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만성 간질환에서 혈중 Gelatinase (Matrix Metalloproteinase-2와 9)의 측정 의의

        권오상,임도윤,권광안,정문기,박동균,김선숙,김연석,권소영,구양서,김유경,최덕주,김주현,황유진,변관수,이창홍 대한간학회 2003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9 No.3

        목적: Gelatinase (MMP-2와 9)는 기저막의 주구성요인 type IV collagen을 분해하는 효소로, MMP-2는 간경변과 MMP-0은 간세포암의 진행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만성 간질환과 MMP-2와 9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간기능이 정상이고 간질환이 없는 건강 대조군 10예, 만성 간염 15예, 간경변 18예, 그리고 간세포암 25예를 대상으로 혈장을 채취하여 MMP-2와 9의 활성을 보기 위해 zymography를 시행하였다. 결과: 혈장 MMP-2의 활성은 간경변군에서 건강 대조군(p=0.009)과 만성 간염군(p=0.011)에 비해 증가되어 있었으나 간세포암군과는 차이가 없었다. 혈장 MMP-9의 활성은 간경변군에서 건강 대조군에 비해 증가되어 있었으나(p=0.035), 만성 간염군과 간세포암군과는 차이가 없었다. 간세포함이 없는 간경변군 15예와 간세포암을 동반한 간경변군 23예를 합친 총 간경변군 38예에서 MMP-2의 활성은 total bilirubin이 높을수록 (r=0.323, p=0.048) 그리고 Child-Pugh 점수가 높을수록(r=0.414, p=0.012) 증가되어 있었다. 총 간경변군에서 MMP-2와 MMP-9의 활성은 알코올 성 간경변군에서 HBV에 의한 간경변군 보다 현저히 증가되어 있었다(각각 p=0.009, p=0.002). 결론: 혈장 MMP-2의 활성은 간경변의 진단과 중증도에 유용한 표지자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혈장 MMP-9의 활성은 간세포암에서의 유용성은 적으리라 생각되나 알코올성 간경변의 진단적 표지자로는 유용하리라 생각된다. MMP-2와 MMP-9의 활성은 간경변의 원인 별로 차이가 나는 것으로 생각되며 그 이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Background/Aims: Gelatinase (matrix metalloproteinase (MMP) -2 and 9) has an important role in the pathogenesis of liver cirrhosis (LC) and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relationship of gelatinase to chronic liver disease. Methods: Four groups of subjects were examined; healthy control (10 cases), chronic hepatitis (18 cases), LC (15 cases), and HCC (28 cases). The plasma of each subject was obtained, and the equal quantification of plasma protein was done. The plasma activities of MMP-2 and 9 were measured by zymography. Results: The activities of plasma MMP-2 in patients with LC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controls (p=0.009) and in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p=0.011), but not different from those in patients with HCC. The activities of plasma MMP-9 in patients with LC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controls, but not different from those in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or HCC. In patients with LC (regardless of having HCC), the activities of MMP-2 correlated with total bilirubin (r=0.323, p=0.048) and Child-Pugh score (r=0.414, p=0.012). The activities of MMP-2 and 0 were higher in patients with LC (regardless of having HCC) caused by alcohol than caused by HBV (p=0.009 and 0.0002 for each one). Conclusions: The plasma activity of MMP-2 may be a useful marker for the diagnosis and determination of the severity of LC. The plasma activity of MMP-9 was not useful for HCC, but may be a marker for alcoholic LC. Further study is needed to determine why the plasma activity of gelatinase was higher in patients with LC caused by alcohol than by HBV.(Korean J Hepatol 2003;9:222-230)

      • KCI등재

        간경변 환자에 발생한 비외상 횡문근융해증의 임상 특성

        김민정 ( Min Jeong Kim ),이홍식 ( Hong Sik Lee ),김경진 ( Kyung Jin Kim ),정록선 ( Rok Son Choung ),임형준 ( Hyung Joon Yim ),이상우 ( Sang Woo Lee ),최재현 ( Jai Hyun Choi ),김창덕 ( Chang Duck Kim ),류호상 ( Ho Sang Ryu ),현진해 대한소화기학회 2005 대한소화기학회지 Vol.46 No.3

        목적: 횡문근융해증은 다양한 비외상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고 급성신부전 등의 합병증이 동반될 수 있는 질환이다. 그러나 간경변 환자들에서 발생한 비외상 횡문근융해증은 몇몇 산별적인 보고가 있을 뿐이고 임상 특성은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상태이다. 저자들은 알코올 및 비알코올 간경변 환자들에게 병발된 비외상 횡문근융해증의 임상 특성을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0월부터 2004년 9월까지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소화기내과에 간경변으로 입원한 환자 중 외상 없이 자발적인 횡문근융해증의 소견을 보인 19예를 대상으로 임상 특성, 검사 소견 및 치료 성적을 분석 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 19예 중 남자 14예, 여자 5예였고, 평균연령은 49.6세(32-74세)였다. 알코올 간경변에 병발한 횡문근융해증군은 알코올(50.0%)이, 비알코올 간경변에 병발한 횡문근융해증군은 분명한 원인이 없는 자발적인 경우(69.2%)가 주된 원인이었다. 알코올 간경변에 병발한 횡문근융해증군은 대체로 비특이 증상을, 비알코올 간경변에 병발한 횡문근융해증군은 전형적인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았다. 대상 간경변군에서는 사망한 환자가 없었으나, 비대상 간경변군에서는 8명(57.1%)이 사망하여, 비대상 변화 유무에 따른 사망률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4). 핍뇨는 8예(42.1%), 급성신부전은 12예(63.2%)에서 발생하였고, 전체 사망 환자 수는 8예(42.1%)였다. 핍뇨와 급성신부전이 발생하였을 때 사망률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 간경변 환자에서 비외상 횡문근융해증은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질환으로 특히 비대상 간경변 환자와 경과 중 핍뇨와 급성신부전이 발생한 경우에서 사망률이 높았다. 따라서, 간경변증 환자에서 횡문근 융해증의 발생 가능성을 항상 염두에 두고 의심될 경우 신속히 진단하여 적극적인 치료를 시행해야 한다. Background/Aims: Rhabdomyolysis is a serious and lethal condition that can be induced not only by traumatic causes but also by a variety of nontraumatic causes. However, there are few reports about rhabdomyolysis developed in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We carried out this study to elucid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courses of rhabdomyolysis in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Methods: We analyzed 19 cases of nontraumatic rhabdomyolysis in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who had admitted at Korea University Ansan Hospital between October 2001 and September 2004. Results: Alcohol (50%) was the main etiology of rhabdomyolysis in alcoholic liver cirrhosis patients, and the precipitating factors were not apparent (69.2%) in majority of nonalcoholic liver cirrhosis patients with rhabdomyolysis. Nonalcoholic liver cirrhosis patients had complaints of pain referable to the musculoskeletal system, but alcoholic liver cirrhosis patients had no typical complaints. Mortality of rhabdomyolysis in liver cirrhosis patients was high (42.1%), especially in decompensated liver cirrhosis patients (p=0.04). In nonalcoholic liver cirrhosis patients, the development of oliguria (p=0.007) and acute renal failure (p=0.049) in the course of rhabdomyolysis increased the mortality significantly. Conclusions: In cirrhosis patients, rhabdomyolysis showed a poor prognosis, especially in nonalcoholic liver cirrhosis with oliguria, acute renal failure, or decompensated liver cirrhosis. It is believed that a high clinical suspicion for the occurrence of rhabdomyolysis in liver cirrhosis patients can lead to quicker recognition and better patient care. (Korean J Gastroenterol 2005;46:218-225)

      • 2006년 대한간학회 학술연구기금 당선과제 결과 및 중간결과 보고 : 간경변성 심근병증의 새로운 진단법 개발: 도브타민 스트레스 심초음파

        백순구,김문영 대한간학회 2007 추계 학술대회 Vol.13 No.-

        배경 및 목적: 간경변증 환자는 간경변증을 일으킨 원인에 관계없이 잠재적 심장기능장애인 간경변성 심근병증(cirrhotic cardiomyopathy)을 가질 수 있는데, 이러한 심근병증은 간이식이나 TIPS (transjugular intrahepatic portosystemic shunt) 같은 치료 시에 심각한 심부전증으로 진행할 수 있어, 특히 수술 전 진단이 필수적 이다. 이에 임상에서 비교적 간단하고 안전하게 간경변성 심근병증을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간경변성 심근병증 환자의 심장세포는 베타수용체의 부재로 인해 도브타민과 같은 베타 agonist에 반응을 하지 않는 특징을 지닌다. 따라서, 도브타민을 투여하면서 심장초음파로 심장수축 및 이완 기능을 측정하면 간경변성 심근병증의 존재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간경변증으로 진단 받은 총 7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도브타민 스트레스 심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여 간경변성 심근병증의 존재를 진단하였다. 도브타민 스트레스 심초음파 검사 양성의 진단 기준은 1) 10% 미만의 end-diastolic volume의 감소, 2) 20% 미만의 end-systolic volume의 감소, 3) 10% 미만의 ejection fraction 증가 세 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결과: 총 71명의 간경변증 환자와 7명의 정상대조군을 대상으로 시행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평균나이는 47.0±10.9세였고, 정상 대조군에 비해 간경변증 환자에서 이완기 장애를 나타내는 baseline 및 peak E/A ratio가 증가되어 있었다(p<0.01). 정상 대조군에서는 도브타민 스트레스 심초음파 검사에서 양성 반응이 없었던 것에 비해, 간경병증 환자 71명 중 18명인 25.4%에서 도브타민에 반응을 하지 않아, 도브타민 스트레스 검사 양성을 보였다. 따라서 대상 환자의 25.4%에서 간경변성 심근병증을 진단할 수 있었다. 도브타민 스트레스 검사 양성군과 음성군 사이에는 baseline과 peak기 사이에 EF, EDV, ESV의 변화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결론: 도브타민 스트레스 심초음파 검사는 간이식과 같은 주요 수술을 앞둔 간경변증 환자들 중에서 수술 후 심부전증으로 발전할 수 있는 잠재적 심근병증 환자를 찾아내는데 도움이 되는 안전하고 비교적 간단한 검사법이다. Background and Aim: The blunted ventricular systolic and diastolic contractile responses to physical and pharmacological stress in cirrhosis are termed cirrhotic cardiomyopathy (CCM). However, objective diagnostic criteria and screening tools for CCM are indefinite. CCM contains multiple defects in the β-adrenergic signaling pathway, and stimulation by norepinephrine or other catecholamines is blunted. Hence, we aimed to evaluate the value and safety of dobutamine stress echocardiography (DSE) for the diagnosis of CCM in patients with cirrhosis. Material and Methods: Seventy-one cirrhotic patients (mean age; 51.5±8.5 yrs) with normal left ventricular (LV) chamber size and ejection fraction were enrolled. The LV systolic and diastolic functions were evaluated by two-dimensional and Doppler echocardiography at rest and peak dobutamine infusion (40 μg/kg/min). An abnormal response was defined as a less than 10% decrease in LV end-diastolic volume (ΔLVEDV), 20% decrease in end-systolic volume (ΔLVESV), and 10% increase in LV ejection fraction (ΔLVEF) at peak dobutamine infusion by previous criteria and these echocardiographic indices were measured by modified Simpson`s method. In addition, the E/A ratio and diastolic parameter were also measured. Results: A blunted LV response to dobutamine was observed in 18 of 71 cirrhotic patients (25.4%). The Child-Pugh`s score in normal DSE response and blunted response were 7.8±1.7 and 7.1±2.0, respectively (p>0.05). The MELD score in normal DSE response and blunted response were 10.7±3.8 and 10.5±4.0, respectively (p>0.05). Baseline EF was significantly higher in eighteen blunted DSE response patients than that of normal DSE response patients (p<0.05). Baseline and peak E/A ratio which is common diastolic dysfunction markers were higher in the cirrhosis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p<0.01). No adverse event related with DSE was observed. Conclusions: Blunted cardiac response by DSE was observed in 25.4% of subjects with cirrhosis, and no circulatory complication related with dobutamine infusion occurred during DSE. Our results showed that DSE might be a useful and safe modality for the screening and diagnosis of latent cardiac dysfunction such as CCM in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 간경변증과 간세포암 환자에서 원인에 따른 Child-Pugh 점수, PGA 지수와 MELD 점수간의 상관관계

        문병식,안혁수,안득수,이승옥 대한간학회 2003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9 No.2

        서론: 간경증변의 정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것은 여러 면에서 매우 중요하며, 이의 척도로 Child-Pugh 점수를 가장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고, 또 다른 척도로서 PGA 지수와 MELD 점수가 이용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간경변 환자와 이에 동반된 간세포암 환자에서 각각 알콜에 의한 경우와 바이러스성 간염에 의한 경우로 나누고, 각각에서의 Child-Pugh 점수, PGA 지수와 MELD 점수를 측정하고, 이들 척도간의 상관 관계와 각각의 원인에 따른 척도간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0년 3월부터 2002년 7월까지 알코올과 B형 간염바이러스에 의한 간경변증 또는 간세포암으로 진단된 339명의 환자에 대해 챠트를 분석하여, 간경변증과 이에 병발된 간세포암으로 진단된 경우로 구분하고 각 원인에 따라 네가지군으로 분류하였다: 알코올에 의한 간경변증 환자군: LC-Al, B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간경변증 환자군: LC-B, 알코올에 의한 간경변증에 병발된 간세포암 환자군: HCC-Al,B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간경변증에 병발된 간세포암 환자군: HCC-B. 각 네군 환자의 Child-Pugh 점수, PGA 지수와 MELD 점수를 측정하여 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총 399명 중 간경변으로만 진단된 환자는 201명 (LC-Al: 100명, LC-B: 101명)이었고, 간경변을 동반한 간세포암으로 진단된 환자는 138명 (HCC-Al: 31명, HCC-B: 107명)이었다. Child-Pugh 점수, PGA 지수 및 MELD 점수의 평균값은 각 군간의 통계학적인 차이가 없었다. 모든 환자군에서의 Child-Pugh 점수와 PGA 지수간의 상관관계는 정비례 관계를 보였으며(LC-Al 0.602, LC-B 0.770, HCC-Al 0.435, HCC-B 0.502), Child-Pugh 점수와 MELD 점수간의 상관 관계는 또한 정비례 관계이었다(0.548, 0.794, 0.708, 0.670). PGA 지수와 MELD 점수간의 상관 관계는 HCC-Al 군을 제외한(0.236) 다른 세 군에서 정비례 관계를 보였다(0.419, 0.622, 0.348). 질환별 상관 관계는 간세포암이 병발된 환자군보다 간경변증만 있는 환자군에서 상관계수 값이 더 높은 경향을 보였고, 원인별 상관 관계는 알코올에 의한 환자군보다 B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경우에 상관계수 값이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결론: 간경변증 환자와 간세포암 환자에서 Child-Pugh 점수, PGA 지수와 MELD 점수간의 상관 관계는 정비례하였다. 간경변증만 있는 환자에서 간세포암 환자에 비해 각지수간의 상관계수 값이 높은 경향을 보였고, 원인이 B형 간염 바이러스인 경우에 알코올인 경우 보다 상관계수 값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Background/Aims: to determine the treatment modalities and the prognosis of a patient with liver cirrhosis, quantitative estimation of liver function is important. We assessed the Child-Pugh score (CPS), the common method as a severity index for the cirrhosis, the Promthombin, Υ-GT, and Apolipoprotein Al (PGA) index and model for end-stage liver disease(MELD) sc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se indices in the patients with cirrhosis only and hepatocellular carcinoma (PHC), according to underlying causes (HBV and alcohol). Methods: We reviewed medical records of 339 cirrhotic patients with/without hepatocellular carcinoma and divided patient groups by disease and underlying cause: cirrhosis caused by alcohol; LC-Al, hepatocellular carcinoma with cirrhosis caused by HBV; HCC-B. We assessed the CPS, PGA index and MELD score and calculate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se scores. Results: Among the total of 399 patients, 201 patients were diagnosed on the liver cirrhosis only, and 138 patients on the hepatocellular carcinoma with cirrhosis. In each groups, mean score valu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CPS, PGA index and MELD score. The correlation of CPS, PGA index and MELD score in all groups, except for the correlation of PGA index and MELD score in HCC-Al group, was significantly positive (p<0.05). Compared to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ree indices, the patients with cirrhosis only had higher tendencies than the patients with hepatocellular carcinoma. The patients by HBV had higher tendencies than by alcohol. Conclusions: The correlations between CPS, PGA index and MELD score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in the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only and hepatocellular carcinoma with cirrhosis (except in HCC-Al group). The patients with cirrhosis only had higher correlation coefficients than the patients with PHC and patients by HBV had higher than by alcohol.

      • KCI등재후보

        알코올성 간경변 환자와 바이러스성 간경변 환자에서의 감염 발생 빈도의 비교

        한상표 ( Sang Pyo Han ),김정욱 ( Jeong Wook Kim ),김석원 ( Suk Won Kim ),허채 ( Chae Heo ),김광진 ( Kwang Jin Kim ),김형준 ( Hyung Joon Kim ),도재혁 ( Jae Hyuk Do ),김재규 ( Jae Gyu Kim ),장세경 ( Sae Kyung Chang ),박실무 ( Sill 대한내과학회 2006 대한내과학회지 Vol.71 No.4

        목적: 감염은 간경변 환자에서 자주 발생하고 중요한 합병증이다. 특히 알코올에 의한 간경변증 환자에서 감염이 다른 원인에 의한 간경변증보다 자주 발생한다는 보고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알코올성 간경변증과 다른 원인에 의한 간경변증과의 감염 양상을 비교하기 위하여 알코올성 간경변증과 바이러스성 간경변증에서 감염의 발생빈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방법: 4개월간 입원했던 환자 중 12개월 이상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190명의 간경변증 환자(알코올성 83명, 바이러스성 107명)의 539예의 입원(알코올성 242예, 바이러스성 297예)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190명의 간경변 환자에서 추적기간동안 82명(43.2%)의 환자에서 세균감염이 동반되었으며, 알코올성 간경변 환자는 34명(41.0%)에서 바이러스성 간경변 환자는 48명(44.9%)에서 감염이 발생하였다. 539예의 간경변 환자의 입원 예에서 Child-Pugh 분류와 복수, 간성뇌증, 위장관출혈, 위식도정맥류 등의 합병증의 동반 및 생존유무, 혈액학적 검사 수치에 따른 감염빈도가 두 질환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원인균주는 두 질환군 모두에서 장내세균과 그람음성균이 많았으며 감염의 원인병소의 양상도 차이가 없었다. 결론: 알코올성 간경변증과 바이러스성 간경변증에서 감염의 빈도가 차이를 보이지 않으므로 간경변에서 질환의 원인과 상관없이 그람음성균 및 장내세균에 의한 감염성 합병증을 줄이기 위한 시도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Background: Some studies have reported that bacterial infection is more common in alcoholic compared to non-alcoholic liver cirrhosis such as viral liver cirrhosis. However, other studies report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bacterial infection rate between alcoholic and non-alcoholic liver cirrhosi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frequency of bacterial infection between alcoholic and viral liver cirrhosis. Methods: We analyzed 190 cirrhotic patients (alcoholic 83, viral 107) with 539 hospitalized cases (alcoholic 242, viral 297) who were followed for more than 12 months. Results: During the follow up period, 82 patients (43.2%) presented with bacterial infections that developed in 34 (41.0%) patients with alcoholic liver cirrhosis and 48 (44.9%) patients with viral liver cirrhosi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bacterial infection including community acquired and nosocomial infection between alcoholic and viral cirrhotic patients regarding the Child-Pugh class, various laboratory parameters and site of infection. Gram-negative and enteric bacterial strains were the most frequently isolated pathogens in both groups. Conclusion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infection between patients with alcoholic and viral liver cirrhosis. Further efforts are needed to reduce bacterial infection by gram negative and enteric bacteria in patients with both alcoholic and viral cirrhosis.(Korean J Med 71:362-370, 2006)

      • SCOPUSKCI등재

        포스터 전시 : 만성 간질환 환자에서 혈청 및 복수내 보체 3/4의 임상적 중요성

        방승민,전재윤,김자경,박영수,박준용,백용한,문병수,이관식,한광협,문영명 대한간학회 2003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9 No.3(S)

        배경/목적: 복수를 동반한 간경변증에 있어 낮은 농도의 복수내 단백질 및 알부민은 자발성 복막염의 위험인자로 널리 알려져 있다. 또한 일부 보고에 의하면 간경변증 환자군 중 혈청 또는 복수 C3/C4의 농도가 낮은 경우 자발성 복막염이 자주 발생한다고 보고되었다. 그러나 혈청 또는 복수 C3/C4 농도와 자발성 복막염 발생의 인과관계는 아직 명확히 규명된 바가 없다. 이에 연구자들은 만성 간염부터 자발성 복막염을 동반한 간경변증까지 만성 간질환 환자에서 질병의 중증도에 따른 혈청 및 복수 C3/C4의 변화를 관찰하여, 자발성 복막염과 C3/C4사이의 인과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2년 5월부터 2003년 2월까지 본원 소화기 내과에서 만성 간염 또는 간경변증으로 진단되어 추적 관찰 중인 총 104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은 만성 간염군(I군), 복수를 동반하지 않은 간경변군(II군), 무균성 복수를 동반한 간경변증군(III군) 및 자발성 복막염을 동반한 간경변군(IV군)의 4군으로 분류하였다. 각각의 군에 있어 혈청 C3/C4 및 복수 C3/C4를 측정하였으며, IV군은 치료 시작 후 0, 3, 7일째 혈청 및 복수 C3/C4를 추가로 검사하였다. 결과: 총 104예 중 I군이 17예, II군이 18예, III군이 51예, IV군이 18예였다. 각 군의 혈청내 C3값은 A군이 89.8 mg/dl로 나머지 군들에 비하여 높게 측정되었으며, 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value<0.05). 복수를 동반한 간경변증군인 III군과 IV군의 복수 C3/C4값은 각각 7.60/ 1.88 mg/dL, 6.78 / 1.53 mg/dL로 자발성 복막염을 동반한 경우 보다 낮은 경향은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무균성복수를 동반한 환자군(III군)을 추적 관찰한 결과 Child-Pugh 분류상 C군이 혈청 C3가 낮았고, A, B군에 비하여 보다 짧은 기간에 자발성 복막염이 발생하였다. 결론: 만성 간질환 환자들에 있어 질환의 중증도가 심해짐에 따라 혈청과 복수 C3/C4가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며, 특히 무균성 복수를 동반한 경우 간기능이 불량할수록 혈청 C3의 농도가 낮고, 이는 보다 짧은 기간에 자발성 복막염이 발생하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복수를 동반한 간경변 환자의 장관벽 두께, 탄성도, 장 투과성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변화

        이상혁 ( Sang Hyuk Lee ),권헌주 ( Heon-ju Kwon ),김남희 ( Nam Hee Kim ),김홍주 ( Hong Joo Kim ),조용균 ( Yong Kyun Cho ),전우규 ( Woo Kyu Jeon ),박은혜 ( Eun Hye Park ),김병익 ( Byung Ik Kim ) 대한내과학회 2019 대한내과학회지 Vol.94 No.6

        목적: 과거 연구들에서 내독소혈증이 간경변증의 병인과 합병증에 연관되어 있음이 보고되었다. 내독소는 염증성 사이토카인 분비를 촉진시키고, 이는 간경변증에서 합병증의 발생에 기여한다. 간경변증에서는 문맥 고혈압 장병증으로 인하여 장투과율이 증가하고, 내독소는 장벽 방어 시스템을 쉽게 침범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간경변증 환자에서 사이토카인 및 장투과율의 변화를 확인하고 초음파를 이용하여 장벽의 두께 그리고 탄성도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방법: 저자들은 Child-Pugh B와 C로 분류된 간경변증 환자 40명과 건강한 대조군 20명을 모집하였다. 복부 초음파검사를 통하여 상행결장 및 말단 회장에서 장벽 지표를 측정하였다. 장투과율은 락툴로오스와 만니톨을 이용한 이중 설탕 흡수 테스트를 이용하였다. TNF-α 및 IL-10을 측정하기 위하여 혈액 샘플을 수집하였다. 이 지표들에 대하여 간경변증 환자군와 대조군 간의 결과 및 Child-Pugh B와 C 환자군 간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사이토카인, 장투과율과 장벽 지표의 상관관계를 확인해 보았다. 결과: 간경변 환자에서 상행결장의 장벽 탄성은 감소되었으며(20.4 vs. 10.9 kPa, p = 0.048), 말단 회장의 장벽 두께는 증가되었다(4.2 vs. 1.9 mm, p < 0.001). 장 투과율 및 사이토카인(TNF-α 및 IL-10)은 증가되었다(0.219 vs. 0.017, p < 0.001; 22.47 vs. 13.48 pg/mL, p < 0.001; 14.91 vs. 8.57 pg/mL, p = 0.019). 그러나 Child-Pugh B와 C군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장벽 지표와 장투과율 또는 사이토카인 간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론: 간경변증 환자에서 초음파 검사를 통하여 장벽이 두꺼워지고 탄성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장투과율 및 사이토카인은 건강한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Background/Aims: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that endotoxemia is associated with pathogenesis and complications in cirrhosis. Endotoxin stimulates the secret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which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complications. In addition, endotoxin easily invades the gut barrier system because of the increased intestinal permeability due to portal hypertensive enteropathy. In this report, we explored changes in cytokine levels and intestinal permeability and measured the thickness and elas-ticity of the bowel wall using ultrasonography in cirrhotic patients. Methods: We enrolled 40 patients with cirrhosis classified as Child-Pugh B or C and 20 healthy volunteers. Abdominal ultra-sonography examinations were used to evaluate bowel wall parameters in the ascending colon and terminal ileum. Intestinal perme-ability was measured using dual sugar absorption tests with lactulose and mannitol. Levels of tumor necrosis factor (TNF)-α and IL-10 were determined from blood samples. We compared these outcomes between cirrhotic patients and healthy controls and be-tween Child-Pugh B and C patients. In addition, we explored the correlation between cytokine levels, intestinal permeability ratio, and bowel wall parameters in cirrhotic patients. Results: In cirrhotic patients, the ascending colon wall elasticity decreased (20.4 vs. 10.9 kPa, p = 0.048) and the terminal ileum wall thickness increased (4.2 vs. 1.9 mm, p < 0.001). The intestinal permeability ratio and levels of the cytokines TNF-α and IL-10 increased (0.219 vs. 0.017, p < 0.001; 22.47 vs. 13.48 pg/mL, p < 0.001; and 14.91 vs. 8.57 pg/mL, p = 0.019, respectively) in cir-rhotic patient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hild-Pugh classes and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bowel wall parameters and intestinal permeability or cytokine levels. Conclusions: Ultrasonography revealed bowel wall thickening and decreases in elasticity; in addition, intestinal permeability and cytokine levels increased in cirrhotic patients compared with healthy controls. (Korean J Med 2019;94:511-518)

      • 간이식 대기 중인 간경변 환자에서 의미 있는 폐내 단락의 빈도와 이와 연관된 인자에 관한 연구

        이지민,최문석,이상철,박승우,배문희,이준혁,고광철,백승운,이풍렬,김재준,이종철 대한간학회 2002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8 No.3

        목적: 간폐증후군은 간질환이 있는 환자에서 저산소증이 유발되는 상태로서, 폐내 단락이 그 주된 기전으로 알려져있다. 간이식은 간폐증후군의 유일한 치료 방법으로 알려져 있고, 이식 후에 폐내 단락의 정상화가 일어날 수 있다. 그러나 간이식을 시행할 경우 가역성을 미리 예측할 수 없는 것이 문제이다. 국내에서는 이식 대기중인 간경변증 환자에서의 폐내 단락의 유병률에 관한 연구가 아직 없는 실정이다. 저자 등은 간이식 대기중인 간경변증 환자에서 의미 있는 폐내 단락의 유병률과 폐내 단락과 연관된 위험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1999년 11월부터 2001년 2월까지 삼성서울병원 에서 간경변증이나 이에 동반된 간암으로 간이식 대기 중인 환자 57명 (남 : 여 = 38 : 19, 연령 18∼71 세, 중앙값 49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간경변증의 원인은 B형 간염이 47명, C형 간염이 4명, 그 외 알코올과 윌슨병, 원발성 담도성 간경변증 등이 6명이었고, 전체 환자 중에 간암이 동반된 환자는 13명이었다. 이들에게 조영 증강 심초음파를 시행하여 폐내 단락의 유무 및 정도를 평가하였으며, Ⅱ등급 이상의 단락을 의미 있는 단락으로 보았다. 대상 환자를 의미 있는 단락을 가진 군과 그렇지 않은 군으로 나누어, 양 군 간의 간기능, 식도 정맥류 유무, 위 정맥류 유무, 복수, 간성 뇌증 유무를 비교하였다. 결과: 총 57명의 환자 중 의미 있는 폐내 단락을 가진 군 은 30명(52.6%)이었다. 의미 있는 폐내 단락은 Child- Pugh분류 C군에서 38명 중 24명(63.2%), A, B군에서 19명 중 6명(31.6%)으로 관찰되었다(p< 0.05). 의미 있는 폐내 단락이 있는 군과 없는 군 간의 성별, 나이, 간경변증 원인, 식도 정맥류 유무, 위 정맥류 유무, 복수, 간성 뇌증 유무 등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폐내 단락은 간이식 대기중인 간경변증 환자에서 흔히 관찰되는 소견이며, Child-Pugh 분류 C군은 의미 있는 폐내 단락의 위험 인자임을 알 수 있었다. Backgrounds/Aims: Hepatopulmonary syndrome is a condition of severe hypoxia with intrapulmonary shunt (IPS) in the setting of hepatic dysfunction. Liver transplantation has been suggested as a definite treatment for hepatopulmonary syndrome with reversal of IPS in some patients. Inconsistency of response and inability to predict reversibility, however, are significant problems. We performed this study to evaluate the prevalence of significant IPS in pretransplantation cirrhotic patients and to find any risk factors of IPS. Methods: Fifty-seven patients (M:F = 38:19, median age 49 years (range 18 - 71)) with liver cirrhosis awaiting liver transplantation were serially included. Their IPS status was evaluated using contrastenhanced echocardiography. Significant shunt was defined as a shunt of grade ≥2. Results: Significant IPS was detected in 30 (52.6%) among 57 patients. Significant shunt was found in 24 (63.2%) of 38 Child-Pugh class C patients and in 6 (31.6%) of 19 Child-Pugh class A or B patients (p<0.05).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valence of significant shunt was seen according to age, sex, presence or absence of hepatocellular carcinoma, ascites, hepatic encephalopathy, and gastroesophageal varix. Conclusion: Significant intrapulmonary shunt is a common finding in cirrhotic patients awaiting liver transplantation. Child-Pugh class C is the risk factor associated with high prevalence of significant shunt. (Korean J Hepatol 2002;8:271-276)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