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도 지적장애 학생 교육과정 개발 요인과 실행 요인 분석

        정윤우,정동영 국립특수교육원 2013 특수교육연구 Vol.20 No.2

        본 연구에서는 중도 지적장애 학생의 요구에 적합한 교육과정의 개발 전문성과 실행 적응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중도 지적장애 학생의 교육과정 개발 요인과 실행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문제를 중도 지적장애 학생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요인들과 중도 지적장애 학생의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요인들은 무엇인가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중도 지적장애 학생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교육과정 지식 요인은 '편성내용지식', '편성절차지식', '편성목표지식', 교육과정 기술 요인은 '교수환경분석기술', '교수전략분석기술', '교수 목표분석기술', 교육과정 태도 요인은 '적극성', '책무성', '관심성'으로 분석되었고, 중도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교육과정 실행 요인은 .실행자원., .실행능력., .실행의지.로 분석되었다. 이런 결과는 중도 지적장애 학생의 교육과정 개발과 실행요인은 일반교육 교육과정의 교육과정 개발과 실행 요인과 보편성을 지니고 있지만, 일반교육 교육과정의 요인을 그대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중도 지적장애 학생의 요구에 대한 특수성과 상황적 요구에 대한 특수성을 공유하는 요인임을 나타내어 준다. 그러므로 중도 지적장애 학생 교육과정 개발 요인과 교육과정 실행의 요인은 중도의 지적장애학생도 교육의 보편성으로서 교육과정에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보장하기 위한 개발과 실행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동시에 중도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교육과정은 개별 학생이 가진 교수적 요구와 중핵 교육과정에 연계를 둔 지원과 서비스를 요구하며, 중도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교수 수정과 조정을 요구하는 특수성을 가지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has found out developmental and implementation factors in the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y. The research questions selected for the sake of achiev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y? Second, what are factor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knowledge factors of the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y were analyzed as including ‘organizational content knowledge,’ ‘organizational procedure knowledge,’ and ‘organizational goal knowledge,’ the skill factors of the curriculum as including ‘teaching environment analysis skill,’ ‘teaching strategy analysis skill,’ and ‘teaching goal analysis skill,’ and the attitudinal factors of the curriculum as including ‘positiveness,’ ‘responsibility,’ and ‘interest.’ Second, the implementation factors of the curriculum for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y were analyzed as including ‘implementation resources,’ ‘implementation ability,’ and ‘implementation intention.’ Also, curricular knowledge requires the importance of expertise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and curricular attitudes emphasize practical adaptability that helps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to be carried out appropriately through the responsibilities and reflective thinking by those members related to th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y.

      • KCI등재

        초등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에 나타난 교육과정 변화의 내용에 대한 연구

        이경진 ( Kyung Jin Lee ) 한국초등교육학회 2006 초등교육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가 새로운 교육과정을 해를 거듭하여 실행할 때에, 어떠한 교육과정 변화가 일어나는지를 탐색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초등 교사 한 명(김 교사)을 대상으로 2004년부터 2005년까지 2년간 `창의성 증진을 위한 초등 수학 교육과정`의 실행 사례 연구를 실시했다. 김 교사의 수업 관찰 자료를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교육과정 구성요소에 따라 교육과정의 의도가 실행에 반영되기도 하였고 그렇지 못한 경우도 있었다. 그리고 교육과정을 처음 실행한 1차년도에는 교사가 교육과정의 의도를 실행에 반영하지 못했지만, 다시 한번 실행한 2차년도에는 교육과정의 의도를 반영하기도 했으며, 1차년도에 교육과정의 의도를 반영한 경우에는 2차년도에 교육과정 의도에 더 부합된 변화가 일어나기도 했다. 이를 통해 교사는 교실 상황에 맞게 교육과정을 적응시켜 나갔고, 경력 교사 역시 처음 교육과정을 실행할 때에는 기술적으로 따라 하기 쉬운 구성요소부터 실행했으며, 교사가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 참여한다고 해도 교사는 교육과정을 점차적으로 변화시키면서 실행했고,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내용이 교육과정의 의도에 근접하게 진보해갔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결론을 바탕으로 차후 교육과정 연구의 방향과 교육과정 개발 방법과 관련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planned and performed to observe what kind of curriculum changes are happened when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implemented new curriculum in yearly order. A teacher Kim participated this case study and implemented new curriculum for two years from 2004 to 2005. The new curriculum that is implemented by Kim is "elementary math curriculum innovation enhancing creativity". Based on participant observation data,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The intention of the curriculum was not reflected sufficiently according to the curriculum elements. For the first implementation year, Kim did not implement the intention of the curriculum. However, she would implement the curriculum for the second year succeeding the first year, and when it was implemented in the first year, curriculum change was much closer to the intention of the innovational curriculum for the second year. The study gives us the conclusions and suggestions: Firstly, teachers adapted curriculum to classroom condition. Secondly, experienced teachers also implemented technically easy-to-follow elements first when implementing curriculum. Thirdly, if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process of curriculum development, they implemented the curriculum by changing it gradually. Fourthly, teachers` curriculum implementation progressed in the way of getting closer to the intention of the curriculum. Thus, this study suggests how to approach to curriculum study and develop curriculum in future.

      • KCI등재

        2015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에 대한 특수교사의 관심도 및 실행수준 분석: 관심중심수용모형(CBAM)을 중심으로

        송은숙,최진혁 한국특수아동학회 2019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1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pecial school teachers’ stages of concern(SoC) and level of use(LoU) on the 2015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and how those SoC & LoU differ by characteristics of the teacher. Method: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of 141 special teachers from 9 special schools that were implementing the 2015 Basic Curriculum using CBAM's SoC questionnaire and LoU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percentile(%lie) scores, SoC profil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Results: First, the special school teachers’ SoC profile in the 2015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was similar to the nonuser profile. As well,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pecial school teachers’ concerns according to the level of school, training experiences, operational experiences, teaching career etc. Second, most of special school teachers’ LoU for 2015 Basic Curriculum showed three levels of mechanical use.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pecial school teachers’ LoU in the 2015 Basic Curriculum according to the level of school, age and level of education. Third,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level of use according to the concern of special school teachers, the LoU of teachers in the stages of concern were higher than the teachers in the stage of unconcerned.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discussed way to enhance the teachers’ SoC and LoU in the 2015 Basic Curriculum in special schools. 연구목적: 본 연구는 2015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에 대한 특수학교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관심도와 실행수준, 관심도에 따른 실행수준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기본 교육과정의 창의적인 실행을 위한 현장 지원 방안을 모색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현재 2015 기본 교육과정을 적용하고 있는 9개 특수학교 141명의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CBAM의 관심도(SoC)와 실행수준(LoU) 질문지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백분위점수(%lie), 최고점 분석, 관심도 프로파일, 기술통계(M, SD), t-test, one-way ANOVA, Scheffé 사후검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2015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에 대한 특수학교 교사의 관심도는 비실행자 유형과 유사하게 나타났고, 학교급,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연수경험, 교육과정 업무경험, 교육경력, 연령에 따라 관심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2015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의 실행수준은 3단계인 기계적 실행수준으로 나타났고 교육내용 영역을 우선적으로 실행하고 있는 반면, 교육평가 영역은 상대적으로 낮은 실행수준을 보여주었다. 특수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실행수준을 살펴본 결과, 학교급, 연령, 최종학력에 따라 기본 교육과정의 실행수준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특수교사의 관심도에 따른 실행수준은 무관심 단계의 특수교사들보다 관심 단계의 특수교사들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도와 실행수준을 분석한 선행연구와 비교․분석하고 특수학교 차원에서 2015 기본 교육과정에 대한 특수교사의 관심도와 실행수준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지적장애학생에 대한 교육과정 실행 요인 및 하위요인 탐색

        김영석(Kim Young-seok),정동영(Chung Dong-young)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8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1 No.3

        본 연구는 지적장애학생에 대한 교육과정 실행도를 높이기 위해 교육과정 실행에 관련된 국내․외 문헌을 탐색하여 교육과정 실행과 관련된 요인을 제안하고 지적장애학생에 대한 교육과정 실행 요인별 하위요인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 실행자가 고려해야 할 교육과정 실행 요인으로 교사 요인, 학교 특성 요인, 학생 요인을 제안하였다. 둘째, 지적장애학생에 대한 교육과정의 실행과 관련된 요인별 하위요인은 다음과 같다. 교사 요인의 하위요인은 특수교사의 신념, 특수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도, 특수교사의 교수내용지식 수준, 경력이었다. 학교 특성 요인의 하위요인은 특수교사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재량권, 특수교육기관유형(특수학급, 특수학교), 교수외적요인(학교공동체, 학교 자원, 학교 분위기, 시간)이었다. 학생 요인의 하위요인은 지적장애학생의 특징, 중복장애여부 및 장애정도, 학교급(초․중․고)이었다. 마지막으로 지적장애학생에 대한 교육과정 실행 요인의 하위요인 간의 관계와 지적장애학생에 대한교육과정 실행 요인 간의 독립성 여부 및 위계적 관계 성립의 여부에 대해서 추가적으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actors and sub-factors related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actors related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could be presented teacher factor, school characteristics factor, and student factor. Second, sub-factors related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as follows : The sub-factors of teacher were the special teacher s belief, special teacher s concerns on curriculum, special teacher s pedagogical contents knowledge, and special teacher s career. The sub-factors of school characteristic were special education teacher’s discretion on the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in class, special education institution(special class, special school), and external factors(school community, school resources, school atmosphere, time). The sub-factors of student were the student s characteristics, level of disability, and school level. The discussion further expla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and sub-factors related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KCI등재

        교육과정의 실행 기준에 관한 연구 - 교육과정 실행 요인 및 기준, 교육과정 실행의 실태 및 개혁의 과제 -

        김두정 ( Kim Doojung ),김소영 ( Kim Soyou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문화연구 Vol.23 No.2

        지금까지 교육과정에서의 기준은 내용기준, 성취기준 등 계획 측면에만 초점을 두고 있다. 교육과정 실행 측면에서의 기준은 소홀하게 취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과정 실행 측면에서의 기준을 설정하고 그 기준을 토대로 한 교육과정 실행의 실태 및 개혁을 위한 과제를 탐구했다. 지금 단계에서 교육과정 실행 기준이라는 개념을 창안하고 그 실제적 효용성을 점검하는 의미에서 교육과정 실태와 개혁을 위한 과제를 분석하고 제안해 보고자 한다. 후속 연구들을 통해 기준의 세련화와 타당도가 더 깊이 탐구되기를 희망한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 실행 기준의 구안을 교육과정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들로부터 도출하였다. 그러한 요인들을 교육과정 실행의 성패를 가르는 하나의 기준으로 될 것으로 보았다. 선행 연구를 토대로 교육과정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교육과정 문서, 학교, 학교 외부요인 등으로 종합하고, 교육과정 실행 기준 또한 교육과정 문서, 학교, 학교 외부 기준 등으로 설정하고 각 기준별 하위 요소들을 설정했다. 예를 들면 교육과정 문서 기준의 하위 요소는 (개정의) 필요성, (진술의) 명료성 등이다. 다음으로, 설정된 교육과정 실행 기준에서 주요한 하위요소를 중심으로 우리나라 교육과정 실행의 실태를 점검해 보는 의미에서 선행연구를 토대로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준을 토대로 정리된 교육과정 실태를 중심으로 우리나라 교육과정 실행의 개혁을 위한 과제가 국가 교육과정 문서, 학교, 학교 외부 등의 측면에서 제안되었다. 그런데, 본 개혁의 과제에서 강조되어야 할 점은 각 교육과정 실행 기준별 개혁과 함께 각 기준 간의 공조와 협력 그리고 상호작용의 중요성 등이다(Westbury & Wilkof, 1978). 교육과정 실행은 교육과정 문서, 학교, 학교 외부 기준 간의 시너지 효과와 상호 작용이 극대화될 때 성공한다. So far, standards related to curriculum have primarily focused on curriculum planning aspects such as content standards and achievement standards, while standards in curriculum implementation aspects were relatively neglected. This study aims to enquire: 1) to set up curriculum implementation standards based on factors influencing on curriculum implementation, 2) to review Korea`s curriculum implementation practices in view of the standards, and to suggest tasks for the improvement of the curriculum implementation practices. The second and the third problems were raised in order to check utilities of established curriculum implementation standards as well as to refine and validate them. Three curriculum implementation standards were drawn from factors influencing on curriculum implementation based on related literature: curriculum document standard, school standard, and external standard to school. Each standard has also its subordinate elements. It is believed that those influencing factors have much impact on quality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So, the standards were drawn from the factors. Korea`s major curriculum implementation practices were reviewed in terms of the three curriculum implementation standards and their major subordinate elements. In addition, tasks for the improvement of the curriculum implementation practices were suggested in such areas as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school practices, and related institutes or groups including ministry of education, school district, community, and parents. Finally it is especially emphasized that the three standards of curriculum documents, schools, and the institutes and groups should be closely related and interacted. Therefore, curriculum documents and all institutes and groups are commonly responsible for meeting all the three curriculum implementation standards and their subordinate elements.

      • KCI등재

        중도 지적장애학생 교육과정 개발 요인과 실행 요인의 관계 분석

        정윤우 ( Yun Woo Jung ),정동영 ( Dong Young Chung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4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5 No.1

        본 연구에서는 중도 지적장애학생 교육과정에 적합한 교육과정 개발 전문성과 실행 적응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중도 지적장애학생의 교육과정 개발 요인과 실행 요인의 관계 모형을 설정하여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하여 연구 문제를 ‘중도 지적장애학생의 교육과정 개발 요인과 교육과정 실행 간의 구조적 관계는 어떠한가?’로 선정하였다.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관련문헌과 선행 연구의 고찰을 통해 중도 지적장애학생 교육과정 개발 요인과 교육과정 실행 간의 관계에 대한 가설적 모형을 설정하였고, 조사연구를 통해 중도 지적장애학생 교육과정 개발 요인과 교육과정 실행 요인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교육 교육과정의 교육과정 개발과 실행의 관계가 교육과정지식, 기술, 태도가 실행에 모두 영향을 주거나 또는 기술 요인을 매개로 하여 영향을 주고 있었으나, 중도 지적장애학생 교육과정 실행에 영향을 주는 개발 요인은 교육과정 지식과 태도였다. 교육과정 지식은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전문성의 중요성을 요구하고, 교육과정 태도는 중도 지적장애학생의 교육과 관련된 구성원들의 교육과정 제공에 대한 책임과 반성적 사고를 통해 교육과정 실행이 적합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실천적 적응성의 향상을 강조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ried to test those factors by setting up a relation model of them to present the developmental expertise and implementation adaptability appropriate for students with severely intellectual disability. The research questions selected for the sake of achiev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What i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developmental and implementation factors of the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factors that had direct influence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for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y were curricular knowledge and attitudes, but curricular skill did not affect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This means that the curriculum development factors including curricular knowledge and attitudes are important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y. Also, curricular attitudes toward the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y turned out to have greater influence on Implementation than on curricular knowledge. And, though curricular knowledge did not have influence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curricular knowledge, skill, and attitudes had correlations with each others rather than respectively being independent in the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for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y.

      • KCI등재

        학교교육과정 실행 기준과 인식에 관한 연구

        김소영,김두정 한국교육개발원 2018 한국교육 Vol.45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standards for curriculum implementation and analyze the perceptions about the standards among curriculum specialists, teachers, principal, vice principal, and parents. Design/methodology/data/approach: To do this, we conducted a theoretical exploration of various factors influencing curriculum implementation and conducted a survey on the perceptions of 500 curriculum specialists, education practitioners, and parents. Findings/ Results: Firstly we established 6 standards for school curriculum implementation based on major accountable school curriculum implementer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Then, we administered a survey on perceptions about the standards.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First, we determined four factors (standards) and several sub-indicators respectively. Secondly, the perceptions about the two standards (factors) related to “students” and “school environment” were different among groups while those related to “school focused support or cooperation” and “parental involvement”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groups. Values: We mainly discussed the results of the study as follows. First, parents should be importantly considered when we implement school curriculum. Parents' perceptions about school implementation were quite different from other groups. Second, the need for development of teacher professionalism was different between principals and teachers. There should be opportunities to talk each other. Efforts should be made to close the gap. Third, all groups including curriculum specialists, teachers, principal, vice principal, and parents should participate in school curriculum implementation in one way or another. They all have different things to say about curriculum implementation standards. 본 연구는 문헌연구로 학교교육과정 실행 기준을 설정한 후 그것에 대하여 총 500명의 교육과정 전문가, 교육부・교육청 담당자, 교장・교감, 교사, 학부모의 인식을 조사・분석하였다. 우선, 문헌 연구 결과, 학교, 교사, 교육부, 교육청, 지역사회, 학부모 등 6개의 실행 주체를 중심으로 6개의 학교교육과정 실행 기준을 도출하였다. 둘째, 설문지 조사 후 응답을 요인 분석하여 “학생”, “학교 집중 협력과 지원”, “학교 여건”, “학부모 참여” 등 4개의 학교교육과정 실행 기준(요인)과 하위 지표를 도출했다. 셋째, 4개의 학교교육과정 실행 기준(요인)의 집단별 인식과 집단 간 차이를 분석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한 주요한 논의와 제언의 요지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교육과정 실행 기준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은 다른 집단과 크게 다르다. 이처럼 매우 다른 학부모의 요구는 학교 교육과정 기준 설정에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둘째, 학생 기준의 하위 지표인 “교사 전문성 개발”에 인식은 교사와 학교장 간에 큰 차이가 있었다. 이 기준에 대한 학교장과 교사 간 대화의 장이 자주 만들어져 인식의 차이가 메워져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육과정 전문가, 교육부・교육청 담당자, 교장・교감, 교사, 학부모 등의 모든 집단은 학교교육과정 실행 기준에 대하여 어떤 식으로든 다른 인식을 갖고 있다. 이들 모든 집단이 학교 교육과정 실행 기준의 설정에 다양한 방식으로 참여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특수학교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요인에 관한 다층분석

        김영석(Kim Young-seok),정동영(Chung Dong-young)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0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교육과정 실행도별 특수학교 교사의 교사 및 학교 특성의 차이와 교사 및 학교 특성이 특수학교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전국 59개 특수학교와 해당학교의 특수교육 교사 366명의 설문조사를 기술통계, 분석, 일원분산분석, 다층분석으로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교 교사는 교육과정 비실행 교사가 가장 많고 초기실행, 소극적 실행, 적극적 실행 순으로 교육과정을 많이 실행하나, 특수학교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도는 교사특성의 교사사고, 교직경력, 학력과 학교특성의 교육과정 재량권, 학교자원, 학교풍토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었다. 둘째, 교사특성이 학교특성보다 교육과정 실행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크고, 교육과정 실행도별로 교사 및 학교 특성이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에 미치는 영향력은 다른 것으로 밝혀졌다. 적극적 실행 교사는 교사사고와 학교자원에 영향을 받고, 초기실행 교사는 교사사고의 영향만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극적 실행 교사는 교사사고보다 설립형태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비실행 교사는 성별, 교직경력, 설립형태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특수학교 교사는 교육과정 실행에서 비실행 교사가 가장 많고 교육과정 실행도별로 교사 및 학교 특성은 차이가 있으며 특수학교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도는 학교특성보다 교사특성에 더 많이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교사사고, 교직경력 등의 교사특성 요인이 설립형태, 학교자원 등의 학교특성 요인보다 교육과정 실행에 더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rriculum’s levels of use of special school teachers, the difference of teachers and schools characteristics by curriculum’s levels of use of special school teachers, and the effect of teachers and schools characteristics on the curriculum’s levels of use of special school teachers. This study selected 366 special school teachers from 59 special schools through stepwise sampling, conducted a survey with 「A Survey on the Factors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of Special School Teachers」and 「A Survey on the Curriculum’s Levels of Use of Special School Teacher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and analyzed them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one-way ANOVA, and multi-leve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pecial school teachers indicated the most non-implementation, followed by early implementation, passive implementation, and active implementation on curriculum’s levels of use.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teachers and schools characteristics between the special school teacher groups by the curriculum’s levels of use. Second, the effect of teacher characteristics on special school teachers by the curriculum’s levels of use was bigger than the effect of school characteristics, and the effect of teacher and school characteristics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group of special school teachers by the curriculum’s levels of use. In conclusion, the special school teachers indicated the most non-implementation on curriculum’s levels of use,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teacher characteristics and school characteristics on the curriculum’s levels of use, and the effect of teacher characteristics was bigger than the effect of school characteristics. So Teacher characteristics such as teacher thinking and career etc. are more important factors than school characteristics such as establishment type and school resource etc. on curriculum’s levels of use.

      • KCI등재

        초등교사의 다문화교육과정 실행수준에 따른 지원방안 논의

        이재창(Lee, Jae Chang),김현수(Kim, Hyun Su)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0 교과교육학연구 Vol.24 No.4

        다문화사회로의 진입에 따라 초등학교에 다양한 이주배경의 학생이 늘어나 초등교사의 다문화교육과정 실행역량이 중요한 이슈가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교사의 다문화교육과정 실행수준 실태와 지원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문제는 첫째, ‘초등교사의 다문화교육과정에 대한 실행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초등교사의 다문화교육과정 실행수준에 따른 지원방안은 무엇인가?’로 정하였다. 그리고 계량적인 연구를 위하여 초등교사 175명을 대상으로 관심기반 실행모형 척도 설문지를 활용하여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첫째, 초등교사의 다문화교육과정 실행수준을 0~7수준으로 나눈다는 조건 하에서 평균 2.37로 나타났다. 즉, 초등교사들은 관심기반 실행모형 척도 기준상 중간수준(3.5)에도 못 미치는 실행수준을 보이고 있었다. 둘째, 초등교사의 다문화교육과정 실행수준을 판별한 결과, 0수준(55명, 31.43%)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3수준(54명, 30.86%), 4수준(46명, 26.29%) 순으로 나타났다. 특이사항은 1수준(3.43%), 2수준(3.43%), 5수준(1.14%), 6수준(1.14%), 7수준(2.29%)의 비율은 상당히 낮았다는 점이다. 분석 결과에 따라 초등학교 교사의 다문화교육과정 실행수준 향상을 위한 지원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다문화교육과정 실행수준 현황을 보다 실증적인 방법을 통해 파악하여 다각도에서 지원방안을 모색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지원방안이 초등교사의 다문화교육과정 실행수준 향상에 일조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As it is becoming a multicultural society, students with diverse backgrounds of immigration increased in elementary school, and the execution capacity of multicultural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became an important issue. Hence this study examined the status and support plan of multicultural curriculum performance level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are, firstly, How is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multicultural curriculum performance level? ‘and secondly,’ What is the support plan based o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multicultural curriculum performance level? For quantitative research, a survey was conducted of 175 elementary school teachers using the Concerns-Based Adoption Model scale. The result of the survey, showed first, in the scale of 0-7 on the the multicultural curriculum performance level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average was 2.37. In other words,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wed the performance level below the intermediate level (3.5) on the basis of the Concerns-Based Adoption Model scale. Second, in the assessment on the multicultural curriculum performance level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percentage was at the highest in level 0 (55, 31.43%), followed by level 3 (54, 30.86%) and level 4 (46, 26.29%). What’s catching the attention was that the ratio was significantly lower in Level 1 (3.43%), Level 2 (3.43%), Level 5 (1.14%), Level 6 (1.14%) and Level 7 (2.29%).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upport plan for improving the multicultural curriculum performance level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present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d the current situation of multicultural curriculum performance level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rough more empirical methods and explored support plans from various angles. It is expected that the support plan proposed in this study can help improve the multicultural curriculum performance level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 KCI등재

        교육과정 실행 방안에 관한 연구

        윤광보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0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 No.1

        교육과정의 실행은 모든 참여자들의 노력을 요하는 복잡한 변화를 요구하기 때문에 새 교육과정의 성공적인 실행을 위해서는 치밀한 실행계획이 필요하다. 아무리 좋은 교육과정을 개발해도 그것이 학교에서 잘 실행되지 않는다면 결국 그 교육과정의 개발은 실패로 귀결될 것이다. 그러므로 교육과정의 실행 방안에 대한 연구는 교육과정 개발에 못지 않게 중요한 일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신념에 바탕을 두고 교육과정의 성공적인 실행을 위한 방안을 구명하고자 교육과정이 전달되는 체제적 수준에서 요구되는 교육과정 실행 요인들을 구명하고,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국가 및 지역수준의 지원 방안과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학교의 역할과 기능 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