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 단기 프로그램의 사례 연구 - NSLI-Y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한예림 한성어문학회 2024 漢城語文學 Vol.51 No.-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단기 프로그램인 NSLI-Y 프로그램의 운영 내용과 결과를 살펴보았으며 그 성과를 확인하고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최근의 한국어교육은 한국을 향한 전 세계적인 관심의 영향으로 그 수가 증가하고 유형이 다양해지고 있다. 그 결과 주를 이뤘던 정규 과정 외에 짧은 기간 내에 한국어를 배우고 한국 문화를 체험하려는 학습자들이 증가하여 단기 과정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그렇기에 단기 과정의 발전 방안에 대한 논의가 매우 필요함에도 정규 과정 연구에 비해 단기 과정에 대한 논의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기관마다 비슷한 양상을 보이는 정규 과정과 달리 단기 과정은 목적, 기간, 학습자 등에 따라 운영 양상이 모두 다르다. 따라서 한국어 단기 과정의 발전에 대한 논의를 하기 위해서는 우선 현재 진행되고 있는 단기 과정들의 운영 내용을 살펴보는 것이 선행될 필요가 있다. 그렇기에 본고에서는 단기 한국어 과정이 갖는 목표 및 특성을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해 알아보고, 그 특성을 기반으로 NSLI-Y 프로그램의 결과와 성과를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를 통해 발전 방안까지 제시하였다. 또한 NSLI-Y 프로그램의 운영 내용을 상세하게 제시함으로써, 앞으로의 단기 과정에 대한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도록 하였다. 결과적으로 본고의 연구를 진행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한국어 단기 과정의 경우 각 과정이 갖는 특성을 반영하여 과정의 내용을 구성하는 것이 중요함을 밝히며, 이러한 절차가 단기 과정의 성공 여부와도 매우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operation details and outcomes of the short-term Korean program, the NSLI-Y program, and proposed its achievements and development directions. Recent global interest in Korea has led to an increased number and divers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s. Consequently,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short- term courses, as learners seek to quickly acquire Korean language skills and experience Korean culture outside of regular courses. Despite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short-term programs, discussions on their development are not as prevalent compared to research on regular courses. Moreover, unlike regular courses, short-term programs exhibit diverse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ir goals, duration, and the learners involved. Therefore, to engage in discussions about the development of short-term Korean programs, it is crucial to first examine the operational details of currently ongoing short-term programs. In this paper, we conducted a preliminary analysis of the goals and characteristics of the NSLI-Y program and confirmed its outcomes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Through these results, we proposed directions for its development. Additionally, by providing detailed information on the operational aspects of the NSLI-Y program, we aimed to contribute foundational data for future research on short-term programs. Ultimately, our study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tailoring the content of short-term programs to reflect their unique characteristics, emphasizing that this process is closely linked to the success of short-term programs.

      • 대학 기관의 한국어 교육과정 현황 및 개발 방안 연구

        이명진(Lee, Myungjin) 동덕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人文科學硏究 Vol.21 No.-

        동덕여대 한국어교육원은 2013년 3월에 개원하여 가을학기 현재 20명의 학생이 한국어를 배우고 있다. 국내 한국어교육에서 전문성을 살린 교육기관으로 발돋움 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교육과정과 실제적 한국 문화 프로그램 구성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고는 먼저 국내 주요 대학 기관의 정규과정과 단기과정 현황을 살핀 후 동덕여대의 교육과정 개발 방안을 제시하였다. 대부분 기관에서 정규과정은 4학기 10주 과정으로 총 200시간의 한국어 수업으로 진행된다. 그리고 오후 특별수업으로 주 1~3회 태권도, 한자, 한국문화, K-POP 댄스 등의 문화 수업과 발음반, 한자반, 문법반 등의 영역별 수업을 진행한다. 동덕여대는 현재 정규과정 오후 특별반으로 TOPIK반이 있으나, 영역별 강화 수업과 다양한 문화수업도 개설해야 한다. 이를 위해 각 수업의 체계적인 교육 방안과 교재 연구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한국어 도우미 프로그램도 활성화해야 한다. 단기과정은 대부분 18세이상 재외동포 및 외국인을 대상으로 1~5주 과정을 진행하고 있으며 주 4~5일 하루 4시간 한국어를 학습한다. 그리고 문화 프로그램으로 이천 도자기 마을, 에버랜드, 서울 시티 투어 등의 여행 및 답사와 한국 요리 배우기, 사물놀이, 민속놀이, 태권도 등 문화 체험을 한다. 단기과정에서는 단기간의 교육에서 성취할 수 있는 목표를 설정하여 한국어에 자신감과 동기를 심어줄 수 있는 교육과정을 설계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단기 과정 성격에 알맞은 교재 개발이 필요하며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한 적절한 문화 프로그램을 구성해야 한다. Dongduk Women's University's Korean Language Institute was founded in March 2013, and currently 20 students are learning Korean during the fall semester. To develop into a specialized Korean language educational institution in Korea, effective curriculum and practical Korean culture-oriented programs need to be established. To explore such aspects, this study has examined regular courses and short-term courses of major university-affiliated institutions in Korea. After that, the curriculum development schemes of Dongduk KLI were presented. In most institutions, regular Korean language courses run 10 weeks over 4 semesters, totaling 200 hours. In addition, the following classes are offered as special afternoon classes: cultural classes 1-3 days a week such as Taekwondo, Chinese characters, Korean cultures, and K-POP dance; language area-specific classes, including pronunciation class, Chinese character class, and grammar class. Although Dongduk KLI has TOPIK class as a special afternoon class of its regular curriculum, language area-specific classes and various cultural classes should be established. It requires developing systematic education schemes and textbooks for each class. Also, 'Korean language helper program' should be stimulated. Most short-term courses run 1-5 weeks targeting overseas Koreans and foreigners who are 18 or above; the courses are taught 4 hours a day 4-5 days a week. As a cultural program, field trips and travel to places such as Icheon Ceramics Village and Everland and Seoul City Tour, along with cultural experiences such as learning to cook Korean dishes, samulnori, (Korean traditional percussion quartet), and taekwondo are offered. Such short-term courses should have a curriculum that inspires confidence and motivation to learn Korean under a realistic goal that can be achieved through short-term education. To accomplish the task, appropriate textbooks for short-term courses and proper cultural programs reflecting the demands of learners should be developed.

      • KCI등재

        볼로냐 프로세스의 단기고등교육(Short-cycle Higher Education) 정책 분석

        신동은(Shin, Dong-Eun),이로미(Lee, Ro-Mee) 한국비교교육학회 2013 比較敎育硏究 Vol.23 No.4

        Bologna Process is a Europe-wide revolutionary discussion for the change of higher education. This sets Short-Cycle Higher Education (SCHE) as a medium step toward bachelor’s degrees and increases the access of people to further education. The quality of education is to be verified by the learning outcomes that each curriculum in SCHE should clearly define at the outset.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ases of SCHE in England and the Netherlands regarding the roles of SCHE. Analysis of these two countries’ cases was conducted in terms of the following three roles: first, to accommodate social equity; second, to relate the learning outcomes effectively with qualifications needed in the labor market; third, to help learners to access to further education and pursue lifelong learning. In the both cases of England and the Netherlands, SCHE was posed as an important step to increase learners’ capabilities in workplaces and to pursue further education including bachelor’s degrees. While SCHE focuses on the balance of theory and practice in learning, bachelor’s degrees focus on research, critical reflection and more advanced knowledge in each field. These cases of SCHE shown in Bologna Process may encourage Korean university colleges to go through a serious self-reflection about their roles as an important phase in Korean higher education. Three suggestions for the policies of university college education were included. 본 연구는 유럽 차원의 고등교육 개혁운동인 볼로냐 프로세스의 논의과정에서 제기된 단기고등교육과정(short-cycle higher education) 관련 정책과 실천 사례들을 고등교육의 사회형평성 달성, 노동시장의 자격과 교육과정의 연계, 그리고 평생학습실현의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봄으로써 한국의 전문대학 정책 방향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제시된 영국과 네덜란드의 사례는 볼로냐 프로세스의 논의에 부응하여 단기고등 교육과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사례로서, 단기고등교육과정을 학사학위 과정의 중간과정으로 설정하여 다양한 계층의 고등교육 진입을 위한 유용한 경로로 자리매김하는 한편, 학위수여에 필요한 교육의 질을 보장하기 위해 학습성과를 제시하여 사회형평성 달성과 계속교육연계라는 측면에서 소기의 성과를 거두고 있다. 우리나라 전문대학 교육 역시 다양한 학습자들의 사회이동성(social mobility)을 높이는 교육이자 계속적인 교육을 위한 의미 있는 단계로 기능할 수 있도록 개혁하기 위하여 보다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전문대학의 고등직업교육기관으로서의 위상제고를 위한 개혁, 즉 학제 개선, 전공심화과정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등에 대해 세 가지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아일랜드 개정 중학교 교육과정(JC)의 특징과 시사점 고찰

        김진숙,지혜영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9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Irish new Junior Cycle Curriculum and draw the issues and implications. Methods For the study, collected documents related to Irish Junior Cycle curriculum development and operation published by the Irish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National Curriculum Evaluation Institute. This study derived implications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al system, curriculum goals, schedule, composition method, principles of curriculum guidelines and curriculum contents. Results The new junior cycle curriculum had set out 8 principles, 8 key skills and twenty-four statements of learning for the junior cycle. It comprises subjects, short courses and priority learning units(PLUs). Schools have the flexibility to decide what combination of subjects and short courses could be. The Junior Certificate examination is being replaced by a new school-based model of assessment. Conclusions Recommendations are as follows: First, continuity, sequence and interrelationship in developing and implementing the curriculum especially among subjects is very crucial. Second, the relevance of key skills in every subject should be examined. Third, new subject area ‘short courses’ has special meaning for future. As in Ireland junior cycle framework, greater choice for schools and their students could be with the third area, ‘short courses’. 목적 본 연구에서는 아일랜드 개정 중학교 교육과정의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교육과정 개정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아일랜드 중학교 및 고등학교 교육과정 총론과 각론 등 이에 준하는 문서들을 분석대상으로 설정하고, 아일랜드교육부 및 국가교육과정평가원 등에서 발간한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관련 자료들을 수집하였다. 연구진 회의를 통해 교육제도, 교육과정 개정 목적 및 목표, 일정, 구성 방식, 교육과정 편성(Curriculum Guidelines)의 원칙 및 교육과정 내용 등을 분석하여 이를비교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결과 아일랜드의 개정 중학교 교육과정은 미래 사회 대비 개정 목적 및 연차적 개정 일정, 24가지의 ‘학습에 대한 진술(statements of learning)’, 8개 개정원리 및 8개의 핵심 역량(key skills)을 제시한 점, 교과, 단기과목(short courses), 우선학습과목(PLUs)의3개 영역으로 기존의 교과 중심 교육과정 구성의 틀 변경, 연계와 통합을 강조한 유연한 교과 교육과정, 중학교 졸업 인증(Junior Certificate)을 국가 수준 시험에서 학교 수준 인증으로 변화시킨 것 등의 특징을 갖고 있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과정의 연계, ‘단기과목’ 확장성과 교육적 유용성, 교육과정에 대한 안내, 교과 교육과정 재구성 확대, 핵심 역량의 활용 등을 국가 수준 교육과정 개정 방향에 대한 시사점으로 제안하였다.

      • KCI등재

        중ㆍ고등학교 소비자교육 활성화 방안 고찰

        구혜경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21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7 No.3

        공정거래위원회는 우리나라 소비자교육 정책을 기획하고 추진하는 주관부처이다. 제5차 소비자정책기본계획에 는 디지털 시대 학교 소비자교육 강화 방안을 중점 과제로 삼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ㆍ고등학교의 소비 자교육 현황과 한계점을 파악하여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학교 소비자교육은 현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운영되고 있으며, 교과교육 이외에 창의적 체험활동과 범교과 학습 주제를 학교 교육의 주요 축으로 삼는다. 교과과정의 경우 소비자교육이 현재 기술ㆍ가정, 가정과학 교과를 중심으로 운영되 고 있어 이를 중심으로 고찰하였으며 창의적 체험활동의 자율 활동, 동아리 활동, 봉사 활동, 진로 활동 각각의 관점에서 소비자교육의 접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범교과 학습 주제 교육에서 소비자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교과내용의 문제, 교사역량의 문제, 학교 교육 현장에 소비자교육 주제 편입의 진입장벽 문제 등 한계점을 파악하였다.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전략은 장기와 단기로 구분된다. 장기적 접근은 교육과정 개정 시, 소비자교육 내용을 보완하는 것으로 소비자교육 내용 체계 및 표준안 마련 등의 기반 연구가 요구된다. 그리고 개정 교육과정에의 반영을 위하여 공정거래위원회는 교육부 및 교육과정 관련 이해관계자들과 긴밀한 협조체계를 구축하고 개정 반 영을 위한 근거 연구들을 축적하고, 사회적 공감대 형성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단기적으로 현재 학교 교육체계 에 소비자교육 접목을 강화하는 것으로 교사들이 쉽게 활용할 수 있는 교육 용도별 콘텐츠와 프로그램을 개발하 고 교안과 교사용 지도서를 교사 커뮤니티 등 교사 접근성이 높은 곳에 제공해야 한다. 더 나아가 새로운 주제의 접목을 위해 학교장, 보직교사 대상 소비자교육의 필요성 및 새로운 소비자 이슈를 포함하는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가정과 정교사 연수 강화 및 일선 교사의 일반 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디지 털 시대 학교소비자 교육의 강화를 위해 교과 이외에 창의적 체험활동, 범교과 주제 학습 분야의 접목을 고찰하 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향후 체계적인 학교 소비자교육 정책이 수립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Fair Trade Commission is a ministry that plans and promotes Korea's consumer education policies. Strengthening school consumer education in the digital age is a central task of the 5th Framework Plan for Consumer Policy. This study identified the current status and limitations of consumer educa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s and sought ways to overcome them. School consumer education is operated on the basis of the “2015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and textbook centered education,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and comprehensive curriculum learning are the central pillars of school education. Consumer education is currently operated mainly on technology and home textbook curriculum. The possibility of incorporating consumer education from each perspective of autonomous activities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club activities, volunteer activities, and career activities was identified. Consideration was given to how consumer education can be achieved in comprehensive curriculum learning education. Through this process, problems with the contents of textbooks, teacher competencies, and barriers to entry into consumer education topics were identified. Strategies to overcome limitations are divided into long and short periods. The long-term approach is to supplement consumer education when revising the curriculum. Therefore, an underlying study should be conducted to prepare the consumer education content system and standards. In order to reflect consumer education in the revised curriculum, the Fair Trade Commission should establish a network for cooperation with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stakeholders. In the short term, in order to apply consumer education to the current school education system, content and programs by educational use should be developed and teacher accessibility should be enhanced. Furthermore, the government should develop training programs related to consumer education for school principals and strengthen training for families and excellent teachers. In addition, consumer issues should be included in teachers' general training programs. It is hoped that a systematic school consumer education policy can be established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효과적인 단기 학습 과정의 설계 : 일본인 초급 단기 한국어 과정을 중심으로

        허남영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07 한국어문화교육 Vol.1 No.1

        본 논문은 일반적인 한국어 교육프로그램과 단기 한국어 연수과정이 그 목표와 교수법에서 달라야 한다는 점을 기초한다. 이를 위해 교수자의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한 학습자의 요구 조사 및 관련 이론들을 참고하였고, 한국어에 관심을 가지고 한국의 문화를 익히려는 학습자들을 위해 효과적인 교재와 학습프로그램을 소개한다. 본문에서는 실제 수업을 기반으로 구성한 교재와 교수법을 제시하고 학습자들이 지속적으로 한국어에 관심을 가질 수 있는 방법을 찾는다. 수업을 통해서 교재와 교수법의 유용성 및 한계가 조금씩 들어났으며, 학습자의 요구와 학습목표를 수용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 져야 함을 분명히 한다. 계속된 연구를 통해서 다양한 학습자 요구와 목표에 따른 특화된 교재와 교수법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This thesis is based on the theory that there should be a difference in the goal and in the teaching method between the general Korean program and the short-team Korean program. This thesis referred to the data of research on the learners' demand and other related theories based on the field experience. This thesis suggests effective teaching materials, study models and teaching methods, which were researched during the real curriculum, for the students who are interested in Korean culture as well as Korean language, so that they can continue their learning afterward. During the curriculum, it was found out that there were the strength and the weakness in the suggested teaching materials and the teaching methods; therefore, further study is needed to cover the weak point of the teaching materials and to meet the learners' demand and their goals. Through this process, it is expected to find out the proper teaching materials and the teaching methods, according to the learners' demands and the goals, that can boost learning.

      • 단기이자율 확률변동성 모형 적합성 비교

        박정민,김태형 대한경영학회 2016 대한경영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Vol.2016 No.1

        금융기관에서의 이자율 파생상품의 가격결정, 채권포트폴리오 리스크관리 등과 금융통화정책수립 등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이자율기간구조모형이 실질적으로 단기이자율 기반 다요인 확률변동성모형(short-term interest rate based factor stochastic volatility model)임에도 불구하고 단기이자율 확률변동성모형에 대한 연구는 그 추정의 어려움으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조건부분산을 분석하는 통계적인 모형인 GARCH모형은 추정이 쉽기 때문에 기존연구에서 다양하게 다루어져 왔으나, GARCH모형을 채권포트폴리의 리스크관리와 이자율파생상품가격 결정 등에 활용하는 방법은 현재까지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단기이자율 확률변동성모형(stochastic volatility model)에 대한 베이지언 분석과 함께 해석적인 가격을 가지는 편의성으로 인하여 이론모형에서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제곱근 과정(CIR 과정)으로 설정된 확률변동성모형과 통계적인 분석의 상대적 용이함으로 인해 실증연구에서 이용되고 있는 로그확률변동성모형의 적합성을 베이지언 접근법으로 비교한다. 본 연구에서비교·분석하고 있는 확률변동성모형 가운데 제곱근과정 확률병동성모형의 적합성이 로그확률변동성모형의 적합성보다 더 좋다고는 할 수 없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KCI등재

        주택 매매가격과 전세가격 간의 장기균형관계와 단기조정과정에 관한 실증연구

        노상윤 한국자료분석학회 201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2 No.5

        There is a long-run equilibrium relationship between housing sale prices and Jeonse prices in Korea, and there is a balloon effect in the short-run adjustment process. When Seoul sale prices (SSP) increase 5 Megalopolis sale prices (5MSP) also increase, when 5 Metro Jeonse prices (5MJP) increase the 5MSP decrease, and when Seoul Jeonse prices (SJP) increase the 5MSP decrease in the long-run equilibrium. The negative responses of the 5MJP and the positive responses of the SJP are derived from the decreasing the SSP shock in the short adjusting process, so there is a balloon effect in the housing market. Namely, because of the stag and down of housing price in Seoul, housing investment demand with price uncertainty, move Seoul to 5 Megalopolis, therefore it derives that the 5MSP increase. It explains that the Jeonse price could be increased because the leakage trading concentrate on the Jeonse market harmonize with the increasing Jeonse demand. 본 연구는 우리나라 주택 매매가격과 전세가격 간에 존재하는 장기적 균형관계와 단기적인 조정과정을 VECM으로 분석하였다. 장기적인 균형 하에 5대광역시 매매가격은 서울 매매가격 상승에 따라 증가했고, 광역시 전세가격이 상승할 때 하락하며, 서울 전세가격이 상승하면 하락하였다. 단기적인 조정과정에선 서울 매매가격 하락충격에 5대광역시 전세가격은 상승반응을 보인 동시에 서울 전세가격은 상승반응을 보여 주택시장에 풍선효과가 발생하였다. 즉, 서울 주택가격의 정체와 하락으로 서울 및 수도권의 가격 상승기대가 불확실한 가운데 주택투자수요는 5대광역시로 이동되고 광역시 매매가격 상승을 유도했다. 동시에 서울의 부진한 거래매물이 전세로 집중되고 늘어난 전세수요와 맞물려 전세가격의 상승이 발생한 것으로 해석된다. 결론적으로 주택시장에서 매매가격과 전세가격 간에 장기적인 균형관계가 존재하며, 단기적인 조정과정 속에서 풍선효과가 발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뇌파를 이용한 학습자의 인지학습활동 분석

        이선아 ( Sunah Lee ),변호승 ( Hoseung Byun ) 한국교육공학회 2021 교육공학연구 Vol.37 No.3

        본 연구는 뇌파검사(EEG)를 활용하여 학습자의 학습활동 중 나타나는 인지과정의 특징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정신병력이나 학습능력에 대한 이상소견이 없는 중학교 3학년 학생 중에서 연구 참여를 희망하는 오른손잡이 학생 54명을 임의 표집하여 실험 검사를 실시하였다. 학생들은 기개발된 검사 문항에서 추출한 학습과제로 시각 및 청각 단기기억 학습, 작업기억 학습, 암기학습, 인출학습 활동을 하는 동안 뇌전도(EEG)를 측정하였고, 검사결과 수집된 자료는 뇌파 분석프로그램 및 SPSS 프로그램에서 기술통계, 대응표본 t 검정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시각 단기기억 학습 중에 나타나는 활성뇌파의 특징은 전두-두정 네트워크이며, 청각 단기기억 학습 중에 나타나는 활성뇌파의 특징은 전두-두정-후두 네트워크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각 및 청각 단기기억, 작업기억, 암기학습 등의 기억 활동 시에는 전두엽에서의 감마파가 활성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작업기억학습 중에는 시각 및 청각 단기기억과 암기학습 때와는 다르게 전두엽에서 감마파와 베타파가 동시에 활성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출학습 중에는 전전두엽과 전두엽에서 감마파와 베타파가 활성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기기억학습과 암기학습활동 중에는 전두엽에서의 감마파가 활성뇌파로 나타나는 반면 인출학습활동 중에는 작업기억과 같이 전두엽에서 감마파와 동시에 베타파가 활성뇌파로 나타나는 등 서로 다른 뇌파 특성의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이 각각의 학습활동 중에 나타나는 활성뇌파의 위치에 따른 특징은 뇌기능 영상법에서 밝혀낸 두뇌 기능에 대한 위치와 많은 부분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학습활동 중 나타나는 학습자의 활성뇌파의 특징은 학습자 인지학습에 대한 특성 파악을 할 수 있는 과학적이고 실증적인 방법을 제공한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이에 본 연구를 바탕으로 한 학술적이고 실용적인 학교현장에서의 적용사례를 제언하였다. This study seeks to explore features of the cognitive process that emerge during learners’ learning activities by utilizing electroencephalogram(EEG). To this end, 54 right-handed students were selected at random and participated in experimental tests. The participants had no history of mental illness or learning disability. Students received EEG tests during short-term visual and auditory memory-learning, working-memory-learning, memorization and retrieval-learning activities adapted from pre-developed tests. The data collected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by the EEG analysis program and SPSS program using paired t-tests. The main results of this work are as follows: First, the features of active brain waves during visual and auditory short-term memory learning are the frontal-parietal networks, and the features of active brain waves during auditory short-term memory learning are the frontal-parietal-lateral networks. Gamma waves in the frontal lobe were shown to be activated during memory activities such as short-term visualand auditory-memory, working-memory, and memorization learning. Second, gamma and beta waves were shown to be activated simultaneously in the frontal lobe, unlike in short-term visual and auditory memory and memorization learning. Third, gamma and beta waves were found to be active in the frontal pole and frontal lobes during retrieval learning. Gamma waves in the frontal lobe appeared to be active during short-term-memory and memorization learning activities, while beta waves appeared to be active in the frontal lobe at the same time as working memory. Therefore, the location of active brain waves during each learning activity was found to be in line with the location of brain functions identified in brain function imag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active brain waves during learning activities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provide scientific and empirical methods to understand learners’ cognitive learning. Additionally, practical proposals were suggested to apply the results in academic and school settings.

      • KCI등재

        유아특수교육 기관의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을 위한 진단 평가의 현황

        조광순,전병운,박혜준,강미라,이준석 한국특수교육학회 2005 특수교육학연구 Vol.39 No.4

        Unlike the screening process to identify children who may need special education services, the assessment procedures for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n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 (IEP) are recommended to use curriculum-based assessment tools or criterion-referenced tests in order to develop IEP goals and to find appropriate intervention strategies and specific instructions. However, the assessment practices are considered difficult and challenging for most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ECSE) teachers. The use of curriculum-based approaches are extremely limited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programs in South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1) how ECSE teachers utilize various assessment tools to develop and monitor the IEP, 2) how curriculum-based assessments are put into practices, 3) how long-term goals and the short-term objectives are developed for IEP and performance assessment are put into practice, and 4) challenges for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IEP. Two methods of data collection were used to collect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For the quantitative data, an on-line self survey was conducted by 49 teachers from various ECSE programs. For the qualitative data, five teachers from five different ECSE programs were selected for an in-depth focus group interview. Findings from the data analysis indicate that a majority of the assessments used by th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re norm-referenced measures. The curriculum-based measures that could be used efficiently to develop IEP goals and evaluation are rarely used. Some teachers reported the use of screening instruments, even though those instruments are not appropriate to assess individual needs and develop IEPs, demonstrating limited knowledge on screening. The teachers also demonstrated the development of IEP goals that do not relate to their curriculum. This problem seems to be related to the limited numbers of curriculum-based measures.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the ECSE teachers emphasize the functional goals and the use various curricula that provide specific activities to achieve curriculum goals. It was found that most teachers use anecdotal recording for child progress monitoring, demonstrating less use of various observation methods. Overall, the ECSE teachers demonstrated limited knowledge and practices in developing and implementing quality IEP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1) specific assessment procedures need to be mandated through special education laws and regulations in order to identify educational needs, plan appropriate intervention strategies with IEPs, and monitor the effectiveness of services provided, 2) there is an urgent need for comprehensive curriculum-based assessment tools that reflect various developmental aspects as well as diverse special needs, and 3) it is important to provide strong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as well as in-service workshops or training courses for teacher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ers who are direct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IEPs for young children who need special education services. 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유아특수교육 기관에서 표집된 49명의 유아특수교육교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의 양적 자료와 각기 다른 유아특수교육 현장에서 근무하는 5명의 교사들로 구성된 핵심집단 심층면담을 통한 질적 자료의 분석을 통해 유아특수교육 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진단․평가 도구의 유형과 특성, 교육과정 중심의 진단․평가의 실제, IEP의 장․단기 목표의 개발과 IEP 평가의 실제, IEP의 개발과 운영 과정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유아특수교육교사들은 IEP 개발과 단기목표 수행 평가 목적에 적합하지 않은 규준지향적 도구들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선별 및 진단․평가 절차와 방법에 대한 제한적 지식을 나타내 보였고, 적절한 도구 사용 및 평가에 있어서의 실제는 질적인 면에서 향상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특수교육교사들은 기능적 목표와 내용이 많이 포함되어 있고, 구체적인 활동이 제시된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장애유아의 특성에 적절한 진단․평가 절차와 방법의 제시, 다양한 발달 영역을 총체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진단․평가 도구 및 중재 유용도와 수렴타당도가 높은 교육과정의 개발, IEP의 개발과 운영과 관련된 교사의 지식과 자질 향상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운영 및 관련 행정적 지원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