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자의 수업만족 및 향후수강의도 여부의 관련요인으로서, 인식과 자기효능감의 중요도에 대한 분석적 고찰

        한신일,이정연,김혜정 한국교육학회 2010 敎育學硏究 Vol.4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nd to provide effective teaching strategies of on-line classes in order for making e-learning fit well into teaching & learning environment of universities. For this, college students who have taken on-line classes were sampled, and their perception and efficacy of e-learning were analyzed in relation to their satisfaction with and intention of taking on-line courses later 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① A strong corelation were found in four factors of perception of e-learning, efficacy of e-learning, satisfaction of on-line courses, and intention of taking on-line courses later on, ② Satisfaction with on-line courses and intention of taking on-line courses later on were especially influenced by perception of e-learning in a positive way, ③ Students’ perception of e-learning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groups classified by the matrix of their satisfaction and intention. 본 연구는 대학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자들이 가지는 인식과 자기효능감이 이러닝의 수업만족도와 향후 수강의도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함으로서, 이러닝에서 학습자의 특성에 관심을 높이고 학습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이러닝 환경을 제공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선행연구를 통해 이러닝에서의 만족도와 향후 수강의도, 이러닝에 대한 인식 및 자기효능감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고, 대학에서 이러닝을 경험한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기초로 이러닝에 대한 학습자 관점의 다양한 논의점을 전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이러닝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및 자기효능감, 학습만족도, 향후 수강의도의 각 변인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닝에 대한 인식은 수업만족도와 향후 수강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닝 만족여부와 향후 수강의도여부에 따라 네 집단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이러닝에 대한 인식은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에서는 대학 이러닝 활성화에 대한 대안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후보

        행정보직자로서 교사의 자기효능감과 만족도의 관계 분석

        한신일 한국교원교육학회 2004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중등학교에서 행정보직을 맡고 있는 교사들의 자기효능감과 행정보직자로서 만족도와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전국 100명의 행정보직교사를 대상으로 자기효능감과 보직교사로서의 만족도 조사를 실행하였다. 자기효능감은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과제수준선호의 세 하위영역으로 특성을 나눈 24개의 문항으로 측정하였으며, 행정보직자로서의 교사의 만족도는 전반적인 만족도를 묻는 문항으로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행정보직자로서 교사의 자기효능감(특히 자신감 영역)이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행정보직능력에 대한 자기평가와 행정보직자로서의 만족도간 정적인 상관관계가, 또한 행정보직자로서의 만족도와 교육자로서의 만족도간 정적인 상관관계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사교육 과열지역 학부모들의 「3·20 사교육 의존도 완화 방안」에 대한 반응 분석

        한신일,박진은,김현철 교육종합연구원 2011 교육종합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3·20 사교육 의존도 완화 방안」전반에 대해 학부모를 대상으로 효과를 분석한 후, 향후 사교육 관련 교육정책을 설계 및 집행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서울시내 과열 사교육지역에 소재한 9개의 초·중·고등학교 학부모 608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3·20 사교육 의존도 완화 방안의 전반적 정책 효과는 특별히 높지도 않지만 낮지도 않은 보통 정도로 나타났다; ② 학교급이 낮을수록 전반적으로 정책 효과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③ 정책들 가운데 공교육 내실화 지속추진 정책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④ 방과후학교 또는 EBS강의와 같은 사교육 대체수단에 대한 정책보다 학원 수강료 표시제나 체감 학원비 모니터링과 같은 사교육 공급자 강화 정책의 효과를 더 긍정적으로 생각하였다; ⑤ 영어·논술 사교육 수요 완화와 입시제도 관련 정책 효과는 가장 낮게 평가되었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추후 사교육 정책의 기획 및 실행을 위한 제언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

        An Analysis of Collegiate Courses based on a Substantial Frame of Educational Goals

        한신일,김혜정,이정연 한국교육개발원 2008 한국교육 Vol.35 No.3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et up a criteria for classifying educational goals of collegiate classes, and, with it, to give ideas in laying out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goals and strategies. For this purpose, the criteria of educational goals were, first, structured in terms of knowledges (5 categories) and student performance level (6 levels). And then, the sampled courses, collected by surveys of instructors, were analyzed by the criteria.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① Universities have largest numbers of classes which have goals of "understanding of principle or conceptual knowledges," ② While courses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focus on "understanding of conceptual knowledge, those in natural sciences and engineering do on "understanding of knowledge of principle," ③ In general, courses in natural sciences and engineering tend to cover more higher levels of educational goals than those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in terms of knowledges and student performance levels, ④ Recommendations, based on the result, are made for the quality improvement of university education.

      • KCI등재후보

        청소년 리더들의 리더십 특성과 이의 인식과 실행간 차이 분석

        한신일,정우식 교육종합연구원 2010 교육종합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청소년 리더들의 리더십 특성을 파악하고, 그 특성의 인식과 실행의 차이는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지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리더십 설문도구가 사용되었으며, 201명의 고등학교 학생회장들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중요도-실행도 분석(IPA)방법이 주요 연구방법으로 사용되었다. 연구 분석 결과, 청소년 리더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리더십 특성은 책임감이었으며, 타인과 공동체 배려, 도전정신․열정이 그 다음 순위로 나타났다. 또한 자신보다는 타인과 관련된 리더십 특성을 더욱 중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리더십의 중요성 인식에 있어서 성별에 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학문영역(인문 또는 자연계열)에 따른 차이는 발견되었다. 중요도-실행도 분석의 결과, 청소년 리더들은 비전․추진의 리더십 특성이 중요하다고는 인식하고 있었으나, 이의 실행에 있어서는 다른 특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어려움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Comparative Study of Attitudes toward Students with Special Needs for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한신일,Adrian Woo Jung,Nicholas Henning,박창언 韓國比較敎育學會 2012 比較敎育硏究 Vol.22 No.3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 중등학교 예비교사들이 장애학생이 포함된 통합수업상황에 대한 태도와 가치면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한국과 미국의 교직과정을 수강하는 학생 425명을 (한국 276명, 미국 149명) 대상으로 ‘Opinions Relative to Integr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ORI)’ 설문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미국의 예비교사들이 한국의 예비교사들보다 통합수업에 대해 보다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음이 나타났다. 특히 통합수업의 이점, 통합수업 운영, 장애학생을 가르치는데 대한 인지한 능력, 일반수업과 통합수업의 4개 요인 중 장애학생을 가르치는데 대한 인지된 능력 요인을 제외한 나머지 3 요인에서 미국 예비교사들이 한국 예비교사보다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장애학생과 함께하는 통합수업의 안정적 정착을 위해 한국과 미국 두 나라에 선별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제안이 제시되었다. ① 교직과정에 특수교육과 관련된 내용을 독립적으로 다루는 교과목 개설, ② 통합수업상황에서 교생실습을 받을 수 있는 교육시스템 구성, ③ 특수교육전공과 그 외 일반 교과교육 전공간의 협력 강화 등.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compare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attitudes towards teaching and fully including students with special needs in the general education classroom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his study revealed that preservice teacher candidates in the United States hel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s the inclusion of students with special needs than Korean preservice teacher candidates in three of the four factors measured by the Opinions Relative to Integr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ORI) survey instrument. Regarding the factor of their self-perceived ability to teach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Korean and American teacher candidates’ responses. Recommendations for policy, practice, and further research in both countries included the creation of standalone special education courses for all secondary candidates, structured field experiences in effective inclusive classrooms and schools, increased collaboration between special education departments and general teacher education programs, and longitudinal and qualitative study of attitudes and resultant teaching practices with regard to inclusion.

      • KCI등재

        학생의 사교육 참여 자기결정에 따른 학업적 자기효능감, 수업만족 및 학업성취의 관계 분석

        한신일,이석열,박진은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12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16 No.2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지나친 사교육 열기 속에서 실제 사교육이 중요한 것인지 아니면 사교육 이외에 더 중요한 요인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출발하였다. 이 연구는 사교육에 참여하는 학생의 자기결정 여부 따라 집단을 분리하고, 이들 집단이 학업적 자기효능감, 수업만족 및 학업성취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고, 어떤 관계를 보이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15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학생 총 2,295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사용된 설문지는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교수업만족도 및 학업성취의 3개 영역, 21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집단의 개인 특성 및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라 사교육 참여의 자기결정 여부에 차이가 있었다. 여학생의 경우 주도적인 학생집단이 비주도적인 학생집단보다 비율이 높았으며, 부모 수입이 더 많을수록 주도적인 학생집단의 비율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교육 참여에 있어서 자기결정적인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교수업만족도, 학업성취에서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교육 참여에 대한 학생들의 자기결정 여부에 상관없이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교수업만족도, 학업성취 간에 유의미한 관계가 있음이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influence of students' self-determination on the academic self-efficacy, school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Students' self-determination is, especially, determined by the fact that whether they decide to get private tutoring by themselves or not, and based on that factor, groups are divided into self-directing and no self-directing groups, and then compared. The study result shows that; ① The percentage of females in students who participate in private tutoring with their own self-determination is higher than that of males, and the parents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 in private tutoring with their own self-determination have more income than those under pressure of their parents and others around them; ② Students who participate in private tutoring with their own self-determination are higher in academic self-efficacy, school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than in those of students under pressure of their parents and others around them, and all of those three factor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③ The correlations are positively significant among academic self-efficacy, school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both groups.

      • KCI등재후보

        미국대학의 교양교육과정 비교 분석: 2002년 미국 Top 10 National Universities를 중심으로

        한신일,권영신,주정흔 한국비교교육학회 2003 比較敎育硏究 Vol.13 No.1

        본 연구는 2002년도 ‘U. S. News & World Report'지에 발표된 미국의 ’Top 50 Best National Universities' 중 상위 10개 대학(동 순위로 인해 11개 대학)을 선정하여 이들 대학의 교양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대학의 교양교육과정 개선 연구에 관련된 전문가와 행정가들이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이루어 낼 수 있도록 의미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미국 대학의 교양교육과정의 이념과 목표를 살펴봄으로써 교양교육의 내용과 방법적 원리로서의 자유교육의 이념이 어떻게 구현되는지 고찰한다. 그리고 11개 미국대학의 교양교육과정을 영역별로 비교하고 그 내용적 특징을 분석한다. 이와 함께 미국대학 방문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교양교육과정의 운영사례를 간략히 소개한다.

      • KCI등재

        The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on the Association between Post-traumatic Growth and Life Satisfaction of Korean College Students

        한신일,손혜숙 한국재활심리학회 2023 재활심리연구 Vol.30 No.4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re is a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post-traumatic growth(PTG) and life satisfaction(LS)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and whether ego-resilience(ER) has a mediating effect between PTG and LS. Using Baron and Kenny's (1986) causal model, which has two pathways leading to dependent variables (LS), 429 Korean university students who reported experiencing interpersonal trauma were selected for analysis. Linear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data. The results indicated the following: (1) positive relationships among PTG, ER, and LS; (2) Korean college students who experienced PTG were more likely to experience LS; and (3) ER partially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PTG and LS, and the effec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 discussion was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