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치위생과 학생의 결핵에 대한 지식 및 태도가 결핵감염 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
장영미,김기은,Jang, Young-Mi,Kim, Ki-Eun 대한치과위생학회한국치위생과학회 2021 대한치위생과학회지 Vol.4 No.1
Background: The present study aimed to gather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tuberculosis prevention program for prospective dental hygienists by understanding the level of knowledge, attitudes, and preventive behaviors related to tuberculosis for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who need preventive access to tuberculosis infection. Methods: The present study used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on knowledge, attitudes, and preventive behaviors regarding tuberculosis, which was administered to dental hygiene students attending D University located in D city. Results: The average knowledge regarding tuberculosis was 16.17 ± 6.14, out of 30 points. Attitude regarding tuberculosis averaged 48.59 points (± 4.46), out of 60 points, and the degree of preventive behavior was 46.29 points (± 5.0), out of 60 points. Third year students ranked highest for knowledge regarding, attitude toward, and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s of tuberculosis, compared to those in their first or second year (F = 7.20, p = 0.000). Those who had experienced tuberculosis themselves or with their relatives had higher attitudes toward tuberculosis than those who did not (F = 2.32, p = 0.02). Additionally, the higher the knowledge (β = 0.209, p = 0.004) and attitude (β = 0.425, p = 0.000) about tuberculosis, the higher the level of tuberculosis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t appears to be necessary to provide practical education to ensure that all students in dental hygiene are equipped with knowledge about tuberculosis, and that as a dental hygienist in carrying out dental hygiene management with a changed attitude, the act of preventing tuberculosis infection can be appropriately performed.
역사동화를 통해 본, 조선인 강제동원 참상과 제국주의의 폭력
장영미(Jang young mi) 한국아동문학학회 2014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27
이 글은 식민치하 강제노동에 동원된 조선인들의 참상을 통해 환난 속에서 희생된 이들의 삶을 조명하고, 그것의 현재적 의미를 연구한 것이다. 문영숙의 『검은 바다』를 대상으로, 식민치하 조선인이 강제노동에 어떻게 동원되었고, 희생되었는지 그리고 이러한 과정 속에서 그들이 고민한 궁극적인 문제가 무엇인지를 살폈다. 주지하다시피, 식민지기 조선인들은 당시 나라를 잃고 식민지 백성으로 전락한 통한의 아픔에서 그치지 않고 일제의 전시노무자로 동원되면서 개인의 삶은 피폐화된다. 그 과정 속에서 이들은 과연 전쟁이란 무엇인가, 국가란 무엇인가를 생각하고 나아가 개인의 존재 문제까지 고민하게 된다. 다시 말해 역사의 한 페이지에서 소외된, 즉 식민치하 강제노동에 동원된 조선인들의 참상은 단지 그들의 슬픈 삶 조명 뿐 아니라 기억해야 하는 역사와 그 역사가 갖는 현재적 의미 반추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글은 지금 여기서 ‘역사를 기억해야 하는 이유’와 ‘기억해야 하는 역사’ 고찰이라 판단된다. It is to study the identification of Korean (Chosunin) who were sacrificed through the calamity and hardships they had faced with under the colonization settlement, in which Korean Peoples (Chosunin) life style who were wholly mobilized for the enforced supply of manpower under Japanese Colonization settlement was, of course, revealed. As known very well, most of all the Korean people(chosunin) under Japanese colonization settlement had faced the big pain by deep grievance by losing their country(government) and fell down to the people without government controlled by the Japanes Colonization settlement, and in addition to the above, they were enforced to be mobilized for the laborers in time of war. At last, they, whose personal life had faced with an extremely exhausted condition, came to think what is war and why is the country (Government) needed? and to have a conflicted consideration in their own individual identification. The disaster of Korean people who were enforced to be mobilized for the supply of labor under Japanese colonization settlement is not only to really show their extremely sorrowful life but to reflect the history which must be kept in their memory and the present meaning of that history as well. In conclusion, it is duly accented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know why we have to remember history and how we can consider the history which we must keep in our memory.
장영미(Jang, Young - Mi) 한국아동문학학회 2010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18
한정동은 한국 아동문학 최초 신춘문예 당선 동요 작가다. 그는 한국 아동문학사의 서두를 장식하면서 1920년대 동요 황금시대에 가장 왕성하게 활동하였다.「따오기」를 비롯하여 어머니를 모티프로 한 애상적 정조가 많다. 이는 당대의 불우한 환경에 처한 어린이들을 대변하는 것으로 보이며, 이 말은 달리하면 한정동 역시 시대의 고통을 외면하지 않은 작가라는 것이기도 하다. 또한 어머니를 모티프로 하되 창작 시기가 달라지면서 조금씩 다른 양상을 띤 것 역시 시세계를 확장하였다. 그리고 한정동은 당대의 작품들과 달리 미적 세계를 가미하였다. 동일한 소재, 유사한 제목으로 펼친 시는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쓰면서 은유, 비유, 상징적 이미지를 중심으로 입체적인 시를 형상화한다. 바로 이러한 점은 한정동이 당대의 경향을 벗어나 내용면에서 시성을 가미함으로써 본격적 예술 동요로 향상시켰다. 즉 글자 수를 맞추어 가며 창작하던 정형 동요가 자유형 동시로 넘어오는 과정을 선보인다. 결국 1925년을 전후하여 일어난 동요 황 금시대의 가장 큰 원동력이 된 작가라는 점이 선명하다. 즉 창가조의 틀을 완전히 벗어나지 못하고 무미건조한 작품만이 범람하던 당시 특성을 깨뜨리고, 예술성이 가미된 동요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고는 현대 창작 동요가 예술 차원으로 승화하였다는 점에서 한국 창작 동요의 뿌리를 찾고, 현대 동시 문학의 원형을 찾으려는 것이다. 하지만 명백한 결론이 나지 않은 표절 시비와 당대의 동요가 계몽담론이 우세하다는 이유를 들어 한정동과 그의 작품을 평가절하하고 있다. 이에 본고는 반론을 제기하며, 한국 동시 문학의 원형을 찾는다는 측면에서 그가 활발하게 활동한 1920, 30년대 작품을 중심으로 작품 세계를 살피기로 한다. Han-Jung-Dong is the first poet who won the annual Spring literary contest in Korean childrens literature with childrens poem. As he adorned the beginning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he actively worked in the golden age of childrens poem in 1920s. Including ?Dda-O-Gi?, he has created many works with sorrow atmosphere of mother motif. This seems to represent the unfortunate children at that time, and in other words this means that Han-Jung-Dong was the writer who did not turned away the pain of the days. His works still sticking to the mother motif but with different creating periods, he expanded his poetic field with little changes in aspects. Unlike with other poetry works at that time, Han-Jung-Dong added aesthetical elements to his works. His poems, which were created in same subjects and familiar titles, were not bound in formalities but were freely written with metaphors, comparisons, and symbols. By breaking the existing tendency and adding poetic things in content, Han-Jung-Dong has improved the poem to an artistic piece. In other words, poetries with fixed form which had been used to be written in fixed number of letters, has shown to be changed to free formed poem. He may be the greatest driving force of the golden age of childrens poem before and after the 1925. By breaking the established bald style, Han-Jung-dong showed childrens poem with artistic value. Therefore this manuscript is to find the original form of modern childrens poem. There are disputable plagiarism scandal and some opinions that devaluates Hans work compared to other poetries at that time. This article brings forth a counterargument to those opinions, and tries to find out the original form of Korean childrens poems in 1920s and 1930s when Han-Jung-dong has actively worked.
검정콩 안토시아닌 및 프로안토시아니딘 추출에 대한 산 처리의 영향
지영미(Yeong Mi Ji),김민영(Min Young Kim),이상훈(Sang Hoon Lee),장귀영(Gwi Yeong Jang),Li Meishan,윤나라(Nara Yoon),김경미(Kyung Mi Kim),이준수(Junsoo Lee),정헌상(Heon Sang Je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4 No.10
본 연구에서는 추출용매에 첨가하는 산의 종류 및 농도를 달리하여 검정콩으로부터 안토시아닌 및 프로안토시아니딘 색소의 추출효율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산의 종류는 hydrogen chloride(HCl), acetic acid, formic acid, phosphoric acid 및 citric acid였으며, 사용된 농도는 0.1, 0.2, 0.3, 0.5 및 0.7%였고 80% 메탄올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였다. 총 안토시아닌 함량은 산의 종류 및 농도에 따라 0.74~1.74 mg/g 범위였으며 0.3% HCl 처리구가 가장 높았다. 검정콩의 주요 안토시아닌은 C3G, D3G 및 Pt3G였으며 구성 안토시아닌 중 C3G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프로안토시아니딘 함량은 2.01~5.29 mg/g 범위로 포도씨나 팥의 프로안토시아닌보다 더 많은 양이 함유되어 있었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검정콩의 안토시아닌과 프로안토시아니딘의 추출 시 산의 종류 및 농도가 중요한 변수이며, 최적 추출조건은 0.3% HCl을 포함하는 80% 메탄올이라 판단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arious acidic treatment for anthocyanin and proanthocyanidin extraction from black bean. Extracts were prepared with 80% methanol solutions containing HCl, acetic, formic, phosphoric, and citric acids of different concentrations (0.1, 0.2, 0.3, 0.5, and 0.7%). Total anthocyanin content ranged from 0.74 mg/g in 0.7% citric acid to 1.74 mg/g in 0.3% HCl, depending on acid type and concentration. The major anthocyanins were delphinidin-3-glucoside (D3G), cyanidin-3-glucoside (C3G), and petunidin-3-glucoside (Pt3G). The highest C3G content was 1.12 mg/g in 0.3% HCl. Proanthocyanidin content ranged from 2.01 mg/g in 0.5% acetic acid to 5.29 mg/g in 0.3% HCl. Thus, acidic condition is a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anthocyanin and proanthocyanidin extraction from black bean, and the optimum extraction conditions were determined as 80% methanol containing 0.3% HCl.
불구적 사회와 타인의 고통: 오정희의 『새』를 중심으로
장영미(Jang, Young-mi) 건국대학교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21 스토리&이미지텔링 Vol.22 No.-
이 글은 오정희의 『새』를 대상으로 하여 작중인물을 둘러싼 환경과 내면세계를 살피고, 이를 통해 작품의 본질적 메타포를 규명하는 것이다. 그동안 오정희는 인간의 내면 심리를 적확히 포착한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은 것과는 달리, 사회현실 인식이 결여되었다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은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부정적인 평가를 불식시키는 작품으로 『새』를 들 수 있다. 『새』의 어린 인물들은 부모와 세계로부터 애정과 관심을 받지 못하면서 시간이 흐를수록 영악하고 위악적이고, 냉소적으로 변한다. 세상으로부터 버림받은 남매는 어둡고, 더럽고, 밀폐된 공간의 퀴퀴한 냄새 속에서 불안과 분노를 갖고 산다. 때문에 이들은 성장은 물론 희망도 미래도 없는 무덤과 같은 세상에서 산다. 이처럼 오정희는 어린 아이를 대상으로 삶을 잔인하게 그리고 있다. 그동안 오정희는 여러 작품에서 그러하듯이 『새』 역시 세계를 응시하는 정도에서 그치고, 그 어떤 대안도 해결책도 제시하지 않는다. 즉, 오정희는 독자 스스로 그 물음에 대해 혹은 문제의 사안에 대해 천착하라고 한다. 『새』는 어른과 사회로부터 버려지고 외면당한 아이들을 통해 부정적인 현실, 즉 실제적인 세계를 날것 글대로 구현하면서 사회현실을 인식하고 있다. 결국, 오정희는 이 작품을 통해 작가의 책무와 어른들의 역할, 책임 나아가 사회적 정의에 대해 질문을 던지는 것이라 할 수 있다. This article aims at Oh Jung-hee"s Bird to examine the environment and inner world surrounding the person in the work, and through this, identify the essential metaphor of the work. In the meantime, unlike Oh Jung-hee"s positive evaluation of accurately capturing human inner psychology, it is true that she has received negative evaluation for lack of awareness of social reality. Bird is a work that dispel this negative evaluation. The young characters in Bird do not receive affection and attention from their parents and the world, and as time goes by, they change into clever, evil, and cynical. Abandoned from the world, siblings live with anxiety and anger in the stale smell of dark, dirty, and enclosed spaces. Therefore, they live in a world like a tomb with no growth, no hope, or future. As such, Oh Jung-hee"s is cruelly drawing life for young children. In the meantime, Oh Jung-hee"s, as in many works, has stopped at the level of staring at the world, and no alternative or solution is suggested. In other words, Oh Jung-hee"s tells the reader to focus on the question or the issue in question. Bird recognizes social reality by embodying negative reality, that is, the real world, in raw writing through adults and children who have been abandoned and neglected by society. In the end, through this work, Oh Jeong-hee"s can be said to ask questions about the artist"s responsibilities, the role of adults, and social justice.
장영미(Jang, Young-mi) 건국대학교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16 스토리&이미지텔링 Vol.11 No.-
출판산업은 문화콘텐츠의 원형이자 부가가치가 높은 산업이면서 자국문화를 세계에 알리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는 분야이다. 즉, 문학작품이 일차적이고 공론적인 의미를 넘어 세계화 콘텐츠이자 문화로서의 의미를 내포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의미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출판산업의 중요성은 간과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해외에 소개된 한국 아동문학 현황을 살피고, 이를 토대로 아동도서의 해외 진출 활성화 전략을 모색하였다. 연구 결과, 동양권은 중국, 대만, 태국과 일본이 많은 수를 차지하였다. 중국과 대만, 태국은 학습에 도움이 되는 실용서 위주로 소개되었으며, 일본은 그림책의 경우 다양한 내용과 독특한 기법을 갖춘 도서가 소개되었다. 서양권은 프랑스, 스위스, 독일, 미국 등으로 많이 번역·수출되었다. 유럽권으로 가장 많이 소개된 것은『고양이학교』이다. 『고양이학교』를 통해 프랑스에 다른 한국 아동도서가 많이 소개되었다는 점에서 이 작품은 주목하여야 할 것이다. 그 외 스위스와 독일, 미국 등은 한국 문화와 정서를 알 수 있는 도서와 독특한 소재를 다룬 도서들이 번역‧수출되었다. 이는 향후 한국 아동도서의 방향을 가늠할 수 있는 지점이기도 하다. 사실 한국 아동도서의 해외 진출은 좋은 작품과 훌륭한 번역이 선결과제이다. 하지만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국 아동도서의 해외 진출 활성화를 위해, 해외 번역‧수출 목록의 체계적인 정리, 출판산업의 다양한 콘텐츠 모색, 맞춤형 시장 전략 도모, 국가 차원의 적극적인 노력과 투자 지원 등을 제시할 수 있다. The publishing industry is the prototype of cultural content, high value-added industry and can significantly contribute to introduce a nation’s culture to the world. That is, literature is content for globalization and implies the meaning of national culture beyond its primary and ideological meaning. However, despite these, the importance of the publishing industry has been overlooked. Considering the circumstances, this study examined the present situation of Korean children"s books abroad and figured some strategies for boosting the overseas expansion. The results shows that Korean children"s books were introduced mainly to Asian countries like China, Taiwan, Thailand and Japan. How-to Books were introduced to China, Taiwan and Thailand. Picture books with diverse content and unique techniques were sold in Japan. Western countries like France, Switzerland, Germany, and the United States also imported Korean children’s books. The most introduced book through Europe was The Cat School. It is worthy of notice that many Korean children"s books were exported to France after the book was introduced to the country. Books dealing with Korean culture and sentiment and unique materials have been exported to Switzerland, Germany, and the United States. This can be an indication of what Korean children"s literature should do in the future. In fact, the priority is the production of good works and good translation for overseas expansion of Korean children"s books. However, this stud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xamination, can suggest the followings to activate the overseas expansion of Korean children"s books: cataloging and systemization of translated·export books, seeking to diversify the content in the publishing industry, aiming of customized market strategy plan and strengthening the national level of support for the investment.
계절학기 글쓰기 수업의 효과적인 교수 방안 연구 - 슬로리딩을 적용한 단계별 글쓰기 학습을 바탕으로
장영미(Jang, young mi)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0 한국학연구 Vol.74 No.-
본고는 계절학기 글쓰기 수업의 효과적인 교수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현재 대부분의 대학이 계절학기를 진행하는데, 실습과 과제 제출, 첨삭으로 이루어지는 글쓰기 수업은 밀도 있는 강좌가 되기 어렵다. 매일 진행되는 수업 일정으로 인해 글쓰기를 위한 교육으로 전락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글쓰기를 통한 교육’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글쓰기 강좌는 이론적 지식 전달도 중요하지만, 궁극적으로 글쓰기 수업이 지향하는 학생들의 사고력 함양과 표현력 향상이다. 이러한 사안을 바탕으로 본고는 넓고 깊이 있는 독서, 즉 슬로리딩을 적용하여 단계별 글쓰기를 진행하였다. 구체적인 단계로는 먼저 텍스트를 선정하고, 능동적이고 비판적인 읽기를 한 다음, 논리적이고 체계적인 글쓰기로 전개하였다. 책 한 권의 도서를 통해 단락 쓰기→짧은 글쓰기→긴 글쓰기→사적 글쓰기→공적 글쓰기로 이어지는 단계별 쓰기 실습을 하였다. 총 4단계로 진행한 결과, ➀학생들의 독서 시간을 마련하고 ➁도서를 넓고 깊게 읽을 수 있었으며 ➂글쓰기 두려움을 약화시켰으며 ➃사적 글쓰기와 공적 글쓰기를 명확히 구분할 수 있는 효과를 얻었다. 사실, 짧은 시간에 진행되는 계절학기 글쓰기 강좌는 글쓰기를 위한 교육으로 간주되기 쉽다. 하지만 계절학기 역시 중요한 수업 중 하나이다. 따라서 계절학기 글쓰기 교육에서 슬로리딩으로 적용하여 쓰기 실습을 활용한다면 학습자들에게 보다 의미 있는 강좌를 제공하는, 즉 ‘글쓰기를 통한 교육’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The main school is to present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writing classes in the seasonal semester. Currently, most universities conduct seasonal semesters, and writing classes, which consist of hands-on practice, assignment submission, and correction, are difficult to become dense courses. It is necessary to seek "education through writing" because the daily schedule of classes is likely to degenerate into education for writing. Also, writing courses are important for theoretical knowledge transfer, but ultimately, the development of students" thinking skills and improvement of expression skills that the writing class is aiming for. Based on these issues, this paper carried out step-by-step writing by applying a wide and deep reading, or slow reading. The text was first selected as a concrete step, followed by active and critical reading, and then developed into logical and systematic writing. Through a book, I practiced writing in stages, which led to writing paragraphs → short writing → long writing → historical writing → public writing. As a result of the total four stages, I was able to prepare reading time for the first students, read the second book wide and deep, weakened the fear of writing three letters, and had the effect of clearly distinguishing between writing four history and public writing. In fact, writing courses for the seasonal semester, which are held in a short period of time, are likely to be regarded as education for writing. But the seasonal semester is also one of the important classes. Therefore, if the writing practice is used as a slow-reading application in the seasonal semester writing training, it is considered to be a more meaningful course for learners, namely "education through writing".
사전정보제공과 진정제투여가 기관지내시경 검사 대상자의 불안 감소에 미치는 영향
장영미(Jang, Young-Mi),한진숙(Han, Jin-Soo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2 No.9
본 연구는 기관지내시경 검사 시 사전정보제공과 진정제 투여가 환자의 불안 감소와 생리적 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2007년 6월 4일부터 12월 28일까지 기관지내시경 검사를 받는 환자 102명을 대상으로 시행 되었다. 불안척도는 Spielberger의 STAI를 이용하였고, 사전정보제공소책자를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4.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기관지내시경 검사에 대한 사전정보제공군, 진정제 투여군, 사전정보제 공과 진정제를 함께 적용한 세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수축기(p=.062), 이완기 혈압(p=.189) 변화에 영향을 주지 못 하였으나, 환자의 불안(p=.005)과 맥박(p=.033), 호흡(p=.006)의 변화에는 효과적이었으므로 임상에서 적용할 가치가 있을 것으로 본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s of preparatory information, the anxiety level of premedication as well as physiologic variable of patients undergoing bronchoscopy.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from June 4 from December 28 2007 with 102 patients. The degree of anxiety of the subjects was measured by the Spielberger State Trait Anxiety Inventory (Korea version). A booklet constructed by researcher as a research tool was used or patients education.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14.0 program. As a result of the effect that preparatory information and premedication to the subjects undergoing bronchoscopy was statistically effective in reducing the degree of anxiety(p=.005) and controlling pulse rate(p=.033), respiratory rate(p=.006) on the specific threatening procedure but show no significant effectiveness on stabilizing systolic pressure(p=.062) and diastolic pressure(p=.189).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it can be actively applied to clinical practice.
제국주의의 폭력과 위안부 피해 여성의 권리 -『두 할머니의 비밀』과『모래시계가 된 할머니』, 『수요일의 눈물』을 중심으로 -
장영미 ( Jang Young-mi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7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53
본고는 아동을 대상으로 한 위안부 소재 작품을 통해 위안부 문제의 본질을 규명한 것이다. 위안부 문제는 역사문제, 법적문제, 인권문제 등 여러 가지가 착종된 것이다. 국제법상으로 보면, 전쟁범죄, 인신매매, 강제노동 등 중대하고 복잡한 문제를 담지하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우리만의 과제가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관심을 기울이고 해결해야 할 사안이기도 하다. 전쟁의 피해는 가장 약한 어린이와 성에 노출된 여성들이다. 또한 제국주의적 폭력은 강자 중심으로 흐르는 세계 평화의 위협으로 치환된다. 그러므로 위안부 문제는 한국과 일본 간의 역사에만 머무르지 않고 전 세계 모두의 문제이며, 현재뿐 아니라 미래를 잇는 중요한 사안이다. 즉, 위안부 문제는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만의 것이 아니라 우리 모두, 나아가 전 세계의 문제인 것이다. 사실, 그동안 정신대책협의회가 위안부 문제를 이슈화하고 우리 사회에 부각시켜왔다. 이를 통해 우리는 전시여성의 인권과 폭력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러나 이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위안부 피해 문제는 그리 진전되지 않았다. 특히, 아동들에게 위안부 문제는 더욱 금기시하고 있다. 하지만 민감한 내용이기 때문에 숨기고 부끄러운 역사이기 때문에 외면한다면, 미래의 주역인 아동들은 올바른 역사관을 갖기 힘들다. 이런 측면에서 본 연구는 과거의 역사가 아닌 미래의 역사를 위해, 아동들에게 올바른 역사교육이 무엇인지를 생각하게 한다. This is one of the children comfort material through the work will identify the nature of the problem as comfort women. Comfort women issue is history, legal issues, there are a number of issues such as human rights, cagjong. According to international law, such as the great war, human trafficking, forced labor, and the flexibilities of complex problems. In this regard, the Japanese comfort women issue is not our own challenges worldwide, paying attention matters that need to be addressed. The damage of war, exposed the weakest children and sexuality of women. In addition, flows into the center of the imperialist violence powerhouses of world peace as a threat is substituted. Therefore, the comfort women issue in Korea and Japan, all over the world instead of just the history between and, currently, as well as an important bridge between the future. In other words, the comfort women issue is not only a comfort damage grandmother, all of us will be a problem around the world. In fact, in the meantime, mental preparedness and comfort issues, the Council issue has emerged in our society. Women`s human rights and violence, through which we showcase became interested in the issue. However, despite the efforts of these comfort women problem is not the damage did not progress. In particular, children with comfort women issue is even more taboo. But it`s a shame, because the sensitive content because the history is hidden in the exterior, it is hard to have a correct view of history juyeogin children in the future. In this regard the history of the past, not future history of this study, the children think of what the correct history education.
교과서로 본 일제의 식민 전략, 비사고와 동화(同化)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을 중심으로-
장영미 ( Young Mi Jang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14 동화와 번역 Vol.28 No.-
This treatise is written to review the aspect for the Japanese Colonization in which was shown in the Korean Language Leaders for the Elementary School published at the time of Japanese Superintendent quarter and to study the characteristic of education policy set up under the name of public education by means of this text. It aims to consider the strategy which we can find on the way to track how the power spread itself, and so to speak, to study the strategy of the authority concerned. The Japanese Imperialism grasped firmly everything of Korean (Chosun``s) community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Government of Korea before Japanese annexation with Korea. delete Considering this point, it is to study the education policy known as public education by Japanese Imperialists. Of course this is to reveal the way delete how to operate their power to Korean people(Chosunin) by using the textbooks during Japanese superintendent Quarter``s era. Anyway, It was found through this study that their training way was clearly based on delete power. They had a positive position to use The Korean Language Leaders in order to make Korean children Japanized by the abnormal thought and assimilation, and the theory of alignment of Japanese with Korean (Chosunin) which was aimed to train Korean Children to be negative(passive) and the object to be trained. Therefore, The Korean Language Leaders published by the last editorial office of Korea Empire is considered to be textbook to show the hardships as much as the darkness of that e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