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상간호사의 노인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홍예지,이영진,배선형,강민경,Hong, Ye Ji,Lee, Youngjin,Bae, Sun Hyoung,Kang, Minkyung 한국가정간호학회 2024 가정간호학회지 Vol.31 No.1

        Purpose: This descriptive research study is intended to develop practical strategies for enhancing the quality of elderly care by evaluating the levels of ageism and compassion competence among clinical nurses and their impact on geriatric nursing performance. Methods: This study involved 162 nurses who provided direct care to elderly patients in a department with many such patients. Of the 161 returned questionnaires, 150 were analyzed, excluding 11 that had insincere or missing responses. To analyze the data, a comprehensive approach was employed using the IBM SPSS 27.0 program that included calculations of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s well as more complex statistical tests such as the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sults: Compassion competence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elderly care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ageism. This study conclusively demonstrates that compassion competence among nurses in geriatric nursing situations plays a crucial role in provision of quality nursing grounded in understanding and respect for the elderly. Consequently, it is imperative to develop educational strategies tailored to each career stage of nursing practice to further enhance effective elderly care. Conclusion: This study conclusively demonstrates that compassion competence in geriatric nursing situations plays a crucial role in provision of quality nursing grounded in understanding and respect for the elderly. Consequently, it is imperative to develop educational strategies tailored to each career stage of nursing practice to further enhance effective elderly care.

      • KCI등재

        초등학생 자녀를 둔 취업모의 일-가정 균형의 잠재전이분석: 일-가정 균형의 유형 및 유형 간 전이의 예측요인 검증을 중심으로

        홍예지,Hong, Yea-Ji 대한가정학회 2021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59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pply latent transition analysis to the work-family balance of working mothers with a child in elementary school by focusing on the effect of antecedents on both work-family balance typology and the transition between typologies. Data from 400 working mothers who participated in the eighth and eleventh waves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were used.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atent profile analysis of working mothers whose children were in the first grade classified the work-family balance types as 'contradictory' or 'beneficial' and of working mothers whose children were in the fourth grade as 'conflictual', 'contradictory', 'high beneficial', 'low beneficial' or 'beneficial'. Second, working mothers whose work-family balance was 'contradictory' or 'beneficial' when their children were in the first grade mostly had, respectively, a 'low beneficial' or a 'high beneficial' balance when their children were in the fourth grade. Third, the probability of being classified into each type differed according to subjective happiness and marital conflict in the first grade, and marital conflict and social support in the fourth grade. Moreover, marital conflict and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 in the transition between the types of work-family balance. The study showed that the types of work-family balance differed for each time point for individual working mothers. The study also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parenting-related personal, family and social factors in determining the work-family balance type and transition between types.

      • 어머니의 외로움, 인지적 유연성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간의 관계: 일상에 미치는 코로나19 영향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홍예지 한국아동학회 2021 한국아동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11

        연구목적: 이 연구는 어머니의 외로움, 인지적 유연성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관련하여 선행연구는 주로 세 변인 간의 직접적인 영향을 주로 살펴보았다. 그러나 자녀를 둔 어머니가 지각하는 외로움이 직접적으로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스트레스적 상황에서 지각하는 부정적 정서를 최소화하고, 합리적으로 대처하여 자존감을 최대화하는 방식으로 환경의 압력에 적응하는 인지적 유연성을 통해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을 배제할 수 없다. 한편, 2020년 1월 국내에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코로나19)의 첫 확진자가 발생한 후 장기적으로 확산되면서 개인의 일상생활과 대인관계의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현재의 특수한 상황을 고려하여 일상에 미치는 코로나19 영향과 어머니의 정서적 및 인지적 요인이 궁극적으로 유아기 자녀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이 연구는 2021년 6월 기준으로 전국의 만 3, 4, 5세 유아 자녀를 둔 어머니 31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고, 모든 척도에 어머니가 응답하였다. 유아의 평균 월령은 53.23개월이며, 성별은 남아 42.5%, 여아 57.5%이다. 분석을 위해 SPSS 22.0과 SPSS Process macro 3.5를 사용하였고, 매개효과, 조절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Process macro 4 모형, 1 모형과 15 모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머니의 외로움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어머니의 인지적 유연성이 부분적으로 매개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가 지각하는 일상에 미치는 코로나19 영향이 중간 수준과 높은 수준일 때 어머니의 외로움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셋째, 어머니가 지각하는 일상에 미치는 코로나19 영향이 낮은 수준과 중간 수준일 때 어머니의 인지적 유연성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마지막으로 어머니가 지각하는 일상에 미치는 코로나19 영향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일상에 미치는 코로나19의 영향이 낮은 수준에서는 유의하지 않고, 중간 수준 또는 높은 수준에서는 유의하였다. 결론: 이 연구는 현재의 코로나19 상황에서 어머니가 지각하는 정서적 측면에서의 외로움과 변화하는 환경 자극에 맞추어 인지의 틀을 적응적으로 전환하는 능력 즉, 인지적 요인이 유아 자녀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직, 간접적인 영향을 경험적으로 확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초등학생의 스마트기기 이용목적과 집행기능 곤란이 스마트기기 의존도의 변화 유형에 미치는 영향

        홍예지 육아정책연구소 2022 육아정책연구 Vol.16 No.1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latent classes of changes in smart device dependency among third to fifth grade children and to test the antecedents of the classes. To this end, a growth mixture model (GMM)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the 10th to 12th waves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wo latent classes were identified regarding the changes in children’s smart device dependency: a mid-level stable group, and a low-level steadily increasing group. Second, children’s purpose of smart device usage and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were significant determinants of the latent classes. In other words, as children use smart devices for gaming and entertainment, and as they have difficulties in emotional control and inattention, they are more likely to belong to a low-level steadily increasing group rather than a mid-level stable group.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lso discussed. 이 연구는 한국아동패널 10, 11, 12차 데이터를 활용하여 초등학교 3학년 아동 980명의 스마트기기 의존도의 변화를 유형화하고, 스마트기기 이용목적과 집행기능 곤란이 스마트기기 의존도 변화의 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성장혼합모형 분석을 실시하여 도출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스마트기기 의존도의 변화는 ‘중간수준 유지형’ 및 ‘저수준 증가형’의 2개의 잠재집단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초등학생이 게임과 엔터테인먼트를 목적으로 스마트기기를 이용하고, 집행기능 곤란 중 정서통제 곤란과 부주의가 높을수록 이들이 유지형보다 완만한 상승형에 속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이용목적에 따른 초등학생의 스마트기기 사용 시간을 조절하도록 가정 및 학교에서의 적절한 지도와 규제가 필요할 것이며, 스마트기기 의존도의 변화에 집행기능이 보호요인으로 역할을 할 것이라 기대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아동의 올바른 스마트기기 사용을 위한 가족 기반 접근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어머니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영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의 스마트기기 과몰입의 매개효과 검증

        홍예지,박영아,안수빈,이순형,이강이 육아정책연구소 2017 육아정책연구 Vol.1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infants’ and toddlers’ overindulgence in smart devi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negative parenting attitudes and infants’ and toddlers’ playfulness. Data were collected from 278 mothers and 88 teachers of children aged below 36 months from child care centers in Daejoen and Seoul, Korea.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Cronbach alpha, correlation, and the hypothesized model was verifi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mothers’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were positively related to young children’s overindulgence in smart devices, but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ir playfulness. Second, the research model was selected as a final model which implied that mothers’ negative parenting had an indirect effect on infants’ and toddlers’playfulness. Lastly, infants’ and toddlers’ overindulgence in smart devices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and young children’s playfuln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implied that is necessary to protect young children from negative media effects with the help of mothers’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and by promoting developmentally appropriate media environments for infants and toddlers. 본 연구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영유아의 스마트기기과몰입을 매개로 이들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및 대전시 소재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36개월 미만 영유아 자녀를 둔 278명의 어머니와 88명의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로 기술통계, 신뢰도및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최종적으로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부정적 양육태도와 영유아의 스마트기기 과몰입은 유의한 정적 관계가 있었으며, 영유아의 놀이성은 이들의 스마트기기 과몰입과 유의한 부적 관계를 보였다. 다음으로, 어머니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영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영유아의 스마트기기과몰입의 매개효과를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통해 검증한 결과 완전매개모형이 적합한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영유아의 스마트기기 과몰입을 매개로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간접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같은 연구 결과는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를 촉진하도록 돕고, 영유아의 올바른 미디어 환경을 조성하여 영유아의 발달을 저해하는 환경적 맥락의 영향으로부터 이들을보호하고 예방하려는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휴대전화의존도 간의 잠재전이분석: 자아정체감과 휴대전화의존도의 유형 및 유형 간 전이의 예측요인 검증을 중심으로

        홍예지(洪乂志)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아시아교육연구 Vol.22 No.2

        이 연구는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휴대전화의존도의 유형을 구분하여 두 변인의 유형 간 전이 양상을 확인하고, 각 유형 및 유형 간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의 초등학교 4학년 패널 중 4차 및 7차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총 1,737명을 대상으로 잠재전이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1학년 시기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의 유형은 ‘혼미형’, ‘유예형’ 및 ‘성취형’으로, 고등학교 1학년 시기 청소년의 휴대전화의존도는 ‘저수준형’, ‘중간수준형’ 및 ‘고수준형‘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중학교 1학년 시기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의 모든 유형이 이후 이들의 휴대전화의존도의 ‘중간수준형’으로 가장 많이 전이 되었다. 셋째, 중학교 1학년 시기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유형에는 삶의 만족도,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 학교생활 적응이 유의하였으며, 고등학교 1학년 시기 휴대전화의존도 유형에는 어떤 예측요인도 유의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휴대전화의존도의 유형 간 전이에는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또래 애착이 유의한 예측요인이었다. 상술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와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pply latent transition analysis in between adolescents’ self-identity and mobile phone dependency by focusing on identifying typology of the self-identity and mobile phone dependency and testing their antecedents. To achieve these goals, 4th and 7th wave of the 4th grade panel study involving 1,737 adolescents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were used, and latent transit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7th graders’ self-identity was identified as three latent classes: a confused, a suspended and an achieved group. Moreover, 10th graders’ mobile phone dependency was identified as three latent classes: a low-level, a mid-level and a high-level group. Second, by checking up the probability of the transition of classes, groups of 7th graders’ self-identity were all transmitted into the 10th graders’ mid-level in mobile phone dependency. Third, life satisfaction, parents’ positive parenting, and school life adjustment were significant determinants of the latent classes of 7th graders’ self-identity. Lastly, parent’s positive parenting and peer attachment were significant determinants of the transition of cla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