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서울의 PPNG 발생 빈도(1991-1992)

        김재홍,윤기범,박평원,김영진,전경민,김영태,김중환,곽호,구상완,송민석,유옥,지혜구,김동원,문상은,박영립,정승호,성범진,성순제,엄주용,황정열,이기홍,이주협,전태진 대한화학요법학회 1994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2 No.1

        The prevalence of PPNG among pretreated gonorrhea cases isolated at the STD clinic of Choong-Ku Public Health Center in Seoul has been studied and reported annually since 1981. In 1991, 123 strains of N.gonorrhoeae were isolated, among which 58(47.1%) were PPNG. In 1992, 98 starains of N.gonorrhoeae were isolated, among which 51(52.0%) were PPNG. In all, 109(49.3%) strains were found to be PPNG among 221 strains isolated between 1991-1992. The prevalence of PPNG in Seoul showed increased tendency till 1989, thereafter, it has been stationary or slightly decreasing.

      • 백혈병 마우스 모델의 동종골수이식에서 활성화된 자연살해세포들의 보충이 이식편대백혈병효과와 이식편대숙주반응에 미치는 영향

        엄현석,한치화,박수정,김소연,정낙균,정대철,진종률,최일봉,양형모,서영훈,송현근,최인표,민우성,김춘추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2001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6 No.1

        배경: 백혈병에서 동종골수이식 (allogeneic bone marrow transplantation)의 성공적 치료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이식편대숙주반응 (graft-versus-host disease, GVHD) 발생의 극복과 재발의 방지가 중요한 과제이다. 골수를 역류원심성 세포분리 (counterflow centrifugal elutriation, CCE) 방법으로 분리하여 얻은 rotor off (R/O) 세포분획은 T 세포의 수는 적지만 조혈모세포들을 다량 포함하고 있어 동종골수이식에서 주조직적합복합체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MHC) 차이를 극복할 수 있고, 이식편의 생착 성공과 GVHD 발생 예방에 효과적이다. 그러나 골수로부터 T 세포를 제거하면 백혈병세포를 공격하는 이식편대백혈병 (graft-versus-leukemia, GVL) 효과가 감소되기 때문에 백혈병 재발의 빈도가 높다. 자연살해세포 (natural killer cell, NK cell)의 보충 첨가는 동종골수이식 후 GVHD 발생을 줄이면서 충분한 GVL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따라서 저자는 분리 후 IL-2로 활성화시킨 NK 세포들을 골수 R/O 세포분획과 함께 백혈병 마우스 모델에 동종이식함으로써 GVHD와 GVL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하였다. 방법: Balb/c (H-2^(d)) 마우스에서 유래된 A20 (murine B-lymphoma/leukemia cell line, H-2^(d)) 백혈병 세포를 이식 2 일 전에 Balb/c 마우스에 주입하고, 치사량의 전신 방사선을 조사한 직후에 Balb/c 또는 C57BL/6 (H-2^(b)) 마우스의 골수 R/O 세포분획을 꼬리정맥을 통하여 주입하였다. 이들은 모두 이식 후 6-8 주 이내에 사망하였다. 동종이식의 대조군 (n=9)에는 1 × 10^(7)의 R/O 세포분획만을 주입하였고, 실험군 (n=9)에는 C57BL/6 마우스의 비장세포들로부터 단클론항체들을 이용한 negative selection방법으로 분리한 후 IL-2로 활성화된 5 × 10^(5)의 NK 세포분획을 1 × 10^(7)의 R/O 세포분획과 함께 주입하였다. GVL 효과의 판정은 이식 후 14 일과 28 일 째 되는 날 마우스에서 골수, 비장, 간 등을 얻어 백혈병 세포들의 침윤을 조직학적으로 관찰하였으며, GVHD의 정도는 육안적 관찰법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R/O 세포분획만을 이식한 대조군의 골수, 비장, 그리고 간 조직에서는 A20 백혈병 세포의 침윤이 각각 89% (8/9), 78% (7/9)와 22% (2/9)에서 관찰되었고, R/O 세포분획과 NK 세포분획을 함께 이식한 실험군에서는 비장과 간을 제외한 골수에서만 89% (8/9)에서 A20 백혈병 세포의 침윤이 관찰되어 두 군 사이에 장기별 분포의 차이를 볼 수 있었다 (P= 0.0001). 한편 GVHD는 두 군 모두에서 경하게 나타나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또한 생착 부전으로 사망한 마우스는 없었다. 결론: CCE를 이용하여 T 세포를 제거한 동종골수이식에서 NK 세포의 보충은 GVHD의 악화는 일으키지 않으면서, 백혈병의 진행을 억제하는 GVL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Background: Allogeneic bone marrow transplantation (BMT) with T cell-depleted marrow accompanies engraftment failure and relapse of leukemia by a loss of the graft-versus-leukemia (GVL) effect frequently, while it can prevent GVHD. Supplement of NK cells could prevent GVHD and enhance GVL effect in several murine allogeneis BMT models Roter off (R/O) cell fraction obtained by counterflow centriation elutriatio (CCO) contains small number of T cells and many hematopoietic stem cell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R/O cell fraction supplemented with IL-2 activated NK cells on GVL and GVHD within the leukemic mouse BMT model. Methods: Inoculation of A20 (H-2d, murine B-lymphoma/leukemia, Balb/c origin) cells into Balb/c mice via the tail vein 2 days prior to lethal total body irradiation (TBI) and infusion of the Balb/c BM or C57BL/6 (H-2b) R/O fraction were performed. It resulted in 100% mortality within 6 to 8 weeks. The irradiated mice in the control group were injected with 1 × 107 R/O cell fraction alone (n=9) and in the experimental group mice were injected with 1 × 107 R/O cell fraction plus 5 × 105 negatively selected IL-2 activated NK cell fractions of the spleens via the tail vein (n=9). On day 14 and 28 after BMT, the bone marrows, spleens, and livers of mice were harvested for histopathologic analysis of the infiltrations of leukemic cells. We then evaluated the GVHD within the mice. Results: A histopathologic study of the recipients receiving R/O fraction alone showed infiltration of leukemic cells, 89% (8/9) in bone marrows, 78% (7/8) in spleens, and 22% (2/9) in livers. The experimental group of mice showed only the infiltration of leukemic cells 89% (8/9) in bone marrows, not in spleens and livers. There were the organ differences of the leukemic cells infiltrations between the two groups (P=0.0001). There were no obvious differences in the GVHD scores between these two groups, and severe GVHD was not observed. There was no engraftment failure among groups. Conclusion: Thus, our findings suggest that R/O cell fraction obtained by CCE and supplemented with NK cells can promote GVL effect without mediating clinically overt GVHD in allogeneic BMT of mouse leukemia.

      • KCI등재

        뇌성마비 및 Down증후군 아동의 섭식행동 양상

        엄태진,김영진,남순현 大韓小兒齒科學會 1993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0 No.1

        심신 장애 아동중 섭식 장애가 심하게 나타나는 뇌성마비아 50명(평균 연령 12.6세)과 Down증후군아동 30명(평균 연령 9.8세)을 대상으로 섭식 행동양상을 평가하기 위해 아동을 직립 자세를 유지시킨 상태에서 우유와 콘프레이크를 혼합한 음식물을 주었을때의 구순폐쇄능,혀돌출 양상,혀운동 발달,턱운동 발달,저작 기능,연하시 과긴장과 과민반응 등의 섭식 행동양상을 비디오 화면상에서 반복 평가하여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었다. 뇌성마비아와 Down증후군 아동은 연하 방법의 미성숙,구순폐쇄능의 감소,혀돌츨의 증가,혀와 턱운동의 미발달,저작 기능의 미발달이 나타났다. 포식시,음식물처리시의 구순폐쇄능은 뇌성마비아가 더 좋았다. Down증후군 아동은 음식물 처리사나 연하시 혀돌출이 많았으며 돌출시 혀의 위치도 뇌성마비아에 비해 더 전방에 위치하였다. 혀와 턱운동의 발달은 Down증후군 아동에서 덜 잘 발달되었다. 뇌성마비아에 있어서는 상순의 저긴장이 Down증후군 아동에 있어서는 혀근육의 저긴장이 나타났다. 과긴장과 과민반응은 주로 뇌성마비아에서 나타났다. It has been well documented that many cerebral palsy and Down's syndrome children exibit various types of abnormal eating patterns which mainly originate from underervelopment of oral functions. In this study, a method for evaluating the oral functions in the feeding of the handicapped children was developed and applide to evaluation of 50 cerebral palsy children(mean age:12.6) and 30 Down's syndrome children(mean age:9.8). Children were maintained upright position and were given milk and corn flake as feeding materials. The assessment scale consisted of swallowing pattern,lip sealing ability,tongue protrusion behavior,and developmental evaluation of tongue and jaw mavement,mastication ability,muscle hypertension,and tactile hypersensitivity. The oral mevement of the subject was video-taped in actual feeding session. The assessment,except for the evaluation of hypersensitivity,was carried out later on by using the images on the video display. The s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Underdeveloped swallowing pattern,decreased lip sealing ability,increased tongue protrusion rate,underdeveloped tongue and jaw mevement,and mastication inability were observed. For sucking and mastication,lip sealing ability is better developed in Down syndrome group but for swallowing lip sealing ability is better developed in cerebral palsy group. In Down syndrome group, more tongue protrusion behavior is observed for mastication and swallowing and when protruded more anteriorly positioned than in the cerebral palsy group. Tongue and mandibular movement is better developed in Down syndrome group than in the in the cerebral palsy group.' The cerebral palsy group has upper lip hypotonicity and Down's syndrome group has tongue hypotonicity. Muscle hypertension and tactile hypersencitivity are more prevalent in the cerebral palsy group than in the Down's symdrome group.

      • 양압력을 고려한 중력식 콘크리트 댐에 대한 LEFM 해석

        진치섭,이영호,엄장섭,김태완 부산대학교 생산기술연구소 2000 生産技術硏究所論文集 Vol.59 No.-

        댐 제체와 지반 접촉 경계면 사이에 작용하는 양압력의 모델링은 중력식 콘크리트 댐의 해석시 중요하게 고려된다. 본 연구에서는 양압력의 작용에 따른 중력식 콘크리트 댐의 균열선단 부근의 음력확대계수를 표면적분법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또한 자중, 월류수압 및 균열면에 작용하는 수압도 함께 고려 하였다. The modeling on uplift pressure on the foundation of a dam on which it was constructed, and on the interface between the dam and foundation is a critical aspect in the analysis of concrete gavity dams. The evaluation of stress intensity factor at the crack tip of concrete gravity dam due to uplift pressure effect by surface integral method is performed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borty force, overtopping pressure and water pressure on the crack-face are also considered in this study.

      • 배선용 차단기(MCCB)개폐기구부의 트립시간 민감도에 관한 연구

        엄위상,김길수,조현길,박진영 호서대학교 반도체제조장비국산화연구센터 2000 학술대회 자료집 Vol.2000 No.1

        배선용 차단기의 개폐기구는 수동 조작력을 가동 접촉자에 전달하여 차단, 개폐의 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Spring과 Link를 주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구부가 단락 차단 성능의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제품 성능 개선을 위해 기구부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행착오를 거치게 되는데 이 때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줄이기 위해 동특성 해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제품의 동적 모델링을 위해 범용 동역학 해석 프로그램인 ADAMS(Automatic Dynamic Analysis of Mechanical System)을 이용하였고 설계 변경시 반복작업으로 인한 실패비용을 최소화하고 링크 지점의 최적값을 구하기 위해 민감도 해석과 최적화 기법을 도입하였다.

      • [논문]보양조건 및 타설주기를 고려한 매스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화열 해석

        이영호,서기영,최덕락,엄장섭,진치섭* 釜山大學校生産技術硏究所 2004 生産技術硏究所論文集 Vol.63 No.-

        콘크리트 구조물의 공용수명은 콘크리트 재료의 초기에 발생하는 수화열에 의해 아주 큰 영향을 받는다. 수화열은 콘크리트의 열전달 및 열응력 특성으로 결정되어지는 온도균열지수를 통해 분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온도균열 지수의 분석을 통해 매스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시 적절한 시벤트 종류, 보양방법,타설주기 및 타설높이 둥 최적의 시공방안 구하는데 도움을 주어 향후 시공 예정인 매스 콘크리트 구조물에 발생 가능한 온도균열을 미리 예측하여 이를 방지하기 위한 시공 방안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 획을 이용한 소형 전자기기용 한글 입력 시스템

        정영준,엄종진,박민현,한욱표 강원대학교 정보통신연구소 2007 정보통신논문지 Vol.11 No.-

        With advance of cellular phone technologies, the use of short message transmission with small 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has been explosively increasing. In spite of such demands there have been not many studies for Korean characters and their symbol combinations (below "Hangul"). While some other studies have been focused on the Hangul vowel, in this paper we proposed a new Hangul input system which presents Hangul consonants with basic symbol components (called as "hweok"). And we have performed performance evaluation with comparison to SK's Chunjiin and LG's Naragul in terms of the number of key buttons, finger moving distance and key strokes. The proposed system can make all of Korean characters with 5 or 6 Hangul hweoks without significant degradation of system performance.

      • 韓國의 암발파 진동상수에 관한 연구

        홍원표,엄영진,윤중만 중앙대학교 기술과학연구소 1995 기술과학연구소 논문집 Vol.25 No.-

        암반지반에서 절토나 지하굴착을 실시할 때 암발파로 인해 진동과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지반진동은 인접구조물에 손상을 주거나 인근주민에게 불쾌감을 주기 때문에 지반진동의 발생기구나 인접구조물에 영향을 미치는 매카니즘을 정확히 예측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지반진동에 대한 규준을 마련하는데 있다. 지반진동은 최대입자속도, 발파에너지, 진동원으로 부터의 거리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산정된 진동식의 최대입자속도는 기존의 제안식보다 약간 작게 나타나고 있으나 진동원으로부터 50~100m 이내의 거리에서는 매우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다. Vibration and noises are occured dut to rock blasting work for cutting and underground excavation performed in rock ground. It is very important to control the vibration produced according to rock blasting. Therefore, the main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stabilish criteria of vibration to control blasting. Vibration is influnced by peck particle velocity, blasting energy, distance from vibration source and strength of rock. The peck particle velocities estimated by the vibration equations presented in this paper are lower than those estimated by existing empirical equations but both show very similar within distance from 50m to 100m.

      • 유세포 측정을 통한 CD34^(+)세포의 정량방법 비교

        양형모,서영훈,엄현석,민창기,김희제,정대철,이종욱,진종율,한치화,김춘추,김학주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1998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3 No.2

        본 연구소에서는 현재 CD34^(+) 세포의 정량에 사용되고 있는 4가지 서로 다른 방법을 가지고 골수에 적용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각각의 방법들이 편리한 점과 불리한 점들을 가지고 있었지만,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1) CD34-PE/CD45-FITC 방법13(ISHAGE: International Society of Hematotherapy and Graft Engineering), 2) CD34-PE/CD14-FITC 방법, 3) CD34-PE/CD14-FITC/CD45-PerCP 방법, 4) DNA dye/CD34-PE/CD45-PerCP4(Becton Dickinson) 등을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CD34^(+) 세포의 농도는 다음과 같았다. 1) 0.473±0.345, (%Mean±SD, N=70) 2) 0.663±0.519, (N=20), 3) 0.543±0.381 (N=46), 4) 0.624±0.341, (N=32). 시료로는 여의도 성모병원 카톨릭 조혈모세포이식 센터에서 채혈한 골수를 이용하였다. Four different methods for flow cytometric quantitation of CD34+ cell were compared using bone marrow samples (n=168). Following combination of antibodi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 A) CD45-FITC/CD34-PE (n=70), B) CD14-FITC/CD34-PE (n=20), C) CD14-FITC /CD34-PE /CD45-PerCP(n=46), D) DNA dye/CD34-PE/CD45-PerCP (n=32). Each method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m (P=0.126, ANOVA test, SPSS Version 7.5). When we compare these methods using same samples (n=12), the P value became 0.832. The mean % of CD34+ cells calculated in this experiment were A) 0.474%, B) 0.663%, C) 0.548%, D) 0.624% respectively. In our laboratory, we decided to use CD45-FITC/CD34-PE methods as a routine protoc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