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주거교육 연구의 동향육학회지와 일본가정과교육학회지를 중심으로-

        장상옥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7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1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trends of education researches on the housing in Korea and Japan. It was based on the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Journal of the Japan Associati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For the inquiry, 49 articles(20 from Korea and 29 from Japan) were collected from 1989 to 2006.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the articles of housing education was not quantitatively enough compared to the other fields in Korean and Japan. Second, regarding research fields, there were lots of articles about ‘the perception of housing education’ and ‘teaching-learning method & teaching materials’ in Korea. On the other hand in Japan, articles about ‘teaching-learning method & teaching materials’ and ‘the evaluation of education’ were major fields. Third, the major research topic was ‘overall of the housing education’ in Korea, while ‘living space’ in Japan. Fourth, the major data collecting method were questionnaire surveys and experiments, mostly targeting students and teachers from junior and high schools. Descriptive statistics such as frequencies, percentages and means were most often used for data analyses. 주제어(Key Words) : 주거교육(housing education), 연구동향(trends of research), 한국가정과교 육학회지(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일본가정과교 육학회지(Journal of the Japan Associati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이 연구는 주거교육 관련 논문을 분석하여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여 앞으로의 주거교육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와 일본가정과교육학회지를 대상으로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의 창간 시점인 1989년부터 2006년까지의 한국과 일본의 주거교육 연구의 동향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회지의 발행 현황은 한국과 일본의 모두 주거교육 관련 연구가 양적으로 많지 않았는데 일본의 경우가 한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았으나 최근으로 올수록 한국에서의 주거교육 관련 연구가 더욱 활발하다. 연구영역은 한국에서는 교과인식과 교수학습방법 및 교재연구가 많은 반면, 일본의 경우는 교수학습방법 및 교재연구와 교육평가에 대한 연구가 많았다. 연구주제단원은 한국에서는 주생활 단원 전반이 가장 많았던 반면, 일본은 주거공간에 대한 연구가 많았다. 연구방법은 한국과 일본 모두 조사연구와 실험연구 방법을 적용시킨 연구가 상당부분 차지하는데, 한국은 조사연구의 비율이 실험연구에 비하여 매우 높았고, 일본은 조사연구와 실험연구의 비율 차이가 많지 않은 편이었다. 연구대상은 한국과 일본 모두 학생을 연구대상으로 한 비율이 높았고 일본의 경우 연구대상의 범위가 다양하였다. 연구대상자의 규모는 한국과 일본 모두 300명대 이하의 연구가 대체로 많은 편이었다. 분석방법은 두 나라 모두 기술통계를 가장 많이 적용하고 있었다.

      • KCI등재
      • KCI등재

        실과(기술·가정)교육 분야 연구의 공저자 네트워크 분석

        이윤정,김은정,김지선 한국실과교육학회 2019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e of social network among co-authors, focusing on the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JKPAE),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JKHEE), and Journal of Korean Technology Education(JKTE). The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 was adopted in order to analyze the structures and structural attributes of co-author networks, the centrality indices of researchers, and the academic influences and relationships among autho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ntage of co-authored works in the three journals was 72.5% through 79.5%, which is relatively high, and the percentage for JKTE was the highest among the three. In case of JKPAE, the number of single author works was the highest, yet more two-author works were included in JKHEE and JKTE. Over 60% of the authors were professors in JKPAE and JKHEE, compared to 45.5% in JKTE, which indicates more diverse authors published in JKTE. For JKTE, the percentage of student authors was low, and the percentages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researchers, and others were higher than the other two journals. Second, the three journals’ co-author network analysis revealed that the density and average degree were highest for JKPAE, and lowest for JKHEE. JKHEE had twice as large the number of components than the other two journals, and the number of components size over 5 was also larger, with smaller mean distance and mean diameter. Third, the co-authors’ in-degree centrality, closeness centrality, node-betweenness centrality, and eigenvector centrality in the networks were calculated in order to identify the influential researchers in the fields. There were overlapping authors between JKPAE and JKTE, but not between JKPAE and JKHEE. Also, the influential authors among authors of JKPAE were more likely to be in the technology education field.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more interactions among the researchers are needed in Practical Arts(Technology & Home Economics) Education, through integrative and collaborative research. 이 연구는 실과(기술․가정)교육 분야의 연구자 간 학술 네트워크의 구성을 파악하기 위해 SNA를 활용하여 공저자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2010년부터 2018년 8월에 발간된 한국실과교육학회지, 한국기술교육학회지,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를 중심으로 NetMiner 4를 이용하여 공저자 네트워크를 구성하였으며, 그 구조적 속성과 연구자들의 중심성을 파악하여 저자의 학술적 영향력 및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 학술지의 공저논문의 비율은 72.5%에서 79.5%로 높은 편이었으며, 그 중 한국기술교육학회지의 공저비율이 가장 높았다. 한국실과교육학회지는 저자수 1명,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와 한국기술교육학회지는 저자수가 2명이 가장 많았다. 특히 한국기술교육학회지는 8명 이상의 다수 저자가 공저한 논문도 많았다. 학술지 저자의 직업은 한국실과교육학회지와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의 경우 60%이상이 교수였으나 한국기술교육학회지는 45.5%로 교수 외의 저자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 한국실과교육학회지는 학생의 비율 낮으며, 한국기술교육학회지는 교사, 연구원, 기타의 비율이 다른 두 학술지에 비하여 현저히 높았다. 둘째, 세 학술지의 공저자 네트워크 분석 결과 네트워크의 밀도와 평균 연결도는 실과교육 분야가 가장 높았고 가정교육 분야가 가장 낮았다. 또한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의 경우 컴포넌트의 수는 다른 두 학술지의 2배가 넘었으며, 5개 이상의 노드를 가지고 있는 컴포넌트수도 많았고, 평균 거리와 네트워크 지름도 다른 학술지에 비하여 짧은 편이었다. 셋째, 세 학술지의 공저자 네트워크의 연결 중심성, 근접 중심성, 매개 중심성, 아이겐벡터 중심성을 계산하여 각 연구 분야에서 높은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연구자들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한국기술교육학회지와 한국실과교육학회지의 저자들은 공통저자가 많은 데 비하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의 저자들은 한국실과교육학회지의 저자들과 공통된 경우가 많지 않았다. 또한 실과교육 분야의 저자들 중 영향력이 높은 집단은 대체로 기술교육 분야의 저자들임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실과(기술․가정)교육이 다양한 학문 공동체로서의 연구자들 간의 상호 교류를 통한 통합적, 융합적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 한국교육상담학회의 활동 방향 탐색: 한국교육상담학회의 활동과 학교상담 관련 학술논문의 주제를 중심으로

        임은미(Eun-Mi Lim) 한국교육상담학회 2023 교육상담연구 Vol.4 No.2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the Korean Education and Counseling Association(KECA)'s activities as an academic organization for counseling in education. For this purpose, an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academic activities of the KECA from 2020 onwards, as well as an analysis of the topics of papers published in major academic journals on educational counseling from 2013 to May 2023. The research results revealed the following. Firstly, the KECA has been publishing academic journals and organizing academic conferences since 2020. They have also been developing the curriculum for subjects such as 'Guidance and Counseling' and 'Understanding School Violence.' Through these activities, the association has established itself as a professional group of experts which study counseling from an educational perspective,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school system. As a result of analyzing papers published in related journals over the past decades, the subjects and targets of school counseling, school counseling methods and effects, school counseling research trends, school counseling systems and legalization studies have been underway. It can be seen that school counseling in Korea has a strong tendency to apply the knowledge and skills of counseling to schools rather than studying counseling based on schools. In order to implement sufficiently working school counseling in the school system, it was found that research on the field of counseling operating in the school system needs to be conducted more actively. 이 연구에서는 교육 장면에서의 상담을 위한 학술단체인 한국교육상담학회의 활동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20년부터 이루어진 한국교육상담학회의 학술 활동을 분석하고, 교육상담 관련 주요학술지에 2013년부터 2023년 5월까지 약 10년간 게재된 논문들의 주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한국교육상담학회는 2020년부터 학술지를 발간하고 학술발표회를 개최함과 아울러 교직과목인 [생활지도 및 상담]과 [학교폭력의 이해]의 구상 등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활동들을 통해 한국교육상담학회는교육학적 관점으로 학교체계를 고려하여 상담을 연구하는 전문가 모임으로서의 위치를 다지고 있다.최근 10년간 관련분야 학술지에서 발표된 논문들을 분석한 결과 학교상담의 주체와 대상, 학교상담 방법 및 효과, 학교상담 연구동향, 학교상담 제도 및 법제화 연구 등이 진행되고 있었다. 이 과정에서 우리나라 학교상담은 학교에 기반을 두고 상담을 연구하기보다는 상담학의 지식과 기술을 학교에 적용하고자 하는 연구 경향이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학교체계에서 충분히 작동하는 학교상담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한국교육상담학회를 중심으로 학교체계에서 작동되는 상담의 현장에 대한 연구들이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한국 종교교육학 연구의 분석적 탐색 :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및 한국종교교육학회 학술지를 중심으로

        손원영(Won-Young Sohn),김지혜(Jihye Kim) 한국종교교육학회 2005 宗敎敎育學硏究 Vol.21 No.-

        이 논문은 한국 종교교육학 연구를 대변하는 두 학술단체인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와 한국종교교육학회에서 발간하는 학술지, 곧 《기독교교육정보》,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 Information Technology, 그리고 《종교교육학연구》를 분석함으로써, 한국 종교교육학 연구의 특성을 알아보는데 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통해 드러난 한국 종교교육학 연구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종교교육학은 개별 연구자에 의한 연구에 지나치게 의존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한국 종교교육학은 하나의 ‘실천학’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이론과 실천 사이의 심각한 불균형의 상황 속에 위치해 있다. 셋째, 한국의 종교교육학 연구자들은 비교적 높은 종교적 관용의 정신을 갖고 있다. 넷째, 한국종교교육학 연구는 남성과 여성 연구자들 사이에 비교적 양성평등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다섯째, 한국종교교육학의 국제화수준은 아직 매우 낮은 편이나 점차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여섯째, 교육현장과 관련된 한국종교교육학 연구는 기독교의 경우 주로 교회를 중심으로 연구되고, 불교를 비롯한 다른 종교는 학교를 중시하는 특성을 갖고 있다. 일곱째, 후기현대적 주제에 대한 한국종교교육학계의 연구는 매우 빈약한 특성을 갖고 있다. 여덟째, 한국의 종교교육학 연구자들은 교육의 구성요소 중 주로 교육목적 및 연구방법론과 관련된 분야에 집중하는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아홉째, 한국의 종교교육학은 그 연구방법에 있어서 주로 인문학적인 연구방법, 곧 문헌연구방법에 크게 의존해 있는 특성이 있다.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current characteristics of Korean religious education research based on the analysis of major two Korean academic societies, i.e., Korea Society for Christian Education & Information Technology (KSCEIT), and the Kor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Religious Education (KASRE). Now, KSCEIT publishes two different journals, which are called by Christian Education & Information Technology (CEIT) and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 Information Technology (JCEIT). The former is Korean language-based journal, and the latter is based on English language for globalization of Korean religious education. On the other hand, KASRE also publishes one journal named by Korean Journal of Religious Education (KJRE). Accordingly, the researcher tried to analyses these three journals in terms of nine decisive factors, that is, collaborative focus, balance between theory and practice, religious tolerance, gender equality, globalization, educational context, post-modern issues, research field in terms of educational elements, and research methods. In conclusion,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Korean religious education research are appeared like followings: 1) heavily dependence on individual research rather than collaborative study, 2) discrepancy between theory and practice, 3) highly concern for religious tolerance, 4) balanced writers between two genders, 5) a little lower level of globalization, 6) focusing on church context in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but public school-oriented in Buddhist and other Korean traditional religious educations, 7) small concerns for post-modern issues except inter-faith/religious dialogue, 8) high concentration on philosophical and theological research field in comparison with curriculum and evaluation, 9) dependence on literature study rather than social science method lik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

      • KCI등재

        한국 사회과교육 70주년의 회고와 전망

        김원수(Kim, Wonsoo)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6 사회과교육 Vol.55 No.4

        한국의 사회과/사회교과(social studies)는 한국의 사회현상을 진단하고, 사회생활의 지혜를 함양하는 주축(主軸)교과로서 역사적 위상을 가지고 있다. 그 같은 위치는 한국 사회과교육의 성립과 발전 뿐 만 아니라, 사회교과의 연구와 교육 전반에도 역동성을 부여해왔다. 특히 한국사회과교육의 태동에 있어서 연구학회의 역할은 결코 간과될 수 없다. 왜냐하면 연구학회가 지향한 바, 한국적인 사회과교육의 토착화를 위한 개척자적 정신, 학제적 융합을 위해 열어 놓은 개방적인 학문연구의 장, 그리고 한국사회의 변화에 대한 비판적인 도전 정신은 한국사회과교육의 과거, 현재 뿐만 아니라 미래에도 지속가능한 발전의 원동력이 되리라 예상하기 때문이다. 그것은 본 학회를 거쳐 간 수많은 전 현직 교육자와 연구자들의 면모를 둘러봐도 충분히 드러난다. 그들은 동시대와 함께하거나, 앞서 나아가 시대와 사회의 변화를 감지하고 이를 교육의 장에 실천하려 하였다. 그 과정에서 국가건설을 둘러싸고 전개된 식민주의, 근대화, 민족/국가주의와 탈식민주의의 중층구조에서 발전론적 또는 종속주의적 담론의 장을 만들었다. 그리고 나아가서는 근현대적 발전을 둘러싼 한국사회의 민주화와 평등화와 병행된 포스트모던과 글로벌리제이션의 역사적 전환을 겪으며 이데올로기적 해체의 탈냉전과 글로벌 사회의 지구시민을 위한 사회과교육의 새로운 담론들을 만들기에 이르렀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국가주의적 이데올로기가 강하게 반영되었고, 총론중심적이며 영역간 분과적 통합교육과정이 지속됨에 따라, 현장과의 괴리 뿐 만 아니라 학교급 및 대학 교원 양성 체제의 왜곡이 심화되었다. 게다가 민주화 이후에는 사회교과의 영역 간 갈등과 분쟁이 노골화되어 사회과교육은 혼란과 위기를 맞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진단과 치유를 위한 대안이 필요하다. 주지하다시피 작금의 사회과는 어느 교과보다도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인 시대적 변화 뿐 만 아니라 역사적 변화에 민감해야 한다. 지난 세기말의 문화적 전환(cultural turn)과 새로운 세기의 글로벌 전환(global turn)은 인간의 자유와 평등과 우애에 기초한 인권의 존중, 인간과 자연의 조화를 통한 지구 환경의 보존으로 수렴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역사적 전환을 적극 반영한 새로운 사회과의 역동성은 수렴과 확산이라 판단된다. 그 지향점은 하나된 지구와 하나된 사회와 하나된 인간이다. 사회과를 통해 학습자가 인간주의적 사고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고, 사회와 국가의 갈등과 대결보다는 조화와 정의와 평화를 이루어내고, 세계인류가 국적, 종교, 언어 피부색에 관계없이 하나가 되어야함을 체득할 수 있으며, 그리고 인간이 자연을 지배한다는 오만함을 반성하고 새로이 자연환경의 질서와 생명을 존중할 수 있다는 이상이 사회과교육의 현실로 구현되어야 할 것이다. 21세기의 전지구적 요청에 부응하기 위해 사회과교육은 더 이상 분절적인 지식의 축적에 억매일 것이 아니라 새로운 현실을 창조하기 위해 글로벌한 사회와 교육을 지향하는 창조적이고도 미래에 지속가능한 능동적 학습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그것이 홍익인간과 지구시민의 길을 지향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This article is a key not speech which held in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f Korean Social Studies Association on August 20th, 2016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t consists of three chapters. The 1st chapter is related to the historical context of Korean Social Studies & Korean Social Studies Association. The 2nd chapter is to the historical phase and task of Korean Social Studies related on the curriculum. The last is to be the use of global approach as a scholarly nexus in social studies. All of these are to make the national standard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the global age. The aim is to become a human, one society & one Earth. I think it might have been oriented in the way of Hongikingan(홍익인간) and global citizen in the global age. Hongikingan (hanja: 弘益人間) is the unofficial national motto of South Korea. The phrase is English translated as “Benefit Broadly the Human World”.

      • KCI등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게재 논문의 연구동향: 최근 10년간(2009. 3~2018. 12)을 중심으로

        이정규,김은경,조재순,Lee, Jeong Gye,Kim, Eun Kyung,Cho, Jaesoon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9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31 No.2

        이 연구는 최근 10년간(2009. 3~2018. 12)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에 게재된 전체논문 354편을 대상으로 연구동향을 파악하고자 논문 발간현황(권, 호, 게재논문 수, 발간형태)과, 형식(연구자 수와 구성, 쪽수, 표와 그림 수, 참고문헌 수와 참고문헌 중 JKHEEA 논문 수), 내용(연구대상, 연구주제, 연구방법, 주제어)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결과는 학회지운영을 점검하고 연구방향을 탐색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는 한국연구재단의 등재학술지로서 가정과교육 관련연구를 선도하는 독보적인 전문학술지의 지위를 유지해오고 있다. 학회지발간은 2003년 이후 연 4회 발간체제를 지키고 있으나 게재논문수가 계속 감소하는 추세에 있다.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에 게재한 논문은 단독연구와 공동연구가 2:8 가량인 추세를 유지하면서 2인 공동연구가 가장 많긴 하지만 최근에는 3인 이상 다인수저자 연구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저자구성은 절반 이상이 교수와 대학원생이나 교사로 구성된 2, 3인 공동연구논문이다.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게재논문의 형식에서는 논문의 쪽수, 표와 그림수, 참고문헌 수에 있어 범위가 넓게 분포하여 개별논문 간 차이가 큰 특징을 갖고 있다. 대략 절반 이상의 논문이 이들 평균주변에 분포하고 있으나 우측으로 길게 뻗은 소수의 논문에 대한 규정이 필요한지 고려해 볼 필요가 있겠다. 참고문헌 중 JKHEEA 문헌 수가 매우 미미한 실정이다. 논문투고신청서와 심사항목에 이들 항목을 추가하여 개별논문의 특수성을 열어두면서도 느슨한 범위에서 게재논문의 공통성을 유지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학회지 게재논문 내용의 전체적인 추세는 여전히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조사연구방법을 사용한 연구가 많긴 하지만 그 집중도가 완화되면서 교과서와 교육과정 등 문헌자료를 대상으로 하는 교과교육과 교과내용 통합연구가 프로그램개발 및 평가 연구로 이어져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어 학회지 게재논문의 내용면에서는 가정교과교육학회지로서의 정체성이 좀 더 뚜렷해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처음 시도한 주제어 수는 대체로 평균(4.2개) 좌우인 3~5개로, 소수가 1개부터 최대 10개까지 제시하고 있어 앞서 논문 쪽수 등과 함께 점검절차가 필요해 보인다. 또한 주제어의 4/5 가까이가 단지 해당논문 한 곳에만 제시되어 있으며, 총 354편의 논문 중 5편 이상의 논문에 공통으로 쓰인 주제어도 31개(3.2%)뿐으로 학회지를 상징하는 주제어의 공통성이 매우 낮아 유사한 주제어 표기를 가능한 통일성 있게 체계화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나아가 주제어가 논문의 핵심부분인 논문제목과 연구목적, 연구내용에 반영되어 상관성을 높이는 노력도 필요하겠다. 학회지창간 30주년을 맞아 이상에서 밝힌 게재논문의 변화추세를 반영하여 학회지 특색을 살리면서 게재논문 수를 확보하기 위한 투고규정 등의 점검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e and contents of the articles in the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to review the research trends during the last decade since 2009. In total, 354 articles from 10 volumes, 40 journal books, were analyzed. This amount to 42.3% of total articles in the JKHEEA for the past 30 yea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umber of articles in the journal continuously decreased by approximately 5 articles each year. More than half of articles were co-authored as a joint-research between professors and teachers or graduate students. The numbers of pages, tables, figures, and references vary greatly among of the articles published in the JKHEEA. The reviewers and authors would need to check if the pages, tables/figures, or references are indispensable, especially in case there are extremely large number of them. Even though survey research with students as participants is still the most common types of research among recent articles, its percentage is decreasing and diverse research methods such as the analysis of textbook or curriculum literature are being used. Also, research integrating the pedagogy and educational content, and in turn developing and evaluating educational programs is increasing, which indicates that the journal identity has become better-defined. It is advisable that authors select the key words that are more relevant to the title, purpose, and research questions. It is expected that the journal revises the publication regulations so that the issues discussed in this study may be reflected.

      • KCI등재

        초・중・고 도덕・윤리 교과교육 연구활동의 변천

        서강식(Kang Sik Suh)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5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0

        광복 이후의 도덕교육은 사회과의 공민에 포함되어 시작되었다. 제3차 교육과정 시기에 이르러 도덕과가 교과로 설정되었고, 이후부터 도덕․윤리교과와 관련된 전공학위 논문의 수가 꾸준하게 증가하여 제7차 교육과정시기에는 거의 18 배 정도 증가하였다. 도덕․윤리교과 연구는 국민윤리학회와 한국교육개발원이 주축이 되어 이루어졌는데, 제4차 교육과정 시기에 도덕교육에 인지적 접근이 도입되면서 콜버그와 관련된 연구가 많이 수행되었다. 1980년대 초에 전국 국립대학교 사범대학을 중심으로 국민윤리교육과가 설치되었고, 전국 교대 윤리교육과 교수들을 포함하여 동과 소속 교수들이 주축이 되어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를 창립함으로써 새로운 교과교육연구집단이 등장하였다. 1996년에는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가 창립되었고, 전국 교대 교육대학원에 윤리교육전공이 개설됨으로써 교과교육 연구가 더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1998년에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창립되면서 도덕・윤리교과 교육과정과 평가에 관한 연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졌다. 제7차 교육과정 시기에 이르러 도덕교육의 접근 기조가 통합적 접근으로 바뀌었는데, 이 시기 동안 교과 교육연구는 양적 및 질적 도약을 가져왔다. 앞으로 도덕․윤리 교과교육학의 학문적 토대를 튼튼하게 하기 위해 도덕교육이론을 비롯한 여러 분야의 연구가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특히 도덕 교과의 성격과 목표, 내용 등에 관해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Since 1945, July 15th, moral education was done within civic subject education. At 1972 Augst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was established, and many moral education research was conducted by KEDI. At the 3rd moral curriculum era, moral education was conducted by the form of a moral subject education. It was titled 「moral」and was taught 2 period per week in school. Since 3rd moral curriculum era, numbers of thesis for moral education was increased steadily. At the 4th moral curriculum era, cognitive development approach in moral subject education was introduced, and many studies was centered on Kohlberg's moral education theory. In 1980s, there were established many Department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in national and private university. Professors of Department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established 'The Korean Society for Moral & Ethics Education(KSMEE)'. In 1996, 'Korean Elementary Moral Education Society(KEMES)' was established by professors of eleve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ll over the country. In 1998,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was established. Really many moral subject education was conducted by KICE. At the 7th moral curriculum era, moral education studies have got a great jump in quantity and quality. But we have to study for moral education theory, teaching-learning theory, curriculum and evaluation theory and so on. We should make a strong basis for moral subject education.

      • KCI등재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년 활동의 성과와 과제

        조재순,전미경,이윤정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9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1 No.3

        Since its establishment in 1989,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has served as the premiere academic organization in the field, through the semiannual meetings, the journal, and other informal activities. The Association has played important roles in organizing the members and guiding the academic community in reacting to the many challenges that Home Economics Education in South Korea had to encounter due to the social and curricular changes. This study reviews the past 20 years' activities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in order to illuminate its accomplishments in terms of academic and non-academic activities. An assessment of the environmental changes was conducted, followed by thorough analyses of the semiannual meetings, informal activities, and the journal. The article is also discussing future tasks that the Association would need to pay attention to and thrive to accomplish in order to continue serving its role of guiding the academic community. 1989년에 창립된 이래, 한국가정과교육학회는 학술대회, 학술지 및 다양한 활동들을 통하여 이 분야의 주요 학술단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해 왔다. 사회적 환경 및 교육과정에서의 변화로 인하여 가정과교육이 맞게 된 다양한 도전과 문제들에 대응하기 위하여 학회는 회원들을 조직화하고 학술공동체를 이끄는 노력을 해 왔다. 이 연구는 지난 20여 년간의 한국가정과교육학회의 활동을 검토해 봄으로써 학회가 이루어 온 성과들을 정리하였다. 특히 가정과교육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적 변화에 대하여 분석한 내용과, 지금까지의 학술대회 및 특별활동, 학술지를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또한 이를 통하여 학회가 주도적 역할을 계속 수행하기 위하여 앞으로 관심을 기울이고 해결해야 할 과제들을 제시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