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4차 산업혁명시대의 비즈니스 모델 유형

        정상희,정병규 사단법인 한국벤처혁신학회 2018 벤처혁신연구 Vol.1 No.1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making a big change for our company like the tsunami. The CPS system, which is represented by the digital age, is based on the data accumulated in the physical domain and is making business that was not imagined in the past through digital technology. As a result, the business model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one.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trends and the issues of business innovation theory research. Then, the business innovation model of the digital age was compared with the previous period. Based on this, we have searched for a business model suitable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e existing business models have many difficulties to explain the model of the digital era. Even though more empirical research should be supported, Michael Porter's diamond model is most suitable for four cases of business models by applying them. Type A sharing outcome with customer is a model that pay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basis of customer performance. Type B Value Chain Digitalization model provides products and services to customers with faster and lower cost by digitalizing products, services and SCM. Type C Digital Platform is the model that brings the biggest ripple effect. It is a model that can secure profitability by creating new market by creating the sharing economy based on digital platform. Finally, Type D Sharing Resources is a model for building a competitive advantage model by collaborating with partners in related industries. This is the most effective way to complement each other's core competencies and their core competencies. Even though numerous Unicorn companies have differentiated digital competitiveness with many digital technologies in their respective industrie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ere is a limit to the number of pieces to be listed. In fu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business model of the digital age through more specific empirical analysis. In addition, since digital business models may be different in each industry, it is also necessary to conduct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industries. 4차 산업혁명이 쓰나미와 같이 우리 기업에 큰 변화를 주고 있다. 디지털시대로 대변되는 CPS시스템은 물리적인 영역에서 축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디지털 기술을 통해 과거에 상상하지 못했던 비즈니스를 현실로 만들어 내고 있 다. 이로 인해 4차 산업혁명시대의 비즈니스 모델은 이전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즈니스 혁신 이론 연구의 흐름을 시대별 흐름과 쟁점을 분석하였다. 이후 디지털시대의 비즈니스 혁신 모델을 이전 시대와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적합한 비즈니스 모델을 탐색하였으며, 기존 비즈니스 모델들로 는 디지털 시대의 모형을 설명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고, 보다 많은 실증적인 연구가 뒷받침 되어야하겠지만 마 이클 포터의 다이아몬드 모델이 가장적합함을 확인하였고, 이를 응용하여 4가지 유형의 비즈니스 모델을 도출하여 해 당 사례를 살펴보았다. Type A : sharing outcome with customer로 고객 성과 창출 기반에 따라 차등적으로 비용을 지불하는 모델이며, Type B : Value Chain Digitalization로 제품, 서비스 및 SCM 디지털화로 보다 빠르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품, 서비스 를 고객에 제공함으로 경쟁우위를 가지는 모델이며, Type C : Digital Platform는 가장 큰 파급효과를 가져다 주는 모델로 디지털 플랫폼 기반의 공유 경제 창출로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여 더 확실한 수익성 확보가 가능한 모델이다. 마지막으로 Type D : Sharing Resources는 관련 산업 내 파트너와 협업으로 경쟁 우위 모델 구축하는 모델로 다른 파트너의 핵심 역량과 자신의 핵심 역량을 서로 보완하는 가장 효과적인 성공 방법이라 할 수 있겠다. 4차 산업혁명시대에 다수의 요소 기술과 수많은 유니콘, 데카콘 기업들이 자신들이 속해 있는 산업별 차별적 디지털 경쟁우위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특정 대표기업의 디지털 비즈니스 모델을 상세 분석하여 학문적이고 실무적인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 보다는 단편적으로 나열함에 한계가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더욱더 구체적인 실증적인 분석을 통해 디지털시대의 비즈니스모델을 더욱더 상세하게 규명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산업별로 디지털 비즈니스 모델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산업간 비교분석을 해볼 필요 역시 있다.

      • KCI등재

        광역지방자치단체 단위과제 운영에 관한 연구

        정상희 한국기록학회 2016 기록학연구 Vol.0 No.4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analysis the problems in managing ‘Business Transaction(Danwi-gwaje)’ of regional local government, and propose implications. The study points out the problems emerged in the operation process of Business Transaction including creating of Business Transaction and Business Transaction Profile, setting retention period and filing records, and gives concrete example of them. It concludes with presenting improvements and considerations in managing Business Transaction for systematic and efficient records management. 이 연구의 목적은 광역지방자치단체에서 사용하고 있는 단위과제 운영상 문제점을 조사·분석하고, 그 과정에서 도출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기능분류체계의 최하위 단위이자 보존기간 책정 단위인 단위과제의 신설부터, 단위과제 보존기간 책정, 단위과제카드 생성, 기록물 편철까지 일련의 운영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들을 지적하고 사례를 소개하였다. 그리고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기록물 관리를 위하여 단위과제 운영에 있어 개선되거나 고려해 봐야할 요소들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청남대 건립 관련 잔존 기록물 조사 연구

        정상희 한국기록학회 2016 기록학연구 Vol.0 No.47

        Cheongnamdae is public building which was built in 1983. Cheongnamda had been used for the exclusive villa for Presidents of Korea from then until 2003 when it opened to the public. Because of public building, public records would have been produced during the construction process. The records of public institutions are generally managed and destroyed according to retention schedule. Considering the retention schedule of those days, it is more likely that most of records which would show the accountability about building Cheongnamdae do not remain. But regardless of retention period, those records may be left, so we need to confirm existence of the recor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records related to the construction remain or not. For the examination, I make a list of the records which are supposed to be created during the construction process. Then I identify whether those records are preserved in records-creating institutions or national archives or not. And I suggest the selection strategy of the records of existing public buildings and show the direction for managing the records of public buildings to be built. 청남대는 1983년에 건립되어 2003년까지 대통령 별장으로 사용된 공공건축물이다. 그렇다면 건립과정에서 공공기록물이 생산되었을 것이다. 공공기관의 기록물은 보존기간 동안 관리되다폐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 당시 보존기간표를 고려하면, 청남대 건립 시작부터 완공까지 설명책임성을 보여줄 기록물은 남아 있지 않을 확률이 크다. 그렇지만 보존기간과 상관없이 기록물이 남아 있는 경우도 있으므로 확인해 볼 필요는 있다. 이러한현실을 감안하여 이 연구는 청남대 건립 관련 기록물의 잔존여부조사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건립과정에서 생산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기록물의 목록을 작성하고, 그것을 생산 또는 보존하고 있을 것으로 짐작되는 공공기관에 잔존 기록물이 남아 있는지 확인한다. 그리고 이 결과를 가지고, 기존 공공건축물의 기록물 수집전략을 제언하고, 앞으로 세워질 공공건축물의 기록물 관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한다.

      • KCI등재

        México y Corea del Sur en el marco de la cooperación Sur-Sur y Triangular

        정상희 한국스페인어문학회 2014 스페인어문학 Vol.0 No.70

        Este trabajo intenta estudiar y promover las mejores formas de trabajo y de asociaciones más convenientes para México y Corea del Sur mediante la cooperación Sur-Sur y Triangular. Por tanto primero se abordarán las definiciones de la cooperación Sur-Sur y Triangular desde diversos marcos institucionales para aclarar qué se entenderá por cooperación Sur-Sur y Triangular. Segundo, se realizará una revisión a la evolución de las actividades principales de la cooperación Sur-Sur y Triangular en la región de América Latina y México. Tercero, en base a un análisis acerca de las experiencias concretas y relevantes de la cooperación Sur-Sur y Triangular, llevados a cabo por México y Corea del Sur se pretende valorar su estatus actual, la contribución y las implicaciones estratégicas, así como los retos existentes. A continuación, se plantean algunas fórmulas o un posible plan de sus implementaciones en el marco de las relaciones existentes entre México y Corea. Finalmente se identificarán las orientaciones y potencialidades para profundizar y desarrollar nuevas formas de cooperación y vinculación de ambos países vistas desde las nuevas opciones en el ámbito de la AOD.

      • KCI우수등재

        서울시 빈집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환경 요인 분석

        정상희,이수기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24 國土計劃 Vol.59 No.1

        Vacant houses in particular are having a considerable impact on cities, causing urban decay, declining property values, environmental pollution, and increased crime rates. In addition, unlike local cities, where population outflow to large cities is often blamed for the problem, the phenomenon of vacant houses is also occurring in Seoul, where demand for housing is high. As Seoul, the capital of Korea, is also experiencing a steady decline in population, investigation from a long-term perspective is necessary. This study identifies the factors that affect the occurrence of vacant houses in Seoul and presents policy implications to improve the negative effects of vacant houses. To this end, we analyzed the urban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vacant houses at the aggregate district level. Analysis revealed that the number of vacant houses increased as the percentage of old houses increased in residential areas and increased as the area fell under the redevelopment project area. The number decreased as the population density, connectivity rate, house price, and the ratio of house price and land price increased. In the case of non-residential areas, the number increased as the proportion of small houses increased and the area fell within the redevelopment project area, and decreased as the population change rate, number of businesses, and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increased. Therefore, our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for policy implementation that not only addresses depopulation and neighborhood decline, but also involves individual homeowners, the government, and the community working together to solve the problem of vacant houses. 빈집에 대한 문제는 공공의 편익을 위한 사회적 구속성과 개인이 행사할 수 있는 재산권의 개념이 함께 얽혀있다. 그러므로 주택 소유자의 자유로운 거주 장소 선택과 재산 관리에 대한 자의적 선택으로 인해 발생하는 빈집에는 공공의 복리 증진을 목적으로하는 정책적 유도가 필요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서울시의 빈집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정책적 시사점제시를 목표로 한다.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빈집에 대한 미시적 수준의 자료를 구축하고 서울시 빈집의 공간적 분포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할 수 있는실질적인 빈집을 조사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인구감소 시대에 맞는 빈집 관리방안을 논의하였다. 둘째, 빈집 소재지의 용도지역에 따라 상이한 요인을 식별하여 지역 특성에 맞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빈집의 위치와 토지 특성을 결합하여변수의 영향요인을 파악하였다. 셋째, 많은 선행연구에서 언급된인구감소나 물리적 노후화뿐만 아니라 빈집을 방치하게 되는 경제적, 사회구조적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주택과그 주택이 위치하는 부속 토지와의 가격 관계가 빈집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지 식별하여 도시 정책의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향후 빈집 관리의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유방암 환자에서 타장기에 발생한 원발성 악성종양의 임상적 특성

        정상희,곽승수,김성철,박문기,이건석,김희정,이정선,안세현,손병호 한국유방암학회 2007 Journal of breast cancer Vol.10 No.4

        Purpose: Since 2001, breast cancer has been the most common type of cancer observed in Korean women. Due to improved screening and treatment, multiple primary cancer (MPC) in association with breast cancer has been more prevalent. However, there is a lack of information regarding MPC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an overview of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MPC that occurs in association with breast cancer. Methods: We retrospectively investigated 149 patients with MPC, including breast cancer patients, who were treated between July 1989 and December 2005 at the Breast clinic in Asan Medical Center. Patients with contra-lateral breast cancer as well as patients that experienced a recurrence of breast cancer were excluded from this study. We studi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including the mean age, stage of disease, hormone receptor status, cause of death, common cancers that were combined with breast cancer, the time interval between the onset of breast cancer and other cancers, and mean survival. We considered the cancer to be synchronous if a second cancer has been diagnosed at least six months before the diagnosis of an initial primary cancer, however, other forms of cancer were considered to be metachronous. Results: Of 149 patients, 146 patients were female (98.0%) and 3 were male (2.0%). The mean age of the study group was 51.5, which is higher than the mean age of 47.3 that was observed in breast cancer patients at our hospital during the same period (p<0.001). Forty-four of the patients evaluated in this study had synchronous cases of cancer, whereas the remaining 88 patients had metachronous MPC. In metachronous cancers, the average time between diagnosis with the primary cancer and the secondary cancer was 5.2 yr. The most common cancer found to be combined with breast cancer included cancer of the thyroid (45, 29.2%), cervix and uterus (28, 18.2%), stomach (19, 12.3%), colon and rectum (15, 9.7%), ovary (11, 7.1%) and lung (9, 5.8%). Conclusion: Thyroid cancer is the cancer most commonly associated with breast cancer, and the mean age of MPC patients was higher than that of patients who only had breast cancer. Due to the improved survival length and treatment, MPC associated with breast cancer is now a greater concer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