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사회적 문제해결력의 관계: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회피중심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홍은실,하정희 한국상담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3 No.3

        본 연구는 중학생들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사회적 문제해결력의 관계에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회피중심 대처방식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전국에 재학 중인 중학생 28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자료를 수집하였다. 측정도구로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 척도, 한국판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척도, 사회적 문제해결력 척도, 대처전략검사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들을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중학생의 사회적 문제해결력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은 보였으나 제안한 연구모형 내에서 둘 간의 유의한 직접효과는 보이지 않았다. 둘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사회적 문제해결력의 관계에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의 매개역할이 확인되었다. 셋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사회적 문제해결력의 관계에서 회피중심 대처방식의 매개역할이 확인되었다. 넷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사회적 문제해결력의 관계에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회피중심 대처방식의 이중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선행연구들의 주요 변인들 간 경로 검증에서 한층 더 나아가 중학생들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로 부터 사회적 문제해결력에 이르는 경로에 대해 통합적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후속연구의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avoidance cop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Participants were 284 middle school students who completed the Psychological Control Scale-Youth Self-Report, the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Scale-Korean Version, Problem Orientation Scale, and Coping Strategy Indicator Scale.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social problem-solving abilities; however, it did not have a significant direct effect. Additionally, the mediating role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was confirmed. The mediating role of avoidance cop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was also confirmed. Finally, the double mediated effect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avoidance cop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was confirmed.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성인여성소비자의 자아존중감과 내적통제중심성, 물질주의 가치에 따른 소비특성 분석

        홍은실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4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0 No.3

        이 연구는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자아존중감과 내적통제중심성, 물질주의 가치의 상호관련구조를 살펴 본 후 이들 변인을 특성변인으로 하여 조사대상여성을 유형화하여 그 유형별 소비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2012년 2월 온라인 설문조사를 전국적으로 실시하여 479부의 설문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 는 SAS통계패키지를 사용하여 피어슨의 적률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 Ward의 계보적 군집분석, 교차분 석, 일원분산분석, 던컨검증 등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존중감과 내적통제중심성은 매우 강한 정적인 관련성을 보였으나 물질주의와의 관계에서는 서로 상반된 방향의 관계를 나타내서 자아존중감은 물질주의 가치와 정적인 관련성을, 내적통제중심성은 물질주의 가치와 부적인 관련성을 보였다. 둘째, 심리가치변인에 따라 조사대상 성인여성은 네 유형, 즉 ‘소신 있는 비물질적 고자존 집단’, ‘소신 있는 물 질적 고자존 집단’, ‘비소신 비물질적 저자존 집단’, ‘비소신 물질적 저자존 집단’로 분류되었다. 셋째, 심리가치변인에 따라 분류된 성인여성소비자 유형은 쾌락적 가치, 과시․동조가치, 구별가치의 소비가치 와 돈에 대한 태도, 소비행동, 재정스트레스와 만족도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소신있는 비물질적 고자존 집단’은 소비가치 수준이 매우 낮으며 돈에 대한 긍정적 태도와 부정적 태도 모두 낮았다. 고 급품 소비와 과다소비 수준은 낮은 반면 계획소비 수준은 매우 높았으며, 재정적 스트레스가 낮으며 재정만족 도 수준은 높았다. ‘소신있는 물질적 고자존 집단’은 소비가치 수준이 높으며 돈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 며 부정적인 태도 수준은 낮았다. 고급품 소비와 과다소비 수준은 낮은 편이나 계획소비 수준은 높았다. 재정 스트레스가 낮았으나 재정만족도 수준은 매우 높았다. ‘비소신 비물질적 저자존 집단’은 소비가치 수준이 낮 으며 돈에 대한 긍정적 태도가 낮고 부정적 태도 수준은 높았다. 고급품 소비와 과다소비 수준이 낮은 편이며 계획소비 역시 낮았다. 재정적 스트레스가 높으며 재정만족도 수준은 낮았다. ‘비소신 물질적 저자존 집단’은 소비가치 수준이 매우 높으며 돈에 대한 긍정적 태도와 부정적 태도 모두 상대적으로 매우 높았다. 고급품 소 비와 과다소비수준은 매우 높은 반면 계획소비 수준은 매우 낮았다. 이들은 재정스트레스가 매우 높으며 재정 만족도 수준은 매우 낮았다.

      • KCI등재

        성인여성의 소비지출통제와 소비특성 분석 : 인색-낭비수준과 소득수준에 따른 유형분류에 의하여

        홍은실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6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2 No.3

        이 연구는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소비지출통제 정도에 따른 소비특성을 분석하였다. 소비지출통제는 Rick과 Cryder, Loewenstein(2008)의 인색-낭비(ST-TW: Spendthrift -Tightwad)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통제정도에 따라 인색-낭비 집단을 분류한 후 먼저 분류집단별 소비특성을 분석하고, 그런 다음 인색-낭비수준과 소득수준을 특성변인으로 하여 조사대상 여성을 유형화하여 유형별 소비특성을 분석하였다. 2012년 2월 온라인 설문조사를 전국적으로 실시하여 421부의 설문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AS통계패키지를 사용하여 크론바흐 알파계수, Ward의 계보적 군집분석, 교차분석, 일원분산분석, 던컨검증 등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출통제 정도(인색-낭비수준)에 따라 분류된 ‘인색한 집단’과 ‘낭비자집단’은 전반적으로 소득과 소비특성에서 양극적인 경향을 보이며, ‘지출갈등이 없는 집단’은 그 중간적인 특성을 보였다. 둘째, 인색-낭비와 소득수준에 따라 성인여성을 유형화하여 5개 유형(저소득 구두쇠형, 고소득 절약형, 최저소득 무갈등형, 최고소득 소비지향형, 중간소득 낭비형)을 추출하였다. 셋째, ‘저소득 구두쇠형’은 물질주의와 쾌락적 가치, 과시동조가치, 구별의 소비가치, 과다소비, 고급품 소비 수준이 매우 낮고 계획소비는 가장 많이 하나 재정스트레스가 매우 높고 재정만족도는 낮았다. 넷째, ‘고소득 절약형’은 연령과 학력이 높으며, 물질주의와 쾌락적 가치, 과시동조가치, 구별가치 수준이 낮고 계획소비수준은 매우 높으며 과다소비와 고급품 소비는 중간정도의 수준이며, 재정스트레스가 낮고 재정만족도는 가장 높았다. 다섯째, ‘최저소득 소비무갈등형’은 연령과 학력이 가장 낮으며, 물질주의와 구별가치는 중간수준이나 쾌락적 가치와 과시동조가치는 낮았다. 계획소비수준은 낮았으나 과다소비와 고급품 소비수준은 중간수준이며 재정스트레스가 높고 재정만족도가 낮았다. 여섯째, ‘최고소득 소비지향형’은 연령과 학력이 가장 높고 물질주의와 과시동조가치, 구별가치, 고급품 소비 수준이 매우 높으나 쾌락적 가치와 계획소비는 낮고 재정스트레스는 매우 낮으며 재정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일곱째, ‘중간소득 낭비형’은 물질주의와 쾌락적 가치, 과시동조가치, 구별가치, 과다소비 수준이 가장 높으나 고급품 소비는 중간정도이며, 계획소비수준이 낮으며 재정스트레스는 중간정도이나 재정만족도는 낮았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nditure control and consumption characteristics of adult females. By using ST-TW(Spendthrift -Tightwad) scale of Rick, Cryder, and Loewenstein(2008), adult females were categorized with ST-TW scores and monthly income levels and their consumption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Total of 421 on-line questionnaires were surveyed nationwide for this research in February 2012. Statistical analysis was achieved by using Cronbach’α, one-way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χ2, and War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ightwads and spendthrifts groups classified by the level of ST-TW showed the extreme characteristics in terms of incomes and consumption while unconflicted consumers group showed intermediate trend. Second, all surveyed female consumers were classified into five cluster categories(low income tightwads, high income tightwads, lowest income unconflicted, highest income consumption- oriented, intermediate income spendthrifts) based on the scores of ST-TW and monthly income. Third, a total 14.01% of female consumers belonged to ‘low income tightwads’ group showed lowest scores on materialism, consumption values, excessive consumption, luxury item consumption, and financial satisfaction while having high scores in planned consumption and financial stress. ‘High income tightwads’ group which has high income and education level showed low scores on materialism, consumption values, and financial stress, high levels in planned consumption, and intermediate level in excessive consumption and luxury item consumption while showing highest score in financial satisfaction. ‘Lowest income unconflicted’ group which is young age group with low education level showed intermediate levels in materialism and difference value but low levels in hedonic value and ostentation․conformity value. Planned consumption and financial satisfaction level were low but intermediate level in excessive consumption and luxury item consumption with high financial stress. ‘Highest income consumption-oriented’ group with high education and age showed high value in materialism, ostentation․conformity value, difference value, and luxury item consumption while revealing low planned consumption and financial stress with highest financial satisfaction. ‘Intermediate income spendthrifts’ group showed high level in materialism, hedonic value, ostentation․conformity value, difference value, and excessive consumption but intermediate level in luxury item consumption and financial stress while showing low level in planned consumption and financial satisfaction.

      • KCI등재

        시상하부-뇌하수체를 침범한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에 대한 임상적 고찰

        홍은실,온정헌,김정희,황보율,김진주,권정희,이정원,최세연,이은경,조선욱,신찬수,박경수,장학철,조보연,이홍규,신충호,양세원,김성연 대한내분비학회 2011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26 No.1

        Background: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LCH) is a rare disease that involves a clonal proliferation of Langerhans cells. LCH has a predilection for hypothalamo-pituitary axis (HPA) dysfunction, and this leads to diabetes insipidus (DI) and/or anterior pituitary dysfunction. Here, we describe the endocrine dysfunction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adult patients with LCH and we analyzed the differences between an adult-onset type and a childhood-onset type. Methods: The data was obtained from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of the patients with LCH that involved the HPA and who attended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e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the adult-onset type (age at the time of diagnosis ≥ 16) and the childhood-onset type (age at the time of diagnosis ≤ 15). Results: Ten patients (9 males and 1 female) were diagnosed with LCH involving the HPA. Five patients were classified as an adultonset type and the other five patients were classified as a childhood-onset type. The median follow-up duration was 6 (3-12) years for the adult-onset type and 16 (15-22) years for the childhood-onset type. All the patients presented with DI as the initial manifestation of HPA involvement. Four adult-onset patients and three childhood-onset patients had a multi-system disease. Panhypopituitarism developed in three adult-onset patients and in one childhood-onset patient. The pituitary lesion of the three adult-onset patients had spread to the brain during the follow-up duration. In contrast, the pituitary lesion of the other two adult-onset patients without panhypopituitarism and all the childhood-onset patients had not changed. Conclusion: DI was the initial presentation symptom of HPA involvement. Anterior pituitary hormone deficiency followed in some patients. Compared with the childhood-onset patients, the adult-onset patients were more likely to have panhypopituitarism and a poor prognosis.

      • KCI등재
      • KCI등재

        초등학교 고학년의 자아존중감과 미디어기기 중독의 관계: 전반적 행복감과 집행기능곤란의 순차적 매개효과

        홍은실,하정희 한국청소년학회 2023 청소년학연구 Vol.30 No.9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의 자아존중감과 미디어기기 중독의 관계에서 전반적 행복감과 집행기능 곤란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한국아동패널(PSKC) 13차년도(2020년) 조사에 참여한 초등학교 6학년 아동 1,355명과 어머니이며, SPSS Statistics 22와 SPSS PROCESS Macro 3.5를 사용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기 자아존중감과 미디어기기 중독의 관계에서 전반적 행복감의 매개역할이 확인되었다. 둘째, 아동기 자아존중감과 미디어기기 중독의 관계에서 집행기능 곤란의 매개역할이 확인되었다. 셋째, 아동기 자아존중감과 미디어기기 중독 간의 관계에서 전반적 행복감과 집행기능 곤란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의의를 제시하였고, 제한점 및 후속연구의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ole of happiness and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media device addiction in upper-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Data were obtained from the 13th(2020)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PSKC).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355 six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moth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and PROCESS Macro. The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happiness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media device addiction. Second,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media device addiction. Third, happiness and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sequen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media device addiction.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다래(Actinidia arguta) 열매의 열수 추출물, PG102의 4주 반복 경구투여에 대한 안전성 연구

        홍은실,김미정,권은정,김리,김동현,어해관,박은진,김선영,김선희,Hong, Eun-Sil,Kim, Mi-Jeong,Kwon, Eun-Jung,Kim, Lihong,Kim, Dong-Hyun,Eo, Hae-Kwan,Park, Eun-Jin,Kim, Sunyoung,Kim, Seon-Hee 대한수의학회 2008 大韓獸醫學會誌 Vol.48 No.4

        It was previously found that PG102, a water-soluble extract derived from Actinidia arguta, was able to modulate Th1/Th2 pathways and suppress IgE production resulting in dramatic amelioration of atopic dermatitis in NC/Nga mouse and hairless rat models. In order to evaluate the subacute toxicity of PG102, female and male SD rats were daily fed with various doses of PG102 for 4 weeks. Six week old SD ra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4 groups and orally administrated with 100-, 300-, and 1,000- mg/kg of PG102 as well as the vehicle only. At the end of the study,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body and organ weights were observed between control and treated rats of both genders. Hematological and blood chemical analysis showed little differences between the animal groups. Neither gross abnormalities nor histopathological changes were found. PG102 produced little or no subacute toxicity and could be used as a safe nutraceutical for the treatment of individuals with allergic diseases including atopic dermatit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