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문학에 나타나는 대미(對美)의식 양상 연구

        김홍진(Kim, Hong-jin) 한국비평문학회 2016 批評文學 Vol.- No.59

        개항 이후 한국 근대사 전개에서 미국은 강력한 영향을 미친 나라이다. 그런 만큼 한국문학 작품 속에서도 미국은 문제적으로 등장한다. 한국문학에 투영된 미국의 이미지는 작가나 시인들의 미국에 대한 정치, 경제, 역사, 문화적 인식과 밀접한 관계에서 생성된 것이다. 그것은 대개 미국에 대한 환대와 찬양의 친미의식, 혹은 적대와 부정의 반미의식으로 비교적 분명하게 양분된다. 본고는 한국문학에 나타나는 대미의식을 개항 이후 근·현대사의 전개과정을 따라 개괄적으로 조망하면서, 그 시사적인 의의를 조명했다. 한국문학에 나타나는 대미의식은 친미와 반미의 양극에서 환대와 적대, 호의와 비판, 긍정과 부정 등의 양분된 구도에서 전개되어 왔다. 전체적으로 볼 때 친미적 태도는 개화기의 특정 가사나 일부 신소설 작품을 제외하고는 거의 나타나지 않으며, 해방 이후 친미에서 비판적 태도를 거쳐 반미의식을 표백하는 변모의 양상을 띤다. 이를 담론의 유형으로 살피면, 찬미 혹은 친미의 동일화 담론, 미국의 이데올로기를 수용하는 동시에 비판 풍자하는 비동일화 담론, 미국의 이데올로기에 반항하는 반동일화 담론의 유형과 연관된다. 본고는 구한말에서부터 현재로 거슬러 오르며 한국문학에 나타나는 대미의식을 통시적으로 살핌으로써 한국문학에 나타나는 미국의 이미지와 인식론적 특징, 이와 함께 시대적 변화의 추이에 따른 공시적 특성을 규명했다. 핵심 내용은 이상적 동경의 제휴와 친일반미 의식, 동일시의 환대와 비판의식, 비동일시와 저항적 반미의식, 반동일시와 적대적 폐기의식, 체험의 심화와 다원적 인식 등으로 나누어 살폈다. The United States had a profound impact on the evolution Korea"s modern history. Such as the United States and appeared frequently as a problem a literature in Korea. The projected image of the US in the Korea Literature is created from closely related to political, economic, historical, and cultural awareness of the American writer. It is usually relatively clearly divided in to pro-conscious hospitality and praise for the US, or the consciousness of anti-American hostility and denial. This paper will review and outlook as out lined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of the modern history after the opening of the US consciousness that appears on theKoreaLiterature,wasilluminatingtheir meaning. Korea Literature in recognition of the United States were deployed as anti-American and pro-American. That was expanded and developed in the hostilities, favors and criticism, the attitude of positive and negative. Pro-perception is hardly appear, except for novels and poetry, some of the bloom. Through a critical attitude in the pro-liberations in it seems that the pattern transformed in to anti-American consciousness. This discourse is related to the non-identification, the type of discourse in the United States to resist recoil anecdotal identification of dis course, critical attitude. This paper will watch the ceremony represented the United States in Korea diachronic literature. So as to illuminate the image of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epistemological features that appear in the literature. Together we want to identify the character is closed in accordance with the trend of the times change. First, the core content is pro-Japanese anti-American consciousness, the second is equated with consciousness the third is equated wit non-critical consciousness, the third time and reaction anti-American consciousness, fourth explored by dividing the deepening of awareness.

      • KCI등재

        반미여론과 한미동맹 2002년 12월과 2003년 6월의 여론조사 자료의 분석을 중심으로

        이내영,정한울 세종연구소 2003 국가전략 Vol.9 No.3

        Anti-American sentiments among Korean public reached the highest point in December 2002 when massive political rallies were staged to blame USFK for the death of two teenage girls and to demand a revision of “unequal” provisions of SOFA. There have been increasing concerns that escalated anti-American public opinion may undermine the legitimacy of Korea-U.S. alliance, which has been a main security framework to deter threats from North Korea during the last half century,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scope and nature of anti-american public opinion by analyzing the survey data collected in December 2002 and June 2003. The major findings of survey data analysis are twofold. First, while escalated anti-american sentiments indicated Korean public's strong demand for the improvement of unequal aspect of Korea-U.S. relations, the majority of Korean public maintained positive appraisal of Korea-U.S. alliance as a deterrence to the North Korean threats. Second, the polarization of public opinion in the realm of security issues, especially by age groups, can be a serious threat to Korea-U.S. alliance. Given the serious security crisis pending in Korean peninsula,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need to make cooperative efforts to alleviate anti-American sentiments among Korean public. Prolonged anti-American public opinion is harmful to security partnership of two allies. 2002년 겨울 대규모 촛불시위를 통해 반미여론이 고조되면서 한미동맹이 위기에 봉착했다는 우려가 제기되었다. 이 논문의 목적은 반미여론이 한미동맹을 위협하는 내용과 성격을 가진 것인가를 2002년 12월과 2003년 6월에 수집한 두 차례의 여론조사자료를 통해 검증하는 것이다. 자료의 분석결과 지난 12월에 나타난 반미여론의 성격은 한미동맹의 정당성에 대한 반대보다는 한미동맹의 운영과 관련 제도의 개선을 요구하는 측면이 두드러졌다. 또한 2003년 6월 여론조사에서는 반미여론이 빠르게 약화되고 한미동맹을 지지하는 여론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반미여론이 한미동맹을 위협할 정도의 수준과 내용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는 없다. 그러나 작년 촛불시위와 대선정국에서 나타난 세대별, 이념별 안보의식의 양극화는 한미동맹의 미래에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그 원인과 해소방안 등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 KCI등재

        1950년대 북한 아동희곡의 주제의식 연구 -『아동문학』을 중심으로-

        홍창수 ( Hong Changsoo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16 동화와 번역 Vol.32 No.-

        1950년대 아동희곡에서 가장 두드러진 주제 의식은 나태에 대한 훈계와 근면주의다. 해당 작품들 중 <산속의 동무들>은 나태가 사악한 자본가에게 종속되어 노동력을 착취당하고 노예 신세가 될 수 있다는 자본주의 체제를 간접적으로 비판하고 있다. `관념 우화극` <열두 달의 집>은 `묵은해(年)`, `새해`, `1월`ㆍ`2월` 등을 의인화하여 시간과 시간 규율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아이러니하게도 아동에게 죄의식을 불러일으킨다. 나태와 근면주의에 이어 많이 다뤄지고 있는 주제는 경쟁과 협력의 관계다. 북한은 전후의 폐허를 빨리 복구하고 재건하기 위해 운동을 벌이면서 `경쟁` 개념을 이용한다. 해당 작품들 중 집단의 경쟁을 다룬 <우리는 소년 단원>, <나란이 선 해바라기>는 개인의 도덕성과 집단의 윤리, 집단들 간의 화합과 협력 문제를 안고 있는데, 목표 달성을 위해 부당한 수단과 방법을 저지르는 아동의 잘못을 비판하면서 경쟁과 협력의 조화로운 관계를 제시한다. <토끼>, <온실>, <잃어진 선반기>는 아동이 자신의 책임을 다하지 못하여 집단 또는 전체에 끼치는 피해와 고통을 다루는데, 장난과 놀이를 즐기거나 개인의 감정을 앞세우는 개인주의가 비판당하거나, 아동의 노동이 개인 차원을 넘어 국가 차원에서 중요한 집단 노동임을 강조하기도 한다. 북한 아동 교육의 측면에서 남한 비판과 북한 찬양은 동전의 양면인데, 전래하는 <수궁가> 계열의 서사가 변형된 동물우화극 <토끼이야기>는 `금강산`과 `남해바다`라는 구체적인 지명으로 말미암아 각각 북한과 남한을 선악의 이분법으로 대비시키고 있다. <경남이의 죽음>은 주인공 소년 경남과 그의 가족이 겪는 시련을 통해 고통 받는 남한 민중의 시련과 갈등을 다루며, 남한 체제와 친미 사대주의를 신랄하게 비판하고 있다. <영웅 아저씨 맞이하는 날>, <산신령>은 6.25전쟁에 참여한 인민군을 영웅으로 형상화한다. <털모자>는 일본 헌병에 쫓기는 소년 을설이 김일성을 만나러 장도를 떠난다는 드라마로서 김일성을 일제강점기 일본 제국주의에 대항하는 항일빨치산의 영웅으로 우상화한다. One of the most remarkable thematic consciousness in Children Plays of North Korea in 1950s is diligence and admonition of indolence. There are Friends in the Mountain and Friends in the Forest in `animal fable drama`, The Chairman of Section in a Class which dramatize the life of a school class, Twelve Months` House and Children who Greet the New Year in `concept fable drama`. Among them, Friends in the Mountain alludes that indolence can make children slaves who are dominated and exploited by capitalists, and criticizes capitalism society indirectly. In Twelve Months` House, the old year, January, February, and so on all are personified, 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ime itself and rules of time. So ironically this play`s world brings children under control more than liberate them from reality, makes them feel sense of guilt by forcing `rules` continuously. Next to diligence and admonition of indol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etition and cooperation is so important in Children Plays of North Korea in 1950s. North Korea launched `Cheolima` movement and used this concept `competition` in order to restore ruins after Korean War. So did schools for children. Birds into Green Island and Birdnest deal with competition between individuals. We Boy Scouts and Sunflowers Standing Abreast deal with competition between groups. The latter includes individual`s morality, group`s ethics, and harmony and cooperation between groups. By the way, it admonishes children`s bad deed which commit a crime to achieve their goal, and suggests the harmony and cooperation between two groups. Rabbits, A Greenhouse, and A Lost Lathe deal with the problems about individual and group, or individual and the whole. And in those plays some children neglect their responsibility, and then give bad influence on group or the whole. Individual acts such as plays and games children enjoy are criticized by other friends, teacher or father. Children`s labour is beyond individual dimension, emphasized that it is very important, collective labour compare to so called `1211 highland battle`. On the level of North Korean Children education, criticism of South Korea and praise of North Korea is the two sides of the same coin. Rabbits` story is transformed as an narrative of Soogoong-ga type, that is, the old story that come down from long time ago in Korea. Though the work is an animal fable drama, `Geumgang Mountain` and `South Sea (in Korea)` written specifically as stages means North Korea and South Korea respectively. This play symbolizes North Korea as a good world that the good but weak animals live in peacefully and cooperate each other, on the contrary, South Korea as a worse world that a corrupt and putrid ruling class dominate. Death of Gyungnam is a realism play that a poor Gyungnam`s family undergoes an ordeal of being oppressed by an policeman and an U.S. officer. It is microcosm of South Korea`s poor people. Above all, this work distort South Korea`s society and criticize South Korea`s corruption, the societal crisis of South Korea, pro-American policies and toadyism. A Day Greeting an Hero-Uncle and A Mountain God describe the North Korean People`s Army as hero. But heroism is not a theme of these works. An Woolen Hat is only a play of Kim Ilseong`s idolization in Children Plays of North Korea in 1950s. This idolize that Kim Ilseong is a hero of anti-Japan partisans that struggle against Japanese Army in Japanese colonial era.

      • KCI등재

        한국과 일본에서의 한일회담 반대운동의 전개과정과 역사적 의의

        유지아(柳芝娥) 한일관계사학회 2016 한일관계사연구 Vol.53 No.-

        1951년부터 시작된 한일국교정상화교섭은 수차례에 걸쳐 진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1960년대 초반까지 어떠한 합의도 이루어내지 못했다. 그 이유는 이승만 정부는 국교정상화의 전제조건으로 일본의 사과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었던 반면, 일본정부는 한일국교정상화를 양국 간의 미래관계에 대한 일반적인 협정으로 간주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1961년 5월에 한국에서 군사쿠데타가 일어나 박정희 정권이 수립되면서 한일국교정상화 회담이 급진전하기 시작하였으며, 그에 따른 반대운동도 일어났다. 군사쿠데타로 성립한 박정희 정권은 미국의 지지를 확보하기 위해 부심했고, 한국 국민들이 정부를 인정하게 만들기 위해 기존의 정부에서 해결하지 못한 난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 두 가지를 모두 해결할 수 있는 이슈가 한일국교의 조속한 타결이라고 판단했던 것이다. 한국에서 한일회담 반대운동은 한국정부의 대일 저자세 바판, 평화선 사수, 일본의 경제침략에 대한 경계, 미국의 한일회담 개입에 대한 비판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그리고 일본에서의 한일회담 반대논리는 아시아의 전쟁을 야기하는 군사동맹 반대, 경제적인 면에서 일본의 자본진출로 인하여 일본 노동자의 생존권 위협, 한국의 통일을 방해하고 베트남전쟁을 지속시키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군사제휴 반대로 요약할 수 있다. 그러나 한일회담 반대운동은 식민지 지배에 대한 인식을 하지 못함으로써 한일 양국의 운동세력이 연대하지 못함으로써 실패한 운동으로 규정되어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일 양국의 반대운동의 의의는 첫째, 자국의 민주주의 실현을 위한 거국적인 운동이었다는 점, 둘째, 양국에서 한일회담반대운동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반미의식이 강해졌다는 점, 셋째 한국에서 ‘자주경제’라고 표현되었던 부분이 일본에서도 또한 노동자의 생존권을 위협하는 경제개념으로 나타나고 있었다는 점, 마지막으로 한일회담반대운동의 내재적 비판을 통해 일본인 자신이 식민지 지배민족이었다는 자각을 하지 못함으로써 조선문제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전쟁시기 가해자로서의 자기부정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서 역사적인 의의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자각은 이후 일본 사회운동에 영향을 미쳤으며, 식민지 문제에 대한 보다 본질적인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하였다.

      • KCI등재

        영화 <하얀 전쟁>과 진보적 남성 민족 주체의 베트남전쟁 기억 만들기

        조서연 한국극예술학회 2019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64

        Hayanjeonjaeng(White Badge, 1992) is the first film to criticize Korean troops dispatching the Vietnam War in earnest. It is a significant work in the field of struggle of memories surrounding the dispatch of Korean troops to Vietnam. The understanding of the Vietnam war and the identity of the Korean troops in Hayanjeonjaeng can be summarized as ‘America's mercenary.’ It was the outcome of anti-Americanism and criticism of Korean military dictatorship which were widely shared in the Korean film industry, from the 1980s to 1990s, after the Gwangju Uprising. And it has completely overcame the official Vietnam War memory called anti-communist war that laid the foundations of modernization of the country. Hayanjeonjaeng embodied the civilian massacre in Vietnam War by the Korean troops and the trauma of the war veterans, superimposed the US military camp towns’ issues and the democratization struggle in the recollection of the Vietnam War, thereby revealed that Vietnam War was an international proxy war made up of a subordinate relationship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and an ethical blot of South Korean history. But in the process of cinematic representing the trauma memories, the Korean troops were placed in the position of the victim who has been sacrificed by the Korean military regime and the United States, and the awkward position of the veterans who were both the perpetrators and the victims was arranged in the self-centered way. In addition, by sexualizing and alienating Korean women in the US military camp town and Vietnamese women in the Vietnam military camp town, Hayanjeonjaeng followed the male-centered violence of the postcolonial nationalism discourse at the time the film was made and justify the Korean men as pure victims. The narration of victimization of the Korean troops and the gender insensitivity were blind spots in the view of the progressive nationalist males that was the basis of the insights of Hayanjeonjaeng. Through the analysis of that, we could see what the cinematic representation of war memories should aim at in the context of 'politics of regret' to look back on the past for the future change. <하얀 전쟁>(1992)은 한국군의 베트남전쟁 파병을 본격적으로 비판한 첫 영화로, 파월을 둘러싼 기억 투쟁의 장에서 큰 의의를 지닌 작품이다. <하얀 전쟁>에 나타난 베트남전쟁 및 한국군 파병에 대한 인식은 ‘미국 용병론’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는 광주항쟁 이후 1980~1990년대에 이르기까지 한국 영화계에서 널리 공유된 반미 의식과 군사독재정권에 대한 비판 의식의 발로로, 조국 근대화의 발판을 이룬 반공 전쟁이라는 기존의 공식적인 베트남전쟁 기억을 전면적으로 넘어선 것이었다. <하얀 전쟁>은 파월 한국군에 의한 베트남 민간인 학살과 참전 군인의 트라우마를 구체적으로 형상화하고, 주한미군 기지촌 문제와 민주화 투쟁을 베트남전쟁에 대한 기억 재현에 겹쳐 놓는다. 이는 베트남전쟁이 미국과 한국 간의 종속적인 관계에서 이루어진 국제적인 대리전이자 한국 현대사의 윤리적 오점이었음을 드러낸다. 그러나 <하얀 전쟁>은 트라우마 기억을 영화적으로 재현하는 과정에서 파월 한국군을 박정희 군사정권과 미국에 희생당한 피해자의 위치에 정초하여, 가해자인 동시에 피해자라는 참전 병사들의 난감한 위상을 자기중심적으로 정리한다. 또한 주한미군 기지촌의 한국인 여성과 베트남 기지촌의 베트남인 여성을 성애화하고 타자화함으로써, 영화가 만들어진 당시의 탈식민적 민족주의 담론이 지녔던 남성중심적 폭력성을 답습하는 한편으로 한국인 남성 자신들을 순전한 피해자로서 정당화한다. 파월 한국군의 피해자화 서사와 젠더 무감각은 <하얀 전쟁>이 지닌 통찰력의 바탕이 되었던 진보적 남성 민족 주체의 세계인식에 도사리고 있던 사각지대였다. 이에 대한 분석을 통해, 미래의 변화를 위해 과거를 돌아보는 ‘후회의 정치’라는 맥락에서 전쟁 기억의 영화적 재현이 지향할 바들을 뒤집어 짐작해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국전쟁기에 중국어로 번역된 이기영의 작품 연구

        주춘홍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9 한국문학과 예술 Vol.32 No.-

        Minchon Lee Ki-young is a representative KAPF ( Korea Artista Proleta Federation ) artist in the years of 20 and 30 of the 20th century.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to introduce Lee Ki-young’s works in the Korean War, which have been translated and published in China but haven't yet been introduced to South Korea. Through this article, we will plan to settle the foundation for further deepening Lee Ki-young’s literary research. In North Korea’s urgent social situation during the Koran War, literary writers seemed to consciously describe popular heroes based on the literary policy of the time. In response to this literary policy, the Korean War novels of the 1950s were filled with patriotism through the stories of Korean soldiers struggling with blood on the front and the stories of the Korean people who voluntarily helped the Korean People’s Army against the enemy from the rear to praised the popular heroes. All of the translated into Chinese Lee Ki-young’s works showed the heroism of the Korean soldiers fighting devotedly in the battle. On the contrary, Lee Ki-young portrays the strong antagonism of American troops in these works and his strong belief that he will fight up to the end to drive out American troops. This suggests that the Korean people have hostility toward the US military, which is the basis of the Korean War. The crimes committed by the US military in North Korea were sinking deep into the heart of the people. The artists were no longer able to see all the terrible atrocities committed by the US military during the Korean War, and they seemed to be describing themselves in the worst form, empathizing with individuals when they embodied them. And Kim II-sung’s “Teaching”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reasons. 이 글에서는 중국에서 번역 출판되었지만 아직까지 한국에 소개된 바 없는 한국전쟁기 이기영의 작품들을 소개한다. 이를 통해 이기영의 해방 이후 문학에 대한 연구를 좀 더 심화할 수 있는 기본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한국전쟁기에 북한의 문인 작가들은 당시의 문예정책에 호응하여 의식적으로 대중영웅인물을 묘사하였다. 이들은 전선에서 피를 흘리면서 투쟁하는 북한 군인들의 전투 이야기와 후방에서 적군들에게 끝까지 대항하고 인민군을 자발적으로 도와주는 북한 주민들의 이야기 들을 통해 애국심으로 가득 찬 대중영웅들을 형상화하였다. 중국어로 번역된 이기영의 작품들 역시 인민군과 후방의 노동자, 여성 들을 전투에서 헌신적으로 싸우는 영웅적인 모습으로 묘사하였다. 한편 이기영은 이 작품들에서 북한인민군이 발휘한 당과 수령, 조국과 인민들에 대한 불같은 충성심과 헌신성, 용감성, 영웅주의, 그리고 숭고한 애국심을 진실하게 반영하고 미군에 대한 강한 적개심을 갖고 있으며 미군을 물리치기 위해 끝까지 투쟁하겠다는 굳센 신념을 가지고 있는 것을 그려내고 있다. 이는 당시 북한이 추구했던 사회주의적 사실주의문학의 특점이라고 할 수 있으며, 또한 작가 이기영의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신념과 조국통일에 대한 염원도 보여준다. 이는 미군을 한국전쟁의 장본인이라는 인식과 관련된다. 또한 미군에 대한 부정적 형상화는 부정적인 것에 대한 묘사를 통해 북한 사회의 긍정성을 드러내는 북한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문학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The Invention of Anti-American Sentiment -Why North Korea Shifted the Blame for the Sinchon Massacre to the United States-

        예대열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2024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Vol.29 No.1

        From October to December 1950, a large-scale massacre took place in Sinchon, Hwanghae Province. North Korea dubbed this incident “Sinchon Massacre” and claims that 35,383 people were slaughtered by the US military. In times of external and internal crises, North Korea has recalled the memory of the Sinchon Massacre to stir up anti- American sentiment among its people and achieve regime integration. However, the atrocious crimes of murder, arson, rape, and torture that North Korea attributes to the US military had actually been committed by members of the right-wing peace preservation corps in retaliation for the North Korean regime’s preventive custody measure. Nevertheless, North Korea shifted the blame for the Sinchon Massacre to the US military because there was a need to embrace the members of the base class who had betrayed the regime during the UN occupation of North Korea. To this end, North Korea included the air raids that indiscriminately killed civilians in the scope of “massacre” and named Harrison as the individual ultimately responsible for driving the North Korean people out to the site where they were eventually massacred. Moreover, former members of the peace preservation corps were classified into “active instigators” and “passive participants”-the scope of the former group was minimized, and the latter group was reeducated through home confinement and other forms of social punishment. Yet, the “counterrevolutionary” ideology prevalent in post-war North Korea proved to be an obstacle in achieving regime integration. In particular, it led to animosities and jealousies among members of production facilities, such as cooperative farms and factories, negatively impacting economic reconstruction and productivity growth. In an effort to resolve this issue, North Korea aimed to achieve societal integration and productivity growth by historicizing the Sinchon Massacre and fostering anti-American sentiment. Accordingly, the site of the massacre was transformed into the museum, and the move also served as a subtle warning to the former “hostile elements.”

      • KCI등재

        시와 회화의 융합방법론 연구 - 이승훈의 『시집 샤갈』, 『나는 사랑한다』를 중심으로

        이재훈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9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64

        The affinity of poetry and painting and the fusion of genres have a long history. This is true even in modern times. The most applied method of fusion of poetry and painting is the poets who used so-called Deconstruction Poems. Among them, Lee Seung-hoon is the poet who actively attracted painting. Lee Seung Hoon experimented with Chagall's paintings through poetry. You can clearly see how poetry and painting penetrate and blend with each other to leave new text. As part of the poetry text, Chagall's painting is intervened. Readers can visually appreciate the communication and combination between the two genres by viewing and reading paintings and poetry together. This interpretation is possible because there is a perception that the image of the painting in the poem text functions as another text. Lee's collection of poems is bound together with psalms based on Chagall's paintings and is the most appropriate text to discuss the topic of poetic acceptance of paintings. There are two reasons for this. The first is that the entire collection of poetry uses the text of a painter. The second is the clear view of how the poet interprets and transforms Chagall's work. Lee chose a methodology to form Chagall's works in language through 'fantasy' that confronts or reconciles with reality. This can be confirmed by analyzing Lee's poems in a fantasy. Lee Seung-hoon is a poet who has worked for a long time based on language. The assault on language is combined with meta-perception to dismantle language. At the stage of language deconstruction, the combination of photographs with poetry texts is essential. Lee Seung-hoon accomplished post-modern poetic practice that emerged as a new methodology of the time through reinterpretation of nuclear power plants or transformation of nuclear power plants. 시와 회화와의 친연성과 장르적 융합 양상은 오래된 연원을 가지고 있다. 시와 회화의 장르적 융합은 서구적 예술양식이 도입되는 근대에 들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시와 회화의 융합으로 가장 많이 응용된 방법은 소위 해체시를 썼던 시인들이다. 그중에서도 이승훈은 가장 적극적으로 회화를 시에 끌어들여 새로운 창작 방법론으로 수용한 예에 해당한다. 이승훈은 샤갈의 그림을 통한 시적 형상화 작업을 시집 한 권을 통해 실험하였다. 이를 통해 시와 회화가 어떠한 방식으로 서로 스며들고 혼융되어 새로운 텍스트로 자리매김하는지의 과정을 선명하게 살펴볼 수 있다. 시집 텍스트의 일부분으로 샤갈의 그림을 개입시키고 있으며 독자들은 회화와 시를 함께 보고 읽으면서 두 장르간의 소통과 결합을 시각적으로 감상할 수 있다. 이런 해석은 시 텍스트 안에서 회화의 이미지는 또다른 텍스트로 기능한다는 인식이 있기에 가능하다. 이승훈의 『시집 샤갈』은 시집 전체가 샤갈의 그림을 주제로 한 시편들로 묶였으며 회화의 시적 수용이라는 주제를 논구할만한 가장 적절한 텍스트이다. 그 이유로 두 가지를 들 수 있다. 첫 번째로 시집 전체가 한 화가의 작품을 텍스트로 하였다는 점이다. 『시집 샤갈』은 샤갈의 그림이 시집 전체에 등장하고 시와 그림을 함께 보여주는 편집방식을 택했다. 이러한 방식은 샤갈의 그림이 어떠한 변용 방식을 거쳐 시로 재해석되고 쓰여졌는지를 사유하는데 더욱 좋은 계기가 된다. 또 하나는 작품을 쓴 시인이 샤갈의 작품을 어떻게 해석하고 변용하여 시 언어로 창작되었는지에 대한 관점이 분명하다는 점이다. 이승훈은 현실과 대결하거나 화해하는 ‘환상’을 통해서 샤갈의 작품을 언어로 형상화하는 방법론을 택했다. 이는 시 「마을위의 연인들」, 「끝없는 시간의 흐름」, 「탄생일」에 나타나는 환상의 요소를 분석한 것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승훈은 언어를 바탕으로 자아찾기에 오랫동안 천착해온 시인이다. 자아찾기에서 자아소멸로 이동하면서 남은 건 언어다. 그 언어에 대한 천착이 언어의 메타적 인식과 맞물리면서 언어를 해체하기에 이른다. 언어해체의 단계에서 시 텍스트에서 사진과의 결합은 필수불가결한 것이 되었다. 이승훈의 시집 『나는 사랑한다』에 실린 사진과 결합된 시들의 분석을 통해 해체의 방법을 해명한다. 이승훈은 원전의 재해석 혹은 원전의 변용을 통해 당대 새로운 방법론으로 대두되었던 포스트모던의 시적 실천을 이루었다고 말할 수 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