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아동이 지각한 부모갈등 및 또래관계가 소외감에 미치는 영향

        황지연 ( Ji Yeon Hwang ),이영애 ( Young Ae Lee ) 한국놀이치료학회 2009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12 No.3

        본 연구에서는 아동이 지각한 부모갈등 및 또래관계가 소외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기지역의 초등학교 5, 6학년 452명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이 지각한 부모갈등이 소외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 살펴본 결과, 남·여아 모두 부모갈등이 소외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성별에 따른 양상의 차이는 보고되지 않았다. 둘째, 아동의 또래관계의 하위 요인 중 정서적 지지와 공동활동이 소외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 살펴본 결과, 다른 양상을 보였다. 남아의 경우, 정서적 지지와 공동 활동이 소외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여아의 경우는 정서적 지지만이 소외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이 지각한 부모갈등 및 또래관계가 소외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부모갈등변인을 통제한 후 살펴본 결과, 또래관계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지지와 교환 활동이 소외감에 독립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 살펴본 결과, 다른 양상을 보였다. 남아의 경우, 또래관계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지지와 공동 활동이 소외감에 독립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여아의 경우, 또래관계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지지가 소외감에 독립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hildren`s perceived marital conflict and peer relationship on children`s alien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52 children of 5th or 6th graders in Gyeonggi-do.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perceived marital conflict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hildren`s alienation. However, gender difference had not been observed. Second,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in the connection between the peer relationships and the alienation. In boy`s cases, the emotional support and common activities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children`s alienation; in girl`s cases, however, the emotional support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children`s alienation. Third, in research of the effects of children`s perceived marital conflict and peer relationship on children`s alienation, the emotional support and common activities without children`s perceived marital conflict relation showed independent effects on boys. And the emotional support without children`s perceived marital conflict relation showed independent effects on girls.

      • KCI등재

        소외감과 소속감의 양상 - 유진 오닐의 희곡 읽기

        조용재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0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21 No.1

        One of the most important themes in Eugene O'Neill's plays is a problem of sense of alienation and belonging.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onsider the aspects of sense of alienation and belonging of Yank in The Hairy Ape, early, Jim in All God's Chillun Got Wings, middle, and Edumund in Long Day's Journey into Night, late play. This thesis will study the aspects of the cause of sense of alienation and the conflict of Yank, Jim, and Edumund, and the pursuit and accomplishment of sense of belonging of them. In the case of the cause and conflict of sense of alienation, the cause of sense of alienation of Yank is the dialogue of Mildred's "Take me away! Oh, the filthy beast!" His conflict is expressed as a brooding figure, an exact attitude of Rodin's 'The Thinker.' The cause of sense of alienation of Jim is his humiliation as a Negro. His conflict is expressed as a conflict between his dream to be a White and his real identity. The cause of sense of alienation of Edumunt is his painful feeling and recognition as 'an unwanted child.' His conflict is expressed as 'not being wanted,' ‘loving death,' 'mad life,' and 'wandering.' In the case of the pursuit and accomplishment of sense of belonging, the pursuit of sense of belonging of Yank is his visit of both Fifth Avenue and Industrial Workers of the World―Local No. 57. His accomplishment of sense of belonging is his death within the monkey cage at the Zoo by a gorilla's murderous hug. The pursuit of sense of belonging of Jim is his dream to be a White such as his marrying Ella, a White and his passing the examination for the bar. His accomplishment of sense of belonging is his regression to the world of innocence and purity of childhood. The pursuit of sense of belonging of Edumund is fog, and reconciliation through the real understanding, forgiveness, and love to his family. His accomplishment of sense of belonging is his transcendence through being set free from a greedy and selfish human desire and an absurd dream. To accomplish a real sense of belonging and a salvation without a sense of alienation, we must overcome the conflict between social stratum and class of Yank, the conflict between race and skin color of Jim, and the conflict between blame and distrust of Edmund, regress to the world of innocence and purity of childhood, and achieve both our reconciliation through the real understanding, forgiveness, love to family, and our transcendence through being set free from a greedy and selfish human desire and an absurd dream. And Eugene O'Neill suggests this as an important theme in The Hairy Ape, early, All God's Chillun Got Wings, middle, and Long Day's Journey into Night, late play. 유진 오닐의 작품에 나타난 가장 중요한 주제 가운데 하나는 소외감과 소속감의 문제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주제가 가장 잘 나타나고 있는 세 극들의 핵심 주인공, 즉 초기 극 『털보 원숭이』의 양크, 중기 극 『모든 신의 아이들에게는 날개가 있다』의 짐 해리스, 그리고 후기 극 『밤으로의 긴 여로』의 에드먼드 타이론을 중심으로 첫째, 그들이 소외감을 느끼는 원인은 무엇이고 그로 인해 어떠한 갈등을 겪으며, 그리고 그들이 이러한 소외감과 갈등을 극복하고 소속감을 얻기 위해서 어떠한 추구를 하고 궁극적으로 어떻게 소속감을 성취하는가를 파악하며 둘째, 그 과정에 나타난 초기, 중기, 후기의 각 주인공의 소외감과 소속감의 최종적인 양상과 변화를 고찰하고자 한다. 먼저 소외감의 원인과 갈등의 경우, 『털보 원숭이』에서 양크의 ‘소외감의 원인’은 밀드레드가 고릴라 같은 얼굴을 한 화부 양크와 조우한 후 애원하듯 외치는 “날 데려가줘요! 아, 더러운 짐승!”이라는 대사이다. 그리고 양크의 ‘갈등’은 ‘로댕의 생각하는 사람’과 같은 ‘생각에 잠긴 모습’으로 나타나며, 이 갈등은 그로 하여금 그의 진정한 정체에 대한 고뇌와 자기인식을 향한 정체탐구를 시작하게 한다. 『모든 신의 아이들에게는 날개가 있다』에서 짐의 ‘소외감의 원인’은 그가 흑인으로서 겪는 인간적 모멸감이다. 그리고 짐의 ‘갈등’은 그의 백인화의 꿈과 그의 진정한 정체성 사이의 갈등으로 나타난다. 『밤으로의 긴 여로』에서 에드먼드의 ‘소외감의 원인’은 그가 그의 출생과 관련해서 ‘원하지 않는 아이’로서 느끼는 고통스런 감정과 인식이다. 그리고 에드먼드의 ‘갈등’은 ‘무소용과 죽음에 대한 동경,’ ‘난잡한 생활,’ 그리고 ‘방황’으로 나타난다. 다음으로 소속감의 추구와 성취의 경우, 『털보 원숭이』에서 양크의 ‘소속감의 추구는 첫째, 양크가 밀드레드에게 복수를 하기 위해서 뉴욕의 5번가를 방문하는 것이다. 둘째, 그가 그녀 개인이 아닌 “그 여자랑 함께 어울리는 자들”인 집단에 복수하기 위해서 “세계산업노동자 제57지부”를 방문하는 것이다. 그리고 양크의 ‘소속감의 성취’는 고릴라의 살인적 포옹에 의한 원숭이 우리에 갇힌 죽음으로 나타난다. 『모든 신의 아이들에게는 날개가 있다』에서 짐의 ‘소속감의 추구’는 ‘흑인 짐의 백인화의 꿈’으로 나타나며 이것은 백인 엘라와의 결혼과 그의 변호사시험의 합격으로 구체화 된다. 그리고 짐의 ‘소속감의 성취’는 짐과 엘라의 어린 시절 동심과 순수의 세계로의 회귀로 나타난다. 『밤으로의 긴 여로』에서 에드먼드의 ‘소속감의 추구’는 ‘안개’와, 진정한 이해와 용서와 사랑을 통한 가족 간의 화해로 나타난다. 그리고 에드먼드의 ‘소속감의 성취’는 탐욕적이고 이기적인 인간의 욕망과 허황된 꿈에서 탈피한 ‘초월’로 나타난다. 세 극에 나타난 소외감의 원인과 갈등의 근본적인 문제는 초기 극 『털보 원숭이』에서는 계층과 계급, 중기 극 『모든 신의 아이들에게는 날개가 있다』에서는 인종과 피부색, 그리고 후기 극 『밤으로의 긴 여로』에서는 원망과 불신이 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소외감과 갈등을 극복하기 위한 소속감의 추구와 성취의 최종적인 양상은, 초기 극 『털보 원숭이』에서는 계층과 계급 간의 투쟁에 따른 양크의 죽음으로, 중기 극 『모든 신의 아이들에게는 ...

      • KCI등재

        중학생의 SNS중독 경향성에 있어 내현적 자기애와 소외감, 자아존중감의 관계

        조소연,정주원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7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covert narcissism and the sense of alienation with SNS addiction proneness and the influence of them on SNS addiction proneness in order to find a way to conduct an intervention for the SNS addiction prone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the sense of alienation, and SNS addiction proneness.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online from the first to thi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who had the experience of using SNS within the past one week, and finally, the data of a total of 341 participants were used for analysis. Firs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covert narcissism, the sense of alienation, self-esteem and SNS addiction proneness, covert narcissism and the sense of alienat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NS addiction pronenes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SNS addiction proneness. Second, the investigation of the effects of covert narcissism, alienation, and self-esteem on SNS addiction proneness showed that covert narcissism, the sense of alienation, and self-estee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NS addiction proneness. The higher the levels of covert narcissism and the sense of alienation, the higher the level of SNS addiction proneness. On the other hand, the higher the level of self-esteem, the lower the level of SNS addiction proneness.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was verified for the relationship of covert narcissism and the sense of alienation with SNS addiction proneness. Although covert narcissism and the sense of alienation may directly affect SNS addiction proneness, it was found that the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NS addiction proneness through self-esteem as a mediating variable.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as the levels of the covert narcissism and the sense of alienation were increased, the level of the self-esteem was lowered, which led to a higher level of SNS addiction proneness. In order to form a proper network culture for adolescents, education on appropriate use of SNS that can be put into practice in everyday life should be conducted, and healthy and desirable SNS culture should be created. In addition, systematic education and management should be provided so that students can develop the ability to control and regulate themselves. 본 연구는 중학생의 SNS중독경향성을 중재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내현적 자기애, 소외감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와 영향력을 살펴보고, 내현적 자기애, 소외감,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1주일이내에 SNS이용 경험이 있는 중학교 1~3학년 청소년을 대상으로 온라인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최종 341명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첫째, 내현적 자기애, 소외감, 자아존중감과 SNS중독경향성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내현적 자기애와 소외감은 SNS중독경향성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면, 자아존중감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 소외감, 자아존중감이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내현적 자기애, 소외감, 자아존중감은 SNS중독경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현적 자기애와 소외감이 높을수록 SNS중독경향성이 더 높게 나타난 반면,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SNS중독경향성은 낮게 나타났다. 셋째, 내현적 자기애, 소외감과 SNS중독경향성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내현적 자기애와 소외감은 직접적으로 SNS중독경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매개변인인 자아존중감을 통하여 SNS중독경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고 있음이 나타났다. 즉, 내현적 자기애와 소외감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은 낮아지고 이는 SNS중독경향성을 더 높게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올바른 네트워크 문화가 형성될 수 있도록 일상생활에서도 통용될 수 있는 적합한 SNS이용에 대해 교육과 건강하고 바람직한 SNS문화가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학생들이 스스로 통제하고 조절하는 힘을 기를 수 있도록 체계적인 교육과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

        통합학급의 사회적 지지가 장애대학생과 비장애대학생의 소외감과 자기결정행동에 미치는 영향

        강미라 ( Mi Ra Kang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5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6 No.2

        이 연구는 통합학급을 사정할 수 있는 예비척도의 구성요인을 밝히고, 통합학급의 사회적지지가 통합교육 경험이 있는 장애대학생과 비장애대학생의 소외감과 자기결정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 의 학급 적응을 측정하기 위한 통합학급 사정 예비척도의 구성 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통합학급의 사회적 지지는 통합교육 경험이 있는 장애대학생과 비장애대학생의 소외감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 셋째, 통합학급의 사회적 지지는 통합교육 경험이 있는 장애대학생과 비장애대 학생의 자기결정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 연구 결과, 첫째, 탐색적 요인분석(EFA)의 베리맥스 회전을 통해 산출된 5개 요인을 가족 관계, 교사지원, 급우관계, 소외감, 자기결정행동으로 명명하였으며, 전체적으로 높은 신뢰도 수준을 나타내었고, 집중타당성과 판별타당성이 확인되었다. 모델부합도에서도 적합성이 확인 되었다. 둘째, 소외감(역채점)의 높은 점수는 실제로 낮은 소외감으로 해석되는데, 소외감과가족관계, 교사지원, 급우관계 간에는 모두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다중회귀분석 결과에서 가족관계와 급우관계가 소외감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그 중 급우관계가 소외감에 가장 큰 영향을 주었다. 셋째, 자기결정행동과 가족관계, 교사지원, 급우관계 간에는 모두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 결과에서 교사지원과 급우관계가 자기결정 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고, 독립변수 중에서 급우관계가 자기결정행동에 가장 큰 영향을주었다. 마지막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 structure of the Inclusive Classroom Assessment Scale, and the effect of inclusive classroom-related social support on the sense of alienation and self-determined behavior of undergraduates with disabilities and non-disabilitie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FAs with principal components extraction and Varimax rotation were performed to derive the most optional structural representation of the data in each sample. Five factors were named family, teacher, classmates, alienation and self-determined behavior. Cronbach``s α derived from this sample were .893 for 23 items(.809≤α≤.893). The measurement model was characterized by adequate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The goodness of fit of measurement model were favorable. Second,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a sense of alienation with family and classmates. And, inclusive classroom-related social supports, which are family and classmates factors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 sense of alienation. Third,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elf-determined behavior with family, teacher, and classmates. And, teacher and classmates factors had significant effect on self-determined behavior. Finally, recommendations for further study were suggested.

      • KCI등재

        따돌림을 경험한 학교 밖 청소년의 소외감에 관한 연구

        문용선(Yong-sun Moon),이운형(Un-hung Lee) 한국교정상담심리학회 2017 교정상담학연구 Vol.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따돌림이 학교 밖 청소년들의 소외감과 우울 등의 심리적 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소외감의 요인 중에 실존적 소외감이 있는지를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하여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김포시에서 지원하는 H 사단법인 학교 밖 청소년 검정고시반 학생들을 대상으로 따돌림과 소외감, 우울 지수를 측정하여 절단점 이상의 점수가 높은 청소년 3인을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점수가 높은 참여자 3인의 측정 점수를 분석한 결과 따돌림 점수가 높게 나온 참여자들이 소외감, 우울 점수도 높게 나온 것을 알 수 있었고 이들을 대상으로 현상학적 연구를 진행한 결과 소외감으로 인한 우울이 자살생각 또는 자살시도로까지 이어졌음을 볼 수 있었다. 자료 분석은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실제적 경험에 대한 의미를 밝히는데 중점을 맞춘 Giorgi의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참여자들의 소외감과 우울의 주제를 심층 면담 시 참여자들이 표현한 언어로 찾아내게 되었고 이 주제를 가지고 내재되어 있는 중심의미를 통합하여 참여자들의 상황적, 구조적 기술을 도출하게 되었다. 그 결과 참여자들은 집단 따돌림으로 인하여 죽음에 이를 것 같은 극심한 공포와 두려움을 경험하였고 가족 안에서도 소외를 경험함으로써 마침내는 자신존재에 대해서도 부정을 하게 되는 지경에 까지 이르게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상황들을 해결하여 공포감과 두려움에서 벗어나고자 했지만 시간이 흘러도 자신들을 힘들게 하는 따돌림의 문제가 감소되지 않고 오히려 혼자되는 시간 들 속에서 주변 가족과 지인들의 죽음을 직면하며실존적 소외감까지 느끼게 되었다. 따라서 따돌림 피해 청소년을 상담할 때는 이와같은 현상들을 통찰하면서 ‘존재와 죽음’이라는 실존적 측면에서 접근하며 상담을 진행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여겨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whether bullying affects out of school youth by causing their depression and a sense of alienation and to identify the existence of the existential alienation through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In order to fulfill the purpose of the study, students who dropped out of the school and studied in Korea Youth Happy Sharing center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so as to measure their alienation, depression and bullying. 3 students were chosen for in-depth interviewing, who showed high scores on the questionnaire. Theses students showed high scores not only on bullying but on alienation and depression as well. Through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it turned out that they had thought about committing suicide and had tried to do it because of bullying. I employed the method of Giorgi in order to verify the true meaning on existential experience. Through the interview with them, I found that they felt a sense of alienation and depression. By integrating its meaning and their situation, I drew the structural description. Because of bullying, they felt the fear of death and terror, which is founded through the conversation with them, and they also felt isolated from their family. Although they tried to be separated from the groups in order to escape the feelings of terror and fear of death, the situation got worsen. Moreover, the death of their cousins made them alienated from the world and their family. Therefore when interviewing the school dropouts, we should employ the counseling method which can explain the existence and death in the aspects of education.

      • KCI등재

        코로나19 시기 시설보호청소년의 일상이 소외감에 미치는 영향: 시설 내・외부 친구관계의 매개효과

        한지수,김재희,이지혜,이효정,김현경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3 한국청소년연구 Vol.34 No.4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에 시설보호청소년이 겪은 환경 변화와 심리적 어려움 간의 메커니즘을 살펴보기 위해 시설보호청소년의 일상 경험이 시설 내・외부 친구관계를 매개로 소외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서울특별시 소재 아동양육시설을 전수조사한 자료의 일부를 활용하였으며, 31개 아동양육시설에 거주하는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의 시설보호청소년 37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시설보호청소년의 일상으로 생활지도원의 지지, 외출 시간, 신체활동 시간에 대한 시설보호청소년의 만족도를 포함하였고, 친구관계 변화는 시설 내・외부 친구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종속 변인인 소외감은 잠재변수로서 Dean(1961)이 개발한 소외감 척도(Dean’s Alienation Scale)를 번안・수정・보완한 척도를 통해 소외감의 하위 변인인 무력감과 사회적 고립감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기존 연구를 토대로 시설보호청소년의 성별, 현재 심리치료 여부, 코로나19 시기 시설별 외출 금지 기간을 통제 변인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SPSS 26.0과 Mplus 8.6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Structural Equation Model)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설보호청소년이 인식한 생활지도원의 지지와 시설 내・외부 친구관계의 변화가 긍정적일수록 시설보호청소년의 소외감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활지도원의 지지와 신체활동 시간에 대한 높은 만족도는 시설 내부 친구 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이를 매개로 간접적으로도 소외감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외출 시간에 대한 높은 만족도는 시설 외부 친구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이를 매개로 간접적으로 소외감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코로나 시기 중 경험한 신체활동 시간과 외출 시간에 대한 만족도는 각각 시설 외부, 내부 친구관계에 다르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해 코로나19 팬데믹 경험 이후 겪은 시설보호청소년의 심리적 소외감을 이해하고, 향후 포스트 코로나19 시기의 결손회복이나 코로나19와 유사한 위기 상황에서 시설보호청소년을 위한 사회적 관계 중심의 개입과 안정된 일상 유지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시설보호청소년의 친밀한 사회적 관계 특성상 시설 내・외부 친구관계를 독립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하여, 시설보호청소년에 대한 연구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the associations between daily life and a perceived sense of isolation among adolescents in residential care faciliti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with the role of peer relationships within or outside the facilities. Caregivers’ support, outings, and physical activity represented the daily life in COVID-19 of adolescents in facilities. The sample included 371 adolescents in residential care facilities in Seoul during the COVID-19 pandemic.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nd bootstrapping techniques were applied to test the hypothesized mediating effects, utilizing SPSS 26.0 and Mplus 8.6 programs. The respondents’ genders, whether they were receiving psychotherapy, and the period being restricted from going on outings during COVID-19 were controlled for in the analysis. This study highlights that interventions to support adolescents in residential care facilities during COVID-19 need to focus on their peer relationships within or outside facilities.

      • KCI등재

        학교 밖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문제와 상담방안

        문용선(Moon Yong-sun),이운형(Un-hung Lee) 한국교정상담심리학회 2016 교정상담학연구 Vol.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밖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에 심리적 문제인 자신감, 낙관성, 소외감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고 그에 적합한 상담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교 밖 청소년 40명과 일반고등학교 학생 51명에게 자아탄력성, 자신감, 낙관성, 소외감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통계적으로 각 요인들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 그러나 두 집단의 평균의 차이를 살펴보면, 일반고등학교 학생들보다 학교 밖 청소년들이 자신감, 낙관성, 소외감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학교 밖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요인들은 자아탄력성에 의미가 없음이 나타났고 대신 자신감과 낙관성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는 (사)한국청소년이라는 대안학교가 학교 밖 청소년들에게 삶의 의미를 제공해주고 있기에 유사한 연구결과가 나타났다. (사)한국청소년행복나눔의 대안학교는 헌신적인 교사가 존재하고 또한 청소년들의 심리적인 문제들을 이해하고 그에 적합한 집단상담프로그램을 운영하므로 학교 밖 청소년들이 행복하게 삶을 살아가고 있다. 그리고 소외감의 점수를 일반고등학교 학생들과 비교를 해보면 소외감의 점수가 학교 밖 청소년에게 조금 높게 나타났다. 대부분의 학교 밖 청소년들은 학업을 중단하기 전 학교에서 학업의 부적응과 비행으로 인하여 특별교육을 받은 경험이 90% 이상이 되는 청소년으로서 부모와 교사, 또래에게 문제아라는 낙인이 받았다. 그런 이유로 소외감의 점수가 일반고등학교 학생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들에게 나타난 높은 소외감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개인상담보다 학교 밖 청소년에 적합한 집단상담프로그램으로 통하여 서로 인정하고 격려하고 자신의 문제를 표출하므로 소외감이 낮아질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school dropout adolescent`s ego-resilience, confidency, optimism and alienation and to suggest the proper counseling method. In order to fulfill the purpose of the study, 40 students who dropped out of the school and 51 high school student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so as to measure their ego-resilience, confidency, optimism and alienation. According to the research,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Looking in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 high school students` confidency, optimism and alienation were higher than the school dropout adolescents`. In order to verify the factor which affects the school dropout adolescent`s ego resilience,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which does not approve any meaningful difference. Instead, confidency and optimism were showed positive relationships. It is found that the school dropout adolescents have unreality optimism. This factor interrupted their study and led them to drop out of their school. It means that they easily give up when they face hardships rather than overcome them. When it comes to the alienation of two groups, the school dropout students` alienation was higher than the high school students. Almost 90 % of the school dropout students had special education because of maladjustment and delinquency in school and they were labeled as a troublemaker. That`s why their alienation level was higher than the other group. In order to change their unreality, optimism, confidency and alienation positively, it is effective to develop proper group counseling program rather than individual counseling.

      • KCI등재

        청소년의 소외감과 스트레스 반응의 관계에서 스마트미디어 중독과 행동활성화체계(BAS)의 조절된 매개효과

        원소희(So-Hee Won),최유리(Yulee Choi),서경현(Kyung-Hyun Suh)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7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소외감과 스트레스 반응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소외감과 스트레스 반응을 스마트미디어 중독이 매개하는 모형에서 행동활성화체계(BAS)의 조절효과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참여자는 수도권에 위치한 중 · 고등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361명의 남녀 학생들이다. 조절된 매개효과는 PROCESS Macro 3.5모델 7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청소년의 소외감과 BAS는 스마트미디어 중독이나 스트레스 반응과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스마트미디어 중독도 스트레스 반응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스트레스 반응에 대한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에서는 소외감과 BAS의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했으며, 소외감의 조건부 간접효과는 BAS 수준이 매우 낮은 집단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런 결과는 소외감을 느끼는 청소년이 스마트미디어 사용에 몰입하여 스트레스 반응을 경험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시사하며, 그런 영향은 BAS 수준이 높을수록 더 심각하다는 것을 암시한다. This study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alienation and stress responses, and examined the mediating model of smart media addiction moderated by behavioral activation system (BAS) on alienation and stress responses. Participants were 361 male and female students in middle and high schools located at Seoul metropolitan area. PROCESS Macro 3.5 Model 7 was used for analysis of the moderating mediating effect. Results revealed that adolescents’ alienation and BA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mart media addiction and stress responses, while smart media addic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tress responses. In a moderated mediating model for stress responses, there was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f alienation and BAS; conditionally indirect effect of alienation was not significant in groups with very low BA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dolescents who feel alienation are more likely to experience stress responses by overindulging themselves in using smart media. The moderating effect suggests that this effect is stronger with higher levels of BAS.

      • KCI등재

        대인불안, 외로움, 소외감이 대학생의 휴대전화 중독성향에 미치는 영향

        이만제,장해순 한국청소년학회 2009 청소년학연구 Vol.16 No.11

        본 연구는 대학생의 대인불안, 외로움, 소외감이 휴대전화 중독성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대학생의 대인불안이 휴대전화 중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대학생의 외로움이 휴대전화 중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대학생의 소외감이 휴대전화 중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29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이루어졌다. 조사된 설문은 상관관계분석, 단순 회귀분석, 다변인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첫째, 대인불안은 휴대전화 중독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로움은 휴대전화 중독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소외감 역시 휴대전화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소외감의 하부 구성요인인 무력감, 규범상실감, 고립감 중에서는 무력감이 휴대전화 중독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인불안, 외로움, 소외감 중에서 어떠한 변인이 휴대전화에 상대적으로 더 영향력을 미치는가를 살펴본 결과 소외감으로 나타났다. 대학생들에게도 이러한 대인관계와 관련된 부정적 심리특성들이 휴대전화 중독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밝혀냄으로써 앞으로 휴대전화 중독을 감소시킬 수 있는 실천적인 방안을 제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학생들이 대인관계에서 느끼는 여러 가지 심리적 감정들을 잘 조절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이나 상담센터 운영 등의 제도적 장치들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curr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ffects of social anxiety, loneliness, and alienation to the mobile phone addiction. For this study, we made the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Firstly, what is the effect of social anxiety on the tendency to mobile phone addiction among collegiate students? Secondly, what is the effect of loneliness on the tendency to mobile phone addiction among collegiate students? Thirdly, what is the effect of alienation on the tendency to mobile phone addiction among collegiate students? We collected the data from the survey of 295 respondents. Data was analyzed by correlat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findings reveal that social anxiety affects on the tendency to mobile phone addiction, firstly. Secondly, loneliness affects on the tendency to mobile phone addiction. Thirdly, alienation also affects on the tendency to mobile phone addiction. Especially the powerlessness affects hugely to the tendency to mobile phone addiction among sub-construct of alienation which are norm-lessness, social isolation, and powerlessness. Fourthly, we also reveal that the sense of alienation is the most affective among social anxiety, loneliness, and alienation on tendency to the mobile phone addiction. Through this study, we suggest the practical plans for the reducing the mobile phone addiction further such as the various programs for the education or consultation center. Other finding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also made.

      • KCI등재후보

        교우관계개선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소외감과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이현림,장미자,김순미 한국청소년학회 2004 청소년학연구 Vol.1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friendship improvement program on the senses of alienation and social skill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hypotheses were as follows. First, the sense of alienation of an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a friendship improvement program might be reduced than that of a control group. Second, social skills of an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a friendship improvement program might improve than those of a control group. In order to attain the purpose of this study, after 32 students who wanted to participate in an experiment(counseling for friendship improvement program) in their second year from a middle school in the city of Daegu were selected randomly, and they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and a control group.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extracted from this study. First, after a post-test on a sub-category of a sense of alienation in an experimental and a control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in a feeling of enervation and social isolation in a experimental group, so was the whole of a sense of alienation in a experimental group. As a result, friendship improvement program had a great effect on the reduction of students' senses of alienation. Second, after a post-test on a sub-category of social skills in a experimental and a control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bilities of sympathy, self-assertion and self-control in a experimental group,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 spirit of collaboration. However, there was statistically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whole of social skills. In conclusion, friendship improvement program had an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students' social skills. 본 연구는 교우관계개선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소외감과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가설은 첫째, 교우관계개선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소외감이 감소될 것이며, 둘째, 교우관계개선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사회적 기술이 향상될 것이다. 연구대상은 대구광역시에 소재한 중학교 2학년 학생 중에서 교우관계 개선을 위한 집단상담에 참가하기를 희망하는 학생 32명을 선발하여 무작위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6명씩 배정한 후, 연구자가 연구목적에 적합하도록 구성한 교우관계개선 프로그램을 주 2회씩 6주 간에 걸쳐서 총 12회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Dean(1961)의 소외감 척도(Dean’s Alienation Scale)를 연구자가 번안하여 사용하였으며, Gresham과 Elliot(1990)에 의해서 개발된 SSRS(Social Skills Rating Scale)를 수정한 SSRS-학생용(39문항) 사회적 기술검사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소외감 하위영역에 대한 사후검사 결과, 실험집단이 무력감과 사회적 고립감에서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났으며, 소외감 전체의 점수에서도 유의하게 낮은 차이를 보였다. 이는 교우관계개선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소외감을 감소시키는 데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회적 기술 하위 영역에 대한 사후검사 결과, 실험집단이 공감 능력, 자기주장 능력, 자기조절 능력, 사회적 기술 전체의 점수에서는 높게 나타났으나, 협동성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교우관계개선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사회적 기술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