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유아 인성 함양을 위한 지역사회 교육 네트워크의 프레임워크 탐색 : 생태학적 체계이론과 확장학습이론을 중심으로
김혜정,서희전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9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9 No.6
유아의 인성 함양을 위한 지역사회 교육 네트워크란 ‘유아가 지역사회의 건전한 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의 유아교육기관, 가정, 공공기관, 영리 및 비영리단체가 수평적, 주도적, 협력적인교육체제로 역할하면서 지역사회의 인적, 물적, 환경 자원을 활용하여 유아에게 풍부한 인성교육의 기회와 환경을 제공하는 것’(서희전, 김혜정, 2018)을 의미하며, 최근 우리사회의 연결, 협력, 커뮤니티를 통한 교육 요구에 따라 가치와 필요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고 있다. 이에 그간 선행연구를 통하여 건전한 시민성으로서 유아의 인성을 정의하는 한편 지역사회 교육 네트워크의 개념화와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 왔다. 그러나 지역 내 교육 주체 간의 연계협력을 통한 지식형성의 과정 및 집단적 차원의 학습과 발달을 설명하는 구체적인 이론이 명확하게 제시되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교육 네트워크를 설명하는 기반 이론으로서 브론펜브레너의 생태학적 체계이론(ecological systems theory)과 엥게스트룀의 확장학습이론(expensive learning theory)을 문헌연구를 통해 탐색하고, 이들 이론을 바탕으로 교육 주체 간의 역동적 교류 즉, 각 주체 간에 확장적으로 배워나가는 공동체적 학습을 이해하기 위한 프레임 워크를 제안하고자 한다.
김혜정,주민서,비슈짓 쿠마르 사카르,이필남,김혜정 한국교원대학교 뇌기반교육연구소 2022 Brain, Digital, & Learning Vol.12 No.4
The study investigates the role of teacher experience with student change and their enthusiasm as antecedent factors that predict their continuance intention to integrate technology in the classroom. The Partial Least Squares technique was applied to analyze data from 157 teachers in Bangladesh participating in an international development program. The proposed model showed eight significant hypotheses. The variables of teachers’ effort regulation, efficacy on technology integration, teaching enthusiasm, and impact on students significantly influenced continuance intention to integrate technology in the classroom. These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when teacher training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programs is designed to secure the longer-term effectiveness of aid for educ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From the finding, we suggest a sustainable framework in the education sector for the effectiveness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aid.
김혜정 한국국어교육연구회 2001 국어교육 Vol.- No.105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critical reading and to find several attributes of critical reading. The concept of critical reading is reader' energic reconstructive processing in finding of Text-meaning, and so critical reading sets forth critical thinking as a precondition. In general, reading' level in reading processing is divided into three skills. They are literal reading-. inferential(implicative) reading- and critical reading skills. But in this paper, Critical reading includes literal reading-skill and inferential(implicative) reading-skill. On this concept, Critical reading has seven attributes: Text-dependence, inclusive hyper skill, reading simultaneously & on the whole, Schema-dependence, attitude-dependence, creative-reproductive, constructive in Knowing. According to this argument, critical reading is an evaluative and creative activity assuming critical thinking in constructing of text-meaning.
김혜정,이민영,김유나,윤민화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2022 한국사회복지행정학 Vol.24 No.1
본 연구는 아동돌봄기관인 지역아동센터, 어린이집, 공동생활가정의 안전문화 형성에 목표를 두고 아동안전보호정책이 기관내에 적용되는데 중요한 요소와 어려운 요소들에 대해 IP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를 활용하여 고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S 기관의 아동안전보호정책 프로그램인「아동에게 안전한 기관 만들기」사업에 참여한 아동돌봄기관의 기관장과 종사자 12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하였다. 분석 결과, 환경적인 부분인 관계기관 협력 및 제도적 차원의 지원 등은 안전문화 형성 및 촉진을 위한 중요 요소로 인식하고 있으나 수행난이도가 높은 ‘역량개발집중 영역’으로 나타났다. 기관장의 리더십, 아동안전담당자 지정 및 책임 규정, 안전회의 및 모니터링은 중요도는 높으나 수행난이도는 낮은 ‘지속유지’ 영역으로, 중요도는 낮으나 수행난이도가 높은 ‘역량개발노력 영역’에는 안전관련 부모교육, 채용 및 근속, 전 과정에 아동의견 반영이 포함되었다. 아동돌봄기관 안전문화 촉진요소의 중요도와 수행난이도는 기관유형별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는 아동돌봄기관 안전문화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돌봄기관 종사자의 시각으로 안전문화 촉진요소를 고찰함으로써 아동안전문화 형성을 위한 기관 차원의 개입전략 및 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통합적 독서치료프로그램을 활용한 사회적 기술 증진 효과 - 경계선지적기능 아동을 중심으로 -
김혜정,김도연 한국발달지원학회 2017 발달지원연구 Vol.6 No.1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경계선지적기능 아동을 대상으로 통합적 독서치료프로그램을 개발하 여 사회적 기술 증진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독서치료와 함께 이 야기 치료와 표현예술치료, 치료놀이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기법을 함께 통합하여 통합적 독서치료프로그램이 구성되었다. 초등학교 2개의 1~2학년에서 담임교사로부터 추천을 통해 학급생활 및 또래관계에서 부적응을 보인 아동 중 한국웩슬러 아동지능검사(K-WISC-Ⅳ)를 통 해 지능이 70-85사이의 경계선지적기능으로 평가된 아동 7명을 대상으로 통합적 독서치료프 로그램을 실시하여 사회적 기술 증진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통합적 독서치료프로그램 에 참여한 경계선지적기능 아동 7명은 사회적 기술 증진 효과에 유의미하게 효과가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기술의 하위요인인 협동과 자기주장에 관해서는 유의미한 변화가 보 였으나 공감과 자기조절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 들을 종합하여, 결과들의 시사점과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에 관해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