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교사들의 장애학생 고등교육 정책에 대한 인식 비교

        정동영 한국특수교육학회 2006 특수교육학연구 Vol.41 No.3

        Pre-service Teachers' Recognition about Policies of Higher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의 현행 장애학생 고등교육 정책에 대한 인식의 정도를 비교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 양성과정과 중등학교 교사 양성과정의 일반교육 예비교사와 특수교육 예비교사 179명을 대상으로 현행 장애학생 고등교육 정책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이원변량분석을 통해 전공학교과정간, 전공교육분야간 차이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예비교사들은 현행 고등교육 정책을 형평성, 적절성, 효율성, 시급성으로 순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이 중등학교 예비교사들보다, 특수교육 교사들이 일반교육 교사들보다 대체로 현행 장애학생 고등교육 정책의 형평성, 적절성, 효율성, 시급성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예비교사들은 전공학교과정과 전공교육분야에 따라 어느 정도 차이를 나타내지만, 대체로 현행 장애학생 고등교육 정책을 형평성이 높은 정책이나 그렇게 시급하지 않은 정책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주제어> 고등교육, 장애학생 고등교육, 대학입학특별전형, 장애학생차별금지, 특수교육정책, 특수교육

      • KCI등재후보

        일반교육 교육과정의 장애학생 접근 지원을 위한 간학문적 주제단원 개발전략

        정동영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하여 장애학생이 일반교육 교육과정에 접근을 요구하는 배경과 일반교육 교육과정이 장애학생의 접근을 위하여 도입하여야 하는 전략을 탐색한 다음, 통합 교육과정의 한 형태인 간학문적 주제단원을 개발하는 절차와 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간학문적 주제단원은 장애학생의 특별한 욕구를 일반교육 교육과정에 통합하는 교육과정의 한 접근법으로 일반교육 교육과정이 장애학생의 접근을 지원하는 전략으로 도입될 수 있다. 둘째, 일반교육 교육과정이 장애학생의 접근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주제 개발단계, 통합활동의 균형 조정단계, 단원의 활동과 과제의 조정 및 지원계획의 수립단계로 간학문적 주제단원을 개발하여야 한다. 셋째, 일반교육 교육과정이 장애학생의 접근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일반교육 교육과정의 전형적인 내용 외에 장애학생의 특별한 욕구를 지원하는 내용을 포함하여 간학문적 주제단원을 개발하여야 한다. 따라서 일반교육 교육과정이 장애학생의 접근을 지원하는 전략으로 통합 교육과정을 도입하는 경우 장애학생의 특별한 욕구를 반영하는 개발 절차와 내용에 따라 간학문적 주제단원을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for the background that is required to access to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 strategies that is required to employ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n is to analysis procedures and contents of development of interdisciplinary theme-based unit as one model of integrated curriculum through literature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ppeared as follows; First, interdisciplinary theme-based unit is one approach that is integrating need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That will be employed as one strategy for access to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Second, to support access to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terdisciplinary theme-based unit must be developed through three stages; Stage of theme development, stage of adjusting and balancing of integrated activities, and stage of planning for accommodation and support of activities and tasks of unit. Third, to support access to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terdisciplinary theme-based unit must be developed to include need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addition to typical contents of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Therefore, in case of employing the integrated curriculum as supportive strategies for the access to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have to develop the interdisciplinary theme-based unit according to the procedures and contents of development which reflect the need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 특수교육 요구아동 출현율 조사 연구

        정동영,김형일,정동일 국립특수교육원 2001 연구보고서 Vol.- No.1

        이 연구는 특수교육 요구아동의 출현율을 조사하여 그들의 수를 추정하고 그들의 교육장면 및 교육요구를 분석하여 특별한 욕구를 지닌 아동의 교육권 및 학습권을 보장하는데 필요한 합리적인 특수교육 정척 및 지원대책의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 연구는 목적의 달성을 위해 특수교육 요구아동의 장애범주와 분류기준을 정의하고, 전국 16개 시·도의 180개 모든 지역교육청에서 각각 1개씩 180개의 초등학교 학구를 선정하여 그 학구 내에 거주하고 있는 6세부터 11세 사이의 아등 4,089,429명 가운데서 144,917명을 표본으로 추출하여 장애발견검사·장애선별검사·장애진단검사및 특수교육요구평가라는 네 단계의 평가를 통해 특수교육 요구아동을 진단'평가하여 그들의 춘현을을 산출하고 그들의 교육장면과 교육요구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우리 나라의 6~ll세 특수교육 요구아동의 출현율은 2.71%로 나타났으며, 장애범주별 출현을은 시각장애 0.03%, 청각장애 0.06%, 정신지체 0.83%, 지체부자유 0.19%, 정서·행동장애 0.15%, 자폐성 발달장애 0.15%, 언어장애 0.05%, 중복장애아동 0.01%, 건강장애0.07%, 학습장애아동 1.17%로 나타났고, 이들의 교육장면은 61.25%가 일반학급, 21.78%가 특수학급, 10.43%가 특수학교이며, 그 나머지 6.54%는 재택교육 등의 기타 지원을 받는 장면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특수교육 요구아등은 사회적 편견과 차별의 해소를 요구하며, 일한학급에서 특별한 욕구에 대한 지원의 제공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내린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01년 현재 우리 나라의 6~ll세 초등학교 학령아동 중에서 특수교육 요구아동은 학습장애아동이 47,771명, 정선지체아동이 34,026명, 지체부자유아등이 7,690명, 자폐성 발달장애아동이 6,234명, 정서·행동장애아동이 6,114명, 건강장애아동이 2,824명, 언어장애아동이 1,975명, 청각장애아동이 2,324명, 시각장애아동이 1,364명, 중복장애아동이 317명으로 모두 110,369명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이들은 모두 장애범주별 특성과 그들의 교육요구에 따라 적철한 특수교육적 지원을 제공받아야 하는 아동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우리 나라의 초등학교과정의 특수교육 요구아동 중에서 특수학교나 특수학급에 배치되어 있는 아동은 32% 정도이고 그 2배인 61% 정도는 일반학급에 배치되어 있으며, 가정·시설·병원 등에서 재택교육 등의 기타 지원을 받고 있는 아동도 6.5%인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특수교육 요구아동의 교육권과 학습권의 보장을 위해서는 재택교육 등의 기타지원을 받고 있는 특수교육 요구아동에 대한 대책의 마련과 더불어 일반학급 내에 배치되어 있는 특수교육 요구아동에 게한 지원대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할 것이다. 셋째, 현재 특수교육 요구아동이면서도 특수교육을 받고 있지 않는 아동은 대부분 특수교육을 받는 경우 주변으로부터 받게 될 냉대나 차별 때문에 특수교육을 회피하고, 특수교육대상자로 선정되는 경우도 기피하고 있다. 그러므로 모든 특수교육 요구아동이 특수교육을 기본적인 권리로 요구하고, 이들에게 적절한 특수교육을 제공하는 정의로운 사회의 실현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먼저 특수교육 요구아동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차별을 철폐하는 일을 우선해야 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특수교육 요구아동이 가장 요구하는 교육장면은 일반학급이며 특수교육 요구아동의 부모는 대부분 자녀의 능력 부족과 문제 때문에일반학급에서 제대로 교육을 받지 못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교육을 받을 권리는 아동의 능력 정도와 관계없이 보장해야 하는 과제이다. 이는 교육은 교육을 받는 개인의 문제나 책임이 아니라 교육을 제공하는 국가나 학교의 책임이라는 의미이다. 그러므로특수교육 요구아동의 교육은 능력과 관련되는 개인의 문제라는 관점보다는 이들도 당연히교육을 받아야 하며, 교육을 받는데 필요한 지원을 당연히 요구할 권리를 지니고 있다고인정하고 지원해야 할 것이다. 이것이 현대 국가의 의무요 책무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우리 나라의 특수교육 요구아동의 출현율은 2.71%로 4백여만명의 6~11세의 초등학교 학령아동 중에 11만여명의 특수교육 요구아동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있다. 그러나 현재 특수학교(급)에서 특수교육을 받고 있는 특수교육 요구아동은 32% 정도이고 이들의 61% 이상은 일반학급에 속해 있으며, 6.5% 정도는 가정·병원·시설 등에서 기타 지원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특수교육 요구아동에 대한 적절한 특수교육 대책의 마련을 위해서는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장애아동과 특수교육에 대한 이해교육을 강화하여 특수교육 요구아동에 대한 편견을 해소하고, 현재 적절한 특수교육의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는 일반학급 내의 특수교육 요구아동에 대한 교육대책 즉, 통합교육의 대책과기타 지원을 받고 있는 아동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하며, 이들의 교육권 및 학습권 보장을 위해 특수교육대상자의 선정체제 및 특수교육의 전달체제를 개선하고, 특수교육에 대한지원을 대폭 확대해야 한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basic data bank to develop effecrtive special education policies and suppon system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by surveyig prevalence of disabilities, estimating the number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analyzing their educational setting and needs. To accomplish the purpose, this study a) defined the categories and concept of the disabilities, b) selected one elementary school district each fron 180 regional educational districts of 16 cities or provinces in Korea, c) seleoed 144,917 children among 4,089,429 children from age 6 through 11by cluster sampling, d) computed prevalence by assessi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hrough the four-level assessment whirh consists of deteoion test, screening test, and diagnosis test of disabilities and evaluation of special education needs. The results revealed that prevalence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from age 6 through 11 is 2.71%. Prevalence by categories of disabilities is as follows; vision impairment 0.03%, hearing impairment 0.06%, mental retardation 0.83%, physical disabilities 0.19%, emotionalㆍbehavioraldisorder 0.15%, autistic spectrum disorder 0.15%, language impairments 0.05%, multiple disabilities 0.01%, heal impairment 0.07%, learning disabilities 1.17%. As for the educational settings for the children wilh disabilities, 61.25% of them are plated in regular classes, 21.78% in special classesand 10.43% in special schools. It is also revealed that students with special needs demand to dissolve social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nd to be provided with suppon to address diffculties in regular classes. The conclusions acquired fi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estimated that presently in 2001, 110,639 children among school age children, fiom age 6 to 11, require special education including 47,771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34,026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7,690 children wit rhysical impairments, 6,234 children with autistic srectnun disorder, 6,114 children with emotional·behavioral disorder, 2,824 children with health impairments, 1,975 children with language disorder, 2,324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1,364 children with vision impairment,317 children with multiple disabilities. They totaled to 110,f39 children. They are children who are eligible for appropriate educational suppon according to the categories of disability and their educational needs, Secondly, 31%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 special education needs are placed in special classes or special srhools. Almost a double number of children, 61% of thenm, are placed in regular classes and 6% of them receive home-bound educational suppon at home, institutions, or hospitals. Thereflre, to assure the rights to education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measures to supper children who rereive home-bound education and children with special needs who are plared in regular classes should be promptly cstablished. Thirdly, social prejudice or discrimination cause some children to avoid receiving special education and even to avoid being selected as one of special education population. To actualize the sociery of justice where all children with special needs claim special education as a basic right and they areprovided with appropriate education, the uppermost priority should be given to eliminating social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gainst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hough most children with special needs require regular class placement, their parents perceive the children cannot benefit in the regular class seuing due to their disabilities. However, rights to education should be guaranteed regardless of disabilities. It means that education is not individual's responsibility but the resronsibility of srhools or the government. Thereffre, education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should be understood and actualited in terms of natural rights rather than individual conditions related to the lack of required abilities. The rights to education shctlld be adrnowledged and implemented as responsibility of a modern country. Summing up the results, it is estimated that there are 4 million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mong school age children, age 6 to 11, with 2.71% of prevalence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61% of them are plated in regular classes with no proper support. To provide all children with special needs with appropriate education, preiudice against them should be eliminated by reinforcing the understanding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sperial educarion. Measures should be developed to suppou the children in inclusive classrooms, and rights to education should be guaranteed by improving screening system and delivery system of special education. Overall support for special education should be extended substantially.

      • 우리 나라의 특수교육 요구아동 출현율 조사결과와 과제

        정동영,김형일,정동일 국립특수교육원 2002 현장특수교육 Vol.9 No.1

        특수교육은 역사적으로 보편과 정상에서 일탈(逸脫)된 개인을 대상으로 출발한 교육이다. 이는 특수교육이 교육의 비정상성에 토대를 두고 있음을 함의한다. 교육이 보편적이고 정상적인 아동만을 대상으로 효율성을 추구함으로 인해 그 범주를 일탈한 장애아동은 특수교육이라는 일반교육과 분리된 하나의 특정 범주에 포함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보편과 정상이란 몰개성적(沒個性的)인 동시에 비정상적인 개념이다. 보편이란 평범함을 추구하면서 비범함을 배제하는 편협한 개념이며, 정상이랑 이상을 가정하는 가상의 왜곡된 개념이다. 보편과 비범, 정상과 이상이 함께 어우려져야 정상이 된다. 정상의 세계는 비범함과 열등함, 넘쳐남과 부족함이 공존한다. 비범과 이상이 배제된 정상이란 존재할 수도 없고 존재하지도 않는다. 그렇지만 특수교육의 출발 이후 교육에서 정상은 이상을 배제한 일부로만 간주되었고, 그들만이 전체를 대표하는 전집으로 가정되었다. 정상과 보편만이 전체를 대표한다는 가정은 전체를 왜곡할 뿐, 전체를 대표하지 못한다.

      • KCI등재

        Spatial Variability of Hydraulic Properties in a Multi-Layered Soils of Japanese Larch (Larix leptolepis) Stand

        정동영,진현오,Chung Doug Young,Jin Hyun O 한국농림기상학회 1999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1 No.1

        본 연구는 경기도 광주지역의 낙엽송 임분에 인공 강우기를 설치하여 수리특성과 관련한 공간 변이와 상관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수분유속과 보유능은 원래 토성, 구조와 유기물을 근거로 지표면에서 인공가우기로 수분을 일정속도로 가하면서 측정하였다. 이 방법은 간단히 유기물을 제거하거나 기존의 상태에서 수평한 지표면에 3가지의 강우 강도에서 실시하였으며 한편 경계면은 안정하며 포화상태의 습윤 토양에서 투수계수와 매트릭 유속기능을 조사하였다. 투수계수는 $_1$( $Z_{c}$) = $_2$( $Z_{c}$) = $_{c}$ 이라는 지속적 유속 조건하에서 $K_{i+}$$_1$ $_{c}$= $K_{i}$( $_{c}$) [1-d /dz]의 공식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토양내에서 유속에 영향을 미치는 공극 특성과 유기물 함량이 광범위하게 수분 보유능과 포화투수계수의 공간 변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것으로 조사되었다.되었다. Soil structure and organic matter have been known to strongly affect water flow and solute transport, yet little information is available concerning soil hydraulic properties related to soil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in the forest sit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quantify the spatial variability and spatial correlation of the measured parameter values from the plots established with the rainfall simulator on Japanese larch(Larix leptolepis) dominated site in Kwangju. Kyunggi-Do. Measurement of soil water flux and retention were made with the inherent soil texture, soil structure, and organic matter. The method was based on the observation that when water was applied at a constant rate to the soil surface on each plot. The method was simple to apply and consists of following steps: (i) Wet the soil from a rainfall simulator with several known discharge rates on a relatively leveled soil surface with and without organic matter. (ii) Once the borders of the ponded zone were steady,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K_{s}$) and the matric flux function(F) was evaluated from a regression of flux vs. the reciprocal of the ponded area. A conductivity of the form $K_{i+}$$_1$ $_{c}$= $K_{i}$( $_{c}$) [1-d /dz] where flux continuity implies. For this, continuity of matric potential at the interface at all times are as follows: $_1$( $Z_{c}$) = $_2$( $Z_{c}$) = $_{c}$ for steady state intake from water ponded on the soil surfac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showed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spatial variability in wide differences of water retention and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with respect to pore geometry and organic matter contents which influenced the water flux throughout the soil profile.l profile.ile.

      • Bifunctional manganese oxide/metal electrocatalyst for electrochemical water oxidation and oxygen reduction reaction

        정동영,( Bo Quan ),신희종,( Yuanzhe Piao ),성영은 한국공업화학회 2014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4 No.1

        Rational design of electrocatalysts for the oxygen reduction reaction (ORR) and the water oxidation, which is oxygen evolution reaction (OER), is important to improve the performance enhancement. Understanding of the structure of active surfaces and metal/metal oxide junction are critical issues to design the new materials. Here, we suggest hollow manganese oxide with metal junction electrocatalyst for both ORR and OER. We also discuss the importance of material selection and proper junction for bifunctional electrocatalyst by electrochemical and physical method.

      • KCI등재후보

        지적장애학생의 전환 지원을 위한 진로교육의 목표와 방법 탐색

        정동영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4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objective and method of career education for transition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selected the research question are that what is the desirable objective and effective method of career education for transition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solve research question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results are as follows;First, the objective of career educa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s to choose career suitable for one's aptitude and needs reasonably and to prepare it appropriately so that it ultimately helps students to enjoy one's satisfaction with quality of life with keeping a job after graduating the school. Second, the method of career educa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s to set up and carry the career plan suitable for each student's aptitude and needs deliberately, intentionally, and systematically through applying proper resources. Therefore, career education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s mandatory curriculum for successful transition after graduating schools. 본 연구는 지적장애학생들의 학교 졸업 이후 성인생활로의 성공적인 전환을 지원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진로교육의 목표와 방법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지적장애학생들의 성인생활로의 성공적인 전환을 지원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바람직한 진로교육의 목표는 무엇이며, 효율적인 진로교육의 방법은 무엇인가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문헌연구를 통하여 연구문제를 해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지적장애학생의 진로교육 목표는 자신의 적성과 요구에 적합한 진로를 합리적으로 선택하고 적절히 준비하여 궁극적으로 학교 졸업 이후에 직업을 유지하면서 만족한 삶의 질을 향유하도록 하는데 있으며, 이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지적장애학생의 진로교육 방법은 개별 학생의 적성과 요구에 적합한 진로계획을 적절한 자원을 활용하여 계획적, 의도적, 체계적으로 수립․실행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지적장애학생의 진로교육은 학교 졸업 이후 성인생활에 성공적으로 전환하게 하는데 필수적인 교육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