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생용 언어폭력 척도의 성별과 학년에 따른 구인동등성 검증 및 잠재평균 분석

        정다혜 한국교육개발원 2020 한국교육 Vol.47 No.1

        Purpos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verify construct equivalence of the Verbal Violence Scale for elementary students by 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to compare the latent means across gender and grade. Design/Methodology: For this purpose, 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test whether the scale had configural, metric, and scale invariance across gender and grade. Latent mean analysis was performed to test mean differences on three factors across the groups. The number of subjects was 1,178 from fourth to sixth graders nationwide. Findings/Results: First, through 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struct equivalence across gender and grade was verified. Second, the result of the latent mean analysis across gender came out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ird, sixth grader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means in Impulsive-aggression, Self-esteem, and Depression than fourth and fifth graders. Value: These results imply that this verbal violence scale could be used for elementary students regardless of gender and grade.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the pre-existing research in that it validates the verbal violence scale for elementary students by testing for construct equivalence and latent mean differences across gender and grade. 본 연구는 정다혜(2018)의 연구에서 개발한 초등학생용 언어폭력 척도가 성별과 학년에 관계없이 동일하게 사용 가능한 척도인지 검증하기 위해 다중집단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구인동등성 검증과 잠재평균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으로 전국 단위의 4~6학년 초등학생 1,178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중집단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학년과 성별에 따른 초등학생용 언어폭력 척도의 구인동등성이 확인되었다. 둘째, 성별에 따른 언어폭력의 잠재평균 차이를 분석한 결과 언어폭력의 세 가지 하위요인인 충동적 공격성, 자아존중감, 우울 모두 성별 간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학년에 따른 언어폭력의 잠재평균 차이 분석 결과, 6학년 학생들이 4, 5학년 학생들보다 언어폭력의 하위요인에서 높은 평균점수를 보였고, 그 차이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다중지능이론의 강점지능을 활용한 집단 구성 방식이 창의적 산출물에 미치는 영향

        정다혜 한국창의정보문화학회 2018 창의정보문화연구 Vol.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grouping methods according to strength intelligence of MI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creative products and to examine which groups produce more creative and useful products. For this purpose, two classes were selected from the fif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they were divided into heterogeneous group and homogeneous group. The scores of the originality and the usefulness were evaluated by CA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heterogeneous groups’ scores were higher than the homogeneous groups’ scores in originality. Second, the homogeneous groups’ scores were higher than the heterogeneous groups’ scores in usefulness. Through this study, the difference of the creative products came from groups classified by strength intelligence was verified. As a result, the advantages of the heterogeneous groups and homogeneous groups were proved. In addition, as creativity is considered a significant factor among various fields in society, it is possible to obtain creative and useful output by appropriately using the group composition method that utilizes strength intelligence. 본 연구의 목적은 다중지능이론의 강점지능을 활용한 집단 구성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산출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어떠한 집단 구성이 보다 독창적이고 유용한 산출물을 구현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학년 두 개 학급을 선정하여 이질집단과 동질집단으로 구성하고 그 차이를 알아보았다. 이질집단과 동질집단 간 산출물의 창의성 점수를 비교하기 위해 CAT를 통해 얻은 독창성과 유용성 점수를 각각 집단별로 상호 비교하였다. 이에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질집단이 동질집단에 비해 더 독창적인 결과물을 산출하였다. 둘째, 동질집단이 이질집단에 비해 더 유용한 결과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는 다중지능이론의 강점지능에 근거하여 분류한 이질집단과 동질집단 간의 창의적 산출물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이질집단과 동질집단이 지니는 각각의 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다양한 분야에서 창의성이 강조되는 오늘날, 강점지능을 활용한 집단 구성 방식을 적절히 활용한다면 독창적이면서도 유용한 산출물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어린이과학관 전시 개선 모형 개발 및 적용에 따른 과학교육에서의 제언: 누리과정을 중심으로

        정다혜,박영신,Jeong, Da-Hye,Park, Young-Shin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7 科學敎育硏究誌 Vol.41 No.2

        본 연구는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어린이과학관의 전시 모형을 개발하여 어린이과학관 전시 연출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시 평가 분석틀과 유치원 교육과정을 기초로 하여 전시 주제로 '신체', '주변 사물', '자연 현상'을 전시 내용으로 한 전시를 제안하였다. '신체'를 주제로 한 전시의 연출은 동선과 색상 요소가 중요하며, '자연 현상'을 주제로 한 전시의 연출은 색상과 조명의 연출을 적용한 상황적 매체의 활용이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주변 사물'을 주제로 한 전시의 연출은 사물을 대상으로 탐구할 수 있도록 단서나 설치물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개발한 전시 모형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전시 모형의 '거울'전시물에 대한 전시 연계프로그램을 개발하여 G과학관의 어린이관 방문 관람객에게 적용한 결과, 전시 모형을 통해 반사의 개념을 이해하고 표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관람 대상에 적합한 전시 내용과 전시 매체, 전시 공간의 연출을 통해 전시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전시 기획이 필요하며, 전시 기획에 있어 기초적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exhibition model of children's science museum for children and to present the guideline for the exhibition of children's science museum. To this end, we proposed an exhibition of 'body', 'surrounding things', and 'natural phenomenon' as exhibition topics based on the exhibit evaluation framework and kindergarten curriculum. The direction and color elements are important for the exhibition of 'the body', and the presentation of the 'natural phenomenon' is suitable for the use of contextual media applying color and lighting. And it can be said that it is important to provide clues and fixtures for exploring objects based on the theme of 'surrounding objects'. In addition, in order to secure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exhibition model, we developed an exhibition link program for the 'mirror' exhibition of the exhibition model and applied it to visitors to the Gwangju Museum of Science. Therefore, it is meaningful that it provides the basic guidelines for exhibition planning, and it is necessary to plan exhibition to maximize the exhibition effect by directing exhibition contents, exhibition media and exhibition space suitable for the audience.

      • KCI등재

        가파도 청보리 축제의 경제적 가치 추정 연구: 조건부가치측정법을 적용하여

        정다혜,임화순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019 관광레저연구 Vol.31 No.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economic value of Gapado green barley festival in order to set up the proper admission fee of the Gapado green barley festival using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WTP for the admission fee of the festival was 3,262 won. The economic value of the Gapado green barley festival, which was derived by applying the WTP amount to the number of visitors calculated through the three scenarios, was 133,255,962 won, 116,342,492 won, and 124,797,596 won, which is higher than the festival budget, demonstrating the applicability of the admission fee as one of the festival's self-sustaining measures. Thus now it is time to change from the dependence of public budget on the festival budget to the local festival which is self-operated, and it is hoped that the discussion about the self-sustaining methods of local festival should be continued in the future.

      • 농흉 환자 치료에 있어서 VATS의 유용성 연구

        정다혜,김주희,박소영,심윤수,김창환,박성훈,최정희,신태림,박용범,김철홍,장승훈,박상면,김동규,이명구,현인규,정기석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2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Vol.114 No.0

        배경: 폐렴으로 입원한 환자 중 약 40%에서 부폐렴삼출이 발생하며, 부폐렴삼출 환자 중에서 20%에서 농흉으로 발전하며 이중 20%는 사망한다. 따라서 농흉이 발생하면 적절한 항생제 투여 뿐만 아니라 농성 흉막액을 빨리 배농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때 흉관 같은 배액관을 이용하거나 흉강경을 사용하여 수술적 배농을 하기도 한다. 최근 농흉 치료에 VATS가 보다 좋은 결과를 보여주는 보고가 있어 이에 저자들은 농흉의 치료에 있어 VATS의 유용성에 대해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방법: 2006년 1월부터 2012년 6월까지 한림대학교 강남성심병원에 입원하여 x-ray 혹은 CT에서 흉수가 발견된 환자 중에서 흉수 천자 후 체액에서 농흉의 진단기준에 합당하고 추적이 가능했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고, 결핵, 악성 종양에 의한 경우는 제외하였다. 환자는 흉관 혹은 pigtail 도관 삽입을 한 군과, VATS decortication을 시행한 군을 2군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결과: 대상환자는 총 30명으로 남자가 27명(90%) 여자가 3명(10%)였으며, 평균 나이는 54.7세 였다. 농흉의 치료방법으로 VATS 15명(50%) 흉관 삽입12명(40%) Pigtail 도관 삽입 3명(10%) 였다. 농흉의 평균 백혈구수는 113,706, LDH 12614, glucose 34였다. 평균 입원 기간은 VATS군이 17.4일 나머지군이 21일이었으며(p=0.31) 흉관 삽입 기간은 VATS군이 6.8일 나머지군이 15일로 VATS군이 의미있게(p=0.02) 짧았다. VATS 군에서는 사망환자는 없었으나 흉관 삽입군에서 4명(26.7%)이 사망하였다(p=0.03).결론: 농흉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 수술의 적응증이 된다면 흉강경을 이용한 수술적 배농이 흉관 삽입 기간을 줄일 수 있으며, 보다 좋은 예후를 보인다.

      • KCI등재

        예비교사의 교사효능감, 성장마인드셋, 그릿과 우울 간의 구조적 관계

        정다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2 교육논총 Vol.4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fficacy, Growth Mindset, Grit and Depression of pre-service teacher. This study proved that a theoretical model represent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was established, conducting a questionnaire survey among 336 college students. The final 312 data used to figure out Teacher Efficacy, Growth Mindset, Grit and Depression scal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22.0 program and AMOS 20.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 Efficacy and Growth Mindset had direct impact on Grit. Second, Grit had direct impact on Depression. Third, Grit completely mediated Teacher Efficacy and Depression. Finally, Grit completely mediated Growth Mindset and Depression. This suggests that Grit should be improved to reduce Depression, which is one of the major factors resulting in pre-service teachers’ maladjustment to college.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사의 교사효능감, 성장마인드셋, 그릿, 우울 간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고 교사효능감과 성장마인드셋, 우울의 관계에서 그릿이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예비교사인 교육대학교 학생과 사범대학교 학생 336명을 대상으로 교사효능감 척도, 성장마인드셋 척도, 그릿 척도, 우울 척도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 선정된 312개의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 20.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이론모형과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효능감, 성장마인드셋은 그릿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그릿은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그릿은 교사효능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그릿은 성장마인드셋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예비교사의 효능감과 적응을 방해하는 요인 중 하나인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그릿을 향상시켜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주민참여로 마을의 건강을: 1970-80년대 마을건강원 활동과 보건의료에서의 주민참여 논쟁

        정다혜 대한의사학회 2022 醫史學 Vol.31 No.3

        This paper aims to historically re-evaluate the issues surrounding resident participation in health care and its legacy by examining the community participation in health care. In the 1970s and 1980s, community participation was one of crucial trends and a controversial topic in the international health as well as the international aid. Throughout the 1970s, local participation was regarded as one of essential elements for the access to basic healthcare and primary health care in developing countries. Community health projects which aimed to apply primary health care were implemented in rural areas and some urban areas in the 1970s and 1980s. Village Health Workers(VHWs) were a symbolic example of community participation in these projects. They consisted of local women and led health activities with simple skills in their villages. They served as a bridge between the project team and the residents. Health professionals expected them to be health leaders for “self-help” in health of their communities. In the mid-1980s, however, as the number of health facilities and professional health care workers increased, the activities of VHSs were decreased. The mixed understanding of the responsibilities and roles of VHSs among the health professionals affected the skeptical view on the achievement and effects of community participation in health care. In the mid-1980s, as the government officially organized the VHWs, the dilemma surrounding community participation intensified. When the community health projects were ended, most of the VHW organizations were also disbanded. After the projects, the spirit of community participation was only inherited by some healthcare movement organizations, such as medical cooperat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