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Role and Importance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A Case Study of Malaysian Universities -

        류승완,김금현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0 한국언어문화학 Vol.7 No.1

        류승완, 김금현. 2010. 한국어 교육에 있어 문화교육의 역할과 중요성 -말레이시아 대학에서의 사례연구-. 한국언어문화학. 7-1. 117-144. 본고는 말레이시아에서의 한국어 교육에 있어 문화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실증적 조사를 통해 알아보는데 중점을 두었다. 한국은 물론 인근 동남아시아 국가들과는 달리 다인종, 다문화, 다종교 국가로 대별되는 말레이시아는 국어인 말레이어 외에도 중국어, 인도어 그리고 영어는 물론 토착민들의 토속어 등 사용언어에 있어서도 다언어 국가로 특징 지워진다. 80년대 중반부터 대학교 선택과목으로 보급된 한국어 교육은 언어구사능력 중심 교육에서 90년대 말부터 서서히 문화 교육을 도입하기 시작한다. 문화교육의 중요성을 인지하고는 있으나 실질적으로 한국어 학습자들이 어떠한 문화교육을 얼마나 필요로 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설문 및 인터뷰 방식을 채택, 단계별로 학습자들의 한국어 학습 목적 등에 관한 설문조사와 한국에 대한 지식 및 문화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세 그룹으로 나누어, 첫 번째 그룹은 한국어를 선택과목으로 수강하는 말레이시아 국립 대학교 학생들, 두 번째와 세 번째 그룹은 말라야 대학교 학생들로서 한국어를 선택과목으로 그리고 전공/부전공으로 하는 학생들을 나누어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각 세 그룹 학생들의 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관심이 많은 부분에 있어 일치하고 있음과, 앞으로 말레이시아에서의 한국어 교육에 있어 문화교육의 체계화와 및 비중이 높아져야 함을 제시하고 있다. (말레이시아 국립 대학교, 말라야 대학교)

      • KCI등재후보

        문화예술교육의 접근성 강화를 위한 신기술과의 결합과 실천 방안에 대한 고찰

        류승완,김수환,서영덕,이민하 한국문화예술경영학회 2020 문화예술경영학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혁신적 포용국가 달성과 서울어젠다에 의한 미래 문화예술교육 정책 개발, 역할 정립 그리고 새로운 비전 제시를 위해 포용적 관점의 문화예술교육 구도와 실천모델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문화예술교육의 보편적접근 관점에서 ‘포용과 배제’에 대한 문제 정립과 포용적 관점의 문화예술교육 구도 정립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포용’ 은 ‘사회적 배제’에 대한 상대적 개념으로서 기존의 사회 갈등에 대해 ‘빈곤’으로 접근하던 것과는 달리, ‘배제’ 개념을적용한 것으로, 이와 같은 맥락에서 문화예술교육에 ‘포용’의 개념은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배제를 인식하고 극복하는것으로서, 좁은 의미로는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접근성의 문제로, 넓은 의미로는 사회적 배제 현상에 대한 문화예술교육의 새로운 대응의 문제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과 신기술의 결합 및 실천을 통해 교육 과정을 촉진하고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교육 과정은 접근, 학습, 수행의 세 단계로 구성되며, 각 단계에서의 신기술 적용은 문화예술 교육에 대한 접근성, 학습의 용이성 및 예술적 표현의 우수성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새로운 기술혁신은 문화예술교육에 긍정적인 영향뿐만 아니라 부정적인 영향도 미칠수 있음을 인지하고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보편적 접근을 위해서는 포용적 문화예술교육의 정의와 조건을 구체적으로정립하고 각 과정에서 필요한 요소 파악을 바탕으로 ICT 융합의 전략 수립과 실행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포용적 문화예술교육의 목적은 사회적 배제를 극복하고 연령, 성별, 장애, 사회적 지위, 경제적 상황, 거주지 등과 관계없이 동등한 기회를 보장하는 것이기 때문에 참여자들의 구체적인 욕구를 적극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new vision for future arts education policies and programs to implement the Seoul Agenda as well as to further achieve the administration's goal of an innovative, inclusive nation. Especially, it focuses on the issue definition of inclusion and exclusion, and the creation of an arts education model based on the perspective of the universal and sustainable access to arts education. While the issue of social discrimination or inequality has been primarily concerned with poverty or economic disadvantage, this study addresses the disrespect of the differences in culture and thoughts as the main reason for social exclusion. Therefore, ‘inclusion’ is basically the opposite concept of ‘social exclusion’, characterized by a situation in which individuals or communities are fully involved in society. In the same context, the meaning of inclusion in arts education refers to 1) access to arts education in a narrow sense, and 2) a new approach of arts education to address social exclusion in a broad sense. In “Technology conversion and implementation for expanding access to arts education”, we expected that the integration of ICT into classroom settings can facilitate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and can improve the quality of access.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consists of three stages including access, learning and performance. At each stage, new technology can help improve access to arts education, ease of learning, and excellence in artistic expression. However, a new technological innovation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may have both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n arts education. In order for universal access to arts education, the creation and implementation of ICT convergence strategy must be completed after the definition and condition of inclusive arts education are established in detail, and all necessary elements at each procedural stage are identified. Since the purpose of inclusive arts education is to overcome social exclusion and to guarantee equal opportunities regardless of age, gender, disability, social status, economic circumstances, place of residence, it is important to deeply understand the specific needs of participants in a proactive manner.

      • KCI등재

        1920~1930년대 조선학의 분화에 대한 일 고찰

        류승완 숭실사학회 2013 숭실사학 Vol.0 No.31

        이 논문은 1920~1930년대 조선연구를 ‘관학’ㆍ‘전통적 조선학’ㆍ‘진보적 조선학’으로 분류하여 설명하였다. 관학은 경성제국대학ㆍ명륜전문ㆍ혜화전문 등 고등교육기관에서 연구·육성되었다. 식민지 근대화론은 ‘민족을 부정하는 근대국가’라는 모순을 안고 있었다. 이는 경성제대의 관학에 그대로 투영되었다. 경성제대 교수진은 식민통치와 전쟁이데올로기 개발에 충실하였다. 조선의 친일지식인들은 ‘동양문화’ㆍ‘황도유학’ㆍ‘황도불교’ 등 대동아공영의 하위담론을 통해 여기에 협력하였다. 반면, 관학에 대립하는 민족주의 조선학은 전통적 조선학과 진보적 조선학의 두 흐름이 있었다. 전통적 조선학은 조선후기 실학을 통해서 전통을 재구성하려 하였다. 이는 1935년 다산서거 1백주년을 계기로 본격화되었다. 전통적 조선학의 주체는 정인보 등 양평학과 문일평 등 민중사관 계열의 민족주의 학자들이었다. 한편, 진보적 조선학은 관학과 전통적 조선학을 비판하면서 조선연구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였다. 그 주체는 김태준ㆍ신남철ㆍ박치우 등 경성제대 미야케 교수의 영향을 받은 신진학자들과 사회주의계열 지식인들이었다. 이들은 전통연구의 현재성과 사회과학적 방법론을 중시하였다. 김태준이 정인보의 실학연구를 비판하면서 ‘민족주의 조선학’ 전체는 풍부해졌다. 김태준은 ‘실학파’를 ‘현실학파’로 불렀다. 그리고 조선문화의 특수성과 보편성에 대한 논의에서 백남운은 보편성을, 박종홍은 특수성을 강조하였다. 신남철은 양자를 종합하는 보편적 특수성을 제기하였다. 진보적 조선학은 문학사와 철학 등 분야에서 독자적 성과를 산출하였다. 그 업적과 문제의식은 한국학의 사상사적 연속성 측면에서 재조명되어야 한다. This paper classifies and describes Korean studies in the 1920s and 1930s in three categories: government-oriented studies, traditional studies and progressive studies. The government- oriented study was researched and developed within the framework of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such as Gyeongseong Imperial University, the Myungryun Professional School and the Hyehwa Professional School. A colonial modernization theory uses an oxymoron (contradictory adjective) of “a modern state denying nation.” This is completely reflected in the Koreanology developed by the Gyeongseong Imperial University. The faculty of the Gyeongseong Imperial University, an academic bureaucracy of Japanese Imperialism, was faithful to the ideological development of rule over the Chosun Dynasty and invasion of China through the government-oriented study. The government-oriented study of the Oriental Culture, Japanese Imperial Confucianism and the Japanese Imperial Buddhism were sub- discourses of the Greater East Asia Public Management that collaborated with Japanese Imperialism. The Nationalistic Koreanology opposing the government-oriented Koreanology is classified into two groups: Traditional Koreanology and Progressive Koreanology. The Traditional Koreanology tried to reconstruct tradition through Silhak, the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of the late Chosun Dynasty. The main agents of the Traditional Koreanology were nationalistic scholars like Jeong In-bo and Mun Il-pyeong. The Progressive Koreanology was represented by new scholars from the Gyeongseong Imperial University like Kim Tae- joon and socialist intellectuals. They suggested a new direction of the Koreanology criticizing the government- oriented study and the Traditional Koreanology, and sought the globalization of Korean culture through these studies.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