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반도 사드(THAAD) 배치 논란과 중국의 국가체면

        주민욱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2017 中國硏究 Vol.70 No.-

        This article tried to find out that is not only way to solve a dispute of the deployment of the THAAD to South Korea in politics and diplomatic affairs.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 it in a face threatening act which is Chinese people suffered.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analyzed Chinese newspaper articles about THAAD. To avoid interpreting the results arbitrarily, this research has implemented SNA(Social Network Analysis) to find out the results. The research showed that the deployment of the THAAD to South Korea means that Chinese government regards it as the affair to lost their own face.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found out the main word 'respect' which is with regard to social face. The appearance of the word 'respect' is based on their unpleasant thing about a South Korea's unilateral decision to deploy the THAAD without any consult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re is also correlation between the words, 'respect' and 'securities', 'interests', 'damage'. What concerns China is possibility that they will suffer serious damage to their national securities and national interests. 한중(韓中) 상호 관계 중 한반도 내 사드(THAAD)문제는 양국의 정치, 외교상 중요한 문제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양국의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바탕위에서 사드배치와 이를 통한 중국의 국가체면을 살펴보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 주목한 부분은 한국의 사드배치로 인해 중국이 경험하게 될 체면위협행위(face threatening act)이다. 그리고 이에 대한 논의를 구체화하기 위해 중국의 관련 언론보도에 대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자에 의한 자의적 해석을 견제하기 위해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해 냈다. 그 결과 한반도의 사드배치 문제가 중국입장에서는 일명 체면 떨어지는 행위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우선 사회적 체면과 직접적 관계가 있는 ‘존중(尊重)' 단어를 발견하였고, 이 단어의 등장은 동아시아 주변국인 중국을 배려치 않는 한국의 일방적 행위에 대한 불쾌함에 기인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더불어 이는 ‘안전(安全)'-‘이익(利益)'-‘손해(损害)' 단어들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었다. 중국은 한반도 사드배치와 관련하여 본인들의 국가안보(안전)와 국가이익이 타인에 의해 타격(손해) 받을 것에 대한 우려를 나타내고 있었다.

      • KCI등재

        중국 언론보도 분석을 통한 센카쿠 열도 갈등 변화추이 분석

        주민욱 한국동북아학회 2022 한국동북아논총 Vol.27 No.3

        본 연구는 중일 양국 간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센카쿠 분쟁 이슈를 중심으로 중국의 해양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경우 시의적 중요성 측면에서 최근 그리고 대표성 있는 중국 언론보도에 나타난센카쿠 분쟁 관련 주요 내용들을 수집·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현재 중국은 자국의 주변 해역에 대한 해상 대응전략을 강화 및 고도화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향후 중국의 해양 정책을 연구하는데 있어 일반적 사안과 해역별 혹은 국가별 특수성을 상호 구분하여 살펴보아야할 필요가 있다. 또한 중국과의 해양경쟁에서 유관 국가들과 연대하는 방식으로 대처해 나가야 할 것이며, 다른 한편으로는 양국 간 우호적인 관계 형성을 바탕으로 향후 발생할 해양에서의 갈등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중국 신문보도에 나타난 한중관계 위협요인 분석: 한반도 사드배치 문제를 중심으로

        주민욱 한국동북아학회 2020 한국동북아논총 Vol.25 No.2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ino-Korean relations since the deployment of the THAAD on the Korean Peninsula. SNA(Social Network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two factors, THAAD and the Sino-Korean relations as the analysis tool. The analysis covered collectible major Chinese Communist Party newspapers reports since July 2016, when the Korean government officially announced the deployment of THAAD on the Korean peninsul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t is clear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HAAD and the Sino-Korean relations in Chinese newspaper report. Through SNA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South Korea’ and ‘China’ are closely connected with ‘THAAD’ and ‘deployment’, on the other hand, are linked to ‘Sino-Korean’ and ‘relations’. Second, China emphasize that the THAAD deployment on the Korean Peninsula will have an effect on the two countrie's economies as well. Third, China insists the THAAD deployment on the Korean Peninsula will not help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s well as in Northeast Asia. 본 연구는 한반도 사드배치 이후 한중관계 변화추이를 살펴봄에 그 주목적이 있다. 그리고 두 요인, 한중관계와사드배치 간 상호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단어 간 상호관계망을 그려낼 수 있는 사회관계망분석(SNA)을 활용하였다. 그 분석대상은 한국정부가 한반도 사드배치를 공식화한 2016년 7월 이후의 수집 가능한 주요 중국 공산당 기관지(党报) 신문보도였다. 분석결과, 첫째 중국 신문보도에서 사드배치와 한중관계 간 상관관계는 분명했다. SNA 분석을통해 ‘한국’, ‘중국’ 양국은 한편으로 ‘사드’, ‘배치’와 다른 한편으로는 ‘한중’, ‘관계’ 단어들과 밀접하게 연결되어져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중국은 한반도 사드배치가 한중관계는 물론 양국의 경제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을 강조하고있었다. 셋째 중국은 한반도 사드배치가 한반도는 물론 동북아 평화에도 도움이 되지 않을 것임을 주장하고 있었다.

      • KCI등재

        중국의 한한령(限韩令) 시행에 따른 한국 문화산업에 대한 인식변화

        주민욱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3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7 No.8

        본 연구는 우리가 막연하게 알고 있던 중국의 한국 문화산업 전반에 대한 한한령 시행의 실체를 파악하고, 현재의 변화 양상, 특히 2022년도 5월 새로운정부 출범 이후 중국 정부의 입장에 변화가 있는지여부를 알아보고자 설계되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중국 언론보도 언어자료에 대한 텍스트마이닝을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현재에도 여전히 부분적으로 한한령 시행을 통한 한국 문화산업 제재가 유지되고 있었다. 다만 이전 한한령 시행 초기 2017년도에 비해서는 어느 정도 완화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현 정권 출범 이후 한중관계 개선에 대한 중국 정부의 초기 입장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재 중국 정부는 한중 양국모두 필요하다는 전제하에 시장경제 활성화 및 민간교류 등 관계 개선의 여지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한중 해양갈등과 중국의 언론보도 분석:이어도 논쟁을 중심으로

        주민욱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19 평화학연구 Vol.20 No.3

        It is clear that the two countries have different positions on the Socotra rock dispute. The national interest of each country is severely confronted with the Socotra rock issue. The East China Sea, where Ieodo is located, is an area where the exclusive economic zone(EEZ) overlaps each other between Korea and China. The East China Sea can not secure a 200 nautical mile for each of the coastal states, Korea and China, because the width of the zone is not enough for the EEZ. Therefore, It is confronted with difficult problem about maritime boundary delimitation around East China Sea between two countries. South Korea continually insists on ‘the equidistance principle’, but China has continued to adhere to ‘the principle of natural prolongation’ by continental shelf extension from mainland China and ‘the equitable principle’ by long coastline length and population in China.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how China appreciate the Socotra rock dispute. In order to confirm it, this study analyzed the Chinese newspaper reports related to the Socotra rock issue and examined what changes are taking place in the countermeasures of the Chinese government. 한중 간 이어도를 둘러싼 논쟁에서 양국 간 입장 차는 분명하다. 이어도 이슈를 중심으로 각국의 국가이익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다. 이어도가 위치한 동중국해는 한중 양국 간 배타적경제수역(EEZ)이 겹치는 해역이다. 동중국해는 수역의 폭이 좁아 연안국인 한중 양국 각각의 200해리 배타적경제수역을 확보 할 수 없다. 따라서 이 해역을 두고 중국은 자국의 대륙붕상의 중국영토라는 주장과 배타적경제수역 내 관할권이 존중받아야 한다는 한국의 입장이 서로 맞서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 입장에서 이어도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확인하는데 그 주목적이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중국 내 이어도 관련 학술논문 및 신문보도를 분석하였고, 현재 중국정부의 대(對)한국 이어도 대응방안에 어떠한 변화들이 나타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 KCI등재

        중국의 해양정책 언론보도 프레임 분석

        주민욱 한국동북아학회 2023 한국동북아논총 Vol.28 No.3

        중국은 지속적으로 해양패권을 강화하며 미국 및 아시아 주변국과 갈등을 빚고 있다. 남중국해와 동중국해에서 영유권 주장을 강화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해양 확장 전략을 강화해 나가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중국의 해양 정책 변화를 분석하여 향후 한국의 대응책을 함께 모색하기 위해 연구설계되었다. 중국의 해양 정책에 대한 보다 정확하고 최신의 정보를 확인하기 중국 정부 기관지 해양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연구소의 중국어 신문보도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동‧남중국해 해역을 둘러싼 중국과의 갈등에서 미중 양국의 첨예한 갈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중국의 해양 정책은 자국의 국가이익을 강화하기 위해 지역 간 협력체제 구축보다는 견제와 거리두기를 유지할 가능성이높을 것임을 확인하였다. 이와 더불어 현재 남중국해 위주로 발생하는 해양 갈등은 언제든 동중국해로 번질 가능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China has been consistently strengthening its maritime power and engaging in conflicts with the United States and neighboring countries in Asia. China is indeed strengthening its territorial claims in the South China Sea and the East China Sea, using them as a basis to enhance its maritime expansion strategy. This research is designed to analyze recent changes in China’s maritime policy and explore potential response strategies for South Korea. To obtain more accurate and up-to-date information on China’s maritime policy, this study analyzed relevant materials from a research institute that collects and analyzes Chinese-language newspaper articles related to the Chinese government’s maritime affairs.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observe the acute conflict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surrounding the waters of the South China Sea and the East China Sea. Furthermore, it was observed that China’s maritime policy is more likely to prioritize inter-state containment rather than the establishment of regional cooperation systems in order to enhance its national interest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current maritime conflicts occurring in the South China Sea have a high likelihood of spreading to the East China Sea at any time.

      • KCI등재후보

        남북한의 문화산업 협력을 위한 정책 연구

        주민욱,이지훈 북한연구소 2023 북한학보 Vol.48 No.2

        As countries around the world enter the 4th industry, education methods, industrial fields, and technologies are developing at a surprising level unlike in the past. Among these, the cultural industry, with technological support, is making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sub-industrial field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virtual space (advanced to AR, VR, MR, and XR), holograms, 3D graphics, and 4-dimensional immersion. Accordingly, the government is further developing and investing in the cultural industry as a high value-added industry for the country. Therefore, the cultural industry is showing high growth every year. However, South Korea is facing many difficulties in discovering and developing content due to the lack of cultural archetypes and limitations in creativity. Accordingly, North Korea, which is closest to South Korea and has ethnic homogeneity, is the country with which we must cooperate and exchange for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al industry. Accordingly, this study focuses on ways to promote cultural exchange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In particular, we aim to establish a framework for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al industries of South and North Korea by suggesting policy directions that can be established by focusing on cooperation, exchange, and Korean national consciousness rather than the existing cultural exchange. Therefor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omestic cultural industry's ICT technology is so high that it can be compared to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However, rather than being new, cultural archetypes, content creation, and ideas are produced and reflected by transforming existing content into OSMU or other forms. However, compared to this, North Korea has many cultural archetypes, and its creativity stands out in many fields. Accordingly, if North and South Korea complement each other's shortcomings through exchanges, they will be able to take a step forward in becoming a cultural industry powerhouse. Second, for cultural cooper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exchanges must occur through various methods and routes. However, depending on the tone of the South Korean president's attempt to lead the situ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exchanges with North Korea are subject to significant ups and downs of cooperation and conflict. Therefore, even if there is a change in government, various attempts seem necessary to ensure that continuous exchange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can occur under the consciousness of being Korean. Third, South Korea's economic dependence on North Korea is very low. In comparison, North Korea's economic dependence on South Korea is very high. In particular, it appears that North Korea's economic sanctions are difficult for North Korea to handle due to cooperation with various powers around the world.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North Korea to first select and present industries that can provide economic benefits with a gesture of reconciliation rather than armed protests and pressur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cultural industry compared to other industries, North Korea has many cultural sources and a high level of creativity, so if we look forward to economic profits based on this, we will be able to find sufficient economic cooperation with South Korea. Therefore, if North Korea pursues cultural exchanges and cooperation with South Korea first, rather than South Korea doing anything first, it is likely to bring better economic benefits than it does now. Lastly, as North Korea's power is inherited, the cultural industry is being used as their idol and as a form of power inheritance. However, North Korean people are seeing, listening to, and learning a variety of content from around the world due to exchanges with China and the use of smartphones in large cities. Accordingly, people will increasingly show a tendency to distrust the idolization of North Korea in the fu... 세계 국가들이 4차 산업시대로 접어들면서 교육방식, 산업분야, 기술 등은 과거와는 다르게 놀라운 수준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 중 문화산업은 기술력이 지원되면서 인공지능, 가상공간(AR, VR, MR, XR까지 발전), 홀로그램, 3D 그래픽, 4차원적 체감형 등 다양한 세분 산업분야의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문화산업을 국가의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더욱 발전시키고 투자하고 있다. 따라서 문화산업은 매년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남한은 문화원형의 부족함과 창의성의 한계로 인해 컨텐츠 발굴과 개발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있다. 이에 남한과 가장 가깝고, 민족의 동질성을 가지고 있는 북한이야말로 문화산업 발전을 위해 우리가 함께 하고 교류해야 할 대상국가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남북한의 문화교류 증진을 위한 방안에 초점을두고 있다. 특히 기존의 퍼주기식 문화교류보다는 협력과 교류, 한민족의식이라는 부분에 주안점을 두어 남북한이 구축할 수 있는 정책방향을 제시함으로써 남북한 문화산업의 발전에 틀을 세우고자 한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문화산업은 세계 여러 나라와 견줄 수 있을 만큼 ICT기술은 매우 높다. 하지만 문화원형, 콘텐츠 창작, 아이디어 등은 새롭기 보다는 기존의 콘텐츠를 OSMU나 여러 형태로 변형하여 제작 및 반영하는 형태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이에 비해 북한은 많은 문화원형을 가지고 있고, 창작성부분도 여러 분야에서 두각을 보이고 있다. 이에 남북한의 교류를 통해 서로 부족한 부분을 보완해 준다면 문화산업의 강대국으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남북한의 문화협력을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과 루트를 통해 교류가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남한의 대통령이 어떤 기조를 바탕으로남북한 정세를 이끌어가려는가에 따라 북한과의 교류에는 협력 및 갈등의 굴곡이 매우 크다. 따라서 정권의 변화가 발생하더라도 한민족이라는 의식 하에 지속적인 남북한 교류가 발생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시도가 필요해 보인다. 셋째, 남한은 북한에 대한 경제적 의존도는 매우 낮다. 이에 비해 북한은 남한의 경제적 의존도는 매우 높다. 특히 세계 여러 열강들과의협력에 의해 북한의 경제제제는 북한으로 감당하기 힘든 부분이 충분히 보인다. 따라서 북한이 무력적인 시위와 압박보다는 화해의 제스처와 함께 경제적 이익이 될 수 있는 산업을 먼저 선택하여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타 산업보다 문화산업인 경우 북한이 많은 문화원천을 가지고 있고, 창작의 수준이 높기 때문에 이를 기반으로 한 경제적이익을 내다본다면 남한과 충분한 경제협력의 모습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남한이 무엇을 먼저 해주기보다는 북한이 먼저 남한과 문화교류 및 협력을 추진한다면 지금보다 더 나은 경제 이익을 가져갈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북한의 권력이 세습되면서 문화산업을 우상화와 권력세습의 형태로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북한 인민들은 중국과의 교류, 대도시 중심의 스마트폰 사용으로 세계의 컨텐츠를 다양하게 보고, 듣고, 학습하고 있다. 이에 점점 인민들은 북한의 우상화를 향후에는 믿지 않는 경향을 보일 것이다. 따라서 문화를 정치라는 목표 보다는 대중이라는 관점으로 정책의 방향을 바꾸고 서서히 문화의 세계화 문을 조금씩 열어 간다면 다른 국가들과 충분히 문화교류가 이루어질 것 ...

      • KCI등재

        중국인의 체면유형에 대한 실증연구

        주민욱 중국학연구회 2016 중국학연구 Vol.- No.75

        The main purpose of the thesis is to understand the Chinese's view of face.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inese's 'demographic factors' and each two face factors(‘face in open space/with people’, social/moral face). It also analyzes and verifies the impact of 'demographic factors' among ‘face in open space/with people’ and ‘moral/social fa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most people are hostile to lose face in front of unfamiliar people irrespective of sex. Plus, the men is more concerned with the ‘face with people’ than the ‘face in open space’, whereas the women is more concerned with the ‘closed social face’. The thesis also covers that the older group is relatively hostile to lose face in front of people. In other words, they more pay attention to protect their face as a self-defense. This study found that Chinese people attach great importance to 'the moral face' regardless of age or sex. Chinese people are very sensitive to the human duty that most people tend to follow.

      • KCI등재

        중국인의 사회관계(社会关系)에 작용하는 체면과 그 표현방식에 관한 논의

        주민욱 한국중국언어문화연구회 2016 한중언어문화연구 Vol.- No.41

        Face is one of the concepts of psychosocial value to Chinese people and it is easy to find face behavior in their daily lives. Making observations of this concept can effectively be able to understand the psychological process of Chinese people. Face is the main social element to understand Chinese people. Face issue is generally studied in China. Because face is closely related to Chinese people's daily lives and these kind of studies are relatively easy to understand.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 face which plays an important part in Chinese social relations. This study also focused on the ways of face expression that are usually used in their daily lives. The definition of face is divided in two ways, face as the morality and face as the fame and honor. Chinese people attach great importance to their face and they recognize face as one of their essential inherent values. The ways of expressing face are as varied as the importance of face. The research showed that such expressions are basically classified by moral Lian and social Mian of face. This study also confirmed that the frequency in use of Mian is a little bit higher than using moral Lian but the strength of expressions of Lian, such as 'a shame', 'an embarrassment' and 'a dishonor' is much stronger than Mian 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