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서강식(Kang Sik, Suh)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敎育論叢 Vol.58 No.2
서론에서 간략하게 16세기에 시작된 청교도 운동의 역사를 개관하고, 이어 본론에서 10명의 위대한 청교도 거장들의 삶을 고찰했다. 목사의 사제복 착용을 반대한 존 후퍼(John Hooper), 교회의 계급 구조를 비판한 토마스 카트라이트(Thomas Cartwright), 성경적 기독교 회복에 앞장을 선윌리엄 퍼킨스(William Perkins), 실천적 신학 운동을 이끈 윌리엄 에임스(William Ames), 성도들의 상처를 보듬었던 설교자이자 목회자였던 리처드 십스(Richard Sibbes), 박학다식한 케임브릿지 대학의 설교자 존 프레스턴(John Preston), 독립파 운동을 이끌었던 청교도 지도자 토마스 굿윈(Thomas Goodwin), 법치주의 운동의 선구자였던 사무엘 러더포드(Samuel Rutherford), 비국교도 운동을 앞장 서서 이끌었던 칼빈주의자 존 오웬(John Owen), 청교도의 참 목자상으로 불리는 리처드 백스터(Richard Baxter)에 이르기까지 10명의 청교도의 영적 거장들의 삶을 고찰했다. 이러한 고찰은 오늘날 주어진 삶의 자리에서 빛과 소금의 역할을 감당하도록 우리들의 신앙을 이끈다. First we see history and background of Puritan Movement. And second we consider about the great 10 person’s life of puritan. Those are as follows. John Hooper who opposed to wear on priest clothes for pastor, Thomas Cartwright who critisized the hierachical structure of church, William Perkins who leaded the biblical restoration of christian at the head of peoples, William Ames who leaded the practical movement of theology, Richard Sibbes who embraces the mindful scares of the christian saints, John Preston who was a well-informed preacher of Cambridge University, Thomas Goodwin who set the people on the independent movement, Samuel Rutherford who took the lead the constitutionalism, John Owen who was a pioneer lead the Nonconformists movement, Richard Baxter who was a model of true pastor image . These considerations about great ten puritan leaders will lead us as a light and salt in ‘Sitz im Leben’today.
서강식(Kang Sik Suh)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5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0
광복 이후의 도덕교육은 사회과의 공민에 포함되어 시작되었다. 제3차 교육과정 시기에 이르러 도덕과가 교과로 설정되었고, 이후부터 도덕․윤리교과와 관련된 전공학위 논문의 수가 꾸준하게 증가하여 제7차 교육과정시기에는 거의 18 배 정도 증가하였다. 도덕․윤리교과 연구는 국민윤리학회와 한국교육개발원이 주축이 되어 이루어졌는데, 제4차 교육과정 시기에 도덕교육에 인지적 접근이 도입되면서 콜버그와 관련된 연구가 많이 수행되었다. 1980년대 초에 전국 국립대학교 사범대학을 중심으로 국민윤리교육과가 설치되었고, 전국 교대 윤리교육과 교수들을 포함하여 동과 소속 교수들이 주축이 되어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를 창립함으로써 새로운 교과교육연구집단이 등장하였다. 1996년에는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가 창립되었고, 전국 교대 교육대학원에 윤리교육전공이 개설됨으로써 교과교육 연구가 더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1998년에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창립되면서 도덕・윤리교과 교육과정과 평가에 관한 연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졌다. 제7차 교육과정 시기에 이르러 도덕교육의 접근 기조가 통합적 접근으로 바뀌었는데, 이 시기 동안 교과 교육연구는 양적 및 질적 도약을 가져왔다. 앞으로 도덕․윤리 교과교육학의 학문적 토대를 튼튼하게 하기 위해 도덕교육이론을 비롯한 여러 분야의 연구가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특히 도덕 교과의 성격과 목표, 내용 등에 관해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Since 1945, July 15th, moral education was done within civic subject education. At 1972 Augst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was established, and many moral education research was conducted by KEDI. At the 3rd moral curriculum era, moral education was conducted by the form of a moral subject education. It was titled 「moral」and was taught 2 period per week in school. Since 3rd moral curriculum era, numbers of thesis for moral education was increased steadily. At the 4th moral curriculum era, cognitive development approach in moral subject education was introduced, and many studies was centered on Kohlberg's moral education theory. In 1980s, there were established many Department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in national and private university. Professors of Department of National Ethics Education established 'The Korean Society for Moral & Ethics Education(KSMEE)'. In 1996, 'Korean Elementary Moral Education Society(KEMES)' was established by professors of eleve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ll over the country. In 1998,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was established. Really many moral subject education was conducted by KICE. At the 7th moral curriculum era, moral education studies have got a great jump in quantity and quality. But we have to study for moral education theory, teaching-learning theory, curriculum and evaluation theory and so on. We should make a strong basis for moral subject education.
서강식 ( Kang Sik Suh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4 초등도덕교육 Vol.0 No.46
중국의 도덕교육은 품덕을 지닌 탐구적이며 적극적인 생활인을 기르고자 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4-5개의 영역을 구분하고 교육과정 내용을 상세화하여 내용표준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근거하여 소학교에서는 저학년 「품덕과 생활」및 「품덕과 사회」교과서를 검인정으로 발간하여 학교 도덕교육을 수행하고 있다. 중국 도덕교육이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은 실용성 추구, 전통 윤리의 적극적 반영, 현대 사회의 변화 반영, 교과서 편찬의 자율성 등이다. Moral education in China have tried to raise virtuous peoples with inquiry and positiveness. Moral education curriculum have four sphere and specified contents, so we called ``Contents Criterion``. Based on ``Contents Criterion``, regional education authorities develop their own moral education textbooks. 1-2 grade in primary school of China have ``Virtue and Life`` moral education textbook, 3-6 grade in primary school of China have ``Virtue and Society`` moral education textbook. After analyses about Chinese moral deucation curriculum and moral education textbooks, I get some ideas that help our moral education. Some ideas are practice, rflection of traditional ethics, reflection of changes of modern society, autonomy of publishing moral textbooks.
예비교사의 도덕과 수업 역량 강화를 위한 초등학교 교사와의 연계 강의 연구 - 경험학습 수업모형을 중심으로 -
서강식 ( Suh Kang-sik ),강지윤 ( Gang Jee-yun ) 한국윤리교육학회 2022 윤리교육연구 Vol.- No.63
예비교사의 도덕과 수업역량 강화를 위해 현장 교사와 협력하여 연계 강의를 하는 계획을 수립하고 연구를 추진했다. 1학기에 현장 교사의 수업 역량 강화를 위해 협의회를 정기적으로 가졌다. 이때 도덕과 경험학습 수업모형을 선택하고. 이 수업모형의 이론에 대한 현장 교사의 심층적 이해를 돕고, 또 경험학습 수업모형 지도안의 작성을 위해 다방면에 걸쳐 현장 교사를 도왔다. 현장 교사는 경험학습 수업모형을 적용하여 도덕과 수업을 하면서 수업 역량을 강화했다. 2학기에도 정기적으로 현장교사와 함께 협의회를 개최하면서 경험학습 수업모형을 적용한 도덕과 지도안 작성 및 수업을 추진했다. 이러한 과정 중에 현장 교사는 자신의 경험을 교수와의 연계 강의를 통해 예비교사들에게 전달할 수 있었다. 설문조사에서 많은 예비교사들이 도덕과 지도안 작성 및 모의수업실연에 도움을 받았다고, 또 장차 교사가 되었을 때 도덕과 수업에 열심을 다하려는 마음가짐을 갖게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In order to strengthen the moral class competencies of pre-service teachers, a plan to conduct lectures in connection with field teachers was established and research was promoted. In the first semester, a meeting was held regularly to strengthen the morality and teaching competency of field teachers. At this time, by selecting the experience teaching model, field teacher’s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theory of the instructional model was promoted, and the moral and instructional competencies applied with the experience teaching model were also strengthened. In the second semester, a meeting was held continuously with field teacher to prepare moral guidance plans and promote moral classes applying the experience teaching model. An opportunity to convey the vivid experiences experienced through this process to prospective teachers was prepared through a lecture in connection with the professor of the University. Through the linked lectures, it was confirmed through a survey that many pre-service teachers were helped in writing a moral guidance plan and demonstrating moral classes, and when they became teachers in the future, they became determined to devote themselves to moral classes.
서강식 ( Suh Kang-sik ) 한국윤리교육학회 2020 윤리교육연구 Vol.0 No.58
이 논문에서는 G교육대학교의 교육실습 기간 중 4개 실습학교에서 나온 네 편의 도덕과 교수-학습지도안을 비교하였다. 비교를 통해 실습학교에서 활용되는 도덕과 교수-학습지도안의 개선점을 몇 가지 제안하였다. 첫째로 교수-학습 지도안의 구성과 체제가 개선되어야 하고, 둘째로 ‘단원 안내’의 목적을 명료화하여 이에 부합하는 내용을 제시해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셋째로 ‘실태 조사’와 ‘지도 대책’이라는 용어를 ‘학습 준비 진단’과 ‘지도의 중점’이라는 용어로 순화하고, 넷째로 교수-학습지도안에 도덕과의 특성이 보다 더 잘 반영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I have compared four teaching-learning plan of moral subject matter education from four different education practice training school. Through the comparison, I am going to suggest some improvement of the teaching-learning plan form that were used by the education practice training school. First, the form and structure were needed to be improved. Second, we should to clarify the purpose of ‘unit guidance’, and the contents of ‘unit guidance’ are inconsistent with that purpose. Third, it is desirable to substitute the term of ‘actual survey’ and ‘instructional measures’. I think that the term of ‘learning readiness diagnosis’ and ‘instructional points’ are better than those. Fourth, I hope that the moral subject matter education traits were reflected the instructional plan form and contents.
일제 강점기 수신교과서의도덕적 모범인물 창출에 관한 연구 -니노미야 긴지로를 중심으로-
서강식 ( Kang Sik Suh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6 초등도덕교육 Vol.0 No.52
일제 강점기 시절 조선총독부가 발간한 수신교과서에서는 어떻게 도덕적 모범 인물을 창출했는가를 밝히고자 함에 있어 니노미야 긴지로라는 인물을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했다. 니노미야는 일제강점기 시절 내내 발간된 수신교과서에서 17회나 등장하고 있는데, 양심, 효, 진심, 근로, 신사참배 등의 덕목의 모범 인물로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겉으로 드러난 덕목은 실제 내용으로는 근로와 연계되고 있다. 니노미야를 긴지로를 내세워 조선총독부가 추구하고자 했던 목표는 바로 식민지 수탈을 위한 노동력 창출이었고, 식민지 지배를 원활하게 하고자 했던 것이었다. 그리고 그 저변에는 바로 황국신민화의 이데올로기가 깔려 있었음이 이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ral hero in self-disciplinary training textbook of elementary school that was published Japan imperialism government in Chosun. Ninomiya Ginjiro was presented 23 times in self-disciplinary training textbook of elementary school through 1910 to 1945. He was the moral ideal who has a conscience, fidelity, true mind, hygiene, shrine worship. These virtues were shown through the lesson title of elf-disciplinary training textbook of elementary school, but in fact these were connected the labor. The educational goal of imperial government in Chosun finally was labor creation for exploit a colony ,and rule a colony easily via moral hero Ninomiya Ginjiro. And we can find that basically there was ideology of colonial policy of subjecting to Japan.
서강식(Suh, Kang Sik)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7 도덕윤리과교육 Vol.- No.57
영국의 도덕교육 및 인성교육은 『시민교육』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시민교육』은 1995년 교육과정 개정 이후로 오늘날까지 계속 필수교과로 지정되어 의무교육인 초등학교와 중등학교에서 모든 학생들이 꼭 이수해야 하는 교과가 되었다. 영국의 도덕 교과서 분석이 주는 시사점은 첫째,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목표가 매우 구체적이라는 점이다. 둘째, 영역(scope)과 위계(sequence)가 명료하고, 이들이 상호 연계되어 있다는 점이다. 셋째, 교과서에 대한 관점이 융통성을 지니고 있다는 점이다. 넷째, 교과서가 다학문적 접근을 충실하게 반영하고 있다는 점이다. 끝으로 무엇을 가르치려고 하기 보다는 활동을 통하여 학생들이 스스로 깨달을 수 있도록 교과서를 활동 중심으로 구성하고 있다는 점이다. England moral and character education have been carried by 『Citizenship Education』. Since 1995 year『Citizenship Education』 has been compulsory subject matte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After we made an analysis about England moral education textbooks, we are going to suggest five proposition. First, the goals of curriculum of moral education are very concrete. Second, The scope and the sequence of curriculum is clear and they are related each other. Third, the prospect about textbook is very flexible. Fourth, most contents of textbook were consisted of interdisciplinary approach. Fifth, they tried to give an opportunity students to get a recognition by themselves, rather than to teach students some knowledges.
종말적 성취로서의 안식에 대한 고찰: 히브리서 4:1-16을 중심으로
서강식(Kang Sik Suh)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2 敎育論叢 Vol.59 No.2
The research topic of this paper is to analyze and consider the Sabbath that will be achieved when Jesus comes second, focusing on Hebrews 4:1-16. To this end, first, in order to accurately understand the message of the Hebrews, the argument professor Kim Jung-hoon, A. Vanhoye, and D. Guthrie were considered for the structural analysis of the Hebrews. And then the structural analysis of the Hebrews 4:1-16 was conductes based on the arguments of various scholars, and based on these, the meaning of the Hebrews 4:1-16 was considered. Based on the above analysis and consideration, Hebrews 4:1-16’s message revealed that in order to enter the Sabbath at the end days, it is to mainatain faith in Jesus, who became the great high priest as a Christian in the church community. In other words, the ministry of Jesus, who enterded the heavenly sanctuary as the great high priest, provides us with confidence in the promise of entering the Sabbath. 예수님께서 재림 하실 때에 성취될 안식에 관해 히브리서 4:1-16을 중심으로 분석, 고찰하고자 한 것이 이 논문의 연구 주제이다. 이를 위해 먼저 히브리서 전체의 메시지를 정확하게 이해하고자 히브리서 전체의 구조 분석에 관해 김정훈 교수, 밴호이(A. Vanhoye), 거스리(D. Guthrie)의 주장을 고찰했다. 이어서 히브리서 4:1-16의 구조 분석을 여러 학자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수행했고, 이를 토대로 하여 히브리서 4:1-16의 의미를 고찰했다. 이상의 분석과 고찰을 근거로 하여 히브리서 4:1-16절의 메시지는 종말에 안식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교회 공동체 안에서 그리스도인으로 대제사장 되신 예수에 대한 믿음을 신실하게 유지하는 것임을 밝혔다. 즉, 대제사장으로서 천상의 성소에 들어가신 예수의 사역은 우리에게 하나님의 안식에 들어갈 약속에 대한 확신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서강식(Suh, Kang-Sik)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0 敎育論叢 Vol.57 No.1
목회자에게 요청되는 리더십을 탐구하기 위하여 우선 일반적인 리더십이론을 고찰하였다. 즉, 리더십 대체이론, 카리스마적 리더십이론, 변혁적 리더십이론, 섬김의 리더십 이론, 수퍼 리더십이론, 관리적 리더십이론 등을 차례로 고찰하였다. 이어서 목회자의 리더십의 특성을 고찰하고, 성경에 나타난 목회자의 리더십을 고찰하였다. 구약성경에 나타난 목회자의 리더십으로 요셉의 리더십, 모세의 리더십, 느헤미야의 리더십을 대표적으로 고찰했다. 그리고 신약성경에 나타난 목회자의 리더십으로 예수의 리더십, 바울서신에 나타난 목회자의 리더십, 베드로서 서신에 나타난 목회자의 리더십을 차례로 살펴보았다. 이상의 고찰을 토대로 하여 목회자의 리더십으로서 섬김의 리더십과 함께 변혁의 리더십이 목회자의 대표적인 리더십이 되어야 할 것이라고 결론을 맺게 되었다. First I am going to consider about the general theory of leadership in order to inquire the leadership of paster that is required today. Namely I consider about the substitute theory for leadership, Charismatic leadership theory,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eory, servant leadership theory, super leadership theory, administrative leadership theory one by another. Followed by those considerations, I study about the characteristic traits of pastor leadership. And then inquire the leadership model for pastor in Old Testament and New Testament. In Old Testament I inquire the leadership of Joseph, Moses, Nehemiah as model of pastor, and in New Testament I inquire the leadership of Jesus, Paul’s letter, Peter’s letter. Based on those considerations I conclude that servant leadership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ve to be the leadership of pastor in Korea 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