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공문화예술기관의 ESG 경영전략 도입 필요성 연구

        장명재 대한경영정보학회 2022 경영과 정보연구 Vol.41 No.1

        코로나19 사태는 사회의 많은 부분에 변화를 끌어냈다. 특히 많은 기업에 경제적 위기를 제공하며 새로운 경영전략의 필요성을 인식시켰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ESG 경영은 회복탄력성을 높이며 위기에 대응하는 기업 전략의 좋은 사례가 되었다. 그리고 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초석을 제공하며 위기를 극복했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문화예술기관은 위기 극복에 어려움을 겪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예술기관이 코로나19 사태와 같은 사회변화의 영향을 받지 않는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효과적인 예술경영의 발판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공공문화예술기관의 ESG 경영을 도입해야 하는 필요성을 확인하고자 했다. 먼저 원활한 연구의 진행을 위해서 사회변화의 특징을 시대적, 세대적, 인류 중심적 관점과 같은 다양한 관점을 통해 고찰했다. 그 결과 변화는 기존 시대와 특정 시기의 주요가치를 기반으로 이루어지고 생존을 위한 진화의 발판이 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회변화의 특징 연구를 통해 도출한 내용은 ESG 경영의 탄생배경을 이해하는 중요한 토대가 된다. 그리고 이는 ESG 경영이 사회변화의 다양한 위기 속 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생존전략이라는 사실을 입증시켜주었다. 위 과정은 코로나19 사태와 같은 사회변화에 취약한 예술문화기관을 위하여 공공문화예술기관이 ESG 경영의 생태계를 구축해야 하는 근거가 된다. 공공문화예술기관은 국가의 재정을 바탕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안정적인 경영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잠재적인 위험요소, 취약점 및 문제점을 노출했다. 대표적으로는 국가 재정의 사용에 대한 평가를 받기 위한 성과지표에서 발견할 수 있었다. 지표에는 가치충돌의 모순점 발견, 정권교체에 따른 유동적인 모습과 현장과 동떨어진 체계 등이 있었다. 또한, 안정적인 국가의 지원이 있더라도 운영 재원 부분에서 취약점이 존재했다. 하지만 ESG 경영을 도입함으로 위 문제를 해결하고 취약점을 보완 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그리고 예술인이 처한 상황은 공공문화예술기관에 ESG 경영이 도입의 주요 근거가 되었다. 결론적으로 공공문화예술기관이 ESG 경영을 도입하여 원활하게 운영될 경우 민간예술단체와 기관을 위한 지속 가능한 경영의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경영전략을 접목한 예술경영의 모델은 향후 경영분야 발전에 긍정적 영향을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

        공공문화예술기관의 ESG 경영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관한 연구

        오지현,류승완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23 문화정책논총 Vol.37 No.1

        ESG management is emerging as an important corporate management paradigm for establishing sustainable management. ESG management evaluates a company’s non-financial performance by assessing environmental, societal, and governmental factors. ESG management, which has been studied mainly in private companies, has begun to be used as a new standard for sustainable management and management performance evaluation of public institutions based on new public theory. Public institutions' sustainability management goals and values differ from those of private companies. The direction and specific management indicators of ESG management differ when evaluating an institution's type, field, and operational method. In this study, ESG management evaluation items that can be applied to public culture and art institutions were derived based on ESG management evaluation indicators used mainly for general private companies. The study was conducted as follows. First, ESG management evaluation indicators were derived based on previous studies of ESG management in private companies. Next, FGD-bas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xperts in the field based on the existing ESG management evaluation indicators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e and arts sector and arts and culture public institutions. In addition, ESG management evaluation indicators were derived for arts and culture public institutions. Finally, each ESG indicator's importance level was derived using the analytical hierarch process (AHP), a hierarchical decision-making technique.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social responsibility showed the highest importance (about 60%) for arts and culture public institutions, followed by governance (G) and environmental (E). In particular, environmental (E) was recognized as the least important factor in the arts and culture field. However, environmental (E) showed very high importance in private companies due to the effects of global warming and climate chang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analysis of arts and culture public institutions, social contribution and social responsibility have high importance. Specifically, the service industry and public administ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S) field showed high importance. Therefore, the ESG management evaluation of public arts and culture institutions determined that a system different from the existing private enterprise evaluation system should be implemented. The ESG management system for public culture and art institutions should focus on improving social responsibility and the governance and environmental fields accordingly. ESG 경영은 환경(environmental),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를 중심으로 기업의 비재무적 성과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제시되고 있으며, 지속가능경영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기업 경영 패러다임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동안 사기업을 중심으로 연구되어 온 ESG 경영은 신공공관리론을 바탕으로 공공기관의 지속가능경영과 경영성과 평가에서도 새로운 기준으로 활용되고 있다. 한편, 공공기관에서는 기관의 형태, 분야 및 운영 방식 등의 관점에서 기관별로 중시하는 지속가능경영 목표와 방향이 다르며, 이에 따라 ESG 경영의 방향성과 구체적 경영지표가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 사기업을 중심으로 활용되고 있는 ESG 경영평가 지표를 바탕으로 공공문화예술기관에 적용할 수 있는 ESG 경영 항목을 도출하였다. 우선 기존 사기업을 대상으로 제시된 다양한 ESG 경영 관련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문화예술 분야의 특성과 공공문화예술기관의 특성을 반영하고자 FGD 기반의 인터뷰를 통해 문화예술 분야 전문가의 의견을 수집하였다. 이를 통해 공공문화예술기관의 ESG 경영평가를 위한 지표를 도출하였고, 최종적으로는 계층적 의사결정기법(AHP)을 적용하여 각 ESG 항목의 우선순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공공문화예술기관에서는 사회적 책임(S)의 중요도가 가장 높게(약 60%)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지배구조(G)와 환경(E)의 순서임을 확인하였다. 특히 최근 기후 위기와 환경오염 등의 영향으로 환경(E)은 일반 사기업에서 매우 높은 중요도를 보이지만, 문화예술 분야에서는 가장 낮은 중요도로 인식되었다. 이는 공공문화예술기관의 서비스 산업적 특성 혹은 공공행정의 특성에 의해 사회공헌과 사회적 책임이 강조된 것으로 해석되며, 문화예술을 통해 환경에 관한 책임을 강조하는 것도 포함된다는 점을 의미한다. 따라서 공공문화예술기관에 대한 ESG 경영평가는 기존 사기업 평가 체계와는 다르게, 사회적 책임(S)을 중심으로 기관의 지배구조(G) 개선 노력과 환경(E)의 중요성과 개선 활동을 평가하는 체계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리빙랩(Living lab)을 통한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

        김종두 한국연기예술학회 2021 연기예술연구 Vol.23 No.3

        이 연구는 최근에 새롭게 등장하는 리빙랩 연구로 도시의 생활환경 개선과 도시의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현실에서 리빙랩을 문화예술교육에 접목하여 융복합 교육으로 이루어진다면 그동안 개별화된 방식 으로 이루어져 왔던 문화예술에 시민들이 한층 더 쉽게 다가갈 수 있게 될 수 있다. 이 연구의 과정으로 서 리빙랩의 의미를 살펴보고, 현재 진행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을 영역별로 분석하여 나아갈 방향을 설 정하고 구체화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리빙랩은 그동안 개념화되지 못하고 파편화되어 있는 개인의 생각 이나 이웃과 협력하는 공동체적 삶을 함께 공유할 수 있다는 실천과정을 보여준다. 인간의 역사에서 공 동체가 협력하여 만들어가는 것은 과거에도 많이 있었으나 최근에는 자유주의에 내포된 개인주의가 확 산하면서 점점 사라지고 있다. 공동체 의식은 가정에서 학교교육으로 이어져 생활문화로 형성하여야 한 다. 지역의 문화예술에 대한 주민들의 향유를 위해서는 공동체 사회에 대한 참여와 희생의 정신이 마음 속에 내포되어 있어야 한다고 보았다. 최근에 확산하기 시작한 리빙랩은 생활실험실의 의미를 지니며, 지역 재생과 환경개선에 많이 적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문화예술에서도 충분히 접목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문화와 예술교육 시스템을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문화예술교육이 이루어지 고 있는 학교교육, 사설교육, 공공기관 교육의 조화로운 운영을 강조하고, 문화예술교육이 시민들에게 이 루어져 공공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교육의 방향성 분석을 통해 학교교육을 보편성, 사설교육은 전문 성, 공공기관 교육은 대중성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을 제시하고, 공공기관 교육에서는 개인에게 제2의 기 회부여 차원에서 문화예술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리빙랩을 통해 문화예술 활성화를 위한 교육 방안을 찾아보는 것에 중점을 둔다. 그동안 문화예술이 개인 중심의 전문성 교육 중 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나 최근에는 기관 중심의 프로그램을 통해 대중 중심으로 나아가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상황에서 리빙랩을 통한 문화예술이 어떻게 활성화되어야 하고, 교육의 방향은 어떻게 이루어져 야 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This study is a study of the living lab that has emerged recently. In the reality of improving the living environment of cities and changing cities, if the living lab is combined with culture and art education to provide convergence education, the culture that has been made in an individualized way Art can be more easily accessible to citize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Living Lab as a process, and to set and materialize the future direction by analyzing the cultural arts education that is currently in progress according to each area. Living Lab shows the practical process of sharing individual thoughts that have not been conceptualized and fragmented, or a ommunal life that cooperates with neighbors. In the history of human beings, there have been many things that communities cooperate to create, but recently, as individualism embedded in liberalism spreads, it is gradually disappearing. A sense of community should be formed as a living culture from home to school education. In order for the residents to enjoy local culture and arts, the spirit of participation and sacrifice in the community should be contained in their hearts. The Living Lab, which has recently started to spread, has the meaning of a living laboratory and is widely applied to local regeneration and environmental improvement, and shows that it can be sufficiently applied to culture and art. It is necessary to take an overview of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system, to emphasize the harmonious operation of school education, private education, and public institution education where culture and arts education is provided, and to strengthen the public nature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for citizen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direction of education, it was suggested that universality of school education, professionalism of private education, and the popularity of public institution education are emphasized, and that culture and arts education should be implemented in terms of giving individuals a second opportunity in public institution education.

      • KCI등재

        공공 문화예술기관의 미션 수립과 평가의 연계성에 관한 연구

        이은미(Lee Eun Mee),정영기(Chung Young Kee) 한국예술경영학회 2009 예술경영연구 Vol.14 No.-

        본 연구는 공공 문화예술기관의 설립근거이며 운영의 기본방향을 제시하는 미션(mission, 사명)과 평가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보다 효율적인 평가시스템 구축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미션은 기관의 운영방향으로 중장기사업을 수립하는 자료가 되며 중장기사업은 연간사업으로 이어져 최종적으로는 기관 평가항목과 지표구성의 근간이 된다. 이러한 연계성 파악을 위해 먼저 우리나라 대표적인 문화예술기관의 미션을 파악하고자 하였는데, 아직 미션의 개념이 명확하게 자리 잡지 못하였고 사업계획을 수립할 때 미션과의 연계성이 중요하게 부각되지 않고 있다. 기관의 평가를 살펴보면 평가항목과 지표가 일관성을 유지하고 있지 못하고 매년 변경되고 있다. 따라서 평가의 결과가 업무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지도 평가의 결과만으로는 파악되기 힘들다. 이러한 문제는 미션의 명확한 수립이 선행되면 미션에 따라 사업추진이 되며 이에 따른 사업평가로 이루어지는 구조 속에서 해결될 수 있는 문제이다. 따라서 비영리단체의 성격을 가지고 있는 공공 문화예술기관의 효율적인 운영과 평가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미션 수립이 가장 먼저 확립되어야 하고 이에 따라 중장기 계획수립과 연간사업계획이 수립 및 실행되어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이 논문은 공공 문화예술기관의 미션수립과 평가시스템 개선방안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기대된다. Public arts center is a non-profit organization. Missions are essential to manage the non-profit organization. Because of this reason, the public arts center must have clear and powerful missions which are based on the long-term vision statement and become the symbol of the art center for several years. However, public arts centers in south korea do not have clear missions and long-term plans based on them. Nowadays, the government gives emphasis the evaluation system for the achievement of government organizations. Public arts centers receive their budget from the government, so they are influenced by the management system of the government. because of this reason, they have started the evaluation of their achievement. Public arts centers have to set their clear missions developed by long-term plans which have an affect on setting annual plans. This is the basic process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And each item for measurement of the achievement is based on annual plans which is developed by the mission. It is the problem that the evaluation system for the arts center changes every year, and the arts center does not trust the result. This is the reason that the arts center does not have a clear mission statement. To set the standard of assessment for effectiveness of the evaluation, the arts center should make a mission statement, and the term of the evaluation needs to be every 2-3 years for setting the long-term plan of the arts center based on its missions.

      • KCI등재

        공연분야 공공 문화예술기관 성과평가지표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 AHP 분석기법을 중심으로

        이정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9 문화정책논총 Vol.33 No.1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relative importance and priority of public arts organization performance evaluation indexes. We evaluated the indexes applied by public arts organizations at home and abroad based on three criteria; artistic value, publicness, and effectiveness. After applying these criteria, we analyzed each index using the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method to differentiate their priorities. The survey targets of the AHP method included experts in the arts, administrators, and academics. The AHP analysis showed that 43.8% prioritized publicness, 39.6% prioritized artistic value, and 16.6% prioritized effectiveness. The three most important subordinate indexes selected by experts to evaluate arts organizations were education for all, customer facility satisfaction, and cultural performances for disadvantaged groups. The priority results generated by the AHP method revealed which indexes we should regard as performance evaluation indicators for arts organizations hereafter. 본 연구는 공연분야 공 문화예술기관의 성과평가지표에 대한 상대적 중요성과 우선순위를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국내외 공연분야 공 문화예술기관에서 활용하고 있는 성과평가지표를 예술성·공공성·운영효율성의 세 가지 부문으로 분류하여 각의 지표가 어떠한 우선순위를 가지고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AHP 기법을 활용했다. 문화예술계에서 활동하는 현장예술가, 행정전문가, 그리고 학계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지표 간 우선순위를 도출하고자 했다. 분석 결과, 문화예술계 전문가들은 공연분야 공 문화예술기관 성과평가지표 영역의 우선순위를 공공성(43.8%), 예술성(39.6%), 운영효율성(16.%)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세부 평가지표의 가중치 결과는 교육 및 강의가 가장 중요한 지표였고, 시설에 대한 고객만족도, 소외계층 대상 공연이 그 뒤를 이었다. AHP 기법을 통해 도출된 결과들은 향후 공연분야 공공 문화예술기관의 성과평가지표를 구성할 때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지표들이 무엇인지를 보여주는 시사점이 있다고 할 수 있겠다.

      • KCI등재

        세대 간의 문화 갈등, 융합 그리고 학습 : 문화예술기관조직의 사례연구

        이병준,허은정,이지인 한국문화교육학회 2022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문화예술기관조직의 세대 간 경험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문화 갈등과 융합의 과정을 살펴보고, 향후 조직문화, 조직학습 및 조직 내 세대 간 소통을 위한 실천적 제언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에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문화예술기관의 직원 6명을 대상으로 하여 직급별 세대 간 경험을 탐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수평적 조직문화와 자유로운 분위기를 지향하는 공공문화예술기관의 조직문화를 기반으로 타 세대의 특성에 대해 수용적 입장을 취하고 있다. 둘째 각 기관별로 직무 내용, 조직 규모에 차이가 있는 만큼 세대 간 소통방식에서 상이한 조직문화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그럼에도 불구하고 ‘꼰대’ 및 조직 내 소통방식, 갑질문화, 성과 등에 대해서는 세대 간 서로 좁혀지지 않는 견해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조직 내 세대 갈등을 극복하고 세대 융합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기성세대와 후속세대를 연결하는 중간세대의 역할이 중요함을 발견하였다. 이에 조직문화의 혁신을 위하여 기성세대의 전통을 후속 세대가 창의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조직학습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 관리자 임기가 충분히 보장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중간관리자에게는 기성세대와 후속세대를 균형 있게 연결하는 역량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MZ세대의 기성세대에 대한 팔로우십을 어떻게 끌어올릴 것인지에 대한 논의도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공공문화예술기관의 조직문화유형 분석 :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기타공공기관 및 단체를 중심으로

        임훈(Rim, Hoon) 한국지방정부학회 2020 지방정부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공공문화예술기관인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기타공공기관 및 단체의 문화예술분야를 대상으로 경쟁가치모형에 근거하여 조직의 문화유형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연구대상 기관은 위계지향문화가 가장 강하게 나타났으며, 관계지향문화가 가장 약하게 나타났다. 둘째, 집단별 차이분석 결과, 40대에서 시장지향문화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재직기간 11년에서 15년 이하에서 혁신지향문화와 시장지향문화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기관 유형별 조직문화의 경우, 관계지향문화는 문화서비스/표준모형 기관에서, 혁신지향문화는 문화진흥/기반/표준모형 기관에서, 위계지향문화는 문화서비스/표준모형 기관에서, 시장지향문화는 문화진흥/기반/표준모형 기관에서 각각 가장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of organization culture type in culture and arts sectors focusing on the public culture and arts institutions, such as other public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under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MCST), based on the competing value frameworks model.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 this study found that most organizations have a hierarchical culture, and the least have a relationship-oriented culture.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by group, market-oriented culture appeared the most for people in their 40s, and innovation-oriented culture and market-oriented culture appeared the most for those with 11 to 15 years of the employment period. Third, in the case of organizational culture by institution type, relationship-oriented culture appeared most frequently in cultural service/standard model institutions, innovation-oriented culture in cultural development/ based/standard model institutions, hierarchical-oriented culture in cultural service/standard model institutions, and market-oriented culture in cultural development/based/standard model institutions respectively.

      • KCI등재

        공공문화예술기관에 대한 공공기관 및 문화예술 분야 성과평가지표의 우선순위 분석 연구

        백영기(Young-Ki Baik),윤미라(Mi-Ra Yoon)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0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4 No.8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조사내용을 바탕으로 공공기관적인 성격과 문화예술적인 성격의 결합 차원에서 공공문화예술기관을 조작적으로 정의한 후, 이에 부합하는 차원에서 성과 평가지표의 우선순위 분석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AHP 공리에 의한 우선순위 분석결과, 공공문화예술기관의 성과평가지표에 대한 우선순위는 예술성, 전문성, 마케팅, 조직관리, 경영효율성, 교류협력, 운영체계, 공공성, 편의성 순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가장 높은 우선순위로 나타난 예술성의 항목에 우선적으로 관심을 기울이고 전략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둘째, 관객과 대중이 이에 대해 높은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애초의 기획에 다양한 전문가를 투입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AHP공리에서 권장하는 10항목을 초과하지 않기 위해 의도적으로 평가항목 제한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다양한 평가항목을 도출하여 우선순위를 분석할 필요성이 있다. This study was based on the research contents of previous studies. and After operatively defining public culture and arts institutions in terms of combining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institutions and culture and arts, the necessity of analyzing the priority of performance evaluation indicators was raised in accordance with this. The results of priority analysis based on the AHP axiom are as follows. The priorities for the performance evaluation index of public culture and arts institutions were in the order of artistry, expertise, marketing, publicity, organizational management, exchange and cooperation, management efficiency, operating system, and convenienc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presented. First, it is necessary to first pay attention to the items of artistry that appear as the highest priority and seek strategies. Second, it is necessary to put a variety of experts in the original plan so that the audience and the public can have a high interest in this. However, in order not to exceed the 10 items recommended by the AHP axiom, we had to intentionally limit the evaluation item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priorities by deriving various evaluation items in subsequent studies.

      • KCI등재

        예술 공공기관 법인화의 성과에 관한 시론적 연구: 세종문화회관 법인화 사례를 중심으로

        한승준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11 行政論叢 Vol.49 No.4

        본 연구는 예술 공공기관 법인화에 대한 찬반 논의들을 정리하고, 세종문화회관 법인화의 성과를 객관적인 자료를 토대로 분석함으로써 향후 예술 공공기관들의 법인화 정책 추진에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법인화 찬성론자들은 법인화가 전문성 확보, 예산의 탄력적 운영을 통한 예술의 질 증대, 자율성과 창의성 제고 등의 성과를 가져온다고 주장하는 반면, 법인화 반대론자들은 법인화가 예술의 공공성과 예술성 훼손, 시민의 예술향유권 저해, 순수공연예술의 위축 등의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본 연구에서는 예술 공공기관 법인화의 성과를 분석하기 위해서 효율성, 전문성, 공공성 측면에서 세종문화회관 법인화의 성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법인화는 세종문화회관의 운영효율성과 전문성 측면에서 긍정적인 성과를 도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성과의 수준이 법인화 추진 당시의 목표치에 미치지는 못하고 있으며, 부작용이 일부 발생하였다. 조직구조가 사무국 중심에서 예술단 중심으로 전환됨에 따라 공연예술의 전문성과 공연에 대한 고객만족도가 향상되었다. 공공성 측면에서도 세종문화회관의 법인화가 고객 다양성과 서비스 형평성을 감소시키기 보다는 이를 증진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Changes in legal status have proceeded with changes among the public, government, and society with emergence of administrative reform in the background. Due to the changing circumstances of the performing arts center, the legal status of the National Central Theater and the Sejong Arts Center has changed to that of a legal management foundation. This study focused on the performance of Sejong Center since the reform. Different arguments are compared to seek operational status of the reality of the Sejong Center. It placed emphasis on key items of research concerning the actual conditions such as operational effectiveness, professionalism, and equity. The results showed that operational effectiveness, professionalism, and equity have improved since the reform.

      • KCI등재

        공공문화예술기관의 경영성과 영향요인 분석

        김미리,김영태 한국회계정책학회 2016 회계와 정책연구 Vol.2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erform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effects of such factors for the non-financial performance, as well as financial performance, considering special circumstance of Korean culture and arts Centers. Then,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Impact factors has a (+) effect on the financial performance as well as non-financial performance. And among leadership factors, an organization’s vision system is important. Secondly, it is necessary for public culture and arts Centers to pursue profit, based on its publicness including improvement of quality of local residents’ life, growth of local cultural artists and contribution to local development, rather than just emphasizing profitability. Thirdly, professionalism and planning capability of public culture and arts Centers such as integration of education and arts, programs connected with social arts and healing and MICE-Link program in cooperation with the MICE industry have significant effects on management performance. Fourthly, it is desirable to build a virtuous circle for arts and economy with culture management consulting service including promotion of cultural welfare and support to public relations in order to strategically attract donation from a company. Fifthly, management performance is better when the Centers are trying to contribute to a local community such as expanding public arts service for local residents. Although this study is not a complete enumeration survey but provides useful information to evaluate management performance of public culture and arts Center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우리나라 문화예술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공공문화예술기관의 경영성과를 재무적 성과와 비재무적 성과로 구분하고, 경영성과 영향요인을 리더십 요인(비전), 운영관리 요인(전략 및 인적자원), 예술사업적 요인(예술기획 및 마케팅), 교류협력적 요인(지역사회·후원기업, 지역경제)으로 범주화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영향요인 모두가 재무적 성과와 비재무적 성과 전체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영관리 요인, 교류협력적 요인, 리더십 요인, 예술사업적 요인 순으로 영향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리더십 요인으로는 조직의 비전 체계성, 즉 구성원 상호 간에 비전에 대한 공감대를 도출할 수 있을 때 경영성과가 좋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운영관리 요인으로는 대관위주의 운영 및 부대시설사업의 확장보다는 지역민의 삶의 질 향상과 지역 문화예술인의 육성, 지역사회 공헌프로그램의 운영 등 공공성에 바탕을 둔 수익성 추구가 지속적인 성장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째, 예술사업적 요인으로는 창의성을 바탕으로 전문성과 자체 기획력이 경영성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교류협력적 요인으로는 기업의 문화마케팅에 대한 컨설팅 제공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볼 때, 공공문화예술기관이 지속성장하고 문화예술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재무적 성과뿐만 아니라 비재무적 성과를 중요시하는 방향으로 운영되고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