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상 결장 게실염의 합병증으로 초래된 장간막 농양을 동반한 하장간막정맥 패혈성 혈전정맥염: 증례 보고

        차성재,이혜경,이범하,이민희,홍현숙 대한영상의학회 2013 대한영상의학회지 Vol.69 No.1

        Thrombophlebitis occurs secondarily to inflammatory conditions of adjacent organs, and radiologic finding is essential for diagnosis. However, because of the rarity on clinical cases that involve the inferior mesenteric vein, many radiologists are unfamililiar with its location and appearance. We experience a case of septic thrombophlebitis with abscess complication sigmoid diverticulitis. CT scans reveals a low density thrombus and air in the inferior mesenteric vein, combining with perivascular fat infiltration, and focal wall defects with abscess formation. After surgical treatment, the abscess was not visible in the follow-up CT scans. Septic thrombophlebitis of the inferior mesenteric vein, although being a rare disease, should be diagnosed on CT according to the given unique location, the appearance of inflamed vein and the adjacent descending mesocolon. 장간막혈전정맥염은 인접한 장관의 염증성 병변에 의해 초래되는 질환으로 임상소견이 비특이적이서 이 진단에 있어 영상의학적 소견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하장간막정맥염은 드물게 보고되기 때문에 그 위치와 모양에 친숙하지 않을 수 있다. 저자들은 S상 결장 게실염과 동반된 하장간막정맥의 패혈성 혈전정맥을 경험하였으며 CT 소견에서 하장간막정맥내 저감쇠의 혈전과 작은 기포를 보였고, 혈관 주변 지방침윤을 보였으며, 혈관벽의 결손과 인접하여 장간막 농양을 동반한 하장간막정맥의 패혈성 혈전정맥염 증례를 경험하였다. 환자는 수술적 치료를 통하여 증상이 호전되었으며, 수술 후 시행한 CT 소견에서 농양의 흔적은 보이지 않았다. 하장간막정맥의 패혈성 혈전정맥염은 비록 드문 질환이지만, 염증이 있는 정맥과 주변 하행결장간막에 특이적인 소견과 위치를 보이므로 진단에 도움이 된다.

      • 위절제 수술을 시행한 위암환자의 영양교육을 통한 영양상태 개선

        차성재,최유신,신종욱,박용숙,고미숙,윤정화,김영남,안지영,김선화,유혜숙,강현주,장정은 한국정맥경장영양학회 2011 한국정맥경장영양학회 학술대회집 Vol.2011 No.-

        위절제 환자에게 영양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위절제 수술 환자의 영양불량정도를 조기에 진단하여 영양 불량을 예방하고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적극적으로 영양 상태를 증진시킬 필요가 있다. 이에 적극적인 치료와 영양관리는 필요하며, 영양관리를 위해 영양교육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2010년 1월부터 2011년 1월까지 중앙대학교병원 일반외과에서 위암으로 위절제 수술을 시행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영양교육을 받기 전과 받은 후 영양교육이 식생활습관, 식품섭취빈도 및 영양소 섭취량, 식사요법 실천도 및 영양지식, 신체계측, 혈액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수술 전ㆍ수술 3개월 후로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은 영양교육의 중요성, 실생활에서의 적용, 실생활에서의 도움이 되는 정도에 대하여 대부분 영양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인지하고 있었으며, 영양교육실시 후 아침식사 섭취 여부, 식사시간의 규칙성, 식사 섭취 시간, 과식 여부, 외식 빈도, 음주, 흡연, 운동 여부 등의 식생활습관이 개선되었다. 식품섭취빈도에서는 쌀밥, 우유의 경우 수술 전보다 수술 3개월 후 더 많이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1), 영양소 섭취량은 열량, 단백질, 지질, 당질, 그 외 비타민, 무기질 모두 수술 전보다 수술 3개월 후 감소하였다(p<0.001). 식사요법 실천도에서는 10개 문항에서 모두 ‘보통이다’ 이상으로 응답하고, 영양지식에 대한 총 점수는 15점 만점 중 10.48±1.45점으로 나타내 실천도 및 영양지식 모두 중간이상의 점수를 나타내었다. 영양교육이 신체계측치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수술 전보다 수술 3개월 후 체중이 감소하였으며(p<0.01), PIBW와 BMI 역시 수술 전보다 수술 3개월 후 감소하였다(p<0.001). 혈액성분치에서는 Albumin, Hb, RBC, Hct, WBC, Total protein, TLC, ALT, ALP는 수술 전, 수술 직후, 수술 3개월 후 감소를 보였으며(p<0.05), 그 외 혈액성분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 결과, 위절제 수술 후 위용적의 감소로 인하여 경구섭취량이 부족하고, 이로 인하여 영양소 섭취량과 체중이 감소하였으며 혈액성분치도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영양교육을 통하여 식생활 습관의 긍정적인 변화를 살펴볼 수 있었으며, 위절제 수술 후 올바른 식사 요법의 실천도와 영양지식 습득에서도 긍정적인 결과를 살펴볼 수 있었다. 이에 위절제 수술 후 환자들의 식사에 대한 요구를 만족시키고, 좋은 영양상태 유지를 위해 적절한 영양중재를 위한 식이 이행 단계별 교육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주기적인 영양상태 평가 및 지속적인 영양관리와 추구관리를 하여야 할 것이다.

      • SCOPUSKCI등재

        배추좀나방 (Plutella xylostella)의 번데기-유래 새로운 지방세포주 확립

        차성재,한성식 한국곤충학회 1999 Entomological Research Vol.29 No.2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의 지방체로부터 새로운 지방세포주를 확립하였다. 이들 지방세포주는 빠른 성장을 보여주는 세포주로서, 확립 후 분열 시간은 34.5시간($25^{\circ}C$, pH 6.25, 300mOsm, 10% FBS)이었다. 이 세포주는 10% 혈청을 포함한 TNM-FM 배지에서 좋은 성장력을 보여주었다. 지방세포주 내에는 형태적 특징으로 보아 4가지의 subtype이 존재하고 있었다. 핵형분석을 통한 염색체수는 24에서 184개 이었다. 또한 10% DMSO가 포함된 배지에서 액체질소내에 10개월 이상 보관이 가능하였다. 이들 새로운 세포주는 Px-FK로 명명하였다. A novel fat cell line was obtained from the culture of the pupal fat bodies of Plutella xylostella. It was a fast- growing cell population, and its population doubling time was about thirty four and half hours after the culture was set up ($25^{\circ}C$, pH 6.25, 300 mOsm, 10% FBS). The cells were grown in the TNM- FM medium with 10% fetal bovine serum. This cell line could be divided into the four subtypes of fat cell lines by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A karyotype analysis showed a range between 24 and 184 chromosome numbers. The cells could be stored in the culture medium containing 10% DMSO in liquid nitrogen for over 10 months. The cell line was designated as Px- FK.

      • KCI등재

        지연성 이상운동이 있는 조현병 환자의 우울증

        차성재,오근,김미숙,박선철,김영훈,Cha, Seongjae,Oh, Keun,Kim, Misuk,Park, Seon-Cheol,Kim, Young Hoon 대한생물정신의학회 2018 생물정신의학 Vol.25 No.4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and anxiety symptoms and tardive dyskinesia (TD) and reveal the association of cognitive function and TD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Methods We recruited 30 schizophrenia patients with TD and 31 without TD from a national mental hospital in South Korea. To assess depressive and anxiety symptoms,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II (BDI-II) and the Beck Anxiety Inventory (BAI) were conducted. Using the five-factor structure of the BDI-II and BAI, somatic anxiety, cognitive depression, somatic depression, subjective anxiety, and autonomic anxiety were assessed. Computerized neurocognitive function test (CNT) was performed to assess levels of cognitive functions. We compar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levels of cognitive functions, and depressive and anxiety symptoms between schizophrenia patients with TD and without TD.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independent t-test and Mann Whitney U test were conducted to compare two group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valuate relationships among the abnormal involuntary movement scale (AIMS), BDI-II, BAI, somatic anxiety, cognitive depression, somatic depression, subjective anxiety, and autonomic anxiety. Results The subjects with TD had significantly lower score on the cognitive depression than those without TD (t = -2.087, p = 0.041).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AIMS score and the BDI-II score (r = -0.386, p = 0.035) and between the AIMS score and cognitive depression score (r = - 0.385, p = 0.035). Conclusions Our findings suggest the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severities in TD and depression and support the assumption that there is an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the pathophysiology of TD and depression.

      • KCI등재후보

        원발성 부갑상선 기능항진증의 임상 분석

        차성재,박성준,Seong Jae Cha,M,D,and Sung Jun Park,M,D 대한갑상선-내분비외과학회 2003 The Koreran journal of Endocrine Surgery Vol.3 No.1

        The authors present a clinical analysis of 69 cases of primary hyperparathyroidism during the last 32 years from 1963 to 1994 which were reported in Korean Medical Journals. There were 69 patients, 21 males and 48 females, with a male to female ratio of 1 to 2.3. The age distribution was between 4 months and 65 years. The presenting clinical manifestations were musculoskeletal symptoms (66.7%), renal symptoms (49.3%), and general weakness (21.7%) in that order of frequency. There were 2 patients with asymptomatic hypercalcemia. The mean preoperative serum Ca and P levels were 13.1 mg% and 2.4 mg%. The mean postoperative serum Ca and P levels were 8.0 mg% and 2.7 mg%. The mean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PTH levels were 3275 pg/dl (normal range; 220∼660 pg/dl) and 392 pg/dl. Preoperative localization was done using ultrasonogram, computed tomogram, thallium-technetium subtraction scan, and arteriogram. Positive localization was made in 84.8% (28/33), 72.7% (24/33), 84.2% (16/19), and 100% (9/9), respectively. In one patient, magnatic resonance imaging was performed and positive localization was made. The location of the lesion was more common in the lower part of thyroid than the upper part and on the left side rather than the right side. There were 7 patients with ectopic locations including the thoracic inlet (2), intrathymus (1), intrathyroidal (1), mediastinum (2), and right subclavicular (1). All patients were treated surgically. The final histopathologic findings were single adenoma in 63, carcinoma in 3, and primary hyperplasia in 2 patients. There was 1 patient with double tumors composed of adenoma and carcinoma. (Korean J Endocrine Surg 2003;3:32-38)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