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건강 검진자에서 기능성 소화불량증 아형에 따른 빈도 및 연관 인자

        이수연 ( Su Yeon Rhie ),최창환 ( Chang Hwan Choi ),이현웅 ( Hyun Woong Lee ),도미영 ( Mi Young Do ),이승현 ( Seong Hyun Lee ),한상표 ( Sang Pyo Han ),허채 ( Chae Huh ),김형준 ( Hyung Joon Kim ),김정욱 ( Jeong Wook Kim ),김재규 (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7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13 No.1

        목적 : 기능성 소화불량증은 기질적인 원인이 없이 상복부의 통증 혹은 불쾌감이 만성적이거나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경우로 정의한다. 연구자는 건강 검진자를 대상으로 기능성 소화불량증 및 그 아형의 빈도를 조사하고, 이와 연관된 인자들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중앙대학교병원에 2006년 4월부터 2006년 9월까지 내원한 건강 검진자 8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상부소화관내시경검사를 시행하였고, 설문지는 로마기준 II를 우리말로 번역하여 질문형식으로 바꾸었으며 세부적인 증상을 확인할 수 있는 항목 등을 포함하였다. 인구통계학적인 인자를 포함한 여러 요인에 따라 기능성 소화불량증 빈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 총 830명의 대상자들 가운데 설문지 작성을 거부하거나 제외기준에 해당하는 사람을 제외하고 총 708명(85.3%)의 대상자가 연구에 포함되었다. 이 중 지속적이거나 반복적인 소화불량증을 호소하는 환자는 167명(23.6%)이었다. 소화불량증 환자 중 로마기준 II에 합당한 95명(13.4%)을 기능성 소화불량증으로 진단하였으며, 남자에서 9.0% (24/266), 여자에서 16.1% (71/442)로 여자에서 빈도가 높았다(p<0.05). 아형별로 분류하였을 때 궤양형이 24.2% (23명), 운동이상형이 69.5% (66명), 그리고 미분류형이 6.3% (6명)이었으며, 임상 증상의 빈도는 상복부 통증이 61.1%로 가장 흔한 증상이었고, 이어서 식후 포만감 57.9%, 상복부 불쾌감 55.8%, 조기 만복감 49.5%, 상복부 팽만감 45.3%, 트림 45.3%, 구역 29.5%, 구토 12.6%의 빈도를 보였다. 기능성 소화불량증과 연관된 인자를 알아보기 위한 분석에서 성별과 흡연 여부에 따라 여자와 현재 흡연자에서 유의하게 빈도가 높았으며, 체질량 지수에 따라서는 과체중 수검자에서 정상체중에 비해 유의하게 빈도가 낮았다(p<0.05). 다변량 분석에서는 흡연과 체질량 지수만이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인자였다(p<0.05). 그 외 연령, 음주력, 질병력(고혈압, 당뇨), 헬리코박터 감염 여부, 그리고 소염제 복용 여부에 따라서는 기능성 소화불량증 빈도에 차이가 없었다. 결론 : 로마기준 II를 적용하여 우리나라 건강 검진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빈도는 13.4%였고, 아형은 운동이상형이 69.5%로 가장 많았으며, 가장 흔한 증상은 상복부 통증(61.1%)이었다. 기능성 소화불량증 빈도는 현재 흡연자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과체중인 사람에서는 유의하게 낮았다. Background/Aim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frequency and symptom patterns of functional dyspepsia (FD) that satisfied the ROME II criteria and to determin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is frequency in South Koreans. Methods: A total of 708 (85.3%) subjects from among the 830 subjects who visited Chung-ang University Hospital for health check ups from April 2006 through September 2006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y were interviewed by using a questionnaire that covered the demographic features and symptoms, depending on the ROME II criteria, for FD. Results: Among the 708 subjects, 167 subjects (23.6%) complained of chronic or recurrent dyspepsia. Among them, ninety-five subjects (13.4%) were diagnosed as FD and the frequency of FD in males and females was 9.0% and 16.1%, respectively. The most common subtype of FD was dysmotility-like dyspepsia (69.5%). The most frequent symptom was upper abdominal pain (61.1%), followed by fullness after eating, upper abdominal discomfort, early satiety, upper abdominal bloating, belching, nausea and vomiting. The frequency of F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females, current smokers, and the normal weight subjects (BMI<25). Smoking and BMI were independently related with the presence of FD on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p<0.05). The frequencies of FD were not different in terms of age, alcohol intake, diabetes mellitus, a history of hypertension,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nd NSAID use. Conclusions: The frequency of FD was 13.4% according to the ROME II criteria in health check up subjects of our region. FD was more common in the current smokers and in the normal weight people. (Kor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7;13:31-37)

      • SCIESCOPUSKCI등재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에서 증상과 위의 전기적 활동에 대한 식이 성분의 영향

        명보현 ( Bo Heon Meong ),이광재 ( Kwang Jae Lee ),심성준 ( Sung Jun Shim ),김진홍 ( Jin Hong Kim ),함기백 ( Ki Baik Hahm ),조성원 ( Sung Won Cho )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5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11 No.2

        목적: 고지방식이 기능성 소화불량증에서 소화불량의 증상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킨다고 알려져 있지만 칼로리 농도와 탄수화물과 단백질의 구성과 같은 식이 요소들이 소화불량 증상 및 위의 운동이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아직도 정보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군과 건강한 지원자군에서 비영양 유동식(물)과 영양 유동식, 그리고 탄수화물과 단백질의 구성비가 다른 두 영양 유동식 간에 소화불량 증상과 위의 전기적 활동에 대한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첫 번째 연구에서는 27명의 기능성 소화불량 환자와 10명의 건강 지원자를 대상으로 비영양식인 물과 칼로리 영양 유동식의 효과를 비교하였고, 두 번째 연구에서는 21명의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와 10명의 건강 지원자를 대상으로 고탄수화물 유동식과 고단백 유동식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위전도(electrogastrography; EGG)와 증상의 정도를 처음 15분동안 기록하고, 음식을 섭취한 후에 30분 동안 측정을 계속하였다. 결과: 2-4 cpm 범위에서 식사전후의 power ratio는 환자군과 건강 대조군 모두에서 물과 칼로리 유동식간에, 또한 고탄수화물과 고단백 유동식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식후에 2-4 cpm 서파의 평균비율은 물과 칼로리 유동식 간에, 그리고 고탄수화물과 고단백질 유동식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건강 대조군과 달리 소화불량 환자들은 물보다 칼로리 유동식 섭취 후에 증상의 정도가 더 심하였으나 고탄수화물과 고단백질 유동식 후의 증상의 정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에서는 칼로리 영양식이 비영양식보다 더 증상유발과 관련되어 있지만 탄수화물과 단백질 구성의 변화가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에서 소화불량 증상과 비정상적인 위의 전기적 활동의 발생에 중요한 영향을 주는 것 같지는 않다. Background/Aims: Only Limited information has been provided on the effects of dietary factors in functional dyspepsia (FD).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different liquid meals on the symptoms and gastric electrical activities in FD patients. Methods: In the first study, comparisons between water and a caloric nutrient drink were performed in twenty-seven FD patients and ten healthy volunteers. In the second study, a high carbohydrate liquid meal was compared with a high protein meal with the same calories, volume and fat component for the twenty-one FD patients and the ten healthy volunteers. Recording of the electrogastrography with symptom assessment was performed. Results: The power ratio, the postprandial dominant frequency instability coefficient and the postprandial percentage of time with normogastric slow waves did not differ between the water and a caloric nutrient drink, and also between the high carbohydrate and high protein meals. Unlike the healthy controls, the FD patients had more severe symptoms after a caloric nutrient drink as compared to water. No difference in the symptom scores was observed between the high carbohydrate and high protein meals. Conclusions: The caloric nutrient drink is more associated with symptoms than is a non-nutrient meal for FD patients. Variations in the carbohydrate and protein composition are of no importance in the genesis of dyspeptic symptoms and gastric electrical abnormalities. (Kor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5;11:123-128)

      • KCI등재후보

        헬리코박터 제균 요법이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와 소화성 궤양 환자의 증상 호전에 미치는 효과

        이은재 ( Eun Jae Lee ),감창우 ( Chang Woo Gham ),박태운 ( Tae Woon Park ),홍성일 ( Sung Il Hong ),고근준 ( Geun Jun Ko ),최창환 ( Chang Hwan Choi ),한기준 ( Ki Joon Han ),조현근 ( Hyeon Geun Cho ),이재은 ( Jae Eun Lee ),김재영 ( J 대한내과학회 2006 대한내과학회지 Vol.71 No.2

        목적: 헬리코박터 제균 요법은 소화성 궤양 환자의 치료에서 필수적인 부분이나,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는 아직 그 유용성에 대하여 논란이 많은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와 소화성 궤양 환자에 있어서 제균 요법 이후의 증상 호전상태를 추적, 비교함으로써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에서의 제균 요법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3년 3월부터 2004년 2월에 걸쳐 헬리코박터 감염이 증명된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 123명과 소화성 궤양 환자 80명을 대상으로 하여 1주 또는 2주 간의 rabeprazole을 포함한 3제 제균 요법을 시행하였으며, 치료종결로부터 최소 4주가 경과한 후 제균 상태를 확인하였다. 증상척도 변화에 대한 추적 조사는 치료 전 및 치료 후 최장 18개월까지 3개월 간격으로 시행하였으며, 평균 추적기간은 12개월이었다. 결과: 평균 제균율은 82.8%로 소화성 궤양군과 기능성 소화불량증군 간에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으며, 1주 또는 2주의 제균 기간에 따른 유의한 차이도 없었다. 치료 후 3개월째 양 군 모두에서 치료 전(소화성 궤양군; 3.5±1.1 vs. 기능성 소화불량증군; 3.4±0.1)에 비하여 유의한 증상의 호전을 보였으며(1.4±0.4 vs. 1.6±0.5), 이러한 증상의 호전은 상당수의 환자에서(72.5% vs. 67.4%) 12개월 이상의 추적기간동안 유지되었다. 양 군에서 모두 제균에 실패한 경우 유의한 증상의 악화를 보였으며, 제균에 성공한 경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누적 재발률(66.7% vs. 25.5%; 57.1% vs. 21.2%)을 보였다. 결론: 헬리코박터 감염이 있는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 헬리코박터 제균 요법은 유용한 선택이 될 수 있으며, 제균의 실패는 증상 재발의 한 요인일 수 있다. 그러나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 제균 요법의 역할을 정확히 규명하기 위해서는 보다 큰 규모의 무작위 연구 및 비용-효과 분석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Background: In the functional dyspepsia, Helicobacter pylori has been suggested as a causative agent. But, the effect of H. pylori eradication is still debated on functional dyspesi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H. pylori eradication therapy in the improvement of the symptoms in patients with functional dyspepsia. Methods: The convenience sample consisted of 123 patients with functional dyspepsia and 80 patients with peptic ulcer diseases who were infected with H. pylori. All patients had received eradication therapy of H. pylori for one or two weeks and additional therapy with H2RA or PPI for one to five weeks. After the treatment was completed, the patients were asked about their symptomatic improvement every three months. The degree of symptom was rated on a five-point Likert scale. Results: Overall eradication rate of H. pylori was 82.8% (168/203),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radication rate between the two groups and between one-week and two-week eradication therapies.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12 months. The symptomatic improvement in both group was maintained over 12 months in most patients (PUD 72.5% vs. FD 67.4%). In addition, the symptomatic improvement in the patients with eradication success was maintained significantly longer than those with eradication failure in both group (FD p=0.007 vs. PUD p=0.014). Conclusions: The eradication therapy of H. pylori can be one of the therapeutic options for patients with functional dyspepsia and that eradication failure may cause the recurrence of the symptom. (Korean J Med 71:141-148, 2006)

      • SCIESCOPUSKCI등재

        혈중 렢틴치와 운동이상형 기능성 소화불량증과의 관계

        한종대 ( Jong Dae Hahn ),이광재 ( Kwang Jae Lee ),김진홍 ( Jin Hong Kim ),조성원 ( Sung Won Cho )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6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12 No.2

        목적: 렢틴은 식욕과 위의 운동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기능성 소화불량증에서 렢틴의 임상적 의의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거의 없다. 이에 저자 등은 혈중 렢틴치와 운동이상형 기능성 소화불량증과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42명의 운동이상형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와 14명의 건강 대조군을 대상으로 방사선 동위원소를 이용한 위배출시간 검사를 시행하였고 동시에 시험식 섭취 전과 30분 후에 각각 채혈을 시행하여 혈중 렢틴치를 측정하였다. 결과: 식전 및 식후의 평균 혈중 렢틴치는 환자군과 건강 대조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환자군에서 식전 및 식후의 각각의 렢틴치는 위배출시간과 유의한 상관성이 없었다. 위배출이 지연된 군과 정상인 군간에 식전 및 식후의 혈중 렢틴치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운동이상형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에서 혈중 렢틴치는 정상 대조군과 차이가 없고, 위배출시간과 유의한 관련이 없어서 운동이상형 소화불량증을 유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Background/Aims: Leptin is known to be related to both appetite and gastric motility.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clinical implication of leptin in functional dyspepsia (F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the plasma leptin levels with dysmotility-like FD. Methods: 42 patients with dysmotility-like FD and 14 healthy controls were enrolled. The gastric emptying time (GET) was measured using a radiolabeled solid meal, and plasma leptin levels were determined before and 30 min after the test meal with using a commercially available radioimmunoassay kit. Results: The mean preprandial and postprandial leptin levels of the patient group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control group. The leptin levels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GET of the patient group. Those levels did not differ between the delayed gastric emptying and normal emptying subgroups. Conclusions: The plasma leptin levels are not altered in dysmotility-like FD patients and they are poorly correlated with the gastric emptying time, suggesting that leptin does not seem to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pathogenesis of dysmotility-like FD. (Kor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6;12:157-160)

      • KCI등재

        마음챙김 명상이 여대생들의 기능성 소화불량증 증상과 심리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예비적 연구

        김주희,김미리혜,김정호 한국건강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8 No.1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mindfulness meditation can help individuals with symptoms of functional dyspepsia (FD). The participants were 16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and they were assigned to either mindfulness meditation group or a comparative group. The 8 participants in the meditation group received 8 sessions in mindfulness training, that lasted 60-70 minutes each. The 8 participants in the comparative group received 8 sessions of stress management education. that lasted 60 minutes each. Measures included Nepean Dyspepsia Index-Korean version (NDI-K), Stress Response Index (SRI),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Depression Scale (CES-D),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 Mindfulness Attention Awareness Scale (MAAS), and Acceptance and Action Questionnaire-16 (AAQ-16). The data analyses reveal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indfulness Meditation group and comparative group on frequency, intensity and severity of abdominal symptom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on any psychological variabl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Mindfulness Meditation program can be more effective treatment for FD symptoms than general stress management education.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음챙김 명상이 여대생들의 기능성 소화불량증 증상 및 심리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서울소재 여자대학교 학생들 중 사전평가를 통해 기능성 소화불량증 증상을 2가지 이상 보고한 16명을 선발하여 마음챙김 명상 치료집단과 비교 집단에 각 8명씩 배치하였다. 마음챙김 명상 프로그램은 한 회기 당 60-70분씩 총 8회기가 실시되었다. 비교 집단에게는 스트레스 교육을 한 회기 당 60분씩 제공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판 Nepean 소화불량증 설문지(NDI-K), 스트레스 반응 척도(SRI), 통합적 한국판 CES-D, 상태-특성 불안 척도(STAI), 한국판 마음챙김 주의자각 척도(MAAS), 심리적 수용 척도(AAQ-16)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마음챙김 명상 집단이 스트레스 관리 집단에 비해 기능성 소화불량증 증상의 빈도, 강도, 괴로운 정도가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스트레스반응, 우울, 상태 불안과 같은 심리적 특성에서는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마음챙김 명상이 일반적인 스트레스 교육보다도 상복부 통증, 불편감, 쓰림, 팽만감 등의 상복부를 중심으로 일어나는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주된 증상들을 완화시켜주는 치료적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의의, 추후연구에 대한 제안사항을 논의하였다.

      • 기능성 소화불량증환자에서 Winstal® 투여에 관한 임상경험

        이창형,김영탁,금민수,권중구,안병철,윤영미,권영오,김성국,최용환,정준모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4 慶北醫大誌 Vol.35 No.3

        목적 : 기능성 소화불량증은 소화, 흡수등 장관의 기능적인 이상과 관련되어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복합소화효소제(Winstal®)를 투여하여 그 임상효과를 평가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4년 3월 부터 6월까지 경북대학교병원 내과를 방문한 기능성 소화불량증을 호소하는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Winstal®을 1회 1정씩, 1일 3회 식후 30분내에 경구로 2주간 투여하였다. 결과 : 소화불량증의 증상은 복부불쾌감, 복부팽만감, 식욕부진 및 오심, 복부동통, 공기연하증, 고창 및 구토순이었으며, 증상의 개선은 복부불쾌감이 76.4%(13/17)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복부팽만감 및 공기연하증이 66.5%(10/15, 6/9)이었고, 오심 61.5%(8/13), 식욕부진 53.8%(7/13), 복부동통 41.6%(5/12), 고창 37.5%(3/8)이었다. 각 환자별 종합적인 증상의 개선도는 현저한 개선이 2예(10%), 중등도 개선이 3예(15%), 약간개선이 11예(55%), 불변이 4예(20%)이었으며 종합적인 유효율은 80%(16/20)이었다. 부작용은 한 예에서도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 본 제제는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의 증상개선에 추천할 만한 유효한 약제로 생각된다. Dyspepsia is a common symptom in gastroenterologic practice and trigger for numerous consultations with physician. The treatment of chronic functional dyspesia is unsatisfactory.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the digestive compound (Winstal®) on 20 functional dyspepsia patients. On open trial, all patients were given 6 tablets daily for 2 weeks and we evaluated the efficacy of this prepara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the improvement. The improvement of symptoms was 76.4%(13/17) in abdominal discomfort, 66.5%(10/15, 6/9) in abdominal distension and aerophagia, 61.5%(8/13) in nausea, 53.8%(7/13) in abdominal pain, and 37.5% (5/12) in flatulence, respectively. Overall effectiveness of subjective symptoms was 80% (16/20) and there were no untoward effects of the preparations during this study. As a result, We think that this preparation is an effective one to relieve symptoms of functional dyspepsia.

      • SCIESCOPUSKCI등재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에서 mosapride의 상부 위장관 증상 및 위배출능에 대한 효과

        지상원 ( Sang Won Ji ),박효진 ( Hyo Jin Park ),이풍렬 ( Poong Ryul Lee ),이오영 ( Oh Young Lee ),김동기 ( Dong Ki Kim )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4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10 No.1

        목적: Mosapride는 5-HT4 수용체 작용제로서, dopamine D2수용체 차단작용이 없는 새로운 위장관 운동촉진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에서 mosapride가 상부 위장관 증상 및 고형식의 위배출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3개의 3차 의료기관에 내원한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를 무작위 배정하여 시험약 mosapride 5mg과 대조약 domperidone 10 mg을 하루 3회, 2주간 투약하였고, 약물 투여 전후로 고형식의 위배출능, 자각증상을 평가하였다. 결과: 총 81명의 환자 중에서 75명이 2주간의 투약을 완료하였다. 자각증상 개선도 평가에서 중등도 효과 이상을 나타낸 비율은 mosapride 군이 84.6%, domperidone 군이 80.6%로 두 약물 모두 높은 개선 효과를 나타냈으며, 두 치료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고형식 섭취 120분 후 mosapride 투여 전후의 위배출능은 각각 76.8±16.4%, 82.4±13.5%였으며( p=0.0023), domperidone 투여 전후의 위배출능은 각각 76.5±13.9%, 83.0±10.7%였다( p=0.0022). 그러나, 두 치료군 간에 위배출능 변화량에 대해서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안전성 평가에서 mosapride 군에서는 최소한 한 건 이상의 이상반응을 보고한 환자 비율이 11.9%로 domperidone 군(42.1%)에 비해서 유의하게 낮았으며(90% CI=-0.46~-0.15), 임상증상 이상반응, 혈액검사, 심전도 검사, 그리고 활력징후에 있어서도 임상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유발하지 않았다. Domperidone 군은 39.5%에서 혈청 prolactin치의 상승이 있었다. 결론: Mosapride는 국내의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 안전하면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위장운동 촉진제로 생각된다. Backgr ound/Aims: Mosapride is a new, prokinetic, 5-HT4 agonistic agent free of dopamine D2 receptor antagonist properti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mosapride on upper GI symptoms and gastric emptying in patients with functional dyspepsia. Methods: Eighty-one patients were randomly allocated to treatment with mosapride (5 mg t.i.d) (n=42) or domperidone (10 mg t.i.d) (n=39) in a single-blind, prospective, multicenter study. The changes in gastric emptying and symptom severity score after 2-week treatment were evaluated for the treatment efficacy. Results: The proportion of patients with symptom improvement more than 50% after medications was 84.6% in the mosapride-treated group and 80.6% in the domperidone-treated group, and this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 p=0.6426). In both groups, gastric emptying measured at 120 minutes after test meal was significantly accelerated after 2-week treatment compared with that of baseline.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e two groups after 2-week treatment. Mosapride was well tolerated, and no serious adverse events were observed. Conclusions: Mosapride is a safe and useful drug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functional dyspepsia. (Kor J Neurogastr oenter ol Motil 2004;1:27-34)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