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자살예방을 위한 통합적 위기개입모델 다층효과 연구

        김은주(Kim Eun Joo),육성필(Yook Sung Pil) 한국노년학회 2017 한국노년학 Vol.3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자살예방을 위해 개발된 통합적 위기개입모델을 경기도를 중심으로 적용한 후 위기개입서비스의 실제 개입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통합적 위기개입모델은 지역사회 통합시스템 접근과 스트레스 취약성 이론을 포함하는 위기개입 이론에 기초하여 개발되었다. 효과성 검증을 위해 노인우울(GDS-K) 및 자살생각(SSI)척도를 활용하였고, 1차 사전검사 258명, 통합적 위기개입 서비스 6개월 제공 후 2차 사후검사 184명, 2-3년 후 역추적을 통해 3차 추수검사 124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은 R Statistics computing을 이용하였고, 서로 다른 시점의 다른 검사를 비교하기 위해 검사 동등화 및 측정 시점 간 수직 척도화를 수행한 후 기술통계와 일변량 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마지막으로 베이지언 추정을 이용해 다층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노인자살예방을 위해 개발된 통합적 위기개입모델 적용 후 사전점수에 비해 사후측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노인우울과 자살생각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노인우울 감소에 .56의 효과크기를, 자살생각의 감소에 .39의 효과크기를 나타내 모델의 전체적인 효과성이 입증되었다. 그러나 위기개입 후 2-3년 후 추수검사에서 노인우울 및 자살생각이 다시 높아져 원래 상태를 회복하는 것으로 나타나 개입의 장기적인 유지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노인우울 및 자살생각 변화량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찾기 위해 다층분석을 통해 위기개입 서비스의 각 유형(위기개입 전문상담, 약물치료, 동료상담)과 내담자특성(성별, 연령), 상담자 특성(전문가 연령, 경력, 전공)들 및 위기개입 서비스 유형(위기개입 전문상담)과 상담자 특성(전문가 연령, 경력, 전공)의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본 결과, 유일하게 약물치료가 단독으로 자살생각을 의미있게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문가의 전공이 상담전공일 때 전문상담과 상호작용하여 자살생각을 의미있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노인자살예방을 위해 개발된 통합적 위기개입모델의 전체효과와 각 개입서비스 유형의 효과를 검증하여 현장 적용의 근거를 확보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verify the actual effect on the prevention of the elderly suicide of the integrated crisis intervention service which has been widely provided across all local communities in Gyeonggi-province focusing on the integrated crisis intervention model developed for the prevention of elderly suicide. The integrated crisis intervention model for the local communities and its manual were developed for the prevention of elderly suicide by integrating the crisis intervention theory which contains local community s integrated system approach and the stress vulnerability theory. For the analysis of the effect, the geriatric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scale was adopted and the data was collected as follow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258 people in the first preliminary test. Then, it was collected from the secondary test of 184 people after the integrated crisis intervention service was performed for 6 months. The third collection of data was made from 124 people after 2 or 3 years later using the backward tracing method. As for the analysis, the researcher used the R Statistics computing to conduct the test equating, and the vertical scaling between measuring points. Then, the researcher conducte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and un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and performed multi-level modeling analysis using Bayesian estim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out that the integrated crisis intervention model which has been developed for the elderly suicide prevention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reduction of elderly suicide in terms of elderly depression and suicide ideation in the follow-up measurement after the implementation of crisis intervention rather than in the first preliminary scores. The integrated crisis intervention model for the prevention of elderly suicide was found to be effective to the extent of 0.56 for the reduction of depression and 0.39 for the reduction of suicidal ideation. However, it was found out in the backward tracing test conducted 2-3 years after the first crisis intervention that the improved values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thus showing that the effect of the intervention is not maintained for long. Multilevel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factors such as the service type(professional counseling, medication, peer counseling), characteristics of the client (sex, ag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unselor(age, career, major)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unselor and intervention which affect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t was found that only medication can significantly reduce suicidal ideation and that if the counselor s major is counseling, it significantly further reduces suicidal ideation by interacting with professional counseling. Furthermore,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icide prevention experts are found to regulate the intervention effect on elderly suicide prevention in applying integrated crisis intervention model, the primary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the counseling ability of these experts.

      • KCI등재

        위기가구 지원을 위한 사회복지전달체계 구축 방안 연구

        황미경 사회복지법제학회 2023 사회복지법제연구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ducational model that integrates social welfare laws with the practice of social welfare. To this end, this resea rcher sought an educational method to integrate theoretical and legal practice to provide emergency aid and intervene with crisis in the welfare delivery sys tem for supporting households in crisis. Here, this study is going to propose a n integrated education method for social welfare legislation and practice groun ded on the service delivery system to support households in crisis including t he emergency aid and support system, Integrated Care Management, or crisis intervention. First, i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involved in supporting families in cris is, it needs guidelines for integrated intervention of social welfare laws and th eories, such as the definition of crisis situations, disasters and disasters, legal definitions related to new social risks, support targets, support scope, and cris is intervention. Second, in order to provide those needing support in crisis with appropriate emergency aid and customized services, it needs to apply special laws first to be necessary. Also, when receiving the same support, it is necessary to build a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model that enables follow-up management by insight into the principle of not providing support under the 「Emergency Welf are Support Act」 and the range of support systems related to crises and disa sters that can occur several times. Third, concerning clear concepts like a disaster vulnerable group, safety vul nerable group, or disaster vulnerable group, education for social welfare legislation and practice should dealt with detailed legal concepts about households i n crisis for disasters. Also, in terms of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and welfa re management, integrated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o perform danger m anagement, crisis management, and safety management all for prevention and f ollow-up measures. Fourth, as a method of integrated education for social welfare legislation an d practice to support households in crisis, it should include customized benefit s under the 「Framework Act on Social Security」, 「Integrated Care Manage ment under the Social Security Benefits Act」, and emergency aid, the practic e of crisis intervention, and follow-up management under the 「Emergency Ai d and Support Act」. In addition, when establishing a service delivery system to support households in crisis, it should emphasize the principles of compreh ensiveness, integration, and expertise so that circular cooperation can be reali zed between integrated community care and professionals for Integrated Care Management to cope with new crises. Fifth, since emergency aid and support for households in crisis follows the principle of supporting those who actually live in the region,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Social Security Benefits Act」 or establish special regulations to allow them to apply for customized benefits where they actually live (Si/Gun/G u/Eup/Myeon) even if the address on the resident registration card is different from where they actually live. Sixth, as households in crisis are the area needing pan-governance protecti on involving livelihood, medicine, and psychological recovery and restoration, t his study suggests an educational model that integrates social welfare legislati on and practice to realize legal practice applying the 「Social Security Benefit s Act, Emergency Aid and Support Act」,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and Control Act」, 「Disaster Safety Act」, 「Disaster Relief Act」, 「Suicide Prev ention Act」, 「Domestic Violence Prevention Act」 or 「Sexual Violence Prev ention Act」 and also practice crisis interven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위기상황과 재난환경에서 위기가구 지원을 위한 복지전달체계에서 긴급복지지원과 위기개입을 위한 이론과 법적 실천의 통합적 방안을 모색하는데있다. 이에 긴급복지지원법상 서비스의 즉시성과 접근성이 강조되는 사회복지전달체계의 구축과 통합사례관리, 위기개입 등의 통합적 개입 역량 강화를 위한 사회복지법제와 실천 교육의 방향성을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위기가구 지원에 관여하는 공공과 민간 영역에서 준용해야 할 위기상황의 정의, 재난과 재해, 신사회적 위험에 관련된 법적 정의, 지원대상, 지원범위 및 위기개입등 사회복지법제와 이론의 통합적 개입 지침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위기상황에 처한 지원대상자에 대한 긴급복지지원과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위하여는 특별법의 우선 적용이 필요하다. 동일한 지원을 받으면 긴급복지지원법상의지원을 실시하지 않는 원칙과 여러번 새로이 발생될 수 있는 위기와 재난 상황에 관련된 지원 제도의 범위를 통찰하여 사후관리가 가능한 사회복지전달체계 모형을 구축해야 한다. 셋째, 재난취약계층, 안전취약계층, 재난약자 등에 대한 지원을 위하여 사회복지법제와 실천 교육 과정에서는 재난으로 인하여 위기상황에 처한 가구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고, 복지기관 운영상의 재난 예방과 사후대처를 위한 위험관리·위기관리· 안전관리의 통합교육 방법이 실시되어야 한다. 넷째, 위기가구 지원을 위한 사회복지법제와 실천의 통합적 교육 방안으로 사회보장기본법에 의한 맞춤형 급여, 사회보장급여법에 의한 통합사례관리, 긴급복지지원법에 의한 긴급지원, 위기개입 실천과 사후관리의 절차가 포함되어야 한다. 아울러 위기가구 지원을 위한 사회복지전달체계의 구축은 즉시성·통합성·전문성의 원칙을 강조하여 새로운 위기의 발생에 따라 지역사회 통합돌봄과 통합사례관리 영역의 다학제적케어 전략으로 대응할 수 있는 순환적 협업이 가능해야 한다. 다섯째, 긴급복지지원의 원칙은 실제 사는 곳에서 지원함이 원칙이므로 사회보장급여법의 일부 개정으로 주민등록 주소지와 달라도 현재의 거소에서 복지급여를 신청할수 있도록 하는 노력하는 바와 같이, 위기가구의 통합돌봄과 통합사례관리 개입을 위한 보건소, 복지기관, 공공병원 및 사회서비스 광역 연계·제공을 위한 특례 신설이 촉구된다. 여섯째, 위기상황과 위기가구에 처한 위기가구는 생계, 의료, 심리적 회복과 복구등을 포괄하는 범 거버넌스적 영역으로 사회보장급여법, 긴급복지지원법,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재난안전법, 재해구호법, 자살예방법, 가정폭력방지법, 성폭력방지법 등을 적용한 법적 실천과 위기개입 실천에 의한 사회복지법제와 실천의 통합적 교육 모델을 제안한다.

      • KCI등재

        학생 위기개입 과정에서의 교사경험에 대한 연구

        명소연,이동훈,정보영,강은진 한국교원교육학회 2018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5 No.2

        본 연구는 학생의 위기문제를 개입한 교사들의 경험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효과적인 학생 위기개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11명의 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Krippendorff의 내용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생의 위기문제를 개입한 교사들의 경험은 4가지 차원, 22개의 범주, 64개의 의미단위로 분류되었다. 교사가 학생의 위기문제를 개입하면서 경험한 4가지 차원은 ‘위기문제 접촉’, ‘위기개입 과정’, ‘위기개입 체계’, ‘위기개입 교육’ 으로 구분되어 각각 교사들이 위기문제를 개입하면서 경험한 어려운 점과 보완점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고등학교 교사들이 학생의 위기문제를 개입할 때 필요한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basic data for effective intervention of student crisis by taking a closer look at the experience of teachers involved in student crisis problems. In this study, 11 high school teachers were analyzed using Krippendorff 's content analysis metho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s that the teachers' experiences of students' crisis problems were classified into 4 dimensions, 22 categories and 64 semantic units. The four dimensions of teachers' involvement in the student crisis were classified as ‘crisis problem contact', 'crisis intervention process', 'crisis intervention system', 'crisis intervention education'. Teachers could identify difficulties and supplement points by intervening crisis problem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ed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research for high school teachers to intervene in students' crisis.

      • KCI등재

        자살위기개입과 자살예방 관련하여 병영생활전문상담관들이 지각하는 어려운 점과 극복 방안

        박철우 한국군사회복지학회 2017 한국군사회복지학 Vol.10 No.1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와 심층면접을 통하여 수집한 혼합자료를 분석해 군에서 실시하는 자살예방과 위기개입에 대한 현황 및 실태를 조사하였다. 군부대에서 근무하는 15명의 병영생활전문상담관이 심층면접에 참여하였다. 설문자료를 분석한 결과, 1곳(7%)의 부대가 자살예방 프로그램 및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고, 나머지 14곳(93%)의 군부대는 병사를 대상으로 한 정신건강 증진 프로그램, 간부를 대상으로 한 자살예방 교육, 신입 병사를 대상으로 심리검사를 실시하여 자살 고위험군 등을 선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담신청서에 자살에 관련된 질문을 포함시킨 군부대는 10곳(66%), 초기 면접 시 모든 내담자에게 자살 관련 질문을 하는 군부대는 13곳(87%)으로 나타났다. 병영생활전문상담관의 자살위험이 높은 병사에 대한 개입으로는 군에 알림, 군병원으로 연계, 보호자에게 연락, 상담관 개인연락처 제공 등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상담관들이 지각하는 어려운 점은 ‘군부대의 부족한 관심과 지원’, ‘자살위기개입 시스템의 부재’, ‘사회적 인식’, ‘상담관 요인’ 등의 4가지 요인과 11개 범주로 분류되었다. 이 중 일반적 범주로는 (군부대의) ‘쉬쉬하거나 반짝 관심’, ‘군상담의 전문 인력과 예산 부족’이 나타났고, 전형적 범주로는 ‘군상담에 대한 부정적 태도와 관심부족’, ‘자살에 대한 안일한 태도’, ‘협력기관 부재’, ‘상담관의 부담감과 불안함’, ‘매뉴얼 부재’, ‘미흡한 자살예방 교육과 훈련’, ‘자살위기개입으로 인한 상담관의 소진’등이 나타났다. 또한 상담관들이 제안하는 향후 발전 방향은 ‘군부대의 지원과 상담에 대한 관심 확대’, ‘자살위기개입 시스템의 구축’, ‘사회적 인식 개선’, ‘상담관 요인’ 등의 4가지 요인과 12개 범주로 분류되었다. 일반적 범주로는 ‘전문인력의 보강과 예산 확대’, 전형적 범주로는 ‘문제인식의 개선’, ‘24시간 상담서비스’, ‘부대와 지역사회 간의 네트워크 구축’, ‘자살예방 교육의 의무화’, ‘자살위기개입 매뉴얼 개발’, ‘상담관을 위한 교육과 훈련’, ‘상담관 간의 상호지지’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군부대의 자살위기개입과 자살예방을 위한 방안과 후속연구들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suicide prevention and interventions by analyzing mixed materials collected through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Fifteen military support counselors who are currently working in the military base participated in the in-depth interview.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survey, one(7%) unit responded that they do not offer suicide prevention services or programs, while remaining 14(93%) military units are providing programs such as mental health programs aimed at soldiers, suicide prevention program for executive members, identify high risk groups through psychological test on new recruits. Also, units which include suicide related questions in counseling application form are 10(66%) and the units provide suicide related questions to client at their initial interview are as many as 13(87%). The interventions done by military support counselors to highly likely suicidal client were such as report to chain of command, cooperate with military hospital, notice clients guardian, provide counselors personal contact number at the most. Difficulties that counselors face are identified by 4 factors : ‘military's lack of interest and short of support’, ‘absence of suicide risk intervention system’, ‘social recognition’, ‘counselor factor’ and 11 categories. Among them, general categories are shown as ‘hush and glare’, ‘short of counseling budget and specialized staff’, typical categories are shown as ‘absence of cooperative organization’, ‘absence of corresponding manual’, ‘lack of interest and negative attitude toward counseling’, ‘naive attitude toward suicide’, ‘burden and anxiety the counselor have to deal with’, ‘poor suicide preventing education and training’, ‘exhaustion caused by suicidal risk intervention’ and so on. Also, Future development proposed by counselors are classified by for 4 factors : ‘improve military's interest and support about the issue’, ‘establish suicidal risk intervention system’, ‘social recognition’, ‘counselor factor’ and 11 categories. Among which, general categories are ‘budgetary expansion and hiring more professional manpower’ and typical categories are shown as ‘improving problem recognition’, ‘24/ on-call system’, ‘establishment of unit and community network’, ‘development of suicide risk intervention’, ‘compulsory suicide prevention education’, ‘education and training for counselors’, ‘mutual support between counselor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 discuss ways to prevent military base suicide and suicide risk intervention and give proposals for follow-up studies.

      • KCI우수등재

        학교위기 개입 실무자들이 학교위기 개입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에 관한 연구

        김희정,정윤희,하양명 한국교육학회 2018 敎育學硏究 Vol.56 No.4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chool staff members’ experiences regarding school crisis intervention.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10 school staff members including 6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2 school nurses, 1 advisory teacher in student guidance and 1 vice-principal. Focus group Interview data, researchers’ field notes and research notes were analyzed using the basic qualitative data analysis method. Results included 4 main themes and 12 sub-themes. Four main themes regarding the difficulties of school crisis intervention were as followings: (1) confusion in their role performance, (2) sense of alienation from other school members, (3) interruption caused by administrative works, and (4) feeling no place to go.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e causes and problems related to the difficulties in school crisis intervention and proposed some suggestions to improve crisis prevention and intervention strategies in schools. Finally, contribu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학교위기 개입 실무자들이 학교위기 개입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학교위기 개입 실무자인 전문상담교사 6명, 보건교사 2명, 생활지도 부장교사 및 교감 각 1명, 총 10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고, 학교위기 개입 과정에서 경험한 어려움에 관하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포커스 그룹 인터뷰 자료와 연구자의 현장노트, 연구노트를 기본적 질적 자료 분석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의 결과 4개의 주제 묶음과 12개의 하위 주제가 나타났으며, 위기 개입 실무자들이 학교위기 개입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의 주제 묶음은 (1) 역할수행에서의 혼란, (2) 구성원들과의 괴리감, (3) 수행을 방해하는 행정적 여건, (4) 설 자리가 없는 풍토로 요약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위기 개입에 있어서 실무자들이 경험하는 어려움과 관련된 문제점 및 원인을 보여주며, 학교위기 예방과 개입을 개선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해 주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재난 피해자들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위기개입모델 비교 연구

        한재은(Jae Eun Han)(韓在恩),정순둘(Soon Dool Chung)(鄭順乧,),김고은(Go Eun Kim)(金高銀)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1 Crisisonomy Vol.7 No.3

        본 연구는 재난 피해자들에 대한 위기개입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국내의 위기개입 모델에 대한 이론적 접근을 용이하게 하는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재난 피해자들의 정신건강의 특성과 정신건강 지원을 위한 위기개입 모델인 CODE-C DMHSD(CODE-C A model for disaster mental health service delivery), CISM(Critical Incident Stress Management), CISD(Critical Incident Stress Debriefing), CCP(Crisis Counselling Assistance and Training Program), Debriefing, Psychological First Aid(PFA)의 여섯 가지 모델을 소개하였다. 또한 각 위기개입모델의 목적, 개입내용 및 특징과 효과성 등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해 재난 시 정신건강 지원 개입모델을 분석해 보고 재난 피해자의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위기개입 모델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crease the necessity of crisis intervention model for disaster victims and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six crisis intervention models. This study introduced these six models: CODE-C DMHSD(CODE-C A model for disaster mental health service delivery), CISM(Critical Incident Stress Management), CISD(Critical Incident Stress Debriefing), CCP(Crisis Counselling Assistance and Training Program), Debriefing, Psychological First Aid(PFA). The dimensions of comparison for crisis intervention models are intervention purpose, intervention period and range, subjects of intervention, intervention content and phase, characteristics, effectiveness, strengths, and limitations. This study showed that professionals for disaster area should select an appropriate model fitted to crisis situation among six crisis intervention models. Implications for crisis model development were discussed.

      • KCI등재

        자살 위기개입 상담자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모성(母性)을 담은 상담자 되어가기

        이현주,김수진 한국효학회 2022 효학연구 Vol.- No.36

        배경: 우리나라의 자살의 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늘어나는 상황이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 국가 중 자살자 1위라는 오명을 벗지 못하고 있다. 자살률이 증가하는 만큼 상담현장에서 위기사례를 개입하는 상담자 또한 정서적으로나 심리적으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목적: 자살이라는 고위기 사례개입에 대한 직업적 소명의식을 품고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한 전문가의 삶의 이야기를 통해 간접적인 외상을 극복하고 성장으로 나아가는 과정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방법론/접근 : 질적 연구방법 중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1인 연구참여자의 자살 위기개입 상담자로서의 삶의 경험을 이해하고자 한다. 내러티브 탐구는 인간의 경험을 이해하려는 연구방법으로,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의 관계를 바탕으로 도출된 이야기를 개인의 독특한 삶으로 재구성하고, 그 구성된 이야기에서 의미를 파악하는 방법이다결과/결론 : 첫째, 참여자가 자살 위기개입 상담하는 전문가로서 성장하고 자살 위기개입 상담전문가로 입지를 다져가는 모습 속에서 자신의 고통(苦痛)의 삶 속에서 찾아가는 자신의 삶의 의미와 소명을 발견해 가는 과정인 것이다. 둘째, 대리외상과 외상후 성장 그리고 삶의 의미와 소명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어머니의 따뜻함이 늘 존재되어 있었다. 때문에 이후 모성의 안정감을 줄 수 있는 상담자가 되어가는 소명을 발견할 수 있었다. 참여자에게 큰 지지와 격려를 주셨던 어머니의 모습과 자살자의 고통 하는 어머니의 모습이 교차 되면서 더욱 자살시도자의 위기개입에 적극적인 소명이 굳어진 것이다. 시사점 : 자살 위기개입 상담자의 이야기를 통해 자살 위기개입 상담의 취약성과 자살 위기개입 상담자가 경험할 수 있는 고통을 통한 성장을 이해하고 자살 위기개입 상담에 대한 지원과 교육을 위한 총체적 노력이 필요함을 밝힌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상담에서의 작업동맹, 불만족개입과 상담성과간의 관계 연구

        정선영(Jung, Sun Young) 한국상담복지경영학회 2020 상담복지경영연구 Vol.-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상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작업동맹과 작업동맹위기의 해결, 불만족개입의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또한 작업동맹과 상담성과간의 관계에서 내담자가 지각한 불만족 개입 및 작업동맹위기해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대학상담소, 사설상담소, 청소년 상담기관에서 현재 상담이 5회기 이상 진행된 남녀 내담자 93명이다.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작업동맹척도, 불만족개입척도, 작업동맹위기해결진단척도, 상담성과척도 4개의 척도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을 통하여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작업동맹과 상담성과의 관계에서 상담자의 불만족개입과 작업동맹위기해결 모두 부분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작업동맹이 직접적으로 상담성과에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상담자의 불만족 개입과 상담에서 나타날 수 있는 작업동맹위기해결이 매개가 되어 상담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작업동맹 수준이 높으면 상담의 성과가 나타난다기보다는 상담과정 중의 상담자의 적절한 불만족에 대한 개입과 동맹의 위기를 알아채고 해결을 이룬 결과에 따라 상담성과가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끝으로 위와 같은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alliance, resolution of work alliance crisis, and dissatisfied intervention that affect counseling outcomes. It also verifies the mediating effect of the dissatisfaction intervention perceived by the client and the resolution of the work alliance crisi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alliance and counseling outcom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93 male and female clients who currently have counseling for more than 5 sessions at university counseling centers, private counseling centers, and youth counseling institutions. The tools used in the study are the Work Alliance Scale, Dissatisfaction Intervention Scale, Work Alliance Crisis Resolution Diagnosis Scale, and Counseling Performance Scale. These are four scales. The collected data analyzed the significance of mediating effects through SPSS 24.0.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both the counselor s dissatisfied intervention and the resolution of the work alliance crisis had partial mediation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alliance and counseling outcome. Through thes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counselor s dissatisfaction intervention and the resolution of the work alliance crisis that may appear in counseling are mediated, and have an influence on the counseling outcome, rather than directly affecting the counseling outcome. This suggests that the counselor s intervention for appropriate dissatisfaction during the counseling process and the result of recognizing and solving the crisis of the alliance may change the counseling outcome rather than the outcome of counseling if the level of working alliance is high.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bove stud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청소년 성폭력 위기개입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학교에서의 위기개입 방향을 중심으로

        유형근(Yu, Hyung-Keun),박선하(Park, Seon-H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2

        본 연구 목적은 청소년 성폭력 위기개입에 관한 국내 연구들을 총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학교에서의 위기개입 방향을 제안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체계적 문헌고찰을 활용하여 총 51편의 연구들을 수집 및 분석하였다. 연구 시기, 대상, 방법, 내용에 따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시기에 따라 주제와 개입방법이 점차 다양해졌다. 둘째, 연구 대상은 학생, 성폭력 피해 청소년, 성별 구성이 혼성인 연구들이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셋째, 연구 방법은 양적 연구, 질적 연구, 혼합 연구, 문헌 연구 순으로 많이 사용되었다. 넷째, 연구 내용을 개입 목적에 따라 예방적 개입과 치료적 개입으로 분류한 결과, 치료적 개입 연구가 예방적 개입 연구보다 더 많이 수행되었다. 위기개입 방법으로서 심리치료, 교육, 기타, 교육 및 심리치료, 활동 순으로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주요 개입 요인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학교에서의 청소년 성폭력에 대한 위기개입 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direction for crisis intervention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scenes by comprehensively exploring the research trends and contents of adolescent sexual violence crisis interventions and analyzing them with a focus on the main intervention factors and effectiveness factors of crisis interventions. For this purpose, relevant literature was collected using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a total of 51 studies were select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based on the research period, subjects, methods, and research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it has been shown that research subjects and methods of intervention gradually vary according to the research period. Second, the study targets were mostly students, teenagers affected by sexual violence, and mixed gender studies. Third, research methods were found to have been widely used in the order of quantitative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mixed research, and literature research. Fourth, as a result of classifying research contents as preventive intervention and therapeutic intervention according to the purpose of crisis intervention, therapeutic intervention research was carried out more than preventive intervention research. Many studies were conducted in the order of psychological treatment, education, other, education and psychological treatment, and activities as methods of crisis interven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main intervention factors and effectiveness factors of each study, this study suggested the direction of crisis intervention for sexual violence in schools.

      • KCI등재

        청소년 고위기 상황 및 효과적 개입에 대한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위기청소년 담당자의 인식 연구

        김동일,현은정,우예영,박준영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20 청소년상담연구 Vol.28 No.2

        With youth problem becoming more serious, as to lay the foundation for more effective intervention for high-risk youth, the goal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plore the youth counselors’ perception on the definition of high risk youth and the effective interventions for them. 81 youth counselors including the head of the youth counseling welfare center and the team leader of community youth safety-net team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was analyzed using th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Modified metho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of the high-level youth crisis was in 1 domain (definition of the high-level youth crisis) and 3 categories(problem types at the individual level, environmental level, and problem characteristics). Secondly, there were 4 domains about effective crisis intervention for high-risk youth. The first domain, ‘Infrastructure for effective high-level youth crisis interventions’ was classified into 2 categories: existence of external institution to engage and the attention and participation of the head of the agency. The second domain, ‘Effective intervention in the urgent high-level crisis of youth’ was categorized into 2 sections: to secure safety immediately and to work together through reporting and consultation. The third domain, ‘Competence of effective counselors for high-risk youth’ was put into 2 categories: professional attitude for high-level crisis intervention and professional knowledge for crisis intervention. The forth domain, ‘Individualized/multilateral intervention and management for resolving high-level youth crises’ was divided into 3 categories: multilateral intervention to resolve high-level crisis, case management and individualized intervention.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위기 청소년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보다 효과적인 위기 청소년 개입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청소년 고위기 상황이 무엇이고, 고위기 청소년들에 대한 효과적인 개입이 무엇인지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위기청소년 담당자의 인식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청소년상담복지센터의 센터장 및 청소년안전망 팀장 등을 중심으로 위기 개입을 담당하는 8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합의적 질적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청소년 고위기에 대한 인식은 1개 영역(청소년 고위기에 대한 정의)으로, 개인적 차원의 문제 유형, 환경적 차원의 문제 유형, 문제의 특성의 3개 범주가 나타났다. 둘째, 고위기 청소년에 대한 효과적인 위기 개입은 4개 영역이 나타났는데, ‘효과적인 청소년 고위기 개입을 위해 필요한 기관 인프라’ 영역은 연계할 수 있는 외부기관이 존재, 기관장의 관심과 참여의 2개 범주로, ‘청소년의 긴급한 고위기 상황에 대한 효과적 개입’ 영역은 즉각적인 안전 확보, 보고 및 협의를 통한 협업의 2개 범주가 나타났다. 또한 ‘청소년 고위기에 효과적인 상담자의 역량’ 영역은 위기 개입을 위한 전문적 태도, 위기 개입을 위한 전문 지식의 2개 범주가 나타났고, ‘청소년 고위기 해결을 위한 개별화된 다각적 개입 및 관리’ 영역은 고위기 해결을 위한 다각적 개입, 사례관리, 개인맞춤형 방안 모색의 3개 범주가 제시되었다. 끝으로 주요연구결과에 대한 의의 및 시사점과 더불어 제한점을 기술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