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Effect of air pollution on lung cancer survival : a nationwide cohort study

        지원준,김슬기,박유랑,김혜령,김환철,김형렬,이재철,최창민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8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Vol.126 No.-

        Introduction: Although ambient air pollution has been associated with lung cancer incidence, little is known about the effects on a lung cancer survival.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ir pollution on the survival of lung cancer patients.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using nationwide lung cancer cohort. The daily levels of particulate matter with diameter ≤10 ㎍ (PM10), PM with diameter ≤2.5 ㎍ (PM2.5), nitrogen dioxide (NO2), sulfur dioxide (SO2), carbon monoxide (CO) and ozone (O3) were obtained from the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A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was used to estimate the risk that associated between air pollutant exposure and lung cancer survival. Results: We analyzed 69,744 cases of lung cancer from Jan 2002 to Dec 2013. The exposure to PM10, SO2, and CO were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lung cancer survival and this patterns were greater in the early stage compared to advanced stage. Although disease status, sex, age, socioeconomic status and smoking history were significant determinant factors of lung cancer survival, exposure to PM10 (HR 1.053, 95% CI 1.049-1.056), SO2 (HR 1.006, 95% CI 1.005-1.007), and CO (HR 1.009, 95% CI 1.007-1.011) were also significant factors when we adjusted other significant risk factors. Conclusions: Our study found that exposure to PM10, SO2, and CO might be a risk factor for lung cancer survival regardless of disease status and other clinical risk factors. Furthermore, the impact of air pollutants exposure was greater in the early stage.

      • F-8 : 특발성 폐섬유화증 환자에서 GAP 병기 체계의 예후적 가치

        지원준,김호철,이정수,김동순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3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Vol.116 No.0

        목적: 특발성 폐섬유화증은 환자마다 다양한 임상경과를 보여 예후에 대한 예측이 매우 중요한 질환이다. Ley 등은 예후 예측 모델로 GAP병기 체계를 발표하였으나 동양인에서의 유용성은 아직 알려진 바가 없다. 본 연구는 GAP 병기 체계가 임상경과에서 예후 예측에 유용한지를 평가하고, 임상경과를 예측할 수 있는 추가 지표들에 대해 확인해보고자 한다. 방법: 특발성 폐섬유화증으로 서울아산병원에서 경과관찰 중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내원 당시부터 3년까지 매년 GAP 병기를 계산하여 병기간 생존률의 차이를 분석하였고, 초기 6개월 간의 폐기능 검사 수치의 변화가 이후의 GAP 병기 변화 및 임상 경과를 예측할 수 있는지 확인하였다. 성적: 2005년 1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412명의 특발성 폐섬유화증 환자(연령 중앙값 66세, 남성 318명-76.6%, 수술적 폐생검 183명 -44.1%, 평균 추적관찰 기간 31.9개월)가 연구에 포함되었다. 전체 임상 경과에서 GAP 병기에 따른 생존률은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었고(p<0.005), 병기별 1년 사망률은 1병기 5~8.5%, 2병기 32.1∼40.7%, 3병기 66.7∼85.7%였다. 경과 중 GAP 병기가 악화되었던 환자는 그렇지 않은 환자에 비하여 초기 6개월간의 FVC, FEV1, DLco, TLC의 악화가 의미 있게 관찰되었으나 생존과 관련한 다변량 분석에서 DLco 변화만이 의미있는 관련성을 보였다(p<0.005, CI 1.02∼1.07). 초기 6개월간 DLco 5% 이상 악화된 경우 향후 GAP 병기악화와 유의미한 관련성을 보여주었고(p=0.008, OR 2.33), 민감도 54.5%, 특이도 78.8%를 보여주었다. 결론: GAP 병기 체계는 동양인 특발성 폐질환 환자들의 예후 예측에도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진단 당시 초기 6개월간의 폐기능 악화를 보일 경우 이후의 경과에서 GAP 병기 및 임상경과가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

      • 항합성효소증후군(Antisynthetase Syndrome)과 연관된 간질성 폐질환의 임상상

        지원준,( Carol Feghali Bostwick ),이창근,김미영,김동순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2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Vol.114 No.0

        목적: 항합성효소증후군(Antisynthetase syndrome, ASS)은 aminoacyl-transfer RNA synthetase에 대한 자가 항체와 염증성근병증, 간질성 폐질환(ILD), 관절증상, 발열, 레이노 현상, 노동자손(Mechanic`s hands) 등이 동반되는 자가면역질환의 일종이다. 현재까지는 상용화된 anti-histidyl (Jo-1) 항체외 anti-threonyl (PL-7), anti-alanyl (PL-12), anti-isoleucyl (OJ), anti-glycyl (EJ), anti-asparaginyl (KS), anti-phenylalanyl (Zo), anti-tyrosyl (YRS) 항체의 8종류가 알려져 있다. ASS 환자의 약 90% 정도에서 ILD가 동반되며 예후를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인자로 알려져 있으나 국내에는 이에 대한 보고가 많지 않다. 방법: 2003년부터 2012년까지 서울아산병원 호흡기내과에 내원한 ILD 환자들 중 항합성효소 항체가 증명되고 ASS에 합당한 증상들을 가진 환자들의 임상상과 임상경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성적: 총 18명(나이: 60.5세, 남자: 4명, 22.2%)이 ASS로 진단되었고 진단 당시 Jo1 항체가 11명, EJ 항체 4명, PL-7 항체 2명, PL-12항체 1명이였다. 이들의 ILD 양상은 NSIP 8명, UIP 5명, OP 4명, CEP 1명이었으며, Steroid 및 면역억제 치료에 대한 반응은 11명(61.1%)에서 호전-안정되었고, 7명(38.9%)의 환자들에서는 악화되었다. 평균 43.7개월 경과관찰 중 4명이 사망하였다. 결론: ASS 연관된 ILD는 비교적 좋은 예후를 보였다.

      • Diagnostic accuracy and safety of electromagnetic navigation bronchoscopy for percutaneously inaccessible lung nodules

        지원준,김슬기,황희상,김미영,이재철,최창민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8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Vol.126 No.0

        Introduction: Although electromagnetic navigation bronchoscopy (ENB) is a useful emerging technique to evaluate peripheral lung lesions, little is known about its accuracy and safety in diagnosing pulmonary nodules that cannot be accessed using a percutaneous transthoracic needle biopsy (PCNB). Methods: As a single center prospective pilot study, we recruited patients with peripheral pulmonary nodules who were difficult to undergo biopsy by PCNB methods. Patients who confirmed an endobronchial lesions by conventional bronchoscopy before ENB were excluded. We performed ENB under moderate sedation for histologic diagnosis. Results: ENB guided biopsy was conducted for 26 pulmonary nodules in 26 patients between September 2017 and July 2018. The mean diameter of the biopsied nodules was 22 mm (range, 13-41) and more than half of the nodules (58.3%) were located in upper lobe. ENB guided biopsy was successfully performed in 96.2% (25/26) and only failed one case to approach the target lesion. The diagnostic accuracy of ENB guided biopsy was 64.0% (16/25). There were 5 cases (20%) in which the follow-up period was insufficient and the result of biopsy could not be determined. Among the 26 patients, the biopsy related pneumothorax occurred in one patients (1/26, 3.8%), requiring chest tube drainage. There was no major bleeding or death related to the procedure. Conclusions: In this study, ENB guided biopsy showed acceptable accuracy, and safety profile to evaluate peripheral pulmonary nodules even if percutaneous approach was difficult and dangerous.

      • P-117 모바일 IoT 기술을 이용한 병원 내 환자 이송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및 알림 서비스 구축

        지원준,송승재,박진현,최창민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7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Vol.124 No.0

        목적: 병원 내에서 진단과 치료의 목적으로 환자를 이송하는 것은 불가피한 문제로 기저질환이많거나 위중한 환자의 경우 이송횟수가 증가하며, 보다 많은 위험에 노출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송 중 기본적인 생체 징후의 모니터링만으로도 호흡 부전과 같은 응급 상황의 조기 감지에 도움이 되나, 장비의 부족으로 충분한 모니터링을 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병원내 이송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간 산소포화도 모니터링을 통해 응급상황의 조기 발견, 대처가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방법: 기존 상용화되어 있는 산소포화도 및 맥박 측정기기의 특징을 파악하고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과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기술 구현 가능성을 확인한다. 이를 바탕으로 위해 요인 감지 시스템을 구축하고, 위험 요인의 패턴을 분석하여, 위험 요인 감지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조기 대처 지침 구축한다. 성적: 국내 상용화되어 있는 휴대용 산소포화도 측정 기기는 산소포화도와 맥박을 측정할 수 있으며, 기술적으로 이러한 기기들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스마트폰과 연계하여 실시간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이를 이용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으며, 저장된 산소포화도와 맥박 데이터를 사물인터넷(IoT)망을 통해 클라우드 시스템에 실시간으로 전송함으로써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수집 측정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위해 요인을 감지하기 위한 알고리즘과 이에 따른 조기 대처 지침을 개발하고, 이를 실제 환자에 적용하기 위한 테스트 베드 운영 모형를 구축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검사, 치료의 목적으로 병원내 이송 및 재활치료를 시행하는 환자에서산소포화도 저하로 인한 위해요인을 실시간 감지하여 조기발견 및 대처가 가능한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통해 병원 내 심폐정지 및 사고 발생 감소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F-48 보건의료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미세먼지 노출과 폐렴 발생의 상관 관계에 대한 연구

        지원준,박유랑,김혜령,최창민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7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Vol.124 No.0

        목적: 미세먼지에 대한 노출이 급성 호흡기 질환 발생의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것은 기존의 연구에서 보고된 바 있으나, 폐렴 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연구는 미흡한 상태이다. 본 연구를 통해 미세먼지(PM10)와 초미세먼지(PM2.5)의 노출 기간에 따른 폐렴 발생의 위험에 대하여 조사해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후향적 코호트 연구로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제공하고 있는 표본코호트 데이터베이스와 국립환경과학원의 미세먼지 농도측정확정자료를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폐렴 발생은 한국표준질병분류에서 폐렴에 해당하는 J100, J110, J2-18, J851 진단 코드가 2015년도에 새롭게 부여된 경우로 정의하였다. 전국 16개 시도에서 최대 4주까지 지역별 미세먼지 측정 수치와 폐렴 발생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포아송 회귀분석이 사용되었고, 메타분석을 이용하여 전국 단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성적: 2015년 국민건강보험공단 표본코호트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된 폐렴 환자는 54,727명이였으며, 여성이 52.6%이였다. 폐렴 발생은 연령별로는 18세 이하에서 50.2%으로 가장 많았고, 지역별로는 경기도(21.1%)와 서울(16.7%)의 순으로 많이 발생하였다. 미세먼지의 노출에 따른 폐렴발생 위험을 분석한 결과, 폐렴 발생 당일의 초미세먼지(PM2.5) 농도가 폐렴 발생에 가장 영향이 컸으며(OR 1.05, 95% CI 1.02-1.07), 이러한 영향은 최대 2주 누적 노출까지 지속(OR 1.03, 95% CI 1.00-1.05)되었다. 반면, 미세먼지(PM10)는 폐렴 발생 당일에는 영향을 주었으나(OR 1.01, 95% CI 1.00-1.02) 이후의 노출은 폐렴 발생과 일관된 상관관계를 보여주지 못하였다. 결론: 미세먼지(PM10)보다는 초미세먼지(PM2.5)가 폐렴 발생 위험에 미치는 영향이 크며, 초미세먼지(PM2.5)로 인한 폐렴 위험도의 증가는 최대 2주까지의 누적 노출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 KCI등재

        Overweight and Obesity Are Risk Factors for Coronavirus Disease 2019: A Propensity Score-Matched Case-Control Study

        지원준,이예린,허경민,강민선,황인철,Munkhzul Radnaabaatar,이대호,정재훈 대한내분비학회 2021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36 No.1

        Although obesity is a risk factor for infection, whether it has the same effect on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need confirming.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propensity score matched case-control study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obesity and COVID-19. This study included data from the Nationwide COVID-19 Registry and the Biennial Health Checkup database, until May 30, 2020. We identified 2,231 patients with confirmed COVID-19 and 10-fold-matched negative test controls. Overweight (body mass index [BMI] 23 to 24.9 kg/m2; adjusted odds ratio [aOR], 1.16; 95% confidence interval [CI], 1.1.03 to 1.30) and class 1 obesity (BMI 25 to 29.9 kg/m2; aOR, 1.27; 95% CI, 1.14 to 1.42) had significantly increased COVID-19 risk, while classes 2 and 3 obesity (BMI ≥30 kg/m2) showed similar but non-significant trend. Females and those <50 years had more robust association pattern. Overweight and obesity are possible risk factors of COVID-19.

      • KCI등재

        Assessment of Anti-tumor Efficacy of Osimertinib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Patients by Liquid Biopsy Using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Plasma, or Pleural Effusion

        김연주,지원준,이재철,천성민,최창민 대한암학회 2022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Vol.54 No.4

        Purpose This study was to evaluate anti-tumor efficacy of osimertinib in patients positive for acquired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T790M mutation in liquid biopsy using plasma,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BALF) or bronchial washing fluid (BWF), and pleural effusion. Materials and Methods Among patients benefited from previous EGFR–tyrosine kinase inhibitor (TKI) treatment followed by treatment failure, patients in whom T790M mutations are detected in at least one of the samples including tumor tissues, BALF/BWF, plasma, and pleural effusion were enrolled. T790M mutation was detected by extracting cell free DNA from liquid biopsy samples, using PANA Mutyper. Objective response rate (ORR) and progression-free survival (PFS) with osimertinib treatment were evaluated. Results Between January 2018 and December 2019, 63 patients were enrolled and received osimertinib. Mean age was 63 years, and 38 (60.3%) were female. Twenty-six patients had T790M mutation in both liquid and tissue samples (group A), 19 patients had only in tissue biopsy samples (group B), and 18 patients had T790M mutation only in liquid biopsy samples (group C). ORR in overall population was 63.5%, and was 61.5% in group A, 68.4% in group B, and 61.1% in group C, respectively. Median PFS in overall patients was 15.6 months (95% confidence interval, 10.7 to 24.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RR or PFS between groups. Conclusion Osimertinib showed favorable efficacy in lung cancer patients with acquired resistance to prior EGFR-TKI therapies, who screened positive for harboring T790M mutation detected from cell free DNA extracted from plasma, BALF/BWF, and pleural effu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