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서사민요와 영미 발라드의 유형분류방안 비교

        서영숙 한국민요학회 2014 한국민요학 Vol.40 No.-

        This paper investigated the methods of type classification of Korean traditional folk narrative songs and Anglo-American ballads after surveying the methods of type classification performed in each genre. It has been done as the basis work to compare the Korean traditional folk narrative songs with the Anglo-American ballads. It’s possible to classify the Korean traditional folk narrative songs and Anglo-American ballads by the same criterion, because they are songs that have narrative stories. I surveyed the family relation songs at first, because it was impossible to classify all the types in this paper. I investigated the type classification methods of Cho Dong-il, Kang Deunghak, Lee Junga and Suh Youngsook in the Korean traditional folk narrative songs and the works of F.J. Child, G. List, D. K. Wilgus in the Anglo-American ballads. The type classification methods of Korean narrative songs have been focused on the analysis of structure, but the methods of Anglo-American ballads have been focused on the thematic differences of each version. I suggested the 4 step system as the general type classification that could be adjusted to two genres commonly as follows. 1)Upper categories:They are divided according to the role relations between actors. 2)Types:They are decided into the songs that have the core incidents commonly. 3)Subtypes:They are divided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auxiliary incidents. 4)Versions:They ar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cohesion aspects of narrative paragraphs. These works need to analyze all the narrative songs and database them first, then to set up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role relation and themes. 이 논문에서는 한국 서사민요와 영미 발라드의 심층적 비교를 위한 기반 작업으로서, 두 장르의 기존 유형분류방안을 검토한 뒤 두 장르를 아우를 수 있는 보편적인 유형분류방안을 모색하였다. 한국 서사민요와 영미 발라드는 둘 다 서사적 스토리를 갖춘 노래라는 점에서 동일한 기준에 의한 분류가 가능하며, 이는 앞으로의 비교 연구를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다만 한국 서사민요와 영미 발라드의 모든 유형을 분류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우선적으로 가족 관계 유형을 추출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유형분류방안을 제시하였다. 한국 서사민요의 유형분류방안 중 주요한 성과로는 조동일, 강등학, 이정아, 서영숙 등의 방안을 검토하였다. 영미 발라드의 유형분류방안으로는 F.J. Child, G. List와 D. K. Wilgus 등의 방안을 검토하였다. 한국 서사민요의 유형분류방안이 대체로 유형구조의 분석에 의한 유형, 하위유형의 분류에 중점을 두고 있다면, 영미 발라드에서는 유사 유형에 속하는 각편들의 주제 차이를 밝히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에 보편적 유형분류방안으로 다음과 같이 분류할 것을 제시하였다. 1) 상위범주:행위자들의 역할 관계에 따라 카테고리를 정한다. 2) 유형:핵심사건을 공유하는 노래를 동일 유형으로 설정한다. 3) 하위유형:부수적 사건(특히 핵심 사건에서 나타난 갈등의 해결 단락)의 차이에 따라 설정한다. 4) 각편:각 서사 단락의 구체적 내용에 대한 별도의 내용 분류를 마련해, 서사단락의 결합 양상에 따라 구별한다. 이를 위해서는 이후 지금까지 조사된 서사민요의 모든 각편들에 대해 철저하고 세심하게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서사 단락의 내용별, 역할관계별 분류체계를 마련하는 작업이 수행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지명의 유형 분류와 관리 방안

        김순배(Sun-Bae Kim),김영훈(YoungHoon Kim) 대한지리학회 2010 대한지리학회지 Vol.45 No.2

        지명은 언어적 요소로 구성된 음성 내지는 문자 언어이면서 동시에 지리적 현상이자 하나의 문화적 요소이기도 하다. 이러한 인식을 토대로 본 연구는 현재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지명 유형 분류와 지명 관리가 안고 있는 한계와 문제점을 인식하면서, 새로운 지명 유형 분류의 대안과 지명 관리 방안을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기존 지명학 분야에서 이루어진 지명 유형 분류를 지명소, 언어적 변천, 그리고 경합이라는 세 가지 기준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이러한 선행 지명 유형 분류를 토대로 현재 국가 기관에서 수행하고 있는 지명 유형 분류의 실제와 한계를《대한민국 국가지도집》(2007)의 지명 색인 분류를 사례로 살펴보았다. 끝으로 후부지명소의 명명 대상과 전부 지명소의 명명 기반으로 구분하여 접근한 지명 유형 분류의 새로운 대안과 국가지명위원회 강화와 관련된 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현재 지명 표준화에 밀려 소외되어 있는 경합 지명과 소지명들에 대한 행정적·제도적 차원의 보호와 체계적인 관리가 시급함을 제시하였다. Geographical name is not only a spoken or written language that has been constructed as a linguistic element, but it is also a geographical phenomenon and a cultural element. Based upon this consciousnes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current classification and management systems of the geographical names in Korea and to propose a new alternative classification and maintenance of the geographical names. In particular, the paper suggests three categories for the type classification of the geographical names: morpheme, linguistic change, and contestation types. In turn,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ndex of the geographical names contained in THE NATIONAL ATLAS OF KOREA (2007) on the basis of the preceding classification types in order to unveil the practical problems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classification articulated in the national atlas. This paper also proposes a new classification of the geographical naming that reflects the divisions of front and back morpheme of geographical names. Finally, from the discussions with the reinforcement of National Committee on Geographical Names, this paper invokes administrative and institutional protection and systematical management of the contesting and unofficial small scaled geographical names that have been set apart from the current geographical name standardization.

      • KCI등재

        프로젝트기반학습과 프로젝트 유형 분류체계 개발

        장경원 한국교육방법학회 2022 교육방법연구 Vol.34 No.2

        이 연구는 프로젝트기반학습과 프로젝트의 유형 분류체계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프로젝트기반학습에 대한 문헌 검토를 수행하였고, 초・중・고등학교와 대학교의 교수자 45명으로부터 130개의 프로젝트기반학습 사례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1차 프로젝트기반학습과 프로젝트 유형 분류체계를 구안하였고 전문가들이 타당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전문가들이 제시한 타당성 평가 결과와 수정 의견을 반영하여 2차 프로젝트기반학습과 프로젝트 유형 분류체계로 수정 및 보완하였고, 이를 교육 현장의 교수자들이 직접 사용해 본 후 이에 대한 형성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형성적 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최종적으로 프로젝트기반학습 유형 분류체계와 프로젝트 유형 분류체계를 합친 ‘프로젝트기반학습과 프로젝트 통합 유형 분류체계’ 형태로 개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젝트기반학습 유형 분류체계는 연구 프로젝트기반학습, 제시 프로젝트기반학습, 창조 프로젝트기반학습, 실행 프로젝트기반학습으로 구성된다. 둘째, 프로젝트 유형 분류체계는 4개 영역 10개 유형으로 구성되는데, 조사, 실험, 탐구, 표현, 논쟁, 제작, 설계․개발, 경험, 문제해결, 실천 프로젝트이다. 프로젝트기반학습과 프로젝트가 두 개 이상의 유형을 활용할 경우 프로젝트기반학습 유형은 연구, 제시, 창조, 실행의 순서 또는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을 먼저 언급하는 순서로 유형명을 작성할 수 있다. 프로젝트기반학습과 프로젝트 유형 분류체계는 실제 프로젝트기반학습 사례를 토대로 개발되었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교수자, 학습자, 그리고 교육 현장의 이해관계자들이 프로젝트기반학습을 이해하고 이에 대해 효율적으로 의사소통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학습유형 분류의 비교 연구

        양용칠 대한사고개발학회 2016 사고개발 Vol.1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lassification of typical learning types, and to compare learning types on the perspectives of instructional design. Bloom’s educational taxonomy, learning types of Gagné and Merrill, and knowledge types of Landa and Anderson were compared in the aspects of instruction and instructional design. The comparison results in the aspects of instructional design were in the followings. First of all, although Bloom’s educational taxonomy was described according to the academic level of students, it failed to present the specific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conditions appropriate for their academic levels. Next, while the classifications of learning types of Gagné and Merrill have contributed to identifying the learning conditions for instructional design, they have not sufficiently presented the evidence to validate their classifications of learning types. Finally, the classifications of knowledge types of Landa and Anderson were distinctively made into two domains, but they could not present any strategies and conditions required to teach learning objectives. Further studies on the classifications of learning types for instructional design research were suggested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이 연구의 목적은 학습유형의 대표적 분류를 검토하고, 이들 분류가 수업설계 연구에 미친 영향을 비교하는 데 있다. 여기서 검토한 학습유형은 Bloom의 교육목표분류, Gagné와 Merrill의 학습유형, 그리고 Landa와 Anderson의 지식유형이었다. 이들 학습유형의 비교는 수업과 수업설계의 관점에서 장점과 개선점을 중심으로 이뤄졌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Bloom의 교육목표분류는 교육목표를 학습자의 수준별로 진술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수준별로 가르칠 구체적 수업전략이나 조건에 대한 내용은 제시되지 않고 있다. 다음으로 Gagné와 Merrill의 학습유형분류는 수업설계를 위한 학습의 조건을 제시하는 데 기여였으나 이들 분류의 타당성에 관한 증거를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Landa와 Anderson의 지식유형은 지식을 두 개의 영역으로 간단명료하게 분류되었으나, 이것을 가르치는 데 필요한 전략이나 조건을 제시하지 못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런 비교를 통해서 장차 수업설계를 위한 학습유형의 분류 연구와 방향이 제안되었다.

      • KCI등재

        한국형 여가활동유형 분류체계 개발에 관한 연구 : ‘국민여가활동 조사’를 중심으로

        윤채빈(Yoon, Chaebeen),박수정(Park, Soojung),윤소영(Yoon, Soyoung) 한국여가문화학회 2021 여가학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여가백서, 국민여가활동조사는 물론 여가학 전반에서 사용하고 있는 여가활동유형 분류를 에믹과 에틱의 관점에서 한국적 상황에 적합하게 변형하여 한국형 여가활동유형 분류 체계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조사를 통해 여가활동유형 분류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분석하고, 분석된 자료를 근거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한국형 여가활동유형 분류체계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한국형 여가활동유형 분류의 타당성은 전문가회의를 거쳐 검증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도출된 한국형 여가활동유형 분류표는 한국의 여가현상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여가백서, 국민여가활동 조사는 물론 여가학 전반에 활용 가능할 것이다. 또, 각 유형 간의 상호중복과 이중기준이 무의미하게 사용되고, 에믹과 에틱을 고려하지 않은 선행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국가 및 사회적인 가치관, 우리나라 여가환경의 특성을 고려한 한국형 여가활동유형 분류체계에 대한 재정립이 될 것이다. 이는 국가종합전략 및 범부처 연구개발 과제 제시 등 다양하게 변화하는 국민의 여가활동 트랜드 분석에 활용 가능할 것이며, 추후 여가정책의 방향정립을 가능케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Korean version of classification system about leisure activities types by transforming the leisure activity type classification used in leisure white papers, survey on national leisure activity, as well as leisure studies as a whole to suit the Korean situ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emik and etic. To this end, The data was analyz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bout the problem of classification of leisure activity types and improvement method. Also, based on the analyzed data,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o develop a classification system for Korean leisure activity types, and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Korean leisure activity classification was verified through expert meetings. The Korean version of leisure activity classification system table deriv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important basic data to study leisure phenomena in Korea. In addition, it can be used for leisure white papers, surveys on national leisure activities, as well as overall leisure studies. In addition, mutual redundancy and double standards between each type are used meaninglessly,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that did not consider emics and etics, It can be a re-establishment of the Korean version leisure activity classification system in consideration of national and social valu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isure environment in Korea. It can be used to analyze diverse trends in leisure activities of the people, such as presenting comprehensive national strategies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tasks of various ministries, and it will be possible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leisure policies in the future.

      • KCI등재

        국가지식정보 자원 분류 체계 표준화 연구

        고영만,서태설,조순영,Ko Young-Man,Seo Tae-Sul,Cho Sun-Yeong 한국문헌정보학회 2006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지식정보자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관리하고 서비스하는 국내의 모든 공공 기관과 민간 기관에서 공동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자료유형과 매체유형을 포괄할 수 있는 국가지식정보 분류표준(안)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의 기초 작업으로서 문헌분류 체계와 지식정보자원 분류 체계의 차이, 지식정보자원의 분류사례 및 지식정보자원 분류에 대한문헌분류 체계의 적용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기초 분석에 이어 국가지식정보 표준분류 체계 개발에 필요한 지식의 분야별 분포, 분류의 계층과 유연성 확보 방안, 지식정보 자원의 자료유형과 매체유형, 국가지식정보의 포털서비스 방안 등이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주제 분류표, 자료유형 분류표, 매체유형 분류표로 구성된 다원적 국가지식정보 분류 표준(안) 모형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out a draft for the standard classification of the National Knowledge and Information Resources. As the result of the Study the standard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national knowledge and information resources, named "Knowledge Classification 'KC' is suggested. KC consists of 3 classification systems classification by subject, type of resources and type of media. The classification by subject has 12 main classes, and each main class has divisions. Main classes consist each of major discipline or group of related disciplines. The type of resources is classified by 10 types of content, likewise numbered 0-9, and the media of knowledge are classified by 8 types. likewise 0-7. In the Practice the notation always consists of 2 characters and 2 digits. The first character designate main class and the second character designate division. The first number designate the type of resources and the second number designate the type of media.

      • KCI등재

        경관단위 유형분류 및 가치평가에 기초한 경관 개선방안 설정 및 적용

        김진효,나정화,권오성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20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14 No.4

        본 연구에서는 대전광역시 신동지구 지구단위계획부지를 대상으로 경관단위 유형분류 개념에 기초하여 유형분류 도면 및 가치평가 도면을 작성함으로써 경관개선을 위한 정량적인 기초자료 구축 방법론을 모색해 보는데 가장 큰 의의를 두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경관 단위 유형분류 결과 경관단위 유형군(대분류)은 총 9개, 경관단위 유형(중분류)은 총 24개, 세 부경관단위 유형(소분류)은 총 56개로 분류되었다. 1차 평가 결과, 가치가 가장 높은 I등급에 해 당하는 경관단위 유형들은 총 12개로 나타났다. 1차 평가에서 중간등급 이상으로 평가된 경관단 위 유형들을 대상으로 한 2차 평가 결과, 미시각적 측면에서 특별한 의미를 가진 경관단위(1a, 1b) 는 39개, 미시각적 측면에서 의미를 가진 경관단위(2a, 2b, 2c)는 56개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 한 경관계획 관련 현행 법·제도와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경관계획 내용과의 비교분석 결과 현 행 법·제도의 대부분은 인공물을 미시각적 측면에서 개선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는바, 지구 단위개발계획의 공간적 범위 내에 분포하고 있는 미시각적으로 가치 높은 띠형 수림, 노거수 등 과 같은 다양한 크기, 형태를 지닌 자연경관요소들을 개발계획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전하기 위한 법·제도적 뒷받침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비시가화지역을 대상으로 수립되는 지구단위계획을 미시각적 측면에서 지속가능한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써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greatest significance in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thodology of establishing quantitativ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landscape plans by creating type classification drawings and valuation drawings based on the concept of landscapetope type classification for district unit planning sites in Shindong district in Daejeon, Korea. Put.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As a result of the landscapetope type classification, a total of 9 landscapetope types (large classification), a total of 24 landscapetope types (medium classification), and a total of 56 detailed landscapetope types (small classification). As a result of the primary evaluation, a total of 12 landscapetope types corresponding to the I-grade with the highest value were found. As a result of the secondary evaluation, targeting the types of landscapetopes rated as intermediate grade or higher in the first evaluation, 39 landscapetopes (1a, 1b) with special meaning in the microscopic aspect, and landscapetopes with meaning in the microvisual aspect. (2a, 2b, 2c) were analyzed to be 56. In addition, as a result of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current laws and systems related to landscape planning and the contents of landscape plans suggested in previous studies, most of the current laws and systems focus on improving artifacts in the microscopic aspect, within the spatial scope of the district unit development plan. It was found that the legal and institutional support for effectively preserving elements of various sizes and shapes, such as the microscopically high value of the belt-shaped forests and old trees, from the development plan was insuffici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considered to play an important role as basic data that can guide the district unit plan established for non-urban areas in a sustainable direction from a microscopic perspective.

      • KCI등재

        품사의 분류 기준과 분류 체계―언어유형론적 고찰을 중심으로―

        김건희 한글학회 2013 한글 Vol.- No.300

        The aims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f word classes(form, function, meaning) and the classification system focused on the language typological analysis. (1)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f word classes, ‘form’ which has been considered to be based on the inflectional language is not fit to the inflectional language altogether, so the fact is kept in mind that the word classes are the collection of the words which have the different nature just as in view of the language typology. (2)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f word classes, ‘function’ have some connection with the ‘Pumsatongyong’ and the sentential constituent and the assertion of Croft(1991, 2000) is refereed (3)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f word classes, ‘meaning’ is actually inherent quality, so meaning is not dealt along with the other criteria(form, function) in the classification system. Also this kind of meaning must be distinct from the semantic type of the language typological analysis. Consequently,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f word classes are not in serial order and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word classes is synthetically constituted with ‘form’ and ‘function’ and the ‘meaning’ which ha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f word classes is only the outcome of this classifi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국어 품사의 실체를 밝힐 수 있는 품사의 분류 기준 ‘형태, 기능, 의미’와 분류 체계에 대해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이에 대해 언어유형론적 논의들을 통해 새로운 시사점을 얻는 것이다. 먼저 품사 분류 기준 ‘형태’가 굴절어 내에서도 온전히 적용될 수 없다는 것을 제시하면서 품사가 본래 서로 다른 중요성을 가진 이질적인 단어의 집합이라는 관점을 보여주는 언어유형론적 분류 체계에 주목해야 함을 제시하였다. ‘기능’에 대해서도 품사들이 유표적인 기능을 가질 때는 특정한 형태, 통사적 표식을 동반한다는 크로프트(Croft)의 언어유형론적 관점을 제시하였고 특히 이러한 ‘기능’의 문제는 품사 통용 및 문장 성분의 논의와 관련된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그동안 변별력이 가장 약한 품사 분류 기준으로 알려진 ‘의미’는 실은 품사의 내재적인 속성으로 ‘형태, 기능’의 분류 기준과 동궤의 선상에서 고찰할 수 없다는 것도 제시하였다. 또한 이러한 내재적 속성의 국어 품사 분류 기준 ‘의미’는 언어유형론적 접근의 의미 유형과는 구별된다는 점도 제시했다. 이와 같은 품사의 분류 기준에 대한 논의들을 토대로 기존의 주장처럼 분류 기준들이 순차적인 적용 순서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기능’과 ‘형태’를 분류 축으로 한 종합적인 분류 체계가 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곧 의미를 나타낸다고 하는 품사(명칭)들은 결국 분류 기준이 아니라 품사 그 자체로 형태, 기능에 의한 분류 결과가 된다는 점을 주장하였다.

      • KCI등재

        지방중소도시 전통시장 유형분류 및 특성에 관한 연구 : 충청남도 전통시장을 중심으로

        이상준,이정수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3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5 No.5

        본 연구는 지방중소도시 전통시장의 활성화 수준 향상에 기여하는데 목적을 두고 연구를 수행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지방중소도시 전통시장에 대한 유형분류 방법으로 계층적 군집분석과 구성요소 분석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단계적 분석을 통해, 보다 일반화될 수 있는 유형분류 기준을 제시하였다. 둘째, 지방중소도시 전통시장은 3개 유형(블록중심형, 가로중심형, 광장중심형)과 이에 속하는 6가지 세부유형으로 구분됨을 제시하였다. 셋째, 각 유형별 구성요소 분석결과, 지방중소도시 전통시장은 나타내는 현상이나 문제점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활성화를 위한 방법 또한 달라야 함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지방중소도시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서는, 전통시장에 대한 유형분류를 실시하고 유형별 쇠퇴현상이나 문제점에 대한 개선으로 요구되는 활성화 요소(기능과 구성요소)에 대한 차별적 적용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현행 규제등록제도하의 규제분류체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최유성(Choi, Yoo-Sung),최무현(Choi, Moo-Hyun) 한국경제연구원 2012 규제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현행 규제등록제도하의 규제분류 실태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론적 논의보다는 현행 규제분류상의 문제점을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를 발굴 ‧ 분석하고, 실무자들과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접을 통해 앞으로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탐색적이고 기술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현행 규제분류체계는 과거 행정사무 분류방식에서 파생되었기 때문에 망라성과 상호배제성의 부족 등과 분류체계의 비합리성이 내재되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분류체계의 비합리성은 규제등록을 담당하는 공무원들에게 혼란을 초래하고 잘못된 등록을 야기하는 악순환을 야기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현행 규제분류의 문제점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현행 유형별 분류방식의 개선방안으로, ① [유형 1]의 세부유형의 경우 규제적 성격이 없는 세부유형을 삭제하고 재분류한다. ② 망라성을 확보하고 특정 세부유형의 지나친 편중 해소를 위해 분류기준을 합리화한다. ③ 현행 분류체계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기준설정’ 세부유형을 삭제하고 여기에 포함된 규제들을 재분류한다. ④ ‘유형별 분류’라는 용어를 합리적으로 개정한다. 다음으로, 성격별 분류방식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① 하위 분류의 비대칭을 해소하기 위해 경제적 규제의 세부분류체계를 새롭게 추가한다. ② 사회적 규제의 ‘영역별 분류’의 경우 ‘기타’ 영역을 신설하고 ‘소비자 안전’ 영역을 확대한다. ③ 사회적 규제의 ‘방식별 분류체계’의 경우 다양한 규제수단을 감안하여 분류를 세분화 한다. According to Article 6 of the Basic Act on Regulatory Reform (BAAR), all regulations for administrative agencies of the central government should be registered within the Regulatory Reform Committee (RRC). When government officials register regulations, they should be classified based on the 'type of administrative act' and 'attributes of regulation.' However, the current classification system has many problems, including lack of consistency and rationality. It leads to difficulty in understanding and low utilization by government officials, which results in incorrect registration and low utilization of statistics derived from the classification system. Therefore, it becomes necessary to revise and supplement the current classification methods. This study identifies and analyzes the defects and problems of current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government regulations in ternms of the registration system, and suggest how to formulate a new and supplemented classification system of government regulation from a long-term perspe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