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三江平原 滾兎嶺ㆍ鳳林문화의 형성과 勿吉ㆍ豆莫婁ㆍ靺鞨의 출현

        강인욱(Kang In Uk) 고구려발해학회 2015 고구려발해연구 Vol.52 No.-

        본 고에서는 기원전 2세기~서기 5세기의 삼강평원의 곤토령문화와 봉림문화의 고고학적 문화를 중심으로 그 계통을 살펴보고, 그들의 성립 및 소멸과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필자는 이와 같이 사서에 기록된 각 민족의 시공적인 범위를 선험적으로 규정하고 그에 고고학적 유물과 유적을 맞추는 중국학계의 연역적인 접근을 통하여 삼강평원=읍루설은 실제 고고학자료와 배치됨을 밝히고, 삼강평원의 곤토령을 읍루, 봉림문화를 물길로 인식할 경우 이후에 발흥하는 말갈문화와 고고학적 문화에서 보이는 차별성을 설명할 수 없음을 지적했다 본고에서는 삼강평원에 사람들이 집약적으로 거주하는 기원전 2세기~서기 6세기를 전기단계인 곤토령문화시기(기원전 2~서기 2세기), 발전기인 봉림문화시기(기원전 2~5세기), 그리고 말갈계문화로 전환되는 물길-두막루단계(서기 6~7세기)로 나누었다. 전기의 곤토령문화의 고고학적 문화상은 목단강유역의 東興文化, 부여문화(포자연문화), 연해주의 團結문화(=올가문화) 등과 가까운 바, 옥저계의 문화가 북상해서 삼강평원에 안착된 결과로 보았다. 또한, 이들 유적은 폴체계문화와는 다른 계통으로 이렇게 옥저계문화가 북상할 수 있었던 요인으로 삼강평원이 상대적으로 북쪽에 고립되어 있는 고위도지방이며 저지대이지만, 농업생산력이 아주 높은 흑토지대라는 점 등을 들었다. 그런데 곤토령문화에는 폴체문화의 요소들도 적지 않으며, 삼강평원의 동부지역에도 폴체문화의 일종인 완연하 유형이 존재하는 바, 추위에 대한 적응잠재력이 큰 옥저계 주민들이 북상하여서 남하한 폴체계 집단 일부와 융합하여 세력을 이루게 되었다고 생각한다. 발전기인 봉림문화 단계에 삼강평원에 고환경 자료로 볼 때에 사람들의 적극적인 개간사업 등으로 소택지가 줄었음이 확인되었다. 이 시기의 또한, 집약적인 농경으로 사회를 유지했기 때문에 사회의 복합도가 증가하며 인구도 비약적으로 증가하게 되었다. 같은 시기 송눈평원 지역은 부여계의 유적이 급감하고 대신에 유목계의 문화가 들어오는 것과 정반대의 상황이 된다. 봉림문화가 사라지는 5세기말~6세기는 일종의 전환기로 옥저계문화가 말갈계로 교체되는 시기로 사서에 물길과 두막루가 등장하는 시기로 대표된다. 이후 6세기 이후에는 삼강평원의 서부의 동인유형 및 아무르강 일대의 나이펠드 등 만주 북부 전역의 문화는 말갈문화계통으로 재편되었다. 이후 이 지역의 판도는 말갈계문화로 재편되게 되었고 삼강평원 지역의 봉림문화는 사라지고 이후 여진세력이 진출하기 전까지 이 지역은 공동화가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에서는 고고학 자료를 근간으로 하여 사서, 고환경 자료, 민족지자료 등에 대한 다각적인 분석을 한 결과, 삼강평원의 고대문화 전개는 고대 옥저계문화의 확산 및 물길, 두막루, 말갈 등 사서에 기록된 집단의 형성과정을 규명하는 자료가 된다는 점에서 북방민족사에서 매우 중요하며 독특한 위치라는 점을 밝혔다. In this article, author tried to figure out the reason who formated the early iron age fortresses and towns in Sanjiang plain, located on the northern tip of Manchuria, which have been regarded as one of poorly investigated area fo rarchaeology. From 2000’s some group of archaeologists from Heilongjiang province intensively conducted surface survey and excavation on the basin of Qisinghe river, in the center of Sanjiang plain. After several year’s investigation, chinese scholars found chronologically related two archaeological cultures-Guntuling(2nd century BCE ~ 2<SUP>nd</SUP> century ACE) and Fenglin culture(2nd century ACE ~ 5<SUP>th</SUP> century ACE) concluded that these fortresses and fortified settlements was made by Yilou-Wuji peoples, based on the analysis of historical records such as Weizhi, Hanshu and etc. But, if considered that typological features of pottery, dwelling heating system, and fortresses, assemblage, it is obvious that these two cultures could belong to Wuji(Okcho) cultural area. Furthermore, Fenglin culture of 5<SUP>th</SUP> century ACE are thoroughly different from Mohe culture, which widely spread over from 7<SUP>t</SUP>h century ACE all over Manchuria. So, if we regard Fenglin culture as a part of Wuji people. who are regarded as the ancestor people of Mohe, then archaeological investigation on Sanjiang plain should be faced with severe discrepancy with historical record. So. author reexamined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ancient culture in Sanjiang plain and concluded that the formation of Kuntuling culture was related to expansion of Okcho culture into Sanjiang plain, and they maintained to flourish until the end of 5<SUP>th</SUP> ACE. It is interesting to point out that with appearance of Wuji people in chinese chronicle (weizhi) in 475 y., climate chance and decline of Fenglin culture in Sanjiang plain occurred simultaneously. So. we can assume that around 6<SUP>th</SUP> ACE, arising of Mohe culture accompanied with the end of Sanjiang ancient culture.

      • KCI등재

        三國故事의 史的 기록과 희곡적 변용

        金玉蘭 한국중국소설학회 2010 中國小說論叢 Vol.31 No.-

        《三国志演义》是一部在东亚拥有广泛的读者群的古典名作.这部小说超越时空,深受广大读者的喜爱.《三国志演义》不同于其它文学作品,它既和历史记录有关,又和民间文化有着密切的联系. 从对历史的记载来看,陈寿的《三国志》文笔洗炼流畅,文脉清晰展现,比较真实地反映了历史事件,作品也得到了高度的评价,但在《三国志》中,对历史事件的时间顺序,以及因果关系的叙述还不够明确.裴松之的《三国志.注》则大大弥补了上述不足.可以看出,裴松之大量添加了“异事”等内容,为文学作品提供了丰富的素材,对人物形象的刻画起了重大作用.但是,裴松之依然采用了纪传体叙述,所以,尽管突出了人物形象,而历史事件的时间和顺序依然模煳.司马光在《资治通鑑.三国志》中采用编年体,弥补了上述不足,构筑了完美的叙述体系.他对人物的叙述,采用了插叙法、对比法,以及围绕中心事件展开叙述的主线法等,都比较充分地记载了历史,作品也更接近文学叙述. 三国故事在民间更是广为流传,甚为活跃,期间经历了多种体裁的变化,而内容也逐渐丰富.宋代说书文化发达,出现了专门讲三国故事“说三分”的说书人.元代有杂剧“三国戏”和集话本之大成的《三国志平话》.元杂剧中的“三国戏”和《三国志平话》的大部分故事有相似之处,但是,杂剧“三国戏”的描绘更细腻丰富,故事也更加趣味盎然,生动流畅.究其塬因,《三国志平话》基本上保留了民间故事的面貌,而杂剧“三国戏”则经历了文人的修改和润色.上述两种文学体裁均对《三国志演义》的形成起了重大影响.

      • KCI등재

        장뇌삼과 재배삼의 ginsenoside 함량과 항산화활성 추정

        정은미,황인국,조성구,조숙자,이상화,이준수,정헌상,이민경,정봉환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0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4 No.3

        국산 재배삼 4년근의 뿌리, 장뇌삼 4년근과 8년근의 잎과 뿌리에 대한 물 및 80%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구성사포닌 및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였다. 재배삼 80%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조사포닌 함량은 3.85% (d.b) 이었으며, 4년근 장뇌삼 뿌리와 잎의 조사포닌 함량은 각각 6.75 및 8.57% (d.b)이었으며, 8년근 장뇌삼은 각각 6.53 및 7.54% (d.b)이었다. 재배삼의 구성사포닌은 ginsenoside-Rh1의 함량이 6.07 mg/g으로 가장 높았고, 4년근 장뇌삼뿌리는 -Rb1이 11.63 mg/g, 잎은 -Re가 24.35 mg/g으로 가장 높았고 8년근 장뇌삼 뿌리는 -Rh1이 19.77 mg/g, 잎은 -Re가 20.43 mg/g으로 가장 높았다. 항산화활성 (IC50값)은 삼의 종류 및 연근별로 1.84~21.88 mg/mL의 범위이었고 8년근 장뇌삼 잎 8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다. 총 항산화력은 5.56~20.67 mg AA eq/g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8년근 장뇌삼 잎 증류수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ginsenoside compositions of 4-year-old cultured ginseng roots (4CGR), 4-year-old mountain ginseng roots (4MGR) and leaves (4MGL), and 8-year-old mountain ginseng roots (MGR) and leaves (8MGL). Ginseng root and leaves were extracted with water and 80% ethanol. Crude saponin content of 4CGR was 3.85% (d.b.) and the contents of 4MGR, 4MGL, 8MGR and 8MGL were 6.75, 8.57, 6.53 and 7.54% (d.b.), respectively. 4CGR showed the highest content of ginsenoside-Rh1 (6.07 mg/g), 4MGR showed the highest content of ginsenoside-Rb1 (11.63 mg/g), 4MGL showed the highest content of ginsenoside-Re (24.35 mg/g), 8MGR showed the highest content of ginsenoside-Rh1 (19.77 mg/g), and 8MGL showed the highest content of ginsenoside-Re (20.43 mg/g). Total antioxidant activity (AEAC) was ranged from 5.56 at 4MGR to 20.67 mg AA eq/g at 8MGL.

      • KCI등재

        法華玄義의 三種敎觀論 - 摩訶止觀과 관련하여 -

        지창규 한국선학회 2007 한국선학 Vol.16 No.-

        점차교상․부정교상․원돈교상이란 각각 다른 교상이 아니라 『法華經』속에 담겨져 있는 세 가지 교상이란 점이다. 다시 말하면 『法華經』속에는 점차교상․부정교상․원돈교상이 담겨져 있는 것이다. 즉 원돈교상만이 『法華經』의 교상이 아니라 나머지 두 개의 敎相도 모두 『法華經』에 담겨진 敎相이란 점이다. 그렇다고 한다면 어떤 대승경전이라도 모두 三種敎相을 갖고 있는 것이 된다. 이런 맥락에서 三種止觀도 『法華經』에 다 있는 지관법이 된다. 뿐만 아니라 모든 대승경전에 다 담겨져 있는 止觀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점에서 점차지관․부정지관․원돈지관이란 원래 고정적인 것이 아니라 점차지관․부정지관․원돈지관의 형식에 따라 변화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次第禪門』에 있는 많은 수행법이 단지 漸次止觀이 아니라 닦기에 따라 부정지관도 되고 원돈지관도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로 『摩訶止觀』에 있는 모든 수행법도 그대로 원돈지관이 아니라 닦기에 따라 점차지관도 되고 부정지관도 된다는 것이다. 또한 六妙法門 에 있는 數隨止觀還淨도 그대로 不定止觀이 아니라 닦기에 따라 점차지관도 되고 원돈지관 도 된다는 것이다. 특히 三種敎相과 三種止觀의 체계적 확립은 三大部 가운에서도 『法華玄義』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法華玄義』는 단순한 교문 저작이 아니라 그 귀결은 철저하게 觀心으로 끝난다고 할 때, 관심저작이라고 할 수 있다. 단지 이 책이 『法華經』의 현의를 드러낸 저작이기에 교리에 치중하는 듯하지만 敎觀을 하나로 하는 속성이 그대로 배어있는 최초의 저작이라고 하겠다. 특히 觀心이야말로 『法華玄義』의 마지막 귀결인데, 觀心이라 하는 것이 경전을 토대로 한다는 점에서 智顗의 禪觀을 파악이 된다. 이런 점에서 『法華玄義』야말로 智顗의 觀心 특색이 담겨져 있는 좋은 관문 저작이라고 하겠다. Gradual, Variable, and the Complete Method of Conversion are not considered as separate Method of Conversion in 『Lotus Sūtra(妙法蓮華經)』, even though they have different names. Therefore 『Lotus Sūtra』 has the ideas of all three Method of Conversion. From this point of view, it means that all the Mahāyanā Sūtra contains the ideas of the Gradual, Variable, and the Complete Method of Conversion. Which means that Three Forms of Meditation (三種止觀) are also can be found in all the Mahāyanā Sūtra, not only in 『Lotus Sūtra』. With the understandings of the ideas above, Gradual, Variable, and the Complete Method of Conversion does not stay with the settled position, but they changes with the different formations. The text 『차제선문』named after its characteristic, but this doesn't mean this text contains only Gradual Method of Practice. 『마하지관』, and 『차제선문』teaches Complete and Variable Methods to practice meditation, however their methods of practice meditation can be changed with the different systems, forms, and way of practice, therefore Gradual, Variable, and the Complete Method of Practice has not only stay with its characteristics after their names. Philosophical systems of Gradual, Variable, and the Complete Method of Conversion and Three Forms of Meditation established through the text 『The Profound Meaning of the Lotus Sūtra(妙法蓮華經玄義)』. 『The Profound Meaning of the Lotus Sūtra(妙法蓮華經玄義)』isn't the text only for the doctrine(敎門), the consequence of this text is the 'Contemplative insight into mind(觀心). 『The Profound Meaning of the Lotus Sūtra(妙法蓮華經玄義)』 may appears as the Profound meanings of the 『Lotus Sūtra』which many people misunderstand this text as the doctrines of the 『Lotus Sūtra』. But Chih-i(智顗) tried to put doctrine and meditation together throughout the text (『The Profound Meaning of the Lotus Sūtra(妙法蓮華經玄義)』). Contemplative insight into mind(觀心) i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The Profound Meaning of the Lotus Sūtra(妙法蓮華經玄義)』, Chih-i tried to clear the ideas of the Contemplative insight into mind(觀心) based on the Sūtra. For this reason 『The Profound Meaning of the Lotus Sūtra(妙法蓮華經玄義)』is the great work of Chih-i also throughout this text we could understand Chih-i's standpoint of meditation.

      • KCI등재

        장뇌삼과 재배삼의 ginsenoside 함량과 항산화활성 추정

        정은미,황인국,이민경,조성구,정봉환,조숙자,이상화,이준수,정헌상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0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4 No.3

        국산 재배삼 4년근의 뿌리, 장뇌삼 4년근과 8년근의 잎과 뿌리에 대한 물 및 80%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구성사포닌 및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였다. 재배삼 80%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조사포닌 함량은 3.85% (d.b) 이었으며, 4년근 장뇌삼 뿌리와 잎의 조사포닌 함량은 각각 6.75 및 8.57% (d.b)이었으며, 8년근 장뇌삼은 각각 6.53 및 7.54% (d.b)이었다. 재배삼의 구성사포닌은 ginsenoside-Rh1의 함량이 6.07 mg/g으로 가장 높았고, 4년근 장뇌삼뿌리는 -Rb1이 11.63 mg/g, 잎은 -Re가 24.35 mg/g으로 가장 높았고 8년근 장뇌삼 뿌리는 -Rh1이 19.77 mg/g, 잎은 -Re가 20.43 mg/g으로 가장 높았다. 항 산화활성 (IC50값)은 삼의 종류 및 연근별로 1.84~21.88 mg/mL의 범위이었고 8년근 장뇌삼 잎 80% 에 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다. 총 항산화력은 5.56~20.67 mg AA eq/g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8년근 장뇌삼 잎 증류수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ginsenoside compositions of 4-year-old cultured ginseng roots (4CGR), 4-year-old mountain ginseng roots (4MGR) and leaves (4MGL), and 8-year-old mountain ginseng roots (MGR) and leaves (8MGL). Ginseng root and leaves were extracted with water and 80% ethanol. Crude saponin content of 4CGR was 3.85% (d.b.) and the contents of 4MGR, 4MGL, 8MGR and 8MGL were 6.75, 8.57, 6.53 and 7.54% (d.b.), respectively. 4CGR showed the highest content of ginsenoside-Rh1 (6.07 mg/g), 4MGR showed the highest content of ginsenoside-Rb1 (11.63 mg/g), 4MGL showed the highest content of ginsenoside-Re (24.35 mg/g), 8MGR showed the highest content of ginsenoside-Rh1 (19.77 mg/g), and 8MGL showed the highest content of ginsenoside-Re (20.43 mg/g). Total antioxidant activity (AEAC) was ranged from 5.56 at 4MGR to 20.67 mg AA eq/g at 8MGL.

      • KCI등재후보

        ‘時調三章’의 새로운 이해

        權純會(Kwon Soon-Hoi) 한국시조학회 2004 시조학논총 Vol.20 No.-

        본고에서는 기존에 우리가 이해하던 ‘時調三章’에 대해 전연적인 재검토를 수행하고, 그 의미를 새롭게 해석하였다. 그리고 시조창의 편가적 특성을 지칭하는 개념어로 ‘時調三章’을 제안하였다. 우리는 그 동안 ‘時調三章’의 문헌 기록에 대해 아무런 의심 없이 당연히 時調 한 수의 초ㆍ중ㆍ종장으로 이해하였다. 여기에는 시조창은 삼장 형식으로 부른다는 고정 관념이 자리하고 있다. 하지만 문헌에서 발견되는 용례를 재검토한 결과 ‘시조삼장’은 각기 다른 악곡의 시조 세수를 연달아 부르는 것으로, 언제나 가곡 한바탕, 가사와 같이 언급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는 ’시조삼장’이 歌曲의 篇歌에 대응되는 시조창 나름의 악곡 체계를 지칭하는 것이라는 사실도 파악할 수 있었다. ‘시조삼장’은 19세기 시조창의 악곡 분화 과정에서 형성된 것으로 연창 환경에 따라 이 가운데 일부를 생략하기도 하고, 파생곡으로 대체하기도 하지만, ‘평시조’, ‘지름시조’ ‘사설시조’ 세 수를 연이어 부르는 것을 ‘시조삼장’이라 하며, 이는 19세기 이래 시조의 중요한 연창 관행으로 자리 잡은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시조창의 악곡 분화의 핵심적 방향은 ’평시조’, ‘지름시조’, ‘사설시조’ 삼장을 연이어 부르는 편가적 특성을 갖추는 것이었다. ‘시조삼장’은 이러한 편가적 특성을 요약적으로 설명해주는 핵심적 개념어이자, 시조창의 전개 양상을 파악하는 키워드 가운데 하나라 할 수 있다. In this paper. I reexamined the word "Sjlo-samjang(時調三章)" and gave a new meaning of it. In addition. I proposed the new concept of "Sio-ssmeng" which meant the characteristic of a Pyon'ga (篇歌) in Sio-chang (時調唱). For a long time. "Sijo-samjang" was regarded as a word which indicated the three sections of a Silo. It was because of the fixed idea that a Silo was always composed of a form separated by three parts. Unlike the fixed idea. I found the fact that "Sijo-samjang" meant singing successively three different Silos which adapted three different music by reexamining the actual uses of the word in the texts of the days. Thus. I could come to a conclusion that "Sijo-samjang" was the word indicating a specific music system of a Silo-chang(singing a Sijo) corresponding to a Pyon'ga of a Gagok(歌曲). "Silo-samjang" seemed to be molded up while the music of Silo-chang developed. Usually. a successive singing of the three different Sijos, such as Pyong-sijo(평시조), Chirum-sijo(지름시조), and Sasol-sijo(사설시조), was called "Sijo-samjang". However, some of the three could be omitted, and some of it could be substituted by a derived song. This kind of a usual and a derived form seemed to be settled as an important custom of singing a Sijo after the 19 century. The main point of the development of music in Sijo-chang was having the characteristic of compilation, which meant singing Pyong-sijo, Chirum-sijo and Sasol-sijo successively. "Sijo-samjang" was the concept which explained this kind of characteristic and was one of the key words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 of Sijo-chang.

      • KCI등재

        삼태극三太極/삼원태극三元太極 문양의 기원과 삼파문三巴紋의 유형 분류

        우실하(Woo,Sil-Ha) 동양사회사상학회 2010 사회사상과 문화 Vol.21 No.-

        In general, 'Taeguk(太極)‘ means 'Yin-Yang Taeguk(陰陽太極)’ that spreads out 1(Taeguk: 太極) - 2(Yin-yang: 陰陽) - 4(Sa-sang: 四象) - 8(Pal-goe: 八卦). As you seen above, 'Yin-yang Taeguk' branches into two(Yin-yang: 陰陽) that mean the cosmic dual forces. But 'Sam Taeguk(三太極)‘ or 'Sam-won Taeguk(三元太極)’ branches into three(Tien 天, Di 地 and Ren 人). These 'three' are called 'Sam-jae'(三才) that means the cosmic triple forces. In this paper, I suggests that the first concept of 'Taeguk(太極)‘ is 'Sam Taeguk / Sam-won Taeguk'. And this kind of situation continues until Dang(唐: 618-907) dynasty. The concept of 'Sam Taeguk' is based on '3.1 philosophy'. Moreover I suggests that 3.1 philosophy has its origin in north-eastern shamanism. In north-eastern Shamanism '3, 9, 81' is regarded as a sacred number. And north-eastern Shamanism has an unique mathematical logic that spreads out 1-3-9-81.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e north-eastern Shamanism as a philosophical background of '3.1 philosophy' and the concept of 'Sam Taeguk' / 'Sam-won Taeguk'. In this paper, I suggests that the shape of 'Sam Taeguk(三太極)’ or 'Sam-won Taeguk(三元太極)‘ has its origin in 'a flame flared up inside the sun'. Therefore, original design of 'Sam Taeguk' or 'Sam-won Taeguk' represents the shape of sun in which sun-flame is whirling strongly. And in this paper, I classify various 'Sam Pamun(三巴紋: Triskel)' pattern into 9 types. The 9 type patterns are on the one hand very similar on the other hand very different. I wish that various 'Sam Pamun(三巴紋: Triskel)' pattern will be used in Korean modern design. 이글은 우리나라에서 흔히 삼태극이라고 불리는 문양의 기원인 삼파문의 다양한 형태를 최초로 유형화하여 9가지 유형으로 제시하였다. 삼파문의 9가지 유형은,(1)제1유형:원 안에 ‘C’자 형 단선單線3개가 있는 것,(2)제2유형:파문巴紋3개의 삼파문,(3)제3유형:파문巴紋3개의 머리 부분을 동심원으로 한 것,(4)제4유형:원 안에 화려한 화염문 3개가 있는 것, (5)제5유형:제4유형의 머리를 새머리 모양으로 변형한 것, (6)제6유형:제4유형의 또 다른 변형문으로 ‘화염문의 꼬리가 생략되고 씨(C)자형 고리 3개로 표현한 것’,(7)제7유형:우리나라의 삼태극처럼 원을 3등분한 것,(8)제8유형:제7 유형에서 파문의 머리 부분에 3점을 찍은 것,(9)제9유형:제8유형에서 3점을 키우고 꼬리를 단 것 등 9가지이다. 이글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전형적인 삼태극 문양 이전에 보이는 유사한 문양을 ‘삼파문三巴紋’이라고 구별하였다.9가지 유형의 삼파문은 우리나라의 삼태극 문양의 원형이므로, 다양한 현대적 디자인에 활용될 수도 또 활용되기를 필자는 바란다.

      • KCI등재후보

        산양삼의 재배지 환경조건에 따른 진세노사이드 함유량 분석과 제언 : 평창지역을 중심으로

        박상수,이재범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자연치유연구소 2023 자연치유연구 Vol.8 No.1

        산양삼은 산림청 특별관리 임산물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지만 체계적인 연구 나 표준 재배지침이 현장의 재배 현실과는 상이한 부분이 많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평창지역의 산양삼 재배지 환경조건에 따른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어 떠한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산양삼 시료를 각각 10본씩 채취하여 실험을 통해 확 인하였다. 산양삼 입지환경은 경사, 사면 방향, 해발고, 나무 종류, 흉고 직경과 수 고 등 모두 6가지를 조사하여 국립산림과학원의 분류기준을 참고하여 침엽과 활 엽으로 구분하였다. 산양삼 재배지의 토양산도를 포함한 9가지 토양이화학성 분석 에서는 전체적으로 침엽지역보다 활엽지역에서 높은 함량을 보였다. 통계분석 결 과에서는 A, B, C, 재배지에서 침엽과 활엽지역 간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D 재배지는 침엽과 활엽지역의 유의차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세노사이드 함유량 분석 결과에서는 Re, Rb1, Rg1의 순서로 높은 함량을 나타 내고 있어서 평창 산양삼의 주성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로 산양삼은 산 삼이 잘 생육할 수 있는 환경과 비슷한 곳을 재배지로 선정하여야 고품질의 제품 을 생산할 수 있다고 예상할 수 있다. 향후 본 연구 결과가 임업인 소득증대에 도 움을 줄 수 있는 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Wild-simulated ginseng is designated and managed as a specially managed forest product by the Korea Forest Service, but systematic research and standard cultivation guidelines differ from the reality of cultivation in the field. Therefore, in this study, 10 samples of wild ginseng were collected and tested to determine the content of ginsenoside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wild-simulated ginseng cultivation sites in Pyeongchang. The site environment was examined in terms of slope, orientation, elevation, tree type, tree diameter, and tree height using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f the National Academy of Forestry Sciences, and divided into coniferous and broadleaf forests. The soil chemistry analysis showed that the overall content was higher in the broadleaf area than in the coniferous area, and the statistical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coniferous and broadleaf areas in plots A, B, C, and D. In plot D, there was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coniferous and broadleaf areas. The results of the ginsenosides content analysis showed a high content of Re, Rb1, and Rg1, in that order, confirming the main components of wild-simulated ginseng in Pyeongchang. As a result of the study, it can be expected that wild-simulated ginseng should be selected as a cultivation site similar to the environment where wild ginseng can grow well to produce high-quality products. We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a resource to help increase the income of foresters.

      • KCI등재

        삼채의 안전성 및 생리활성평가

        김지윤,김애정,김민주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19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Vol.17 No.4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hysicochemical activities and safety of extracts of Allium hookeri (A. hookeri). Methods: MTT assays of A. hookeri extracts (leaf and root, DW and EtOH) were conducted for evaluation of safety. With regard to physicochemical activity of general composition components, sulfur compounds (leaf and root, raw), anti-inflammatory effects, and antioxidant activity (leaf and root, DW and EtOH) were analyzed, and we tested whether there was any correlation between physicochemical substances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DPPH and ABTS). Results: In the MTT assay, the cell survival rate was >97% at concentrations of 50, 100, and 200 µg/mL of A. hookeri extracts, indicating that they were safe. All general composition components except for carbohydrate in raw leaf of A. hookeri were higher than in raw root, while sulfur level was highest in raw root. NO inhibitory effect of EtOH root extract was the highest.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EtOH leaf extract were the highest. Conclusion: Physicochemical substance activities (total polyphenol, total flavonoid, and sulfur) were correlated wit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DPPH and ABTS) resulting in suppression of NO production that enhances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목적: 본 연구는 삼채의 안전성을 평가 하고 생리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안전성 평가를 위해서 삼채 잎과 뿌리 추출물시료(DW, EtOH)로 MTT assay를 측정하였고, 삼채 잎과 뿌리 시료로는 일반성분과 황 함량 측정하였다. 그리고 항염증효과와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고자 삼채 잎과 뿌리 추출물시료(DW, EtOH)를 사용하여 NO 생성량, 총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프리라디컬 소거능(DPPH, ABTS)을 각각 측정하였다. 또한, 삼채의 활성 물질과 생리활성(항염증과 항산화)간의 상관성을 알아보고자 상관관계를 구하였다. 결과: MTT assay 결과, 50,100, 200 µg/mL 농도에서 97% 이상의 생존율을 보여 삼채 잎과 뿌리 모두안전한 소재임이 규명되었다. 탄수화물 함량을 제외한 모든 일반성분 함량이 삼채 잎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황 함량은 삼채 뿌리에서 가장 많은 함량이 나타났다. NO 생성 억제 효과는 삼채 뿌리 에탄올 추출시료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프리라디컬 소거능(DPPH, ABTS)은 삼채 잎 에탄올 추출시료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 삼채의 활성물질과 생리활성 간의 상관계수로 미루어 보아, 삼채에 함유되어 있는 활성물질이 NO 생성을 억제시키고 항산화 활성을 발현시키는데 중요한 작용을 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三寅刀製造秘法」에 대한 고찰

        조혁상 동방한문학회 2022 東方漢文學 Vol.- No.91

        The 「secret process of making SamInDo(三寅刀製造秘法)」 is the method of making the three tiger saber(三寅刀), which was the holy sword(神劍) of JoSeon(朝鮮) dynasty. This method is in the NongAGoomBangDanSee(聾啞禁方單始) , written by ToJung the elderly(土亭老人). The 「secret process of making SamInDo(三寅刀製造秘法)」 includes the reason of making the three tiger saber,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 instructions for incantation words, and the skill of curse. And 「SamGaHapIlBuSik(三家合一符式)」, an appendix to the 「secret process of making SamInDo(三寅刀製造秘法)」, contains the method of drawing the talisman paper during the process of making the four tiger sword(四寅劍) or the three tiger sword(三寅劍). This paper analyzes the 「secret process of making SamInDo」, and shows three types of talisman paper, corresponding to February 6th, February 18th, and March 2nd of 2022, respectively. These three days represent the best timing to make both the four tiger sword and the three tiger sword. 土亭老人이 지은 方術書 聾啞禁方單始 에 수록된 「三寅刀製造秘法」은 寅年․寅月․寅日․寅時 중 삼인이 겹치는 때 제작하는 神劍인 三寅刀의 제조 비법을 설명한 글이다. 辟邪의 神物인 寅劍의 일종인 삼인도는, 조선시대 왕실과 민간에서 종종 제작되어 왔는데, 「삼인도제조비법」에는 인검의 제작 이유, 제작 방식, 呪文 사용법, 詛呪術 등이 요약되어 있다. 그리고 「삼인도제조비법」 뒤에는 「三家合一符式」이 첨부되어 있는데, 인검 제조과정에서 사용되는 부적을 만들 때 참고가 된다. 본고에서는 「삼인도제조비법」의 내용을 분석하고, 「삼인도제조비법」의 인검 제조법에서 사용하는 삼가부를 「삼가합일부식」의 법식에 따라 2022년 壬寅年 壬寅月 庚寅日, 壬寅月 壬寅日, 壬寅月 甲寅日 세 날짜에 해당하는 형상으로 그려보았다. 黑虎의 해인 2022년 壬寅年의 양력 2월 6일은 음력 壬寅月 庚寅日, 양력 2월 18일은 음력 壬寅月 壬寅日, 양력 3월 2일은 음력 壬寅月 甲寅日에 해당한다. 상기 날짜들은 모두 寅이 겹쳐지는 때이기에, 전부 四寅劍 및 三寅劍을 제작할 수 있는 적기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