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관심의제도의 운영시스템 분석 및 발전 방향 모색 : 전라남도를 중심으로

        송태갑,김상범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11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5 No.1

        본 연구는 경관심의제도가 보다 효율적 추진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한 개선방안으로 전라남도의 총 대상으로 시 ․ 군의 경관계획수립 및 경관심의 위원회 운영현황, 경관심의 사례와 시 ․ 군경관조례에서 규정하고 있는경관관련 위원회의 명칭과 기능을 조사․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목포시, 순천시, 나주시, 담양군, 구례군, 영암군 등6개 지자체의 경관조례 및 제정, 경관계획 수립현황과 형성조례와 경관 유형별 개발 인 ․ 허가 운영지침을 검토하였다.또한 최근 이루어진 경관심의 가운데 여수시와 순천시, 보성군과 장흥군 기본경관계획과 완도군의 특정경관계획 심의사례를조사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경관심의제도의 효율적 운영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첫째, 경관법 개정을 통해 경관심의제도 자체의 개선 필요성과 함께 시 ․ 군 경관계획의 수립 ․ 변경, 승인은 시 ․ 군자체적으로 심의 ․ 자문할 수 있도록 현실화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되었다.둘째, 경관조례와 공공디자인 조례를 일원화할 필요가 있다. 경관조례와 공공디자인조례의 일원화를 통해 경관이라는큰 틀에서 공공디자인 문제를 취급하는 시스템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셋째로, 시 ․ 군 경관계획 수립과 관련한 도 경관심의와 시 ․ 군 경관심의를 차별화하거나 폐지하는 방안의 검토가요망된다.넷째로, 전라남도 경관조례 제13조에는 경관지구 및 미관지구 이외의 지역에서의 대규모 개발 행위시 경관관리계획수립 및 조치를 이행하도록 하는 조항을 적극 활용하기 위한 현실적 조치가 필요하다. 해당되는 개발행위에 대해서는경관관리계획을 수립하도록 하고 지속적으로 행정감독을 이행할 필요가 있기에 대규모 개발 행위 시 경관관리계획수립 및 조치를 이행하도록 해야 한다.다섯째, 다소 주관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경관심의를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경관심의 가이드라인혹은 체크리스트 등을 작성하여 행정과 심의위원, 그리고 사업자가 공유하는 경관심의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여섯째, 경관심의제도가 효과를 발휘시키기 위한 다양한 정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특히 대규모 개발행위에 있어서 경관관리계획 수립 지침의 마련, 경관상 시상 등 정책적인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as a reform plan promoting the landscape screening system of Jeollanam-do in a more effective direction is a result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landscape ordinance, and establishment, the current status of landscape plan establishment, formulation ordinance, the operation guidelines of development permission, authorization by landscape type of 6 local governments such as Mokpo-city, Suncheon-city, Naju-city, Damyang-gun, Gurye-gun, Youngam-gun, and Yeo-city, Suncheon-city, Boseongseong-gun deliberating landscape on May 21, 2009 at the same time and Jangheung-gu formulated on Jan. 02, 2010 and Wando-un establishing basic landscape and specific landscape plan respectively to grasp the establishment of landscape plan, the current status of landscape screening committee, and the case of landscape screening of city and county, and the name and function of landscape related committee provided at the city and county landscape ordinance to total 22 local governments (5 cities, 17 counties in Jeollanam-do. And suggests plans for effective operation of landscape screening system as follows; First, the landscape screening system should be improved through the revision of the law of landscape, and given the reality, the establishment, change and approval of city and county landscape plan should be deliberated and advised for the city and county. Second, in case of Jeollanam-do the landscape ordinance and public design ordinance should be uniformed. It is judged that public design issue needs to be improved as a system to address public design issue in a large frame called landscape through the unification of landscape ordinance and public design ordinance. Third, do-landscape screening and city, county landscape screening need to be discriminated, or abolished or reviewed in relation to the establishment of city and county landscape plan. Fourth, Article 13, Jeollanam-do landscape ordinance provides that the establishment and measure of a landscape management plan should be performed at the time of large-scale development action outside of landscape district and beauty district, so any relevant development action needs to make a landscape management plan, and continue performance of administrative supervision, that at the time of developing on a large scale, it should carry out the establishment and measure of landscape management plan. Fifth, to implement landscape screening being executed some subjectively to implement more systematically and effectively, landscape screening standards to be shared with administrative deliberation members, and businessmen should be arranged by drawing up the guidelines or checklists of landscape screening. Sixth, to effectuate landscape screening system, various polices to support that should be devised. It is judged to make policy approaches such as the preparation of landscape management plan directions, and awarding of landscape prize in large scale development action.

      • KCI등재후보

        경관디자인코드를 활용한 장복리 경관정비계획

        서주환,이경진,최현상,양희승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13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7 No.2

        본 계획은 농촌마을에서 마을경관의 공통적 특성으로 나타나는 농촌경관디자인코드를 경관정비에 활용하여 지역주민의 생활환경을 개선하고 농촌경관의 질적 향상과 지역고유의 경관을 관리하기 위한 농촌경관정비계획을 수립하는 것으로 충청남도 예산군 대술면 장복 1리를 대상으로 계획을 수립하였다.계획수립을 위해 장복리의 입지여건, 인문환경, 경관특성 및 주민의식을 분석하고 농촌경관디자인코드를 파악하여 경관디자인 구상 및 공간별 경관정비계획에 적용하였다.장복리 경관정비를 위한 계획은 지역주민들의 생활환경 개선 및 방문자들의 체험루트 조성을 위해 달천 제방 산책로 정비, 마을뒷산 산책로 정비, 마을안길 정비, 담장 및 지붕 정비 등을 계획하였으며 마을 소득증대 및 농촌관광기반조성을 위해 농산물 판매장 조성, 달천 정비, 국화꽃 단지 및 국화체험장 조성 등의 계획을 수립하고 마을의 인지도 제고 및 장소성 형성을 위해 진입도로 및 진입공간 정비계획을 수립하였다. By leveraging on landscaping the rural landscape design code that is displayed in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 landscape of the village in a rural village, this plan is to improve the living conditions of local residents, Target area is a Jangbok 1-ri, Daesul-myon, Yesan-gun, Chungcheongnam-do, region intrinsic decided to formulate a rural landscape development plan for managing the landscape of the region-specific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rural landscape.Analyze the public awareness of location for planning, humanities environment, and landscape characteristics, understand the rural landscape design code, it is applied to the development of another area landscaping plan and concept of landscape design.The plan for landscaping, development of Dalcheon embankment promenade for the experience route structure and visitor improvement of living conditions of local residents, trail maintenance mountain behind the village, village depth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roof and fence and we plan to, Developed a plan, such as field development of mum experience hall, of Dalcheon, and mum complex and rural income growth of the village, where formability and awareness of the town we have developed an approach space development plan and approach road for.

      • KCI등재

        농촌어메니티자원의 가치평가와 관리방안에 대한 연구 : 농촌어메니티 가치평가 요소에 관한 고찰을 중심으로

        Brian Orland,Kim, Sang Bum,H. Campbell,Eleanor R. Stuckeman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11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5 No.1

        농촌경관은 자연경관과 문화경관을 대표한다. 문명화된 세계에서 진정한 자연경관은 찾아보기 힘들며 유럽과 아시아 지역에서도 적은 지역에만 존재한다. 가장 오래된 대표적인 경관은 사람들이 경제, 생산의 가치 뿐 아니라 미적 자원으로서토지에 대해 가지고 있는 가치가 무엇인지를 보여준다.최근까지도, 전세계적으로 토지의 농업생산성은 다른 어떤 것(미와 휴양, 회복의 가치 등) 보다도 주요한 관심사였으나이제 세계 인구의 50% 이상이 도시에 살고 있는 상황에서 농촌경관이 지닌 가치들은 상실될 위기에 처해졌다. 동시에,우리가 공공영역을 관리하고 개발하는 방법은 점점 더 명확한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어떠한목적의 보호구역을 설정하는 데 있어 경제적, 생태적 생산성과 지속가능성 등의 생태적 효과의 평가에 크게 의지한다.이러한 평가는 기후변화와 자원의 추출 등의 영향에 대한 효과를 고려하는데는 적합하나, 체계적인 계획을 수립하는데가장 큰 방해가 되는 문화적, 심리적인 경관의 장소애착을 반영하지는 못한다. 기술적 경관평가와 관리에는 두 가지관점이 있다. 북아메리카,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에서는 경관평가 기법을 자연경관 가치의 체계적인 평가로부터발전시켜 왔으며 이것은 인간의 개입이 조화롭고 만족스러운 세계에 방해가 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유럽에서의경관은 문화적이고 사람이 체험하는 것으로, 평가에 있어 측정 가능한 가치보다는 문화적 산물과 장소애착의 역할을중요시 여겨 기술적 계획과의 연계가 부족한 단점이 있다. 분석의 필요요소가 어느때보다도 광범위 해졌으며 정치적으로는커뮤니티부터 국가적 차원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민감한 이해집단을 포함해야 하는 상황에서 이 두 가지 관점은 모두현대 계획의 의사결정 환경을 완벽하게 지원하지 못한다. 본 논문에서는 농촌과 자연경관의 평가에 대한 주요 쟁점들을북아메리카와 유럽의 두 가지 관점에서 다루고 한국에서의 현대 농촌계획을 지원하기 위한 적합성에 대해 논의하였으며특히 미국의 주요 국가기관과 Scenic America 등 민간단체, 그리고 European Landscape Convention 의 경관 보호의 목적을 중심으로 다루었다. The rural landscape is as much a representation of culture as it is of natural landscape and landscape processes. Very little of the developed world includes truly natural landscape and typically the long-populated regions of Europe and Asia have only pockets of natural landscape. The oldest pictorial; representations of the landscape bear witness to an enduring set of values people hold for the land as an aesthetic resource as well as economic and production values. Until recent years, in many regions of the world the a agrarian productivity of the land was probably the majority concern and other values as aesthetic, recreational or restorative resources were regarded as secondary. Now, however, with more than 50% of the world population living in sprawling urban centers it is becoming evident that the values we see in the rural landscape are threatened and fragile. In this same time the mechanisms we use to direct or control development or change in the public domain have become increasingly evidence-based. Establishing a protection zone or guidelines favoring one kind of use over another leans heavily on assessments of ecosystem services such as economic and ecological productivity and sustainability. While these assessments lend themselves to consideration of the computed effects of impacts such as climate change or resource extraction, they do not capture cultural or psychological attachment to the spirit of “place” in the landscape, and yet it is that attachment to place that most frequently becomes an impediment to systematic planning.

      • KCI등재

        경관단위 유형분류 및 가치평가에 기초한 경관 개선방안 설정 및 적용

        김진효,나정화,권오성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20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14 No.4

        본 연구에서는 대전광역시 신동지구 지구단위계획부지를 대상으로 경관단위 유형분류 개념에 기초하여 유형분류 도면 및 가치평가 도면을 작성함으로써 경관개선을 위한 정량적인 기초자료 구축 방법론을 모색해 보는데 가장 큰 의의를 두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경관 단위 유형분류 결과 경관단위 유형군(대분류)은 총 9개, 경관단위 유형(중분류)은 총 24개, 세 부경관단위 유형(소분류)은 총 56개로 분류되었다. 1차 평가 결과, 가치가 가장 높은 I등급에 해 당하는 경관단위 유형들은 총 12개로 나타났다. 1차 평가에서 중간등급 이상으로 평가된 경관단 위 유형들을 대상으로 한 2차 평가 결과, 미시각적 측면에서 특별한 의미를 가진 경관단위(1a, 1b) 는 39개, 미시각적 측면에서 의미를 가진 경관단위(2a, 2b, 2c)는 56개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 한 경관계획 관련 현행 법·제도와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경관계획 내용과의 비교분석 결과 현 행 법·제도의 대부분은 인공물을 미시각적 측면에서 개선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는바, 지구 단위개발계획의 공간적 범위 내에 분포하고 있는 미시각적으로 가치 높은 띠형 수림, 노거수 등 과 같은 다양한 크기, 형태를 지닌 자연경관요소들을 개발계획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전하기 위한 법·제도적 뒷받침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비시가화지역을 대상으로 수립되는 지구단위계획을 미시각적 측면에서 지속가능한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써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greatest significance in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thodology of establishing quantitativ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landscape plans by creating type classification drawings and valuation drawings based on the concept of landscapetope type classification for district unit planning sites in Shindong district in Daejeon, Korea. Put.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As a result of the landscapetope type classification, a total of 9 landscapetope types (large classification), a total of 24 landscapetope types (medium classification), and a total of 56 detailed landscapetope types (small classification). As a result of the primary evaluation, a total of 12 landscapetope types corresponding to the I-grade with the highest value were found. As a result of the secondary evaluation, targeting the types of landscapetopes rated as intermediate grade or higher in the first evaluation, 39 landscapetopes (1a, 1b) with special meaning in the microscopic aspect, and landscapetopes with meaning in the microvisual aspect. (2a, 2b, 2c) were analyzed to be 56. In addition, as a result of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current laws and systems related to landscape planning and the contents of landscape plans suggested in previous studies, most of the current laws and systems focus on improving artifacts in the microscopic aspect, within the spatial scope of the district unit development plan. It was found that the legal and institutional support for effectively preserving elements of various sizes and shapes, such as the microscopically high value of the belt-shaped forests and old trees, from the development plan was insuffici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considered to play an important role as basic data that can guide the district unit plan established for non-urban areas in a sustainable direction from a microscopic perspective.

      • KCI등재

        익산시 경관계획 수립 및 실행방안 확보에 관한 연구 : 동지역을 중심으로

        김현숙,배진아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11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5 No.1

        익산시는 KTX역세권, 국가식품클러스터, 고도지정 등에 의한 대규모 도시개발 사업으로 인해 도시경관의 급격한 변화가 예상되므로 종합적인 경관계획을 필요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첫째, 익산시에 내재되어 있는 경관자원을 도출하여 자원의 보존, 연계방안을 설정하고, 둘째, 시가지 환경개선과 지역특색을 강화하기 위한 종합적이고 바람직한 경관계획을수립하며, 셋째, 주민과 함께하는 경관계획 실행 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연구는 도농통합시 익산의 중심시가지인 15개 동지역을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통해 경관자원을 도출하고 자원의 가치및 중요도를 펑가한 후, 계획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경관유형은 자연경관, 시가지경관, 가로 및 철도경관으로 구분하였다.자연경관에서는 배산, 탑천, 대간선 수로의 보존 및 녹지의 네트워크화 방안이 모색되었다. 주거지, 상업지, 공업지및 KTX 역세권에 대해서는 주요 지역에 대한 특정경관계획과 건축물 및 외부공간을 중심으로 한 디자인 가이드라인을설정하였다. 가로 및 철도경관에서는 하나로, 송학로의 선형공원화를 통해 녹지 네트워크를 강화하였으며 철도변 경관저해요소 제거방안을 제시하였다.계획의 실행은 경관사업과 병행하여 주거지 경관정비는 주민 주도형 경관협정을, 탑천, 폐선부지, 하나로의 공원화사업은용도지구 지정을, 배산, 역세권, 대학로는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함으로서 규제 및 인센티브가 상호 보완적으로 나타날수 있게 하였다. Iksan-si has got to set a comprehensive landscape planning as there is expected a rapid change in the cityscape by the large scaled urban development from its designation of KTX station area, national food cluster, and historic city.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following purpose. First, it sets a plan to identify the scenic resources in Iksan-si so that they can be conserved and linked with each other. Second, it sets the comprehensive and desirable landscape planning to improve the urban environment and reinforce its characteristics. Third, it suggests a implementing method for the landscape planning that can be practiced with residents. For this purpose the landscape resources were identified through the field survey on the base of downtown areas built with 15 dongs in Iksan and their value and importance were assessed. And then the method of conservation and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were decided. Landscape type was divided into four as natural, urban, street, and railroad landscape. For the natural landscape there was investigation on Baesan, Tapcheon, conservation of main road waterway, network of green belts. For residence areas, commercial areas, industrial areas, and KTX station areas a design guideline was made on the base of buildings and outer space as well as a specific landscape planning on the main areas. For street and railroad landscape, green belts network was reinforced with the construction of linear park for Hana-ro and Sonhak-ro and also a plan was suggested to remove the landscape impediments around railroads. To implement the plan for landscape, both the methods of regulation and incentive were taken by offering the residence areas project to citizen-leading agreement, park construction of Tapcheon, abolished railroads, and Hana-ro to designation of zoning district, and Baesan, station areas, and Dahak-ro to establishment of district unit planning.

      • KCI등재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섬 경관 특성 분석-전라남·북도 섬을 대상으로-

        도지윤,서주환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22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16 No.1

        This study attempted to use big data analysis as a way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existing landscape research while increasing the need to identify island landscape characteristics, such as indiscriminate island development and projects that do not consider island characteristic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basic data on plans and management measures considering the unique island landscape characteristics, which are important indicators of tourism motivation. The scope of the study was limited to Cheongsan-do, Seonyu-do , Bogil-do, and Bakji ·Banwol-do Island, which have easy data for big data analysis among islands recognized at home and abroad. The collected data are photo and text data, and the results were derived by classifying them into formal aesthetic and psychological landscape characteristics in order to identify each landscape characteristic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For formal aesthetic landscape characteristics, landscape models, colors, and color image adjectives were analyzed based on photo data to identify landscape component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island, and psychological landscape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N-gram, network analysis, and emotion analysis using text data. By synthesizing the above results, the meaning of how the island landscape is used by the public was grasped, and the existing research could be supplemented in that it could grasp the temporal characteristics such as seasons and time series as well as the limitations of time and cost incurred in island research. In addition, it suggested that it could be a device that can further specify the direction of island development in the future in consideration of the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each island. 본 연구는 무분별한 섬 개발과 섬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사업 등 섬 경관 특성 파악의 필요성 이 증대됨과 동시에 기존 경관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는 방법으로서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하고 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섬 경관은 관광 동기의 중요 지표인 고유한 섬의 경관 특성을 파악 함으로써 이를 고려한 계획 및 관리방안의 기초자료 제시를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가 장 많은 섬을 보유하고 있는 전라남·북도의 섬 중 국내·외에서 인정받은 섬 중 빅데이터 분석 을 하기에 용이한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는 청산도, 선유도, 보길도, 박지·반월도로 한정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사진 및 텍스트 데이터로서 이를 각각의 경관 특성을 파악하고 관계를 분석하 기 위하여 형식미학적·심리적 경관특성으로 분류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형식미학적 경관 특 성은 사진 데이터를 토대로 경관파악모델 및 색채, 색채 이미지 형용사 분석을 실시하여 각 섬 이 보유한 경관구성요소와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심리적 경관특성은 텍스트 데이터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N-gram, 네트워크 분석, 감성분석 등을 실시하여 경관 대상과 행태, 이미지 등을 파악 하였다. 위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섬 경관이 대중에게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의미를 파악하 였으며 섬 연구에서 수행하는 데 발생되는 시간적·비용적 측면의 한계점뿐만 아니라 계절, 시 계열 등 시간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를 보완할 수 있었다. 또한, 각 섬 의 경관 특성을 고려하여 추후 섬 발전 방향을 더욱 구체화시킬 수 있는 장치가 될 수 있다는 시 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장기미집행 도시공원의 해제가 생태계서비스에 미치는 영향 - 홍수발생과 도시열섬현상을 중심으로-

        양병선,허한결,이동근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20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14 No.4

        본 연구는 최근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가 공원, 녹지, 도로 등의 공공시설을 건설하기 위해 도시 계획시설로 지정된 시설 중 결정·고시 이후 10년 이상 지난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에 대한 일몰제가 적용됨에 따라 지정도시계획시설 사유지에 대한 개발이 제한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녹지지역에 대한 개발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공원녹지의 개발로 인해 생태계서비스의 중요한 역할인 재해 저감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도시지역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자주 발생되는 홍수와 열섬을 대상으로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대상지의 공원녹지의 개발로 인해 유출 량은 11% 증가되었고 대상지의 온도는 평균적으로 2.0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도시 그린인프라의 재해저감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도시계획시설 일몰제로 인해 발생될 수 있 는 무분별한 개발행위를 방지할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Urban park operates as space to increase quality of people living in urban environment. One of the important function of urban park is reducing urban disaster risk. As sunset law of un-implemented long term urban planning facilities starts to effect in 2020, development pressure of urban park will increase which will also affect the venerability of urban area. In this study, we assessed the change of urban disaster risk according development in urban area. We chose two risk, urban flood and urban heat island, which impact is mostly high as well as frequency. As the urban parks been develop, risk of urban flood increases by same precipitation and land surface temperature also increases which causes urban heat island effect. Therefore, to prevent indiscriminate development, a new policy with pragmatic guide line of urban park development will be needed.

      • KCI등재

        서울시 도봉구 경관색채 계획 및 가이드라인

        문선욱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12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6 No.2

        도시의 경관색채는 주민, 전문가, 관련 행정기관의 합력하여 지속적이고 일관성 있는 경관형성과 정비, 관리유지가 필요하다. 이에 본 계획은 서울시 도봉구 도시디자인기본계획의 일환으로 그 목적은 자연친화적 도시를 지향목표로쾌적한 도시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는 경관색채 디자인 방향을 모색하고 실천과제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수립하기 위함이다.색채계획은 지역의 여러 가지 자원과 특징이 총체적으로 반영되고 투영되어야만 정체성이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주민의식조사를 통해 도봉구의 대표경관이미지와 지향이미지를 파악하여 경관색채의 기본방향을 설정하고 서울시 전체의도시경관과의 연속되는 조화를 이루도록 서울색과의 정합성을 유지하는 도봉 대표색과 팔레트를 추출하였으며 특성화계획에 반영하였다. 따라서 주조색과 보조색은 도봉구의 자연환경의 색채특성을 반영하여 도시의 배경이 되도록 하였으며강조색은 권역의 유형에 따라 색조와 색상을 조절하여 사용하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세부 색채가이드라인은 색채와재질감 및 제 특성을 고려하여 규정하고 그에 따른 예시를 제시함으로 실제 적용이 쉽도록 하였다. Urban landscape color is formed, modified and managed consistently in partnership between the local residents, experts, businesses, and the administration. Therefore this plan is part of the Urban Design Master Plan of Dobong district in Seoul, proposes the direction of the landscape color design and establishes the landscape color guideline for creating a nature-friendly urban area. A landscape color plan must reflect the local resources and the characteristics for the local identity. So this landscape color plan is based on the result of the residents' input regarding the representative landscape and desired urban image. It also reflects special plan for Dobong using a representative colors and color palette to ensure that are remains harmonized with the rest of Seoul. The dominant and assort colors reflecting the natural color characteristics of Dobong district provide urban backdrop, and accent colors are used to adjust the tone and hue of different area types. Finally practice of urban landscape color guidelines for texture and materiality are used to propose a more easily applicable design.

      • KCI등재

        교량의 야간경관 이미지 분석 : 한강 교량을 중심으로

        서주환,최유나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11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5 No.2

        아름다운 교량은 교량을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흥미를 제공하며 야간경관조명을 활용하여 교량 자체와 주위의 경관요소들 을 밝게 비춰주고 쾌적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랜드마크로서 도시경관 향상에 도움을 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한강에조성된 교량 중 야간경관조명이 설치되어진 교량 중 거더교를 대상으로 사람들이 느끼는 각 교량의 야간 경관에 대한이미지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연구결과, 현재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이미지를 나타내고 있었다. 단색으로 이루어진원효대교와 한남대교, 영동대교의 경우 2가지 이상의 색이 조합되어있는 반포대교와 청담대교에 비해 정적이고 단순한교량의 이미지가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beautiful bridge offers interest to people who use the bridge. Also, since the bridge and the surrounding elements of the landscape are lit at night by taking advantage of Landscape Lighting and as landmarks to improve the urban landscape, this helps with ensuring comfort. This study focuses on the current Han River bridges, and peoles's images of the lights installed of the bridges, and how it affects the night scenery. In conclusion, it was generally indicates a positive image. Consisting of a solid Wonhyo Bridge and Hannam Bridge, Youngdong Bridge were able to show that simple compared to the static image which the combination of two or more colors in the Banpo Bridge and Cheongdam Bridge

      • KCI등재

        분지형 마을 입구에 신설되는 도로 형식에 따른 경관 이미지 평가

        조창현,김은일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20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14 No.1

        본 연구는 분지구조의 초입부를 가로막는 도로를 신설함에 있어, 일대 마을에 생활기반을 둔 지역주민의 시점에서 도로형식을 결정하는 방안 모색을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성토형 도로와 교량형 도로에 대한 선호도 및 선호도 결정요인에 대해 집중하였다. 대상지인 영암군 금정면 안노리 안노마을은 서측을 제외한 동, 남, 북측은 농암산으로 둘러싸인 분지 로 이루어져 있으며, 성토형도로가 계획 중에 있다. 조망권 관련 지역민의 피해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기존 경관, 성토형 도로, 교량형 도로 등 총 3개의 경관을 대상으로 9개의 경관형용사쌍을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기존 경관은 교량형 도로경관과 성토형 도로경관에 비해 경관적 가치가 높게 느껴지며, 교량형 도로경관에 비해 성토형 도로경관에서 더 큰 위압감과 답 답함이 느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부인과 외부인을 나누어 유형별 특징을 검토한 결과, 외부인은 목적이 되는 대상물 중심으로, 내부인은 목적이 되는 대상물과 더불어 그 주변 환 경과의 관계성을 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분지형 마을 입구를 가로지르는 도로의 신설은 지역 주민들에게 심리적 압박감과 불안감을 야기하는 요인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결과이다. 따라서, 분지형 지형구조의 지역에서 도로의 신설이 불가피한 경우, 교량형 도로와 성토형 도로 중 교량형 도로로 신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find ways to determine the road type from the point of view of local residents in the case of the construction of a new road that blocks the entrance of a basin structure. To this end, this study focused on the preference and it's determinants for the Fortress-type and Bridge-type roads. The town of Anno-ri Anno, Geumjeong-myeon, Yeongam-gun, consists of a basin surrounded by Mount Nongam in the east, south and north, with the exception of the west, and the Fortress-type road is being planned. To determine the extent of damage to local residents related to the right to view, a total of three landscpaes, including the existing landscape, the Fortress-type road and the Bridge-type road, were selected and 9 pairs of landscape-type soldiers were used for the study. The result shows that existing landscape is considered to be more landscape-worthy than Bridge-type and Fortress-type road-scapes. Compared to the Bridge-type, it was found that there was greater pressure and frustration when looking at the Fortress-type road landscape. In addition, a review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by dividing residents and non-residents showed that non-residents focused on objects to which they were intended, and residents saw their relationship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s well as the objects to which they were intended. This is a result of confirming that the creation of a new road across the entrance to the basin-type village could be a factor causing psychological pressure and anxiety for local residents. Therefore, it suggests that constructing a Bridge-type road between a Bridge-type and a Fortress-type road if it is inevitable to build a new road in an area with a basin-type topographical struc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