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소기업의전략적지향성이정보기술역량과기업성과에미치는영향

        양희종,장길상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1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7 No.4

        본 연구는 중소기업에 종사하는 조직구성원을 대상으로 전략적 지향성이 정보기술역량과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연구모형에서는 전략적 지향성이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며, 이 과정에서 정보기술역량이 매개변수로 사용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서 울산광역시에 소재한 중소 제조업체에 근무하고 있는 조직구성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총 32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277부가 본 연구에 사용되었다. 수집 된 자료는 SPSS 24.0을 사용하여 통계분석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략적 지향성의 고객지향성, 시 장지향성, 그리고 기술지향성은 정보기술역량의 정보기술지식과 정보기술운영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정보기 술역량의 정보기술기반에 대해서는 전략적 지향성의 고객지향성과 기술지향성만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둘째, 전략적 지향성의 고객지향성과 기술지향성이 기업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시 장지향성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보기술역량의 정보기술지식, 정보기술운영, 그리고 정보기 술기반 모두 기업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략적 지향성과 기업성과 간에 정보기술역량 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정보기술역량의 하위요인인 정보기술지식, 정보기술운영, 그리고 정보기술기반 모두는 전 략적 지향성의 하위요인인 고객지향성 및 기술지향성과 기업성과 간에 부분매개 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 한 연구결과는 오늘날의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서 대기업과 공급체인 상에 있는 중소기업들의 경쟁우위 및 성과 향상 을 위하여 고객지향 및 기술지향 경영전략을 수립하여야 하며, 이를 실행할 수 있도록 정보기술지식, 정보기술운영, 그리고 정보기술기반 등의 정보기술역량을 강화하여야 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This study empirically verified the effect of strategic orientation on information technology(IT) competency and corporate performance for organizational members engaged i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In the research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strategic orientation affects corporate performance, and IT competency is used as a mediating variable in this process.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organizational members working in small and medium-sized manufacturers located in Ulsan Metropolitan City. A total of 32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277 copies were used in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24.0.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ustomer orientation, market orientation, and technology orientation of strategic orientation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both information technology knowledge and information technology operation of IT competency. And it was found that both customer orientation and technology orientation of strategic orientation only affects the information technology infrastructure of IT competency. Second, it was found that customer orientation and technology orientation of strategic orientat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corporate performance, but market orientation had no effect on corporate performance. Third, it was found that information technology knowledge, information technology oper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y infrastructure of IT competency had a positive (+) effect on corporate performance.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information technology competency between strategic orientation and corporate performance, information technology knowledge, information technology oper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y infrastructure of IT capability were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customer orientation and technology orientation of strategic orientation and corporate performance. These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in today's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customer-oriented and technology-oriented management strategies should be established to improve the competitive advantage and performance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SMEs) in the supply chain with large enterprises, and at the same time information technology capabilities such as information technology knowledge, information technology oper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y infrastructure should be strengthened.

      • KCI등재

        헤어 국가기술자격증에 대한 인식이 헤어살롱 현장에서의 직무활용성 및 자격증취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임순자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1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7 No.4

        본 연구대상은 S지역을 중심으로 헤어 국가기술자격증 취득자 미용인 남․여 118명을 대상으로 2021년 6월 28일부터 7월 11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헤어 국가기술자격증에 대 한 인식이 직무활용성 및 자격증취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헤어살롱 현장에서의 직무활용성이 자격증취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첫째, 헤어 국가기술자격증에 대한 인식의 필요성, 효용성이 직무활용성에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헤어 국가기술자격증에 대한 인식의 필요성, 효용성이 자격증취득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헤어 국가기술자격증의 직무활용성이 자격증취득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 되었다. 연구결과 현장에 투입될 수 있는 요건을 갖추게 해주며, 헤어살롱 현장에서 활용성이 자격증 취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으로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론을 바탕으로 연구의 제한점을 고려하여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을 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 연구에 참여한 헤어 국가기술자격증 취득자 미용인이 S지역으로 한정되었다는 점이다. 추후 표본 집단의 규모와 지역을 다양하게 확대하여 전반적으로 폭 넓은 연구가 반영되어야 필요성이 있다.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118 men and women who obtained hair national technical certificate from June 28 to July 11, 2021, focusing on SPSS.The WIN 22.0 program was used. We would like to examine the effect of recognition of hair national technical certificates on job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with certificate acquisition, and the effect of job utilization on satisfaction with certificate acquisition at the hair salon site. First, the necessity and utility of recognition of hair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have been shown to affect job utiliz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necessity and utility of recognition of hair national technical certificates affect the satisfaction of obtaining certificate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job utilization of the national technical certificate of hair affects the satisfaction of obtaining a certificate. As a result of the study it meets the requirements that can be put into the field, and it can be seen that usability in the hair salon site is important as an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obtaining a certificate. Based on these conclusion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for subsequent studies, taking into account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The point is that hairdressers who obtained national technical certificat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limited to S region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ize and region of the sample group in various ways and reflect a wide range of research overall.

      • KCI등재

        글로벌기업의 집단형 문화가 합리형 문화에 미치는 영향-여성 리더의 직위와 경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혁영,김택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0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6 No.2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 of women leader's characteristic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lan culture and market culture of global companies. In addition, this study attempts to analysis the mediating effect of women leader's position and carrier in the relationship among facilitator, mentor, producer, and director leadership using partial mediation and completed mediation model.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Conceptual research model is designed with three constructs such as clan culture, woemn leader's characteristics, and market culture. Based on five hundred cases with leadership styles and organizational culture of global companies, this study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women leader's characteristic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lan culture and market culture using structured equation modeling. Results : Facilitator leadership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women leader's position and carrier. Mentor leadership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women leader's carrier while they are not correlated with mentor leadership and women leader's position. Women leader's position and carrier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director leadership while women leader's position and carrier not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procucer leadership. Also facilitator and mentor leadership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on producer and director leadership. Conclusions : By controlling for the mediating effect of women leader's characteristics, this study have improved the academic contributions as well as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through empirical study of clan culture that affect market culture in the filds of leadership style and organizational. In addition, this study means that the mediating effects on the variables of women leader's position and carrier were examined. 본 연구는 글로벌 기업의 집단형 문화와 합리형 문화 간의 관계에서 여성리더 특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 연구목적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촉진자, 선도자, 생산자, 지시자 리더십 간의 관계에서 여성리더의 직위와 경력이 매개효과로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개념적 연구모형은 집단형 문화, 여성리더 특성, 합리형 문화의 3개 요인으로 설계되었다. 글로벌기업을 대상으로 리더십 유형과 조직문화와 관련된 500개의 조사대상표본에 기초해서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여 집단형 문화와 합리형 문화 간의 관계에서 여성리더 특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첫째, 촉진자 리더십은 여성리더의 직위와 경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선도자 리더십은 여성리더의 경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에, 여성리더의 직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여성 리더의 직위와 경력은 생산자 리더십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여성 리더의 직위와 경력은 지시자 리더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촉진자 리더십은 생산자 리더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선도자 리더십은 지시자 리더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여성리더 특성의 매개효과를 통제한 상태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집단형 문화가 합리형 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연구를 통해서 검증함으로서 학술적 기여도를 높였으며, 또한 정책적, 혹은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리더십 유형과 조직문화 연구 분야에서 여성리더의 직위와 경력 변수를 사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연구이다.

      • KCI등재

        예술대학의 『교육과정의 국제 통용성 확보』를 위한 실제

        김혜진,장청옥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15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1 No.4

        문화는 소통이다. 전 세계가 온라인을 통하여 동시대적으로 소통하는 가운데 교육의 국제적 통용성이 대두 되고 있다. 특히 유튜브를 비롯한 소셜미디어는 의도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온라인 강좌의 시대를 열었고, 이것은 예 술대학을 비롯한 교육과정이 국제 통용성 시대에 발맞춰야 함을 부각시켰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의 국제화를 확보하 고 있는 국내외 전문인 프로그램을 포함하였다. 미디어·예술 교육과정의 국제화를 통해 관련 국제 산업체의 기술진 보를 학습자의 요구에 맞추어 교육하는 맞춤형 전문적 교육기관으로 예술대학의 위상을 제고하였다. 동시에 전임교원 이 시대의 흐름에 맞는 국제적 전문성을 확보 프로그램으로 개발할 수 있도록 제언하면서 소셜 미디어를 통한 교육 산업의 패러다임의 변화가 교육 과정의 국제 통용성 확보의 이유가 될 수 있다고 예견한다. Cultures mean communication. With the whole world communicating online simultaneously, international availability has also been required in education. Especially the social media including the YouTube has opened a new age of e-learning, if not intending to do so, and the curriculum of a college or a university has kept up with the needs of our time. This study contains domestic and international professional programs equipped with internalization of a curriculum. It has suggested a role of college of arts as a customized and specialized institution which offers students advanced skills of related international industries through an internationalization of a curriculum of media and arts. It also suggests that full-time faculties need to develop a program to secure an international expertise. It can be concluded that a shift of paradigm towards education industry through social media contributes to needs to secure an international availability of a curriculum.

      • KCI등재

        상호문화교육을 위한 미디어리터러시 사례 연구 : 드라마 <사랑의 불시착>을 중심으로

        김정희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3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9 No.1

        상호문화주의는 다문화시대 문화차이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문화 간 차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철학을 제시한다. 다문화주의가 다양한 문화의 공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면, 상호문화주의는 상이한 문화 사이의 활발한 만남과 상호작용을 추구한다. 우리는 상호문화교육을 위한 미디어리터러시 사례로서 흥행 드라마 <사랑의 불시착>을 연구한다. 드라마에 나타난 문화차이와 상호문화주의에 대해 논의해보고, 구체적으로 문화 간 대화의 양상을 분석해본다. 이를 통해 우리는 본 드라마가 상호문화교육의 효과적인 미디어 텍스트임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장례문화 인식과 웰엔딩의 실천과제 연구-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

        이필도,김혁우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18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4 No.4

        We should step forward from the cremation-centered funeral and consider the well-ending of the diseased from a welfare perspectiv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highlight our funeral culture from a welfare perspective and to explore developmental policies in association with the well-ending of the deceased.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nging history of funeral culture, to identify problems arising in the funeral culture of the Seoul Metropolitan City, and finally present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for funeral culture. We conducted the survey on awareness of funeral culture with recruiting 500 citizens in Seoul City. Well-ending culture is the process which secures human dignity until the last moment of the death and improves the quality of death culture. Systematic approach to well-ending culture will gain the objectives of qualitative improvement of the death. Therefore, the funeral culture paradigm should be shifted for the settlement of funeral culture applicable to aging society. Education for well-ending preparation will give a meaning of life for both the persons waiting for the death as well as the family members. We also should establish funeral facilities as culture welfare facilities where all the generations share. 장례문화는 화장위주의 장례방법 개선에서 죽은 자의 복지적 차원의 접근이 필요하다. 장례문화는 미래지향적으로 재조명해 보고, 웰엔딩(well-ending)과 연계한 발전방향을 모색할 필요성이 있다. 본고에서는 장례문화 변화과정과 서울시 장례문화의 문제점 진단을 통해 웰엔딩의 실천과제를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서울 시민 5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장례문화 의식조사 결과를 활용하였다. 웰엔딩은 생의 마지막 순간까지 인간의 존엄성을 보장해 주고 죽음문화를 질적으로 향상시키는 과정이다. 웰엔딩 문화의 체계적인 접근은 죽음의 질적 개선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고령사회에 부응하는 장례문화 정착을 위해서는 장례문화에 대한패라다임의 전환이 필요하다. 웰엔딩 준비 교육은 죽음을 맞이하는 당사자 뿐 만 아니라 살아있는 가족들에도 삶의 의미를 깨달을수 있다. 그리고 장사시설은 모든 세대가 공유할 수 있는 문화 복지시설로 확충될 수 있도록 우리의 지혜를 모아야 한다.

      • KCI등재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직무 재교육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조직풍토와 다문화실천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신효진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1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7 No.4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직무 재교육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직풍토와 다문화역량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와 서울 지역에 있는 8개의 다문화 가정지원센터와 건강가정다문화가 족지원센터에 근무하는 180명의 다문화 실천가들에게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포하여, 이중 응답이 부실한 5개의 설문지 를 제외하고 175개의 설문지가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Amos 21.0 프로그램을 통해 다변량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되었으며 SPSS 20.0 프로그램으로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직무 재교육은 조직풍토와 다문화역량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으며, 조직풍토는 직무만족도에 직접적 영향을 미쳤다. 직무 재교육은 직무만족도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조직풍토를 완전매개하여 직무만족도에 유의미 한 영향을 주었다. 다문화역량은 직무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음으로써 재교육과 직무만족도 사이의 매개 효과가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따라 직무만족도 증가를 위한 실천적 개입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 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career-education on job satisfaction in the multicultural family service centers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multicultural practice competence and organizational climate.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survey was done on 180 multicultural practitionser in Seoul and Kyunggi Do. A total of 175 copi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with ones insincerely made were excluded. Collected date underwent Multivariat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using AMOS 21.0 and frequency, descriptive, and corelation analysis were made using SPSS 20.0. Statistical program. The study results revealed that career-education directly affect organizational climate and multicultural practice competence, and organizational climate directly affected job satisfaction. Career education did not affect job satisfaction, but organizational climate had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dditionally multicultural practice competence didn't have an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mediating effect i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Based on the results, intervention strategies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practitioners and future study implications were suggested.

      • KCI등재

        과학기술계 정부출연연구기관의 과학문화 프로그램 실태조사 - 대덕연구개발특구 소재 기관을 중심으로 -

        권미자,정기주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1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7 No.1

        대덕특구 소재 13개 과학기술계 정부출연연구기관(과기출연(연))의 최근 3년간(2017∼19년)의 과학문화 활동 프로그램을 활동방법과 운영주체에 따라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과기출연(연)이 운영한 총 프로그램 수는 150개이며 기관 당 연평균 11.5개의 과학문화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과학문화 활동방법으로는 과학축제와 견학이 전체 프로그 램 수의 72%이고 운영주체는 ‘자체(PPOI)’ 프로그램이 68개(45.3%), ‘협력(PCPI)’프로그램이 82개(54.7%)로 조사되 었다. 또한 참가 대상의 87.2%가 초․중․고 및 대학생이며 성인대상의 프로그램은 없었다. 우리는 본 연구의 결과로 대중의 연구이해(PUR)를 위해 첨단과학기술을 포함한 현재 진행 중인 연구내용중심으로 각 과기출연(연) 주관·주최 의 열린 과학축제와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과학콘서트 등의 과학문화 활동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The scientific culture programs of 13 Government-supported Research Institutes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GRIST) in Daedeok Innopolis are studied and classified according to the activities and operational types of programs conducted by GRIST over the past three years (2017∼19). The total 150 scientific and cultural programs of GRIST were operational with annual average of 11.5 programs per institution. Science festival and field trip, as a scientific culture activity, account for 72%. By means of operational entity, the programs were identified as 68(45.3%) for PPOI(Programs Planned and Operated by Institute) and 82(54.7%) for PCPI(Programs Contributed and Participated by Institute). Also the 87.2% of all participants were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and the program for adult participants was none. From this study, we suggest that open lab type of science festival programs, which organized and operated by each GRIST, to inform ongoing and advanced research for public understand of research (PUR) and science concerts for targeting adult audiences.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최신기술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이하원,신원애,조혜경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0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6 No.3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s of emerging technologies, with a particular focus on fields connected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More specifically, we explore how satisfied child-care teachers are with existing educational tools, whether they are interested in or willing to use the latest technology within child care, and their perceived likelihood of adopting these new technologies within child care sites. A total of 181 directors and teachers working at child care institution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child-care teachers were moderately satisfied with current teaching methods and their effects; secondly, child-care teachers were not especially interested in emerging technologies; thirdly, although interest in applying the latest technology to child care sites was moderately high, refusal to use this technology was also somewhat high; fourthly, many agreed that this technology would eventually become common.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those planning to introduce the latest technology to child care sites and basic data to improve teacher training. 이본 연구의 목적은 4차 산업혁명 시대 최신기술 도입을 앞두고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기존 교육방법의 효과, 최신기술의 관심, 최신기술의 활용 및 최신 기술의 전망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지역의 보육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원장 및 교사 총 181명으로 2020년 4월 27일부터 5월 10일까지 온라인 설문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는 현재 교육 방법 효과에 대해 보통 정도의 만족을 하고 있었다. 둘째, 최신기술에 대한 관심은 높지 않았다. 셋째, 최신기술을 현장에 적용하는 것은 보통이상 정도의 관심을 두고 있었으나 거부감도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육현장에서 최신기술에 대한 전망은 긍정적이며 특히, 최신기술의 도입이 보편화 될 것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앞두고 보육현장의 최신기술 활용에 바른 방향성 및 관련 교사연수 준비에 기초자료가 될 것을 기대한다.

      • KCI등재

        미디어파사드 특성이 문화예술공간의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철수,남상문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0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6 No.1

        노동에 몰입하던 삶이 가치와 생활을 중시하는 것으로 변화하면서, 개인은 학습, 지적 욕구 충족, 즐거움, 교류 등을 위하여 문화예술을 소비하거나 참여하고 있다. 최근에는 문화예술공간이 늘어나면서 공간은 문화와 예술을 창조 하고 관람하며 교류하는 장소, 문화상품을 소비하는 장소로 탈바꿈하였다. 문화예술공간은 새로운 장르와 기술을 창 조하고 개발하여 관람객에게 소통하고 참여하는 기회를 제공하여 미디어 작품을 이해하고 체화할 수 있게 한다. 따라 서 미디어파사드는 관람객이 문화공간을 전시와 공연장소가 아닌 짧은 시간에 깊은 인상을 심고 작품과 문화공간에 더 쉽게 다가가고 이해하는 계기를 제공하여 해당 장소를 더 선호하게 만든다. 미디어파사드는 건물 외벽에 LED 조 명을 설치해 미디어 기능을 구현하는 것으로서 아름다움과 정보를 전달하는 매개이다. 미디어파사드의 특성이 문화예 술공간의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미디어파사드의 특성을 독립변수로, 문화예술공간의 선호도를 종 속변수로 하는 연구모형을 수립하였다. 연구 결과 미디어파사드 특성의 디자인적 특성과 매체적 특성은 만족에 영향 을 미쳤으며, 미디어파사드 특성의 매체적 특성은 추천과 재관람에 각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문화예술공간 에 많은 변화를 예고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As life, once immersed in labor, changes with values and lifestyles, individuals consume or participate in culture and arts for learning, meeting of intellectual needs, pleasure, and exchange. As culture and art spaces have increased in recent times, these spaces have been transformed into places to create, view and exchange culture and art, and to consume cultural goods. Culture and art spaces have created and developed new genres and technologies that give viewers the opportunity to communicate and participate, allowing them to understand and accumulate works of media. A media façade thus gives a preference to places for visitors by giving an impression over a short period of time in culture and art spaces that are not areas for exhibitions and performances, and providing an opportunity to more easily approach and understand works and culture and art spaces. A media façade is a type of medium that imparts aesthetics and information by installing LED lighting on the exterior wall of a building for the realization of media functions.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media façade on preferences for culture and art spaces, a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with media façade characteristics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preferences for culture and art spaces as dependent variables. As a result, media façade design and media features influenced satisfaction, while the media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façade influenced recommendation and revisiting, suggesting that many changes will take place in culture and art spa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