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한국언어치료학회지의 토픽 모델링 및 트렌드 분석: (2002∼2018)

        신명선,조경원 한국언어치료학회 2019 言語治療硏究 Vol.28 No.3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quantitatively analyze topic modeling and trends in the Journal of Korean Speech and Hearing Association (KSHA), using text mining, one of the big data analysis techniques. It is meaningful to find out what kind of research is being carried out in the field of speech and language therapy field. Methods : We collected korean abstracts and key words of 805 papers published from 2002 to April 2018 in KSHA Journal. After preprocessing the collected data, LDA analysis was performed to extract topics and the trends of extracted topics were produced. Proportion of the topic and similarity through IDM. Results : We discovered 9 topics were the best number of topics and the topic trends reflected the main issues of KSHA Journal. The topic modeling derived from LDA and IDM analysis were language development and language disorders (29.1%), intervention of communication disorders (21.4%), neurogenic communication disorders (12.8%), voice disorders (9.7%), hearing disorders (8.7%), fluency disorders (7.4%), language of multicultural children (6.5%), recognition of speech-language therapy (3.1%),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disorders (1.4%). Conclusions : This research focused on identifying which topics were dealt with in the Journal of KSHA, from 2002 to 2018.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nd practicing academic and clin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speech and language therapy field in the future. 목적: 본 연구는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하여 한국언어치료학회지의 토픽 모델링 및 토픽 트렌드를정량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언어치료 분야가 어떤 것에 관심을 가지고연구를 진행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은 매우 의미가 있다. 방법: 2002∼2018년 4월까지 17년 간한국언어치료학회지에 게재된 805편을 분석 대상으로 국문제목, 국문키워드, 국문초록을 웹 스크랩핑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정보를 자동 수집하였다. LDA 분석으로 주제들을 추출하고, 토픽의 비중과유사도를 확인하기 위해 IDM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유사도가 높은 토픽들의 의미유용성을고려하여 토픽의 통합분석을 하였다. 결과: 2002∼2018년 동안 본 연구지에 게재된 연구 토픽은 9개로구분되며, 언어발달 및 언어장애(29.1%)와, 의사소통장애 중재(21.4%)가 50%를 차지하였고, 다음으로신경언어장애(12.8%), 음성장애(9.7%), 청각장애(8.7%), 유창성장애(7.4%),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6.5%), 언어치료에 대한 인식(3.1%), 조음음운장애(1.4%) 순의 비중으로 나타났다. 결론: 2002~2018년간 한국어치료학회지의 토픽 모델링과 트렌드 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지가 언어치료 전반과 학제 간 융합연구주제를 받아들이고, 언어치료 분야의 발전적 변화를 가져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한국언어치료학회가 앞으로도 언어치료 분야에 학문적 가치를 구현하고 나아 가야할 방향 설정과 실천적전략을 수립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대구지역 일반인들의 언어치료 이미지 인식 조사 연구: 스피치 교육과 관련하여

        현정임,최양규 한국언어치료학회 2018 言語治療硏究 Vol.27 No.2

        Purpose: Speech therapy is widely regarded as a prospective job in Korea. However, there is little awareness of speech therapy by the general public and it is often confused with speech education. To date, research on the perception of speech therapy in the general population has been limited to teachers and adolescents. No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peech education and speech therapy. Therefore, in this study, we surveyed how people perceive speech therapy and how it relates to speech. Methods: We distributed 250 questionnaires to Daegu employees who is working in Daegu and surrounding people of friends. The final number of respondents was 201 and 196 copies were used as the analytical data except 5 copies which can not be used as data in response to the inquiry. Results: A total of 61.2% of respondents had heard about language therapy. The majority of people (68.4%) responded to the question of "What do you think language therapy does?" with "Helps people who stutter.". In the question about who is suitable as the speech educator, the speech therapist was the highest with 76.5% and 91.8% of the respondents answered positively about the speech education conducted by speech therapists. The reason for this is that speech therapists received professional training, so that they could be more proficient in speech training. Conclusions: It was found that people in Korea think that speech therapy and speech are similar. However, the positive opinion of the speech therapist on speech education has made it possible to consider the expansion of the area of ​​speech therapy. 목적: 언어치료는 국내에서 꾸준히 전망 받는 직업으로 평가 받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일반인들의 언어치료에 대한 인식이 높지 않으며 스피치 교육과 혼동하는 경우가 많다. 현재까지 일반인의 언어치료 인식에 관련된 연구는 교사, 청소년에 국한되어 이루어졌으며 스피치 교육과 언어치료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진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인들이 언어치료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지 알아보고 스피치와의 연관성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설문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법: 대구지역 직장인 및 지인들의 주변인들에게 25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최종 응답자수는 201명이었으며 무성의하게 응답하여 자료로 활용할 수 없는 5부를 제외한 196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결과: 언어치료에 대해 들어 본 적이 있다는 응답이 61.2%로 나타났으며 언어치료는 어떤 대상자에게 행해진다고 생각하는가에 대한 질문에 가장 많은 사람들이 말을 더듬는 사람(68.4%)이라고 응답하였다. 스피치 교육자로 적합한 사람에 관한 질문에서는 언어치료사가 76.5%로 가장 높았으며 언어치료사가 행하는 스피치 교육에 대해서 긍정적이라고 응답한 수가 91.8%로 나타났다. 그 이유로는 전문적인 교육을 받았으므로 더 전문성 있게 스피치 훈련이 가능할 것 같다고 하였다. 결론: 국내 일반인들이 언어치료에 대해 정확히 인지하고 있지 않고, 언어치료와 스피치를 유사하게 생각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언어치료사의 스피치 교육에 대한 긍정적인 의견을 가지고 있어 언어치료 영역의 확장을 생각해 볼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게 된 계기가 되었다.

      • KCI등재

        말더듬 치료의 전문성 확보를 위한 언어재활사의 자격급수와 경력에 따른 말더듬 치료 인식에 대한 기초 연구

        임윤석,안종복 한국언어치료학회 2016 言語治療硏究 Vol.25 No.2

        Purpose: This study aimed to measure speech-language pathologists' (SLP) awareness of stuttering therapy and to propose fundamental data collection for the national SLP certification system to ensure professionalism since the legislation of August 2012. In detail, this study examined if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f stuttering therapy efficacy; stuttering therapy support systems; clinical practice of university and center activities by their eligibility type; career of the speech language pathologist; and the stuttering therapy. Methods: Awareness was studied through a questionnaire targeted at 261 SLPs working in 43 language treatment centers in Gyeongsang-do, including Busan and Daegu.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a total of 16 questions divided into four sub-categories: four questions on the effectiveness of stuttering, four questions on stuttering therapy support systems, three questions on the clinical practices of universities, and five questions on center activities. Result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the awareness of stuttering therapy, including stuttering therapy efficacy, stuttering therapy support systems, clinical practices of universities, and center activities depending on eligibility type. Secon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the awareness of stuttering treatment depending on the type of SLP license. Thir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the awareness of stuttering treatment depending on the career of the SLP. Lastly,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the awareness of stuttering treatment depending on the career of stuttering therapy. Conclusions: It may be concluded that there could be differences in the awareness of stuttering treatment depending on individual variables of SLPs. 목적: 본 연구는 2012년 8월 언어재활사 국가자격제도가 법제화된 이래 언어재활사의 말더듬 치료 전문성을 확립하기 위한 기초적 자료 수집을 목적으로 말더듬 치료에 대한 언어재활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언어재활사의 개별 변인을 자격급수, 언어치료 경력 및 말더듬 치료 경력으로 나누어 말더듬 치료효능감, 말더듬 치료 지원체제, 대학에서 임상실습 그리고 소속기관 활동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부산, 대구를 포함한 경상도 지역의 언어치료 관련 43개 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언어재활사 261명(남 13명, 여 248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말더듬 치료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설문지는 총 16개의 문항으로, 말더듬 치료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적합하도록 네 가지 하위범주, 즉 말더듬 치료 효능감 4문항, 말더듬 치료 지원체제 4문항, 학교에서 임상실습 3문항 그리고 소속기관 활동 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결과: 첫째, 언어재활사의 자격급수에 따라 말더듬 치료(말더듬 치료 효능감, 말더듬 치료 지원체제, 대학에서 임상실습, 소속기관 활동)에 대한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언어재활사의 언어치료 경력에 따라 말더듬 치료(네 가지 모두)에 대한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언어재활사의 말더듬 치료 경력에 따라 말더듬 치료(말더듬 치료 효능감, 말더듬 치료 지원체제)에 대한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보면, 언어재활사는 자격급수, 언어치료 경력 등과 같은 몇몇 개별 변인에 따라 말더듬 치료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 KCI등재

        아동중심 놀이언어치료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치료사중심 언어치료와의 비교

        김지아,한유진 한국언어치료학회 2018 言語治療硏究 Vol.27 No.2

        Purpose: Language‐impaired children are suffer linguistic and psychological difficulties. This study developed a child-centered play intervention program, tested its effectiveness and compared it with a clinician-directed intervention program. In addition, it aimed to increase language‐impaired children’s vocabulary size, communication intent, and psychological activity.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 to 5-year-old language‐impaired children. They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N=6; Child-Centered play intervention Group=CCG), a comparative group (N=6; Clinician-Directed intervention Group=CDG), and a control group (N=6). The One-on-one individual sessions were applied twice a week, for a total of 16 times. Data were analyzed through SPSS 18.0. A non-parametric Wilcoxon signed rank test was used to examine difference between the results. Spontaneous speech was collected and analyzed for the analysis of vocabulary size and communication intent. Results: This program was developed as a language impairment intervention program consisting of basic principles, play environment, parent counseling, clinician’s roles, and techniques.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every group showed increased vocabulary size and communication intent. However, CCG showed a larger increase in vocabulary size. With regard to communication intent, CCG showed a large increase in subjective statements, CDG showed a large increase in responses. CCG showed improvement in psychological activity, however CDG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Conclusions: This study developed an intervention program integrating both play therapy and speech therapy and provided a theoretical frame for new intervention strategies applicable in the field. It also developed an intervention approach handle both children’s linguistic and psychological difficulties and by doing so, suggested a new intervention program mitigating children’s psychological problems and enhancing their language abilities. The study presented specific child-centered methods and examples for speech therapists’ easy application. 목적: 언어장애아동은 언어문제와 심리적 어려움을 동시에 가진다. 본 연구는 아동중심 놀이언어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치료사중심 언어치료 프로그램과의 차이를 검증한다. 본 프로그램을 통해 언어장애아동의 어휘량을 증가시키고 의사소통 의도를 증진시키며 심리적 능동성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생활연령 만 3세에서 만 5세 사이의 언어장애아동으로 아동중심 놀이언어치료 실험집단 6명, 치료사중심 언어치료 비교집단 6명, 통제집단 6명이다. 프로그램은 주 2회씩 총 16회기(60분/1회기)를 개별 프로그램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 분석은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실험집단, 비교집단, 통제집단 내 각 척도별 사전-사후 검사 결과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비모수 검정인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실시하였으며, 어휘량과 의사소통 의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자발화 수집을 통한 자발화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아동중심 놀이언어치료 프로그램은 기본 원리, 놀이 환경, 부모 상담, 치료사의 역할, 기법으로 구성된 언어장애 중재 프로그램으로 개발되었으며, 프로그램 실시 후 아동중심 놀이언어치료집단과 치료사중심 언어치료집단 모두에서 어휘량과 의사소통 의도가 증가하였으나, 아동중심 놀이언어치료집단에서의 어휘량의 증가폭이 더 컸으며 의사소통 의도에서 아동중심 놀이언어치료집단은 주관적 진술의 증가가 높게 나타났고 치료사중심 언어치료집단은 반응의 증가가 높게 나타났다. 아동중심 놀이언어치료집단의 심리적 능동성이 향상되었으나 치료사중심 언어치료집단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결론: 본 연구는 놀이치료와 언어치료의 다 영역간의 통합된 중재 프로그램으로써 언어치료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언어치료 중재 전략의 이론적 틀을 제시하였으며, 언어장애아동의 언어적, 심리적 어려움을 동시에 다루어 주는 중재 접근법을 개발함으로써 언어장애아동에게 심리적 문제를 감소시켜주고 동시에 언어능력을 향상시켜주었다. 또한 아동중심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과 예시를 제시하여 언어치료사들이 현장에서 사용하기 용이하도록 하였다.

      • KCI등재

        '언어치료사'에 대한 은유분석: 고등학생과 예비언어치료사 중심으로

        김유경,장현진 한국언어치료학회 2019 言語治療硏究 Vol.28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perspective and image of high school and pre-speech-language pathologist (pre-SLP) toward speech-language pathology (SLP). A survey of high school students and college (university) students, who will become SLPs, seeks to understand the current and future social and professional perspective of SLP and provide basic data for building desirable images. Methods: The answers to the metaphorical questions were analyzed by 172 high school students and 191 pre-SLP college (or university) students in Daegu, Gwangju, and Jeonnam province. Metaphors were collected in the task of sentence completion, then analyzed in five stages based on prior research. Results: The metaphors of SLP were categorized by classifying them into personality, duty, and job aspects. Metaphors derived from the duty aspect showed the highest rate, with 72.67% of high school students and 68.59% of pre-SLPs. Metaphors derived from the personality aspect showed the highest ratio of 'inclusive love' at 53.66%, and 'kindness and giving' and 'patience and effort' were similar within and outside 20%. Metaphors derived from the job aspect showed that 'influential person' (63.28%) was higher than 'an expert in performing professional specific duties' (36.72%), while high school students perceived it as 'an expert in performing influential abstract duties' more than pre-SLPs. Metaphors derived from job aspect showed a rather high rate of 'necessary job' (34.85%) and 'private-related job' (25.75%), while 'vague job,' 'hard job,' 'visionary job,' and 'rewarding job' were also shown. Conclusions: Most high school students and pre-SLPs have images of SLPs related to duty and job. SLPs tend to be perceived as contributing people to others rather than professionals, which shows a lack of understanding of SLP's social role and professional characteristics. Multidimensional social contribution and professional expansion and publicity activities are needed so that SLPs can be recognized as experts in health science departments. 목적 : 이 연구의 목적은 언어치료사에 대한 고등학생과 예비언어치료사의 인식과 이미지를 알아보는것이다. 고등학생과 언어치료사가 될 대학생 대상 조사는 언어치료사의 현재와 미래의 사회적, 직업적인식을 이해하고 바람직한 이미지 구축의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이다. 방법: 대구, 광주, 전남에 소재한학교에 재학 중인 고등학생 172명과 대학생인 예비언어재활사 191명의 은유질문에 대한 응답을 분석하였다. 문장 완성형 과제로 은유표현을 수집한 뒤,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5단계의 절차로 분석하였다. 결과: 언어치료사의 은유표현은 인성적 측면, 직무적 측면, 직업적 측면으로 분류하여 범주화하였다. 직무적 측면의 은유표현은 고등학생의 72.67%, 예비언어치료사의 68.59%에서 나타나 가장 높은비율을 보였다. 인성적 측면의 은유표현은 ‘포용적 사랑’이 53.66%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친절과 베풂’, ‘인내와 노력’은 20% 내외로 유사하였다. 직무적 측면의 은유표현은 ‘타인에게 어떠한영향을 미치는 사람’(63.28%)이 ‘전문적 능력을 가진 사람’(36.72%)보다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고등학생은 예비언어치료사보다 ‘타인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사람’으로 인식하는 비율이 높았다. 직업적 측면의 은유 표현은 ‘필요한 직업’(34.85%)과 ‘사적으로 관련된 직업’(25.75%)이 다소 높은비율로 나타났으며, ‘모호한 직업’, ‘힘든직업’, ‘비전있는 직업’, ‘보람된 직업’도 나타났다. 결론: 고등학생과 예비언어치료사는 대부분 직무와 직업에 관련된 언어치료사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었다. 언어치료사는 전문가보다 타인에게 기여도가 있는 사람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높아 언어치료사의 사회적역할, 직업적 특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언어치료사가 보건의료계열의 전문가로인식될 수 있도록 다차원적인 사회적 기여와 직업적 확장과 홍보가 필요하다.

      • KCI등재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사용 집단 간 채점 방식에 따른 수용어휘력검사 수행 비교

        임동선,정하은,한지윤,백수정,임나은 한국언어치료학회 2022 言語治療硏究 Vol.31 No.2

        목적: 이 연구는 한국어와 영어를 사용하는 이중언어 아동들의 어휘력을 합산 점수를 기반으로 한 평가를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아동들의 수용어휘력에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3~10세의 동시적 이중언어 아동 37명, 순차적 이중언어 아동 56명의 총 93명의 일반 이중언어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는 모두 한국어가 모국어이며 영어가 제 2언어인 이중언어 아동이었다. Peabody Picture Vocabulary Test-fourth edition과 수용 및 표현 어휘력 검사를 각 두 번씩 실시하였으며, 기존 검사의 언어 버전과 번역본으로 진행하였다. 각 검사도구의 번역은 검사 전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이중언어 아동의 언어 검사 시 동시적 이중언어 아동과 순차적 이중언어 아동의 원점수와 합산 점수를 비교하기 위해 이원혼합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합산 점수가 한국어 원점수와 영어 원점수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용어휘 점수에서 동시적 이중언어 아동과 순차적 이중언어 아동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위와 같은 결과는 합산 점수 방식이 이중언어 아동의 어휘력을 더 정확히 평가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동시적 이중언어 아동과 순차적 이중언어 아동들의 수행력에 유의한 차이가 없다는 결과는 동시적 이중언어 아동과 순차적 이중언어 아동의 어휘적 지식에 차이가 없음을 의미한다. 더불어 한국어와 영어의 두 언어 간 단어의 빈도, 음운적 유사성이 단어의 번역 과정에 있어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개원 언어치료센터 기관장 자격요건 및 운영에 대한 언어재활사의 인식

        김시영,황하정,김시현,김수진 한국언어치료학회 2023 言語治療硏究 Vol.32 No.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언어재활사의 개원 언어치료센터 기관장의 자격요건 및 운영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언어재활 분야에서 기관장의 자격과 직무역량의 중요성을 재고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설문 조사지는 개원 자격요건 4항목, 기관장의 직무역량 50항목으로 구성을 하였다. 직무역량은 비전 및 목표 관리, 바우처 지원 운영, 언어재활 대상자 관리 등의 10개 범주로 구성되어 있다. 전국의 언어재활사 145명을 대상으로 모바일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기관장의 자격요건은 경력이 5년 이상 50.3%, 학력이 석사 이상 73.1%, 자격급수는 1급 언어재활사 86.9%, 적절한 연령은 30대 이상이 65.5%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역량의 중요도는 5점 만점에 4.38점으로 높은 중요도를 보였다. 그중에서 바우처 지원 운영, 언어재활 대상자 관리, 치료사의 전문성 신장, 윤리의식과 공정성, 의사소통 및 문제해결 등의 순으로 중요도가 높았다. 셋째, 학력 및 자격급수에 따라 개원 자격요건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었다. 넷째, 학력 및 경력에 따라 기관장 직무역량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었다. 결론: 개원 언어치료센터의 질 높은 서비스 제공 및 운영 역량 향상을 위하여 국가 차원에서 주도하는 제도적 개선, 협회 및 학교의 교육, 기관장 개인의 노력 등 다각적인 방안이 필요하다.

      • KCI등재

        학교 언어치료 지원에 관한 초등 일반교사 인식 조사

        임소연,김화수 한국언어치료학회 2023 言語治療硏究 Vol.32 No.1

        목적: 본 연구에서는 초등 일반교사를 대상으로 학교 환경 언어치료 지원과 관련하여 초등 일반교사의 인식, 의사소통장애 아동에 대한 초등 일반교사 역할의 중요도, 학교 환경 언어치료 지원에 대한 실태, 학교 환경 언어치료사가 상주하고 있을 시의 이점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 향후 학교 환경 언어치료 지원 관련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것에 있다. 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초등 일반교사 76명을 대상으로 직접 및 온라인을 통해 설문지를 배부하여 진행하였으며 자료는 기술통계와 다중응답 빈도분석을 실시하여 처리하였다. 결과: 일반교사가 의사소통장애로 판별할 때 중요하게 생각하는 영역은 학습 관련, 언어발달 관련, 조음ㆍ음운 관련, 유창성 관련, 음성 관련 순으로 나타났다. 의사소통장애 학생에 대한 일반교사 역할의 중요도를 살펴본 결과, 또래 상호작용, 선별 및 가족 상담, 수준 파악 및 수업 준비, 전문기관 의뢰, 행정적 시스템 순으로 나타났다. 학교 환경 언어치료 지원에 대한 실태 조사 결과, 총 76명 가운데 9명이 ‘실시하고 있다’고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학교 환경 내 언어치료사가 상주하고 있을 시 이점에 대해 조사한 결과, ‘학교 교사 및 학부모와의 빠른 피드백 및 상담, ‘언어 관련 어려움이 있는 학생의 빠른 선별’이 비교적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학교 환경 언어치료 지원과 관련하여 다양한 설문을 통해 학교 환경 언어치료 지원의 필요성과 개선 방향에 대하여 제시하고 있어 본 연구를 기초로 하여 학교 환경 언어치료 지원의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길 기대한다.

      • KCI등재

        언어치료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 학습자의 학습참여동기, 자기효능감, 목표지향성 등에 관한 연구

        박순호,김시영 한국언어치료학회 2019 言語治療硏究 Vol.28 No.3

        Purpose : By research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ECE) and Speech Language Pathologist (SLP) bachelor degree intensive course learners’ motivator, self-efficacy, factors of enrollment, goal directed ability, satisfaction and improvements, we can provide basic information of students and can imply efficient management methods. Method : We surveyed 55 graduate and undergraduate majoring in SLP and 65 students majoring in ECE at an university located at Busan, Gyeongnam and Daegu. Result : Levels of students' learning motivator (3.51), selfefficacy (3.25), factors of enrollment (3.96) are over than the average and goal-directed ability is on the average. Satisfaction for education training institution (4.06) has high level than we've expected. Factors of learner (3.77), major intensive system (3.77) and learning content (3.18) are above the average. SLP major students demand more learning opportunities,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improvement of intensive course system, strict supervision and introduction of graduation system than students majoring in ECE. Conclusion : Self-efficacy has low level compared to other sections. Self-efficacy is related with participation motivator, so it needs more effort to improve self-efficacy. For this, we propose self-examination, counseling and mentoring related on the potential for self-change as solutions. Also, SLP students' goal-directed score of avoidance of fulfillment is considered to lower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so, new teaching methods using divergent questions and enforcement of absolute evaluation are needed. According to the study, students majoring in ECE have more satisfaction on opportunities of getting degree. Thus, guides on opportunities of degree achieving of major intensive program and qualifications of SLP certification of first grade should be increased. Also, we propose system improvement that wide choice of courses should be offered to students and full-time professor could be able to participate well, following demands of students. 목적: 본 연구는 언어치료와 유아교육 전공심화과정 학습자들의 학습참여동기, 자기효능감, 등록요인, 목표지향성, 만족도를 토대로 전공심화과정에 대한 인식과 개선요구를 조사하여 향후 언어치료 전공심화과정의확대 및 효율적인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자료제공에 목적이 있다. 방법: 부산․경남, 대구에 소재한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 재학생 및 졸업생으로 언어치료 전공자(55명)와 유아교육 전공자(65명) 총 120명을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에는 평균, 표준편차 등의 기술통계분석과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결과: 언어치료 전공심화과정 학생들의 교육 학습 참여 동기(3.51), 자기효능감(3.25), 등록요인(3.96)은 모두 보통이상이며, 목표 지향성 정도는 보통이었다. 교육훈련기관(4.06)에 대한 만족도는 만족 이상이었으며, 학습자요인(3.77), 전공심화 제도(3.77), 학습내용(3.18)에 대한 만족도는 모두 보통 이상이었다. 학습기회 개방, 정부재정지원필요, 심화과정제도 개선, 관리감독 철저, 졸업시험 도입 등의 사항에서 언어치료 전공자들의필요 요구가 유아교육 전공자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 결과 언어치료 전공자들에게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은 학습참여동기와는 정적인 상관관계요인이므로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학습자 스스로 변화가능성에 대한자기성찰과 상담 및 멘토링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언어치료전공자들의 높은 수행회피 목표지향성이 학습동기를 낮게 하는 원인으로 분석되어 확산적 발문을 사용한 교수법 및 절대평가 시행이 필요한 것으로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학위취득기회 제공에 대한 만족은 언어치료 전공자에게서 더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언어치료 전공심화과정의 학위취득기회 제공과 언어재활사 1급 자격요건에 대한 안내가 더 필요한 것으로생각된다. 또한 학생들의 요구에 따라 교과목의 선택폭을 확대하고 전임교수들의 심화과정 수업 참여도를높일 수 있는 운영내용의 개선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예비언어재활사의 학습동기가 언어치료역량에 미치는 영향

        신혜성,김문정 한국언어치료학회 2018 言語治療硏究 Vol.27 No.4

        Purpose : Based on the necessity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speech-language pathologists, the status of the treatment capability of pre-service speech-language pathologists and the direction of learning motivation were analyzed. Methods :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language therapy students at L University in Gyeonggi Province on September 11 and 12, 2018. Statistical analyses (technical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 T-verification, one-way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Excel to directly code the files. Results : Students in higher academic years showed higher academic performance and more significant motivation. Likewise, students in higher academic years showed a higher performance orientation and more effective motivation. Differences in speech therapy skills as a result of the change in the school year were also significant, and the higher the grade, the greater the ability of all the detailed competencies for language therapy. While performance-oriented motivation was found to be helpful in language-care capabilities, learning-oriented motivation, task-setting and learning-effectual motivation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language-care capabilities. Conclusions : To improve language therapy skills, college students first need strategies that can improve their motivation for language therapy learning.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organize courses and support programs to improve language skills. 목적 : 언어재활사로서 전문성 향상을 위해 필수로 갖추어야 할 역량을 바탕으로 예비 언어재활사들의치료역량 실태를 분석하고, 학습동기가 언어치료 역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언어재활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의 운영 방향을 도출해내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는 경기도소재의 L대학 언어치료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2018년 9월 11일~12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Excel을 활용하여 파일을 직접 코딩 후, SPSS 20.0을 활용하여 통계 분석(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증, 분산분석(one-way ANOVA,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결과: 조사 대상자는학년이 높아질수록, 성적이 높을수록 학습동기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제가치동기와 학습효능감동기는 학년이 높을수록 높았으며, 성과지향성동기와 학습효능감동기는성적이 높을수록 동기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이 변화에 따른 언어치료역량의 차이도 유의미한것으로 나타났으며, 언어치료 모든 세부 역량에서 학년이 높을수록 역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동기 중 성과지향동기는 언어치료역량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습지향성동기, 과제가치동기와 학습효능감동기는 언어치료역량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언어치료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예비언어재활사인 대학생들에게 언어치료 학습에 대한 동기를향상시킬 수 있는 전략과 더불어 더 우수하고 전문성 있는 언어재활사가 되기 위한 성과 향상을 위한동기 전략을 사용하여 언어치료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교육과정 및 지원 프로그램을 구성할 필요가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