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OFC를 위한 고온용 적층단열재 개발

        최종균,황승식,최규홍,CHOI, CHONGGUN,HWANG, SEUNG-SIK,CHOI, GYU-HONG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 2018 한국수소 및 신에너지학회논문집 Vol.29 No.4

        Fuel cells are known as eco - friendly energy facilities that can use heat energy and electric energy at the same time. Fuel cell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and material used, and solid oxide fuel cell (SOFC) is relatively high temperature ($700-800^{\circ}C$). SOFC requires a hot box consisting of a high temperature stack, a reformer, a burner, and the heat exchangers in order to use energy efficiently. The hot box needs to maintain heat insulation performance at high temperature to reduce heat loss. However, Fibrous insulation, which is widely used, needs to be improved because it has a disadvantage that the thermal conductivity is rapidly increased due to the increase of temperature. Therefo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a thermal insulation, which is applied to multiple layers insulation (MLI) technic, that can be used under SOFC operating conditions and prevent a drastic drop in thermal conductivity at high temperature. The developed insulation is consist of a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a spacer, and a reflective plate.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insulation was measured by in the thermal conductivity measuring device at high temperature range.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developed layers insulation have an good thermal conductivity (0.116 W/mK) than fibrous insulation (0.24 W/mK) as a radiation shielding effect at a high temperature of 1,173 K.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임신 초기 융모막 융모세포에서 인체 백혈구 항원-G (human leukocyte antigen-G, HLA-G) 유전자의 역할에 관한 연구

        윤병일,박소연,최규홍,홍성란,김수녕,송인옥,최범채,유근재 대한산부인과학회 200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4 No.1

        습관성 유산은 전체 임신의 약 1%에서 있고 원인이 규명되지 않은 습관성 유산은 면역학적 이상에 기인한다고 하며 주 조직적합성(major histocompatibility, MHC)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하나 보고자마다 차이가 있다. 최근 사람 융모막 융모(chorionic villi)세포에서 비전형적 주 조직적합체 계열 I (non-classical major histocompatibility class I)인 인체 백혈구 항원-G(human leukocyte antigen-G, HLA-G)는 자연 살세포(natural killer cell)의 융해(lysis)로부터 세포를 보호하여 초기 임신 유지에 매우 중요하다고 보고되고 있으나 아직 국내에선 이에 대해 보고된 바가 없고 염색체 이상시 인체 백혈구 항원-G의 감소로 인해 자연 살세포의 세포 파괴가 발생하는지에 대한 보고도 없으며, 최근 인체 백혈구 항원이 이수배수체(aneuploidy)를 일으킬 수 있는 면역유전학적 인자이며 습관성 유산과 관련이 있다는 보고가 있으나 이를 뒷받침하는 보고는 국내외적으로 아직 없는 것 같다. 이에 저자는 원인 불명의 습관성 유산으로 진단된 환자의 융모막 융모세포에서 인체 백혈구 항원-G의 발현 유무와 유전자형을 연구함으로써 원인 불명 습관성유산의 면역유전학적 발생 기전에 대해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21예의 습관성 유산(3회 이상 자연 유산)환자로 하였으며 대조군은 10예의 치료적 유산 환자로 하였다. 인체 백혈구 항원-G는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 반응법(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을 이용하였으며 세포 유전학 검사는 GTG-분염법(banding method)을 이용하였다. 연구 대상군의 평균 나이는 32.5세였고 과거 유산의 횟수는 평균 3.3회였으며 유산시 임신 주수는 평균 8.5주였다. 대조군의 평균 나이는 30.1세였고 유산시 임신 주수는 평균 7.3주였다. 인체 백혈구 항원-G 전령 리보핵산(messenger ribonucleic acid, mRNA)의 발현은 연구 대상군에서 52.4%(11/21), 대조군에서는 70%(7/10)였다(p$gt;0.05). 연구 대상군에서 비정상 염색체는 66.7%(14/21)였으며, 염색체가 정상인 경우 인체 백혈구 항원-G 전령 리보핵산 발현은 57.1%(4/7), 염색체가 비정상인 경우 50%(7/14)였다(p$gt;0.05). 이상과 같은 결과로 인체 백혈구 항원-G 유전자는 면역유전학적 표지자로서의 유의한 역할을 하지 않을 것으로 사료되나 이의 확립을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있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 Habitual abortion(HA) is postulated to be due to several factors including immunogenetic mechanisms.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effect of the major histocompatibility(MHC) region in the reproductive phenomena suggesting an immunological or genetic involvement in HA. HLA-G is a nonclassical class I MHC molecule, with evidence of protecting cells against natural killer cell lysis and not stimulating an allogeneic response by peripheral blood T cells. These features suggest that expression of HLA-G could be a crucial factor for fetal survival in the face of a potentially hostile maternal immune system.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munogenetic role of HLA-G gene in the early pregnancy loss. This is the first report in Korea about the HLA-G gene in the patients of habitual abortion. Methods : Twenty-one chorionic villi (study group) in the women with habitual abortion (at least 3 spontaneous abortion) and 10 normal chorionic villi (control group) in the women with therapeutic abortion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expression of HLA-G gene in placental extravillous cytotrophoblasts were made by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RT-PCR) and chromosomal analysis was done by ordinary GTG-banding method. Chi-square and Fisher's exact tests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Result : As a result, HLA-G mRNA was expressed in 52.4%(11/21) of study group, in 70%(7/10) of control group and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study group, positive rate of HLA-G mRNA was 57.1%(4/7) in the patients with normal chromosome, and 50.0%(7/14) in the patients with abnormal chromosome and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son : Thus, these results suggest that HLA-G gene might not be a immunogentic marker of early pregnancy loss. But further large scale of study would be needed to reveal the role of HLA-G in habitual abortion.

      • 임신중기의 임신중단술에 있어서 프로스타그란딘 E1 - 미소프로스톨 단독사용과 복합약제사용시 효과의 비교분석

        김문영,양재혁,최규홍,한정열,류현미,한호원,안현경 대한산부인과학회 200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4 No.1

        목적 : 임신중기의 임신중단술에 있어서 misoprostol의 효과와 안전성을 보기 위함이다. 연구 방법 : 연구기간중 임신중단술의 적응증이 되어 입원한 산모 38명을 대상으로 무작위로 선별하여 200 μgm의 misoprostol만을 경구로 매 4시간마다 분만 시까지 투여한 군과, 기존에 본원에서 사용하던 방법으로 주치의의 선택으로 laminaria 나 prostaglandin E2 질정을 자궁경부 개대목적으로 사용후 sulprostone을 매 6시간마다 분만 시까지 정맥 주사한 군으로 분류하여 그 분만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기관지천식이나 녹내장, 심장질환 또는 간 질환이 있는 산모는 제외하였으며 약제투여후 24시간이내에 분만이 완료 된 경우는 방법성공으로 분류하였다. 양군에서의 분만시간과 약제투여후 부작용, 그리고 분만시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들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약제투여후 24시간이내에 임신중단술의 성공률은 misoprostol군에서 93%(14/15), 복합약제 투여 군에서는 43%(9/21)였으며, 12시간이내에 분만이 완료된 경우는 각각 군에서 67%(10/15), 5%(1/21) 로 misoprostol군에서 높았다.(p$lt;0.05) Misoprostol군에서 약제투여후 24시간이내에 분만에 성공하지 못한 3명중 2명은 복합약제방법을 추가하였으며 분석에서 제외 하였다. 평균 misoprostol 사용량은 540μgm이었고, 평균 2.8회 투여하였다. 약제투여후 분만 시까지의 평균소요시간은 (평균±표준편차) misoprostol 군에서 640±590분이었고 복합약제투여군에서는 1670±750분이었다.(p$lt;0.001) 입원시 자궁경부의 Bishop score가 3이하인 경우를 따로 분류하였을 때,약제투여후 분만 시까지 평균소요시간은 misoprostol군에서 728± 586분이었고, 복합약제사용군에서는 1748±678분이었다.(p$lt;0.001) 약제 사용후 부작용은 misoprostol군에서 47%, 복합약제사용군에서 28%였고, 증상은 모두 경미하여 임상적으로 큰 의미가 없었으며, 분만후 잔류태반의 빈도는 misoprostol군에서의 2명(3%)에 비해, 복합약제군에서는 5명(24%)으로 높게 나타났다. Cox regression 결과 Bishop score ≤3 ( p$lt;0.05) 와 분만 방법 (p$lt;0.05) 이 약제투여후 분만완료시까지의 시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 : 임신중기이후의 임신중단술에 있어서, 기존의 복합약제투여방법에 비해 misoprostol만을 경구 투여하는 방법이 사용이 간단하고, 약제에 의한 부작용도 줄일 수 있고 약제투여후 분만 시까지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and safety of misoprostol in termination of pregnancy. Materials & Methods : 38 women who presented with indication for termination of pregnancy were assigned randomly to receive either 200 microgram of misoprostol orally every 4 hours as needed, or medication according to the our established protocol (physician-chosen combinations of Sulprostone infusion every 6 hours with vaginal PGE2 or Laminaria). Exclusion criteria were history of asthma, glaucoma, cardiac or hepatic disease, or chorioamnionitis. Unless delivery had occurred or was imminent after 24 hours with medication, the case was considered to have failed. The induction to delivery time and influencing factors were analyzed in both group using t-test, chi-square test or Fisher`s exact test, Kaplan-Meier and Cox regression. Results : The success rate of termination of pregnancy within 12 hours and 24 hours were 67% and 93% with misoprostol (n=15) versus 5% and 43% with physician-chosen combination (n=21) (p$lt;0.05). Among 3 cases failed with misoprostol within 24 hours, two cases crossed to the alternative method after 24 hours of misoprostol, so, the 2 cases were excluded. The mean dosage and frequency of misoprostol was 540 microgram and 2.8 times. The mean induction to delivery time ( mean ± standard deviation) with oral misoprostol (n=15) was 640±590 minutes versus 1670±750 minutes with physician-chosen combination (n=21) (p$lt;0.001). Reanalyzed in selected cases of Bishop score ≤3, the mean induction to delivery time with misoprostol (n=13) was 728±586 minutes versus 1748±678 minutes with physician-chosen combination (n=20) (p$lt;0.001). The side effects (nausea, vomiting, diarrhea, mild fever, and chest tightness) were 47% in misoprostol group and 28% in physician-chosen combination group, but they were mild and had no clinical significance.. By Cox regression analysis, the Bishop score ≤3 (p$lt;0.05) and method of termination (p$lt;0.05) are most significant factors to influence the induction to delivery time. Conclusions : Compared to the routine physician-chosen combination method for termination of pregnancy, oral misoprostol results in shorter induction to delivery time and is easy to use without significant maternal side effects.

      • KCI등재

        양수를 이용한 태아 염색체 분석 1788 예

        문신용,한정호,김선미,최규홍,송남희,최영민,이진용,윤보현,고희정,전종관,권경훈,설혜원,노미경,오선경,박중신,신희철 대한산부인과학회 200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3 No.8

        Objective : Amniocentesis is the most prevailing procedures for prenatal cytogenetic analysis. We tried to elucidate the cytogenetic characteristics of amniocentesis performed in the Institute of Reproductive Medicine and Popul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Methods : From January 1994 to December 1999, transabdominal amniocentesis were performed for cytogenetic analysis in 1738 patients. Results : The most frequent indication for amniocentesis was advanced maternal age(43.4%, 755/1738) and the next was abnormal serum marker(31.7%, 552/1738). The overall incidence of abnormal karyotyping results was 5.4%(97/1788). We showed that the incidence of abnormal karyotyping was different according to its own indication (Pearson chi-square test, p$lt;0.001). Conclusion : The indication for genetic amniocentesis is an important factor to predict anticipated abnormal results.

      • KCI등재

        조산예측을 위한 임신중기 자궁경부 길이측정의 효용성연구

        김문영,최은화,양재혁,최규홍,한정렬,류현미,김혜옥,성석주,정상희,조준형,안현경 대한산부인과학회 200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3 No.12

        목적 : 이 연구의 목적은 단태아에 있어서 임신중기 경질초음파로 측정한 자궁경부의 길이와 조산과의 관계를 보고자 함이다. 방법 : 임신 24주와 28주 사이에 삼성제일병원 외래에 내원한 498명의 산모를 대상으로 자궁경부의 길이를 측정하여 짧아진 자궁경부의 길이와 조산위험도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조산은 임신 37주 이전에 분만된 경우로 정의하였다. 결과 : 총 498명 중 임신중독증, 태아기형, 태아가사, 전치태반, 자궁경관무력증 등이 있었던 21명을 제외한 477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고 그중 36명이 조산되어 조산율은 7.5%였다. 평균 자궁경부길이는 34.4±3mm(평균±표준편차)이었다. 이시기에 평균 자궁경부길이의 75, 50, 25, 10 percentile에 해당되는 자궁경부의 길이는 각각 39.2mm, 34.0mm, 30.0mm, 24.6mm였고, 자궁경부의 길이가 75 percentile 이상이었던 산모들과 비교하였을때 자궁 경부길이가 75, 50, 25, 10 percentile이하이었던 산모에서 조산의 위험도(Odd ratio)는 각각 0.96, 2.88, 2.93, 7.37로 증가하였다. 자궁경부의 길이가 30mm이하(25 percentile)이었을때 조산예측의 민감도는 47.2%, 특이도는 76.2%, 양성예측도는 13.9%, 음성예측도는 94.6%이었으며, 자궁경부길이가 25mm이하(10 percentile)이었을때는 각각 27.8%, 90.2%, 18.9%, 94.1%이었다. 자궁경부길이가 30mm이하이었던 경우와, 25mm이하이었던 경우 조산위험도는 각각 3.57(95%CI 1.61-7.91), 2.86(95%CI 1.44-5.71)이었다. 또한, 자궁경부길이가 35mm 보다 길었던 경우 조산율은 0.3%에 불과 하였다. 결론 : 임신중기의 자궁경부 길이가 짧을수록 조산의 위험도는 증가하며, 임신 24-28주 사이의 질식초음파를 이용한 자궁경부의 길이측정은 조산예측에 좋은 지표로 이용될수 있다고 사료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hypothesis that length of the cervix measured by transvaginal ultrasonography is associated with preterm delivery. Methods : Cervical length was measured by transvaginal ultrasonography in 477 normal singletone pregnancies(349 primigravid, 128 multigravid) between 24-28 week's gestation. We then assessed the relation between cervical length and the risk of preterm delivery. Results : The mean cervical length was 34.3±3mm. The prevalence of preterm delivery were 7.5%(36/477). When women with shorter cervixes at 24-28 weeks were compared with women with values above the 75th percentile, the relative risks of preterm delivery among the women with shorter cervixes were as follows: 0.97 for cervical lengths between 50-74th percentile, 2.89 for lengths between 25-49th percentile, 2.93 for lengths between 10-24th percentile, 7.37 for lengths at or below the 9th percentile (p$lt;0.05). The cervical length ≤30mm in the prediction of preterm delivery in this data set yielded a sensitivity of 47.2%, a specificity of 76.2%, a positive predictive value of 13.9%, and a negative predictive value of 94.6%. The cervical length ≤25mm in the prediction of preterm delivery in this data set yielded a sensitivity of 27.8%, a specificity of 90.2%, a positive predictive value of 18.9%, a negative predictive value of 94.1%. Conclusion : Cervical length measured by transvaginal ultrasonography during 24-28 week's gestation is a useful predictor of preterm delivery in low-risk singletone pregnan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