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지진단모형을 활용한 초등학생의 ICT 리터러시 숙달 수준과 패턴 분석

        김한성 ( Han Sung Kim ) 한국교육공학회 2018 교육공학연구 Vol.3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인지진단모형을 활용해 국가수준의 ICT 리터러시 검사 결과를 분석하여 ICT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탐색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2016년 초등학생 대상으로 시행된 국가수준의 ICT 리터러시 검사 데이터를 인지진단모형 중 하나인 DINO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학년별/성별에 따른 숙달 수준(Mastery Lavel)과 숙달 패턴(Mastery Pattern)을 분석하고 개인별 검사결과 제공 방안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데이터는 초등학생 4, 5, 6학년을 대상으로 하며, 총 6,383명(남학생 3326명, 여학생 3057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인지진단모형 적용을 위해 R 3.4.3의 CDM Package를 활용 하였으며, 학년별/성별 숙달 수준의 차이는 SPSS 22.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년이 올라갈수록 숙달 수준이 높아졌으며, 컴퓨팅 사고력(Computational Thinking) 요소가 전체 학년에서 공통적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각 학년별로 높은 숙달 수준을 보인 요소는 달랐으며, 4학년은 문제해결, 5학년과 6학년은 정보탐색 요소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여학생의 숙달 수준이 남학생에 비해 전체적으로 높았으며, 문제해결과 정보조직을 제외한 나머지 요소(정보분석, 정보탐색, 컴퓨팅 사고력, 정보소통, 정보활용)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학년에 따른 숙달 패턴을 살펴보면 학년이 올라갈수록 숙달 패턴 수가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상위 3개 유형을 제외하면 학년별로 매우 다른 형태의 패턴을 보이고 있었다. 넷째, 성별에 따른 숙달 패턴을 보면 남녀 모두 유사한 수준의 숙달 패턴 수가 나타났으며, 상위 4개 유형을 제외하면 매우 다른 패턴을 보이고 있었다. 다섯째, 학생 개인별 검사 결과 제공방안 탐색을 위해 총점, 요소별 점수, 문항별 반응패턴, 그리고 인지요소별 숙달패턴을 제공하는 방안을 살펴보았다. 끝으로, 본 연구는 인지진단모형에 기반 한 분석 결과와 기존의 총점에 기반 한 검사 결과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인지진단모형이 제시하는 학년별/성별 특성을 분석하고, 인지진단모형의 유용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 후, 논의 사항을 기초로 향후 ICT 리터러시 교육을 위해 필요한 교육적·정책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mplications for ICT literacy education by analyzing the results of national ICT literacy test using cognitive diagnostic models. To do this, this study analyzed national ICT literacy test data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2016 by applying the DINO model, one of the cognitive diagnostic models. To be elaborate, this study analyzed the mastery level and mastery pattern according to grade/gender, and examined the way to provide individual test results. The data us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6,383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CDM package of R 3.4.3 was used to apply the cognitive diagnostic model and the statistical difference of mastery level was analyzed by using SPSS 22.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astery level increased as the grade increased, and the computational thinking factor was the lowest in all grades. Second, the mastery level of female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male students. The five factors except for the problem solving and information organiza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ird, the number of mastery patterns according to the grade were increased with the grade level. And except the three types of patters, the patterns types showed very different according to grade. Fourth, the number of mastery patterns according to the gender was similar in the both genders. And except the four types of patterns, the patterns types showed ver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Fifth, this study looked at the ways to provide total score, element score, item response pattern and mastery pattern for individual student.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gender/grade in terms of cognitive diagnostic model. And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is study proposed education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for ICT literacy education.

      • KCI우수등재

        교사지지와 학업성취 간 관계에서 자기초월가치와 숙달목표의 역할: 다층구조방정식을 적용한 매개효과 분석

        한수연(Han, Sooyeon),박용한(Park, Yonghan) 한국교육학회 2022 敎育學硏究 Vol.60 No.1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교사지지, 자기초월가치, 숙달목표, 학업성취(읽기, 수학, 과학)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특히 학생에 대한 교사의 지지와 학생의 학업성취 간 관계에서 자기초월가치와 숙달목표의 매개효과가 있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PISA 2018의 우리나라 고등학교 1학년 자료(150개교, 남: 2,870명, 여: 2,674명)를 활용하였으며, 학교에 학생이 내재된 자료의 위계적 구조를 고려하여 다층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해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과 학교 수준 모두에서 교사지지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자기초월가치와 숙달목표를 매개로 한 간접효과는 유의하였다. 구체적으로 학생 수준에서는 교사지지가 자기초월가치와 숙달목표를 매개로 학업성취에 정적인 간접효과를, 학교 수준에서는 교사지지가 자기초월가치를 매개로 학업성취에 정적인 간접효과를 보였다. 둘째, 교사지지는 학생과 학교 수준 모두에서 자기초월가치와 숙달목표에 정적으로 유의한 직접효과가 있었으며, 동시에 교사지지가 자기초월가치를 매개로 숙달목표에 미치는 정적인 간접효과도 유의하였다. 셋째, 학생 및 학교 수준 모두에서 자기초월가치가 학업성취와 숙달목표에 정적인 직접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숙달목표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가 학생 수준에서는 정적으로 유의하였으나 학교 수준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교사지지가 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이타적인 자기초월가치와 배움 자체의 즐거움에 초점을 두는 숙달목표가 중요한 역할을 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학생의 자기초월가치와 숙달목표의 증진을 위해서는 교사의 따뜻한 지지와 이해가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plore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teacher support, self-transcendence value, mastery goal, and academic achievement for high school students, with a special focus on the roles of self-transcendence value and mastery go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support and academic achievement. For this purpose, the data on Korean high-school students from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PISA) 2018 were analyzed using multileve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aking into account students nested within school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t the student as well as the school levels, the direct effects of teacher support on academic achievement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le the indirect effects of teacher support through the self-transcendence value and mastery goal were. Specifically, at the student level, teacher support showed positive indirect effects through the self-transcendence value and mastery goal on academic achievement. At the school level, teacher support showed a positive indirec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only through the self-transcendence value. Second, teacher support had positive direct effects on the self-transcendence value and mastery goal at the student and school levels. At the same time, there were positive indirect effects of teacher support through the self-transcendence value on the mastery goal. Third, the self-transcendence value showed positive direct effects on the mastery goal at the student as well as the school levels. Fourth, the effect of the mastery goal on academic achievement was positively significant at the student level but not at the school level. These results confirm the important roles of the altruistic self-transcendence value and a learning-focused mastery goal in relation to teacher support and student achievement. In addi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eachers’ warm support and care should be provided in order to improve students’ self-transcendence value and mastery goal.

      • KCI등재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과 CEFR, ACTFL, WIDA의 숙달도 등급 체계 비교 연구

        이인혜 ( Lee In-hye ),이준호 ( Lee Jun-ho ) 민족어문학회 2021 어문논집 Vol.- No.93

        본고에서는 2020년 고시된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의 구성 체계 및 숙달도 등급 설정을 분석하고, 이를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외국어 숙달도 등급 체계와 비교하여,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의 숙달도 등급 설정을 객관적으로 검토하였다.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과 더불어 한국어교육계의 연구자들에게 잘 알려진 국외 외국어 숙달도 기준인 CEFR, ACTFL, WIDA의 숙달도 등급 체계를 분석하고 대조함으로써 한국어교육에서의 등급 설정 연구의 기초 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고에서는 유럽에서의 외국어 교육 기준인 CEFR, 미국의 외국어 숙달도 지침인 ACTFL, 그리고 비성인대상의 ESL 교육과정으로서 대표성을 지닌 WIDA의 숙달도 등급을 상호 비교하여, 다양한 지역, 다양한 대상의 교육과정이 설정한 숙달도 기준이 비교 대상으로 채택될 수 있도록 하였다. 결과적으로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의 등급 설정은 세계적 기준의 숙달도 등급 기준과 전체적으로 상응하면서도, 한국어교육 현황의 특수성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고의 결과는 앞으로의 한국어 숙달도 등급 체계 설정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The present study analyzes the content framework and proficiency levels of the 2020 Standard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SCKL) and compares it to globally recognized foreign language proficiency standards, such as the proficiency levels of the Common European Framework of Reference for Languages (CEFR), 2012 American Council on the Teaching of Foreign Languages (ACTFL) Guidelines, and 2020 WIDA English Language Development Standards Framework. The results show that the SCKL proficiency levels align well with the globally recognized standards while reflecting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is hoped that the present study serves as a reference for developing proficiency guidelines for Korean language.

      • KCI등재

        DINA 모형을 통한 피험자 능력 추정의 정확성 연구 : MCMC와 MMLE/EM 알고리듬의 비교를 중심으로

        심혜진,강태훈 한국교육방법학회 2015 교육방법연구 Vol.27 No.3

        본 연구에서는 DINA 모형 추정이 가능한 알고리듬인 MCMC와 MMLE/EM을 사용하여 피험자 능력 추정의 정확성 측면에서 그 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모의실험 연구를 통하여 각 피험자의 진(true) 숙달여부를 알고 있는 상황 하에서 자료를 생성하고, 이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숙달여부 추정의 정확성 즉 분류정확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모의실험 요인으로는 검사길이 및 인지요소들 간 상관계수의 크기 등을 고려하였다. MCMC를 사용하여 DINA 모형을 추정할 수 있는 WinBUGS 프로그램의 경우, 연구자에 의한 자유로운 프로그램 작성 및 도출 결과의 선택이 가능하기 때문에, 개별 피험자의 각 인지요소별 숙달확률 및 숙달여부에 관한 추정치를 모두 구할 수 있었다. 하지만 MMLE/EM을 통하여 모수를 추정하는 Ox 프로그램은 DINA 모형을 다룸에 있어서 추정 결과로서 각 인지요소의 숙달여부만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피험자의 인지 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능력 관련 추정치를 제공하고자 할 때, 숙달확률보다는 숙달여부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타당한 선택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숙달여부 복원과 관련하여, MCMC에 의한 능력모수 추정 결과보다 MMLE/EM이 보다 안정적이고 정확한 결과를 산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많은 모의실험 조건에서 검사길이가 증가하면 분류정확성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모든 인지요소의 숙달여부 즉 전체 숙달 패턴이 정확하게 복원되는지를 살펴보는 경우 인지요소 간의 상관이 높을수록 분류정확성이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인지요소 간 상관 정도와 개별 인지요소 숙달여부의 분류정확성 간에는 뚜렷한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curacy of ability parameter estimates based on the DINA model using MCMC and MMLE/EM algorithms through several simulation conditions, focusing on the two kinds of results such as mastery probability and mastery state. The former can be performed by the WinBUGS program, and the latter can be utilized using the Ox program which provides information only on mastery state of each attribute. In a simulation study to evaluate the accuracy of ability recovery, two factors such as the test lengths and the correlations among cognitive attributes were considered together. The results show that if one has to choose between mastery state and mastery probability to evaluate examinee’s cognitive ability, presenting mastery state rather than mastery probability can be safer choice. Comparing the performances of MCMC and MMLE/EM algorithms in terms of classification accuracy, the latter appears to provide consistently better estimates than the former. Moreover, the result suggests not only that the longer test length is given, the larger classification accuracy tends to be obtained, but also that accuracy classification results at the whole-pattern level increases when the correlations between attribute are higher. Such relationship between the correlations and classification accuracy, however, was not found when the recovery is evaluated in terms of the mastery on each individual attribute

      • KCI등재

        대학생의 숙달목표지향성과 진로적응성과의 관계에서 대학생활적응의 매개효과

        배성아(Sung Ah Bae),김수영(Sooyoung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5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적응성에 숙달목표지향성과 대학생활적응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피고, 대학생활적응이 숙달목표지향성과 진로적응성과의 관계에서 매개효 과를 보이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C지역의 4년제 대학교에서 2014학년도 1학기에 운영한 교양과목을 수강 중인 44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완료된 설문지 420개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한 결과, 숙달목표지향성과 대학생활적응이 진로적응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대학생활적응이 숙달목표지향성과 진로적응성과의 관계에서 부분적인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본 연구를 통하여 대학생의 숙달목표지향성이 높을수록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과 진로적응성이 높아지고, 숙달목표를 추구하면서 대학생활적응력이 높은 학생이 숙달목표지향성만 높은 학생보다 진로적응성이 높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대학생의 숙달목표지향성이 진로적응성에 직접 영향을 주고, 대학생활적응을 매개로하여 진로적응성에 간접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당국은 진로상담이나 취업 프로 그램을 운영할 때, 학생들의 숙달목표지향성을 고려하여 프로그램을 설계 및 개발하 고, 대학생활적응력을 함께 증진시키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This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college students mastery goals, their perceived adaptation to college life study, and career adaptability. In particular,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mechanism beyond the relation between college students mastery goals and their perceived career adaptability by investigating the mediating role of their adaptation to college life. In the first semester of 2014, we collected data from 445 students at a private college based in C region, and 420 responses were included for the analysis for the stud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has shown that college students mastery goals are positively related to their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to their career adaptability. In addition,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was found as a partial mediator between college students mastery goals and their perceived career adaptabilit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poses that college administration need to not only consider students’ mastery goals when designing and developing career counseling or coaching programs, but also find ways to promote students adaptability to college life.

      • KCI등재

        교사가 지각한 학교목표구조와 성취목표의 관계에서 내재동기의 조절효과

        조윤정 ( Cho Yoonjung ),황소리 ( Hwang Sori ),심성민 ( Sim Sungmin ),강스텔라 ( Kang Stella ) 안암교육학회 2021 한국교육학연구 Vol.27 No.4

        본 연구에서는 교사가 지각한 학교목표구조가 교사의 성취목표에 미치는 영향이 교사의 내재동기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예측하고, 교사의 성취목표를 예측하는 학교목표구조(환경변인)와 내재동기(개인변인)의 독립적 효과뿐만 아니라 변인 간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보았다. 총 246명의 교사들이 성취목표(숙달, 수행접근), 학교목표구조(숙달, 수행), 그리고 내재동기 문항에 응답하였다. 중다회귀분석 결과, 학교숙달목표구조는 교사의 숙달목표를, 학교수행목표구조는 교사의 수행접근목표를 각각 정적으로 예측하였고, 내재동기는 교사의 숙달목표를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교사가 지각한 학교목표구조와 내재동기 간의 상호작효 효과를 살펴본 결과, 교사의 내재동기가 학교숙달목표구조와 교사의 숙달목표, 학교숙달목표구조와 교사의 수행접근목표 간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교사가 지각한 학교의 목표구조가 모든 교사에게 동일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교사 개인의 내재동기에 따라 더 강력한 영향을 행사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학교의 목표구조가 어떤 조건에서 어떤 동기적 특성을 가진 교사에게 차별적 영향력을 미치는지에 대한 논의를 제공하였다. This present study explored how perceived school goal structure interact with intrinsic motivation for teaching in predicting teachers` achievement goals. A total of 246 in-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a survey measuring achievement goal for teaching (mastery, performance-approach), perceived school goal structure (mastery, performance), and intrinsic motivation for teaching.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perceived school mastery goal structure predicted teachers’ endorsement of mastery goals, while perceived performance goal structures predicted teachers` endorsement of performance-approach goals for teaching. In addition, the two types of interaction effects were significant. First, teachers’ intrinsic motivation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chool mastery goal structure and mastery goals for teaching. The results suggested that perceived school mastery goal structure exerted a stronger influence on teachers’ mastery goals for those with low intrinsic motivation than those with high intrinsic motivation. Second, teacher’s intrinsic motivation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chool mastery goal structure and performance-approach goals for teaching.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was found for teachers with high intrinsic motivation while negative relationship was found for those with low intrinsic motivation. The present study helped to deepen our understanding of under what conditions and for whom perceived school goal structure has a stronger influence on teachers.

      • KCI등재

        예비음악교사의 숙달목표지향성과 다문화교육태도의 관계에 있어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신혜경,테레사 편,김수영 한국예술교육학회 2018 예술교육연구 Vol.16 No.4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music teachers' mastery goals and their teacher multi-cultural attitudes. Furth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mastery goals and teacher multi-cultural attitudes. We administered a survey to and collected data from 151 pre-service music teachers attending D teachers' college.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college students' mastery goals, teacher multi-cultural attitudes, and self-esteem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ssociated to one another.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pre-service music teachers' self-esteem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mastery goals and teacher multi-cultural attitudes. For the group with higher self-esteem, those whose mastery goals are higher are more likely to show higher teacher multi-cultural attitudes. While that is true for senior students, it is not true for first year through third year students. The current study revealed that individual dispositions such as mastery goals and self-esteem of pre-service music teachers influence teacher multi-cultural attitudes, which contributes to the research and practice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and sheds lights on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pre-service music teacher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curent study, we recommend that university administration develop teaching strategies and educational programs to enhance college students' mastery and goals and their self-esteem.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음악교사의 숙달목표지향성이 다문화교육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자아존중감이 숙달목표지향성과 다문화교육태도의 관계에 있어서 가지는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D 사범대학에재학 중인 중등 예비음악교사 15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음악교사들의 숙달목표지향성, 자아존중감, 다문화교육태도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나타났다. 둘째, 자아존중감은 숙달목표지향성과 다문화교육태도와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어, 자아존중감이 높은 예비교사일수록 숙달목표지향성이 다문화교육태도에 끼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학년별 변인 분석 결과 4학년에서만 자아존중감이 숙달목표지향성과 다문화교육태도와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 4학년 예비교사의 경우 자아존중감이 높은 집단일 경우 숙달목표지향이높을수록 다문화교육태도가 높다는 것이 밝혀졌다. 본 결과에 근거하여 예비음악교사의 다문화교육태도를 높이기 위한 숙달목표지향성과 자아존중감 제고를 위한 예비음악교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대학 교직수업에서 성장마인드셋, 숙달목표, 그릿, 자기주도학습 및 학습만족도의 관계

        이현경(李玄慶),김정민(金廷珉)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아시아교육연구 Vol.21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직수업에서 학생들의 성장마인드셋, 숙달목표, 그릿, 자기주도학습과 학습만족도의 관계를 살펴보고, 성장마인드셋과 학습만족도 관계에서 숙달목표, 그릿, 자기주도학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과 강원 지역 3개 대학교에서 교직수업을 수강한 239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한 후 직렬다중매개모형으로 변인들 간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성장마인드셋은 숙달목표, 그릿, 자기주도학습을 매개로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만 직접적으로는 학습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교직수업에서 학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성장마인드셋을 증진하는 것이 필요하며 성장마인드셋은 숙달목표, 그릿, 자기주도학습과 함께 고려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둘째, 학생들의 숙달목표, 그릿, 자기주도학습이 성장마인드셋과 학습만족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지 검증한 결과 성장마인드셋이 숙달목표를 거쳐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 성장마인드셋이 자기주도학습을 거쳐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간접효과, 성장마인드셋이 숙달목표와 자기주도학습을 거쳐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간접효과, 성장마인드셋이 그릿과 자기주도학습을 거쳐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간접효과, 성장마인드셋이 숙달목표, 그릿과 자기주도학습을 통해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그러나 성장마인드셋이 그릿을 통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간접효과, 성장마인드셋이 숙달목표와 그릿을 통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직수업에서 성장마인드셋은 그릿과의 연계만으로는 학습만족도를 기대하기 어렵고 그릿과 함께 자기주도학습 능력 또한 고려될 때 보다 효과적인 수업을 기대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growth mindset, mastery goal, grit, self-directed learning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pre-service teacher classe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mastery goal, grit and self-directed learning between growth mindset and learning satisfaction.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from 239 students taking the classes at three universities in Seoul and Gangwon, and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were analyzed using a serial multi-mediated model. As a result, first, growth mindset affects learning satisfaction through mastery goal, grit, and self-directed learning, but does not directly affect learning satisfaction. Through this, this study discussed that it is necessary to enhance students" growth mindset to improve learning satisfaction, and that mastery goal, grit, and self-directed learning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rather than dealing with growth mindset only.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whether the students" mastery goal, grit, and self-directed learning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rowth mindset and learning satisfaction, the indirect effect of growth mindset on learning satisfaction through grit and the indirect effect of growth mindset on learning satisfaction through mastery goal and grit are not significant. This suggests that growth mindset in pre-service teacher classes are difficult to expect learning satisfaction only by linking with grit and that more effective classes can be expected when consider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ith grit.

      • KCI등재

        학습 환경과 숙달도에 따른 요청 화행 실현 양상 연구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

        LI QINGHUA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人文硏究 Vol.- No.78

        The paper reports on the request speech act realization patterns of Chinese Korean Learners focusing on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the proficiencty. The group of informants totals 120, 80 for KSL and KFL learners, who got TOPIK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 40 informants for KNS and CNS group. The instrument used is a discourse completion test. For environments, there is no distinguish from KSL and KFL learner in the low proficiency, but in the high proficency, the environments is relevant to the request speech act realization patterns. For proficiency, in the native language environment, there is no distinguish between intermediate group and advanced group, but in the target language environment, the language proficiency is relevant to the request speech act realization patterns. This result means the learner who has high Korean proficiency need to be revealed to the target language environment. 본 연구는 학습 환경과 숙달도에 따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요청 화행 실현 양상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총 120명으로 학습 환경과 숙달도에 따라 한국에서 한국어를 학습하는 학습자(KSL)중 한국어능력시험(TOPIK) 중급과 고급 취득자 각각 20명씩 총 40명, 중국에서 한국어를 학습하는 학습자(KFL) 중 한국어능력시험(TOPIK) 중급과 고급 취득자 각각 20명씩 총 40명, 그리고 한국어 모국어 화자(KNS) 20명과 중국어 모국어 화자(CNS) 20명이다. 자료 수집은 담화완성형테스트(DCT)를 사용하였다. 요청 화행 전략 실현 양상에 있어 우선 학습 환경에 대한 영향을 구체적으로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숙달도가 낮을 경우, 학습 환경에 따라 요청 화행 전략 실현 양상에는 별 차이가 없으나, 숙달도가 높을 경우, 학습 환경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숙달도에 따라 분석해 본 결과 모국어 환경에서는 숙달도에 따라 요청 화행 전략 양상에 별 차이가 없으나, 목표어 환경에서는 숙달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숙달도가 높은 학습자일수록 목표어 환경에 노출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여자 대학생의 물질주의, 숙달목표의 변화양상과 스트레스, 불안과의 종단적 관계

        박선영 ( Sun Young Park ),설경옥 ( Kyoung Ok Seol )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1 지역과 세계 Vol.45 No.4

        본 연구는 초기 성인기 여자 대학생의 물질주의와 숙달목표의 종단적 변화와 스트레스, 불안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서울 및 수도권 대학에 재학 중인 여대생 487명을 대상으로 6개월 간 4차례 설문을 실시하여 잠재계층 성장분석을 한 결과 내적 성장추구형(C1), 외적 성취추구형(C2), 외적 성장추구형(C3)의 3개의 잠재계층이 확인되었다. 내적 성장추구형(C1)은 전체의 13.1%인 64명으로 시간에 따른 물질주의와 숙달목표의 변화없이 세 집단 중 물질주의 가치는 가장 낮고, 숙달목표는 가장 높았다. 외적 성취추구형(C2)은 31.2%인 152명으로 물질주의와 숙달목표가 모두 변화하였는데, 세 집단 중 물질주의 초기치가 가장 높고 점차 증가하였으며, 숙달목표의 초기치는 가장 낮았고, 점차 감소하였다. 외적 성장추구형(C3)은 55.6%인 271명으로 세 집단 중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였다. 이 집단의 물질주의와 숙달목표의 초기치는 전체집단의 평균 수준이었고, 물질주의 가치추구는 시간에 따라 증가하였다. 집단 별 잠재성장분석의 초기치 평균값으로 불안과 스트레스의 종단적 변화를 비교한 결과 외적 성취추구형(C2)이 가장 낮고 그 다음으로 외적 성장추구형(C3)으로 나타났으며 내적 성장추구형(C1)이 가장 높았다. 외적 성장추구형(C3)의 경우 스트레스 수준은 시간에 따른 변화없이 유지되었지만 불안 수준은 점차 높아지는 변화가 있었다. 종합하면 높은 물질주의 추구는 낮은 숙달목표 추구와 함께 변화하는 특징이 있었으며 스트레스, 불안과 같은 심리적 적응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반대로 낮은 물질주의 추구는 높은 숙달목표 추구와 함께 변화하며 심리적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This study investigated changes in materialism and mastery goal in early adulthood in relation to stress and anxiety using a person-centered approach. We surveyed 492 female college students 4 times at 6-month intervals. We found three distinct groups using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intrinsic growth pursuing(C1), extrinsic achievement pursuing(C2), and extrinsic growth pursuing(C3). Of the total, 13.1%(64) were under C1, showing no change in materialism and mastery goal and having the lowest materialistic values and highest mastery goal over time. Meanwhile, 31.2%(152) were under C2, who showed the highest materialism at the beginning, which increased over time, and had the lowest mastery goal level, which gradually decreased through time. Lastly, C3 was the largest group at 55.6%(271). This group displayed an average initial level of materialism and mastery goal, with materialism increasing over time. C1 had the lowest stress and anxiety levels, followed by C3, concluding C2 to be the highest levels. For C3, their stress level remained the same, and their anxiety level increased over time. In conclusion, high materialism and low mastery goal changed together and had negative implications on stress and anx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