조업 고령 여성 근로자의 재해 특성과 예방대책

        황재철,정명진,오소윤,최동아,최민재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0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6 No.4

        Compared to other manufacturing industries, the food manufacturing industry has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women casualties compared to men, and the number is steadily increasing. The age of casualties is also increasing as the society enters into an aging society. This is also evident in the food manufacturing sector.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the safety and health awareness of workers by age and gender at small workplaces in the food manufacturing industry. Among them, we would like to focus on elderly women workers and analyze their accident characteristics to suggest ways to reduce the accident rate. 식품제조업은 다른 제조업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남성 대비 여성 재해자의 수가 많은 편이며 그 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고령화 사회로 접어듦에 따라 재해연령 또한 높아지고 있다. 이는 식품제조업종에서도 뚜렷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식품제조업의 소규모 사업장에서 연령 및 성별에 따른 근로자들의 안전·보건 인식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중 고령 여성 근로자들에 초점을 맞추어 재해 특성을 분석해 재해율이 감소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일부 제조업 근로자들의 구강건강실천과 치아우식 위험도의 관련성에대한 융합적 평가 -CRT<sup>®</sup> bacteria를 이용하여

        강현경,허성은,Kang, Hyun-Kyung,Heo, Seong-Eun 한국융합학회 2015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6 No.6

        본 연구는 제조업근로자의 근무특성 및 구강건강실천정도를 조사하여 치아 우식증 위험도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근로자들의 구강건강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2014년 7월1일부터~8월1일까지 부산 경남지역 일부 제조업 근로자를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 및 타액 내 미생물에 의한 치아우식발생요인검사(S.mutans검사, Lactobacillus검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을 얻었다. 하루 평균 근무시간 10시간 이상이 10시간미만일 경우보다 치아우식위험도가 높았고, 흡연자의 경우 비흡연자보다 치아우식위험도가 높았으며, 잇솔질 습관이 1점 증가함에 따라 치아 우식증 발생 고위험군일 확률이 S.mutans검사에서 0.044배 낮고, Lactobacillus검사에서 0.004배 낮았다. 따라서 제조업근로자들의 근무환경 개선을 위한 제도적인 노력과 지속적인 구강보건교육 및 실천이 이루어질 수 있는 사업장 구강보건교육을 위한 조직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and oral health status of manufacturing workers were investigated to confirm the factors affecting their risk of developing dental caries and to prepare basic data for developing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s for such workers.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and saliva microorganism examinations (S. mutans and Lactobacillus tests) were conducted from July 1 to August 1, 2014 targeting the manufacturing workers in the Busan and Gyungnam areas, to confirm the factors affecting dental caries development among manufacturing workers. As a result, the risk of dental caries was found to be higher in the workers who worked for 10 hours or longer a day than in those who worked for less than 10 hours a day, and in the smokers than in the non-smokers. A 1-point increase in the brushing pattern score resulted in 0.044 times less risk of dental caries development in the S. mutans test and 0.004 times less risk in the Lactobacillus test Therefore, systematic support is needed to improve the work environment of manufacturing workers, along with continuous oral health education in workplaces.

      • KCI우수등재

        제조업 근로자의 근무환경이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김현규(Hyeon Gyu Kim),서유리(Yu Ri Seo),조교영(Gyo Young Cho)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8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9 No.6

        본 연구는 안전보건공단에서 2014년 시행한 제4차 근로환경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6,014명의 제조업 근로자의 근무환경이 건강상태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았다. 독립변수인 근로자의 근무환경은 물리적 작업환경, 근무시간, 임금으로 정의하였고, 종속변수인 건강상태는 응답자의 주관적인 건강상태를 활용하였다. 정의된 변수 간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시행하였고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물리적 작업환경은 근무시간과 건강상태에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임금과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근무시간은 임금과 건강상태에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임금과 건강상태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 물리적 작업환경이 열악할수록, 임금이 낮을수록, 근무시간이 길수록 근로자의 건강문제를 야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자의 근무환경이 개선되는 정책을 시행하는데 본 연구가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하는 바이다. The research looked at how the working environment of 6,014 manufacturing workers affected health conditions using the fourth Labor Environment Survey (KWCS) conducted by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in 2014.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hysical working environment and working time and health condition, and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income. Also, working tim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come and health condition, and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income and health condition.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the health problems of workers become worse as the working environment gets worse, as incomes get lower, and working times get longer. It is expected that this research will be used as basic data in implementing policies that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of workers.

      • KCI등재

        제조업 근로자의 신체부위별 근골격계질환 자각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은숙,김태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3

        목적 본 연구는 제조업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신체부위별 근골격계질환 자각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방법 근골격계질환 증상 조사표와 직업성 스트레스 조사표 (NIOSH 한국어판)를 이용하여 자기기입식으로 조사된 134명의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통계적 분석을 위하여 SPSSWIN 26.0을 사용하였고, 신체부위별 근골격계 자각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파악하기 위해서 이분형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대상자의 신체부위별 근골격계질환 자각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목부위의 자각증상은 보상체계가 부적절할수록 1.067배 높았고, 직장문화가 스트레스요인일 때 0.951배 높았다. 어깨부위 자각증상은 보상체계가 부적절할수록1.048배 높았고, 팔/팔꿈치부위 자각증상은 남자보다 여자인 경우 3.712배 높았고, 직무요구가 높을수록 0.946배 높았다. 손/손가락/손목부위 자각증상은 여자인 경우 3.517배 높았고, 기혼보다는 미혼인 경우 13.387배 높았다. 허리부위 자각증상은 직장경력이 1년 미만인 경우보다 10년 이상에서 7.999배 높았고, 보상체계가 부적절할수록 1.044배 높았다. 다리/발부위의 자각증상은여자인 경우 3.517배 높았다. 결론 근로자들의 근골격계질환 자각증상은 신체부위에 따라 미치는 요인이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근로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직업 관련 특성과 직무스트레스의 요인을 바탕으로 한 중재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요구된다. Objectives To identify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musculoskeletal symptoms (MSS) by locations in manufacturing factory workers. Methods 134 factory workers comple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symptom assessment and general job stress questionnaire (Korean version of the NIOSH).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predictors associated with the occurrence of MSS by locations using SPSSWIN 26.0. Results Regarding significant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MSS by location, higher distress levels from a lack of a reward system from the current job were associated with higher odds of having MSS in the neck. However, having interpersonal conflict was associated with lower odds of having MSS in the neck. In shoulders, those who were unsatisfied with the reward system from the current job had 1.048times the odds of having MSS than those who were satisfied with the reward system from the current position. In arms and elbows, female workers had 3.712times the odds of having MSS than male workers. Having a higher workload was associated with higher odds of having MSS. Being female and unmarried was associated with higher odds of MSS in hands, wrists, and fingers. In the lower back, having more than 10years of work experience was associated with higher odds of reporting MSS than having less than 1-year work experience. In addition, those feeling unsatisfied with the reward system from the current job were associated with higher odds of reporting MSS in the lower back. In terms of the occurrence of MSS in legs and feet, female workers had 3.517times the odds of having MSS in legs and feet than male workers. Conclusions Our findings suggest that factors associated with MSS in manufacturing factory workers differ from symptom locations. These preliminary findings can be used to develop effective interventions for manufacturing workers to alleviate work-related MSS by sites.

      • KCI등재

        근골격계질환 분석용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제조업체 근로자들의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분석

        박현정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2024 안전문화연구 Vol.- No.30

        연구목적: 근골격계 부담작업을 하고 있는 제조업체 근로자를 대상으로 신체정렬상태 측정 및 근골격계 자각증상 부위,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신체 정렬상태의 차이를 파악하여 근골격계질환예방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G시에 소재한 1개 부품 제조업체 근로자 162명을 대상으로 2022년 12월 1일부터 2023년 1월 26일까지 진행하였다. 조사도구는 신체정렬상태는 자세측정 및 분석용 장비(Exbody9100, Korea)로 측정하고 자기기입식 설문방식으로 조사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7.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Indepedent t-test, ANOVA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근골격계 증상호소율은 98.8%이었고, 신체정렬상태를 나타내는 종합근골격지수는 29.00±10.456점으로 신체부정렬상태를 예측할 수 있었다. 통증정도(F=2.889, p<.024), 한번 통증 발생 시 통증 지속시간(F=3.245, p<.005), 통증 발생횟수(F=3.093, p<.007), 움직임에 따른 통증양상(F=2.542, p<.022)이 신체정렬상태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구결론: 본 연구는 신체불균형이 근골격계 통증과의 연관성을 확인하였고 근로자의 신체정렬상태 분석을 통해 근골격계질환의 발생위험성을 예측하였다. 따라서 근골격계질환 예방대책을 세울 때 신체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예방대책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Purpose: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a musculoskeletal disease prevention program by measuring the body alignment status of manufacturing workers performing musculoskeletal-related work and identifying differences in body alignment status according to the area of ​​musculoskeletal subjective symptoms and general characteristics. Method: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December 1, 2022 to January 26, 2023 among 162 workers at a parts manufacturer located in G City. As for the survey tool, body alignment was measured using posture measurement and analysis equipment (Exbody9100, Korea),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7.0,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t-test, and ANOVA. Results: The complaint rate of musculoskeletal symptoms was 98.8%, and the comprehensive musculoskeletal index indicating body alignment was 29.00±10.456, which could predict body misalignment. Pain severity (F=2.889, p<.024), duration of pain once pain occurs (F=3.245, p<.005), number of pain occurrences (F=3.093, p<.007), pain pattern depending on movement(F=2.542, p<.02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body alignment status.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imbalance and musculoskeletal pain and predicted the risk of developing musculoskeletal diseases through analysis of workers' body alignment status. Therefore, when establishing preventive measures for musculoskeletal diseases, preventive measures that can maintain body balance should be established.

      • KCI등재

        제조업 근로자의 대사증후군과 관련 요인: 2017년 국가건강검진 자료를 중심으로

        정은숙(Jung eun s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7

        연구목적은 대사증후군의 유병률과 위험인자 간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대사증후군 예방과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G지역 1개 제조업체 근로자 523명을 대상으로 2017년 국가건강검진결과와 면접표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SPSS 23.0 버전을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사증후군 군별과의 차이는 t-test, χ2 test로 파악하였고, 대사증후군 군별에 대한 교차비는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파악하였다. 연구결과는 대사증후군 군별 유병률은 주의군은 47.2%, 대사증후군군은 10.5% 이었다. 대사증후군 군별 차이를 보인 변수는 성별, 근무년수, 근무부서, 체질량지수와 대사증후군 진단 구성요소 모두 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1). 대사증후군 군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주의군에서 근무년수, 체질량 지수이었고, 대사증후군에서는 근무년수, 근무부서, 체질량 지수이었다. 이에 보건관리자는 직업적 특성을 고려하여 체질량 지수를 낮출 수 있는 운동프로그램 및 식단관리를 위한 영양학적인 접근과 대사증후군의 폐해에 대한 교육 및 홍보에 이르기까지 다학제간 접근이 이루어진다면 심뇌혈관질환의 주요 요인인 대사증후군을 예방 및 관리하는데 있어 기여하는 바가 클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preliminary data for metabolic syndrome prevention and management by examining relations between the prevalence rate and risk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Data collected from the results of the Korean National Health Screening 2017, which was conducted on 523 workers at a manufacturing company in the G region, and their interview table,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versi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metabolic syndrome risk group and the metabolic syndrome group in relation to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through t-test and χ2 test, and the odds ratio of the two groups was identified through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prevalence rates in the metabolic syndrome risk group and the metabolic syndrome group were 47.2 % and 10.5 %, respectively. Variables that showed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cluded gender, years of working, department, body mass index, and components of metabolic syndrome diagnosis; all th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1). The factors affecting the metabolic syndrome risk group were years of working, and body mass index, while the factors of the metabolic syndrome group included years of working, department, and body mass index. Therefore, health administrators need to take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that includes dietary management and education and promotion of the harmful effects of metabolic syndrome, as well as the exercise programs that helps reduce body mass index by considering the job characteristics. This will contribute greatly to the prevention and control of metabolic syndrome, one of the major causes of cardiovascular and cerebrovascular disorders.

      • KCI등재

        제조업 근로자의 건강행태에 따른 만성질환 유병률

        김정영,이은주,서순림 보건의료산업학회 2017 보건의료산업학회지 Vol.11 No.1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alth behavior and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s among manufacturing workers. It would provide fundamental data in the development of health promotion programs for manufacturing workers. Methods : Data on 3,171 employees who underwent health check-ups by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in L company, G City from March to December 2014 were analyzed. The statistical analysis of frequency, chi-square 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s were performed using SPSS 18 program.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obesity and over-weight are the health behaviors that influence the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s in manufacturing employees. Conclusions : The implementation of public health projects to improve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the employees can enhance their health, improve the productivity, and influence their quality of life positively by changing the health behavi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