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방법론을 통한 미국과 국내 재활심리학의 연구주제 비교

        김도희 한국재활심리학회 2018 재활심리연구 Vol.25 No.3

        본 연구는 미국과 국내 재활심리학 연구의 주제를 비교‧분석함으로써 국내 재활심리학의 발전과제를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미국심리학회의 재활심리 분과(APA-Division 22)에서 발간하는 「Rehabilitation Psychology」에 2010년부터 2017년까지 게재된 총 379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고 국내의 선행연구와의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재활심리학의 주요 키워드는 "발달단계에 따른 대상자의 구분", "중재방안의 종류", "심리적 증상이나 심리학적 변인"과 관련되었다면, 미국 내 주요 키워드는 "장애유형에 따른 대상자의 구분", "측정도구의 개발과 적용", "심리적 증상이나 심리학적 변인"과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키워드의 중심성을 비교한 결과, 국내의 연구는 "장애아 부모와 교사의 스트레스" 및 "아동과 청소년의 적응"이 주요 연구주제이며 중재방안으로서 미술치료와 집단상담에 관한 연구가 다수 수행된 것으로 나타났으나, 미국의 연구는 "뇌손상과 다발성 경화증 환자 및 그 보호자를 대상으로 한 재활"이 주요 연구주제이며 심리측정도구에 관한 연구가 다수 수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차이가 발생한 원인으로 국내 재활심리사 자격의 비제도화를 지적하며 이러한 격차를 해소하고 학문적 발전을 이루기 위한 선행과제로 재활심리사의 국가 자격화를 제안한다.

      • KCI등재

        DACUM 기법을 활용한 재활심리사의 직무분석

        박지순,최은영,공마리아 한국재활심리학회 2013 재활심리연구 Vol.20 No.1

        재활심리사는 장애인 당사자와 가족 등에 대한 심리평가 및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사회인식 개선 및 환경 개선을 위한 직무를 수행하는 전문가이다. 본 연구는 DACUM 직무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재활심리사가 현장에서 수행하고 있는 직무, 즉 책무와 과업 그리고 직무에 필요한 일반적 지식과 기술을 살핌으로써 재활심리사의 직업적 가치와 전문가로서 요구되는 직업역량을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8개의 책무와 28개의 과업이 도출되었다. 도출된 8개의 책무와 28개의 과업은 각각 고유한 영역으로 과업을 수행하기 위한 일반적 지식이나 기술을 포함하고 있다. 각 책무는 2∼6개의 과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과업은 2∼5개의 관련 지식 및 기술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책무 및 과업별로 재활심리사가 지각하는 난이도, 중요도 인식 및 수행 빈도를 조사함으로써 과업의 우선순위를 선정하여 교육과정에서 우선적으로 다루어야 할 영역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재활심리사의 교육훈련과정 개발을 위한 과정 중 책무와 과업에 초점을 맞추었는데, 추후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개발에 필요한 과업요소를 도출하여 대학 및 대학원의 정규과정에 적용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재활심리사의 직업적 위상을 공고히 해주는 계기를 마련함으로써 재활심리사의 자격이 국가수준의 자격으로 한 단계 격상된 모습을 갖추기 위한 기반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향후 재활심리사 자격제도의 운영과 관리 등의 체계를 확립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중년후기 성인의 기본심리욕구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로 조절된 우울의 매개효과

        장혜경(Hyekyung Chang),김보영(Boyoung Kim) 한국재활심리학회 2023 재활심리연구 Vol.30 No.2

        본 연구는 중년후기 성인의 기본심리욕구가 우울을 매개로 한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그 과정에서 사회적 지지가 조절효과를 보이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50세에서 64세의 중년후기 성인 393명을 대상으로 기본심리욕구 만족 좌절, 우울, 사회적 지지, 성공적 노화에 대해 자기보고식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SPSS 21.0과 PROCESS macro를 이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후기 성인의 기본심리욕구 만족과 우울의 상관이 부적으로 유의하였고, 우울과 성공적 노화의 상관이 부적으로 유의하였으며 기본심리욕구 만족과 성공적 노화와의 상관도 정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로, 매개는 기본심리욕구 좌절이 우울에 미치는 직접효과가 정적으로 유의하였고, 우울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부적으로 유의하였으며, 기본심리욕구 좌절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직접효과도 부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본심리욕구 만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가 조절하지 않는 반면, 기본심리욕구 좌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가 유효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needs, depression, social support, and successful aging in late middle-aged adults (aged 50-64). A survey of 393 participants was conducted online, an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1.0 and Hayes' PROCESS macro. The results showed that higher satisfaction of psychological needs was associated with lower levels of depression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successful aging. Frustration of psychological needs directly contributed to depression and negatively affected successful aging. Social support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rustration of needs and depression. The study discusse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findings.

      • KCI등재

        재활상담 교수요목 개발 및 운영 현황에 관한 연구

        최국환 한국재활심리학회 2012 재활심리연구 Vol.19 No.3

        재활상담은 재활학, 사회복지학, 심리학, 특수교육학 등 장애인 관련 학문에 있어서 공익성이 큰 실천학문이다. 재활상담 교육은 장애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자립생활을 실천할 수 있는 합리적인 교육내용을 구성해 운영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미국의 CORE에서 제시하고 있는 학부 재활교육과정의 자격인증 기준, 국내 (직업)재활상담 프로그램의 운영 현황 및 재활상담 교과목의 교수요목 운영현황을 고찰하기 위하여 문헌연구를 실시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학의 (직업)재활상담 교육과정과 재활상담 교수요목에 관한 내용이 집중적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국내의 학부 (직업)재활상담 교육과정은 CORE의 학부 재활교육과정 자격인증 기준을 일반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독립적인 윤리원칙과 규정에 관한 내용을 편성․운영하고 있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재활상담 교과목의 교수요목은 대학별로 내용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점이 발견되었고, 교육내용의 일관성도 다소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심리운동 연구 탐색(국내 연구)

        정창숙 한국재활심리학회 2018 재활심리연구 Vol.25 No.1

        본 연구에서 다룬 심리운동은 신체활동을 통한 개개인의 능력과 특성에 알맞으며 중재대상자에게 신체적, 인지적, 사회적 만족감을 줄 수 있으므로 학문적 요구에 대한 흐름인 다학제적 접근의 새로운 패러다임에 발맞추어 갈 중재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신체활동을 통한 심리운동은 움직임을 통한 자아개념 형성 및 전인적 발달에 그 기본원리를 두고 있다. 운동치료와 심리치료가 각각의 단편적인 중재효과에 초점을 맞춘다면 심리운동은 이들 간의 중복요소적 중재효과를 바탕으로 이차적인 치료의 기능뿐만 아니라 정신적·심리적 예방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연구들을 탐색해 보면 주로 장애 유·아동에 초점을 맞춘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심리운동은 장애의 유무나 나이의 고하, 그리고 운동능력의 정도에 상관없이 모두를 대상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심리운동을 더 많고 다양한 대상에게 그 효과를 적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05년 이전부터 2017년 5월까지의 심리운동 연구 학술논문 44편, 학위논문은 석사학위논문 93편, 박사학위논문 11편의 연구유형별, 연구연령별, 연구대상별로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동향탐색을 통해 국내 심리운동의 저변확대와 발전을 위해서 다양한 대상에의 연구와 연구에 대한 결과 및 특징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 KCI등재

        집단예술치료 경험에서의 의미 탐색을 위한 합의적 질적 연구: 아동 심리재활 전공 수련생을 중심으로

        이미선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2022 놀이치료연구 Vol.2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group arts therapy experiences for trainees specializing in psychological rehabilitation for childre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such trainee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a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method. From the analysis of the interviews , 3 upper categories and 35 subcategories were deriv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psychological and emotional experience through group arts therapy, participants experienced healing energy and the power of change and understood harmony through stability, relaxation, and psychological balance. Second, through the cognitive experience of this group arts therapy, participants were able to achieve inner awareness, improved insight, self-opening, and an improvement in their media and arts work. Third, as a relational experience through this group arts therapy, participants understood communication methods and patterns with others , and as the bond was strengthened, empathy and reliability improved. In summary, group arts therapy promoted improvement of the trainees’ psychological⋅emotional/cognitive/relational experiences, and showed the effectiveness of making positive life changes and improving awareness. 본 연구는 아동 심리재활 전공 수련생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 및 분석하여 집단예술치료 경험의 심리적 특성에 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상담수련생 10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합의적 질적 연구(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를 통해 결과를 분석하였다. 심층 인터뷰 내용을 분석한 결과, 3개의 상위 범주, 35개의 하위 범주가 도출되었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들은 집단예술치료를 통한 심리·정서적 경험으로써, 치유적 에너지와 변화의 힘을 느끼고 안정감 및 이완, 심리적 균형과 조화를 이해하였다. 둘째, 참여자들은 집단예술치료를 통한 인지적 경험으로써, 내면에 대한 알아차림, 통찰력의 향상, 자기개방, 매체 및 작업에 대한 작업 증진 등을 이룰 수 있었다. 셋째, 참여자들은 집단예술치료를 통해 관계적 경험으로써, 타인과의 의사소통 방식과 패턴을 점검하고, 유대감이 강화되며 공감 능력과 신뢰가 향상되었다. 이와 같이 집단예술치료는 아동 심리재활 전공 수련생의 심리·정서적/인지적/관계적 경험의 개선을 촉진하였으며, 긍정적인 삶의 변화와 알아차림의 증진 효과를 나타냈다.

      • 유소년축구선수의 심리기술강화 음악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도 분석 연구

        김희진(Heejin Kim),문소영(Soyoung Moon) 한국음악치료심리재활학회 2020 음악치료심리재활연구 Vol.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요구조사를 통해 유소년축구선수의 심리기술강화 음악 중재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소년축구선수가 겪고 있는 심리적 어려움과 약점, 유소년축구선수와 지도자가 요구하는 심리기술 프로그램, 중재 구성에 대한 기준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유소년축구선수 심리기술프로그램의 도입과 질적 향상을 위해 현장 유소년축구선수와 지도자들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심리기술 프로그램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요구조사에는 유소년축구선수 62명과 축구지도자 5명이 참여하였다. 자료 수집기간은 2019년 9월부터 10월까지로 설문과 인터뷰를 통해 심리기술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를 확인하였다. 요구조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소년축구선수의 심리적 어려움은 스트레스, 불안, 긴장, 대인관계에서 겪는 어려움의 비중이 높았다. 스포츠 심리기술 약점으로는 불안조절과 팀 응집력의 문제가 확인되었다. 유소년축구선수지도자는 유소년축구선수의 스트레스 완화 및 팀 응집력 향상, 중도 포기 예방을 위한 지원을 요구하였다. 중재 구성에 관해서는 경기와 훈련 일정이 없는 시간에 시행할 수 있는 단기·집단프로그램으로 개입되기를 원하였다. 그리고 심리기술 음악 중재프로그램에 대한 요구조사 결과 90% 이상의 유소년축구선수가 프로그램 제공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이에 본 연구 결과와 함께 유소년축구선수의 심리기술강화 프로그램 개발에 주는 시사점,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 및 본 연구의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fundamental data for development of a music intervention program that can intensify the psychological skills of youth soccer players based on demand survey. To this end, this study first elucidated not only the psychological difficulties and weakness of youth soccer players but also the criteria for psychological skills program and intervention configuration that are required by both youth soccer players and coaches. Furthermore, it also investigated the psychological skills program that youth soccer players and coaches on the ground recognize as a necessity in order to implement the psychological skills program for youth soccer players and to enhance their quality. A total of 62 youth soccer players and 6 soccer coaches participated in the demand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to October in 2019 through both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to verify their demand on psychological skills program. The results of the demand survey are as follows.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from stress, anxiety, tens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 accounted for a high rate in youth soccer players. Anxiety control and cohesion were identified as a weakness in sports psychological skills. The coaches requested supports for youth soccer players to alleviate stress, enhance cohesion and prevent giving up in the middle of career. In terms of the configuration of intervention, they wanted a short-term group intervention program so that they can perform it during the off-season that has no match and training schedules. In addition, as the result of demand survey on the music intervention program for psychological skills, over 90% of youth soccer players responded that they need such a program. Therefore, this study explored discussions further on the implication of program development for intensifying the psychological skills of youth soccer players as well as suggestions for a follow-up study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