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산학협력 전담조직의 기술이전 효과 분석에 대한 연구 - 정보기술과 나노·소재기술분야 기술이전 실증데이터를 중심으로
양지혜,윤철희 한국산학기술학회 202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6 No.5
첨단기술이 국가 전략자산으로 부상함에 따라, 대학의 연구 성과를 산업계와 연결하는 기술이전 활동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에 대학은 산업계에서 활용할 수 있는 고부가가치 지식재산 창출과 기술이전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정책 수립 및 실행을 위해 노력을 하고 있다. 본 논문은 정보기술(IT)과 나노기술(NT)분야의 기술이전 실증 데이터를 기반으로, 대학 지식재산권(IP)의 활용 성과와 기술이전 촉진 정책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특히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의 사례를 중심으로, 지식재산 창출·활용 전담조직 설립 전후의 기술이전 성과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전담조직 설립 이후 조기 기술사업화, 기술료 수입, 국가 연구개발 성과물의 기술이전 실적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으며, 이는 전담조직의 체계적인 운영이 기술이전 성과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대학의 지식재산의 효과적 활용 및 사업화 전략 수립에 실질적 근거를 제시하며, 기술이전 전담조직의 전략적 역할과 정책적 지원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대학의 지식재산 기반 기술이전이 단순 계약 실적을 넘어서 국가 경제에 기여하는 기술사업화 성과 환류로 연계되어야 하며, 이로써 국가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As advanced technology becomes a strategic national asset, technology transfer connecting university research outcomes to industry is gaining increased importance. Universities actively establish policies to generate high-value intellectual property (IP) and to enhance technology transfer.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university IP utilization and technology transfer policy effectiveness in information technology (IT) and nanotechnology. Focusing on Yonsei University's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this study compares performance outcomes before and after establishing a technology licensing office (TLO). Results show significant increases in early-stage commercialization, technology licensing revenue, and transfer of national R&D outcomes following TLO establishment. The findings indicate that systematic operation of dedicated organizational units significantly improves technology transfer effectiveness. Our research provides empirical evidence for strategic university IP commercialization decisions, and emphasizes the crucial role of dedicated TLOs. It also highlights the necessity for strategic policy support, advocating technology transfer that transcends mere transactional achievements to contribute substantially to national industrial competitiveness and economic strength.
산학협력이 중소벤처기업의 기술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송건호(Song, Geon-Ho),이철규(Lee, Cheol-Gyu),유왕진(Yoo, Wang-Jin),이동명(Lee, Dong-Myu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0 No.11
본 논문은 산학협력 네트워크 활동이 중소 벤처기업의 기술혁신 성과에 어떻게 미치는지를 연구한 것으로 산학협력을 통한 공동장비 활용협력, 기술인력 지원 및 교류협력, 공동 기술개발 및 기술지도 협력의 세 가지 요인 이 기업가 역량과 흡수 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와 최종적으로 이러한 기업가 역량과 흡수 능력이 중소벤처기업 의 기술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화반월지구에 위치한 1100여개의 중소벤처기업을 대상으로 설 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 결과를 구조방정식 모형에 적용하여 개별 요소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이를 검정하 였다. 또한 산학협력 체결 기업과 미체결기업 간의 기술 혁신성과를 비교함으로써 중소벤처기업의 산학협력 활용능 력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수립하였다. 구조방정식을 통한 개별 항목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공동장비 활용협력, 기술인력 지원 및 교류협력, 공동 기술개발 및 기술지도 협력 모두 기업가 역량에 큰 영향력을 미쳤으나, 지식흡수 능력에는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최종적으로 기업가 역량과 지식흡수 능력 중 기업가 역량만 기술혁신 성과에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위의 요소들이 업종별, 제품성장 단계별로 미치는 영향은 기업가 역량에는 동일하게 나타나고 다른 요소들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산학협력에 대한 다른 전략이 마련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산학협력 체결 기업은 미체결 기업에 비해 기술개선, 신제품 개발 건수, 공정개선 건수의 항목이 산학협 력 미체결 기업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effect of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on the technical innovation of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A survey was conducted on about 1,100 businesses located in the Sihwa-Banwol industrial estate to analyze the consequence of three factors of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the joint use of equipments, technological support of universities to businesses, and cooperative technological development through technical guidance—on entrepreneurial capability and their knowledge-absorption ability, and ultimately on their technological innovation,. The validity of the survey result was tested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On the basis of the comparison between companies which have participated in academy-industry cooperation and companies which have not, this paper suggests that venture businesses should take advantage of the cooperation with universities to boost their competitiveness. The analysis of the three individual factors of the academy-industry cooperation based o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shows that all of them have remarkable influence on entrepreneurial capability, but that they don’t have as much impact on businesses’ knowledge absorption ability. However, the outcome of technological innovation of businesses is primarily influenced by entrepreneurial capability rather than their knowledge absorption ability. The survey also shows that the three factors of the cooperation have an equal impact on the competitiveness of companies regardless of their business type or their products’ growth stages. As the companies involved in academy industry cooperation outweigh other businesses, in term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the numbers of new product development, and the numbers of their process improvement cases, this paper argues that new strategies should be taken for the businesses to fully take advantage of academy-industry cooperation.
한국, 중국, 일본 철도연구기관 특허 및 논문실적 비교분석
백승현,이윤주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6
The governments of Korea, China, and Japan have operated comprehensive research institutes for railway technologies.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KRRI), China Academy of Railway Sciences Corporation Limited (CARS), and Railway Technical Research Institute (RTRI) are representatives of comprehensive railway research institutes in each country. KRRI was found to be the most advanced in the quantitative competitiveness of patents. In terms of qualitative competitiveness, KRRI has strength in civil engineering, whereas RTRI has strength in electricity. KRRI was found to have the greatest efforts in securing competitiveness in overseas property rights. By comparing the publication of papers, CARS published the most papers. On the other hand, from 2015, KRRI showed an upward trend and published the most papers. By examining the impact of the papers by the citation, KRRI was found to have higher competitiveness than the other two institutions.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perform big data analysis on patents and papers of the three organizations, derive the key research areas and promising technology areas for each institute, and establish a mid-to-long-term development plan for railway technology based on scientific evidence. 한국, 중국, 일본 정부는 철도에 대한 종합연구기관을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다.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중국철도과학연구원, 일본철도종합기술연구소는 각 국가의 대표적인 철도종합연구기관으로서, 철도원천기술 및 시스템기술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이 기관들은 특허와 논문 실적을 지속적으로 도출하고 있으며, 특허 및 논문을 통해 각 기관들의 연구성과를 비교 분석할 수 있다. 윈텔립스 DB를 이용하여 2000년 이후 공개특허를 비교한 결과, 특허의 양적 경쟁력에서는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 1,923건으로 가장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고, 질적 경쟁력에서는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 토목분야의 특허시장지수가 1.04, 특허영향력지수가 1.33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일본철도종합기술연구소가 철도전력분야 특허시장지수가 1.16, 특허영향력지수가 1.32로 높게 나타났다. 세 기관 모두 자국 특허출원 비중이 매우 높게 나타났으나,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 상대적으로 PCT 출원 108건 등 해외 지식재산권 경쟁력 확보노력을 가장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copus DB를 이용하여 논문발표를 비교한 결과, 중국철도과학연구원이 1,527건으로 가장 많은 논문을 발표하였지만, 2015년부터는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 매년 100건 이상의 논문을 발표하며 가장 많은 실적을 나타냈다. 피인용도를 중심으로 논문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의 논문영향력지수가 0.45로서 두 기관보다 높은 경쟁력을 갖고 있었다. 향후 세 기관의 특허․논문 정보에 대한 텍스트마이닝 등 빅데이터분석을 활용하여, 기관별 중점연구영역 및 유망기술분야를 도출하고, 과학적 증거에 기반한 철도기술개발 중장기발전계획 등의 수립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업종-기술’ 매칭 테이블을 활용한 IT인력양성용 산학협력
심재륜(Shim, Jare-Ruen),최진호(Choi, Jin-Ho) 한국산학기술학회 200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8 No.2
본 논문에서는 IT인력양성을 위한 산학협력을 위해 ‘업종-기술’ 매칭 테이블을 제안하였다. 업종분류는 「정보통신부문 상품 및 서비스 분류」 체계에 의해 △정보통신서비스,△정보통신기기,△소프트웨어 및 컴퓨터관련서비스로 나누었고, 기술분류는 정보통신연구진흥원(IITA)의 기술코드를 이용하였다. 업종별 필요한 구성 기술을 제시하였고, 인력양성을 위한 ‘기업(업종)-기술-대학(학부/학과/전공)’의 파이프 라인(pipe line)이 유지되도록 산학협력 방안을 제시하였다. IT인력양성 산학협력의 예를 제시하기 위해 부산지역의 기업(디지털콘텐츠개발서버스)과 부산지역의 대학 (멀티미디어·콘텐츠 분야)의 핵심 교육 프로그램을 도출하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업종기술’ 매칭 테이블은 업종분류와 기술분류 방식에 따라 가변적일 수 있다. IT인력양성 측면에서 미래 기술 추세와 시장 변화 등에 맞게 산학협력이 되도록 ‘업종-기술’ 매칭 테이블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In this paper, we have proposed on the Matching Table of 'Type of IT Business - Class of IT Techniques' to train IT manpower as an educational-industrial cooperation. The Type of IT Business(TITB) are classified according to △IT Services, △IT Devices, and △Software & Computer related Services which are guided by KAIT(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 Telecommunication). The Class of IT Techniques(CITT) are brought from IITA(Institute for Information Technology Advancement). We have suggested on the element techniques from the Class of IT Techniques(CITT) according to the Type of IT Business(TITB) and proposed an educational-industrial cooperation program to line up 'Type of IT Business(TITB) - Class of IT Techniques(CITT) - University(DepartInentJMajor)'. The deduction process of the core education program is presented to show the educational-industrial cooperation between company(Type of IT Business : Digital Contents Development Service) and university(Major of Multimedia & Contents) in the Busan area. The Matching Table of 'Type of IT Business(TITB) - Class of IT Techniques(CITT)' varies as the way of classification according to IT Business and IT Techniques. The research on the real and exact Matching Table of 'Type of IT Business(TITB) - Class of IT Techniques(CITT)' is necessary for educational-industrial cooperation by the trends of techniques and the changes of IT market share.
김태경(TaeKyung Kim),최회련(HoeRyeon Choi),이홍철(HongChul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11
최근 인터넷과 모바일 환경을 기반으로 금융과 IT가 융합된 핀테크(Fintech) 산업이 급속히 성장하고 있으며 간편성, 편리성 등으로 무장한 핀테크 서비스는 모든 금융서비스의 온라인·모바일 화를 주도하고 있다. 그러나 핀테크 산업의 급격한 성장에도 불구하고, 핀테크 기술에 대한 세부기술 분류와 주요 시장국의 기술개발 동향을 분석하고 기술기획을 지원하기 위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핀테크 기술의 비정형 데이터 형태의 특허 데이터를 이용하여 토픽모델링 기법을 통해, 핀테크 세부 기술을 추출하고 정의한다. 도출된 핀테크 세부 기술에 대해 Hot&Cold topic 을 파악하여 핀테크 기술의 트렌드를 파악한다. 또한 핀테크 산업의 주요 기술에 대한 주요 시장국인 미국, 한국, 중국의 기술개발 동향을 각각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핀테크 세부 기술 간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기술 간의 연계 관계를 살펴본다. 본 연구를 통해 파악된 핀테크 산업 기술 동향은 핀테크 산업분야의 정책 수립과 핀테크 관련 기업의 기술 전략 수립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ly, based on Internet and mobile environments, the Fintech industry that fuses finance and IT together has been rapidly growing and Fintech services armed with simplicity and convenience have been leading the conversion of all financial services into online and mobile services. However, despite the rapid growth of the Fintech industry, few studies have classified Fintech technologies into detailed technologies, analyzed the technology development trends of major market countries, and supported technology planning. In this respect, using Fintech technological data in the form of unstructured data, the present study extracts and defines detailed Fintech technologies through the topic modeling technique. Thereafter, hot and cold topics of the derived detailed Fintech technologies are identified to determine the trend of Fintech technologies. In addition, the trends of technology development in the USA, South Korea, and China, which are major market countries for major Fintech industrial technologies, are analyzed. Finally, through the analyses of networks between detailed Fintech technologies, linkages between the technologies are examined. The trends of Fintech industrial technologies identified in the present study are expected to be effectively utilized for the establishment of policies in the area of the Fintech industry and Fintech related enterprises" establishment of technology strategies.
독일정부 지원정책에서 관점에서 살펴본 한 · 독간의 국제기술협력에 관한 연구
김진숙(Kim, Jin-Su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1
한독간의 국제기술협력은 한국 및 독일 양국에게 중요한 정책이다. 독일입장에서 한국과의 국제기술협력은 중국 및 일본을 겨냥한 주요 아시아 국가의 전략적 거점으로서 중요하다. 또한 한국도 기존의 연구를 통해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독일과의 국제기술협력은 EU의 전략적 거점 국가로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 이러한 양국간의 중요함에 비해 지금까지 한국에서는 한독간의 국제기술협력을 위한 우리정부의 정책에 대한 연구는 꾸준히 되어온 반면, 독일정부가 한국과의 국제기술협력을 위한 독일정부가 실행하는 정책에 대한 연구는 아직 없다. 본 논문에서는 독일정부가 한 · 독간의 국제기술협력을 지원하는 정부정책이 무엇인가를 알아보도록 한다. 제 2장에서는 거래비용이론에 토대를 두고 국제기술협력정책을 살펴보고 제3장에서는 연구방법을 그리고 제 4장에서는 독일정부의 한국과의 국제기술협력 정책을 살펴보았다. 제 5장은 결론분야로서 독일정부의 정책에 토대를 둔 한국정부의 향후 방향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로는 독일정부는 자국의 기업들을 위해서 장애요인으로 나타나는 한국에서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데 많은 지원정책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ternational technological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Germany is important from a strategic perspective, especially from the view of hub Asian countries around China and Japan. The Korean strategy has emphasized technological cooperation with Germany, an established hub for the EU. However, German and Korean technological cooperation requires supporting policy by the German government for further technological cooperation with Korea. Active support policies for international technical cooperation have been considered for implementation within the main countries. The German government has increasingly recognized Korea as an important partner country. This paper seeks to identify support policies for German small-to-medium size enterprises (SMEs) for greater technological cooperation. Study results found that German SMEs need to strengthen networks in Korea.
국가 공간정보 인프라의 클라우드 서비스 기술개발 방안 수립
윤준희(Junhee Youn),김창윤(Changyoon Kim),문현석(Hyonseok Mo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3
클라우드 컴퓨팅은 서로 다른 위치에 존재하는 IT 자원을 가상화 기술을 활용에 다양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술이다. 국가 공간정보는 관리 주체가 분산됨에 따라 최신의 갱신된 정보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존재한다. 또한 GIS 분석기능을 기관 별로 독자적으로 구축하여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국가예산이 낭비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 들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도입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그러나 한국 공간정보 시스템에 클라우드를 도입하기 위한 연구는 기술개발의 방향 제안에 머물러 있고 구체적 개발 방안을 제시하지는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 공간정보 인프라의 클라우드 서비스 기술개발 방안을 수립한다. 첫 번째로 정책 및 기술적 환경과 현황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여 기술개발 목표를 설정한다. 두 번째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요소 및 핵심 기술요소를 평가 요소에 대한 전문가 분석으로 도출한다. 그 결과 총열 세 개의 핵심 기술요소가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각 핵심 기술요소를 구성하는 총 서른 한 개의 연구활동이 정의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핵심 기술요소 및 연구활동은 추후 국가 공간정보 인프라에 클라우드 서비스를 도입하기 위한 기술개발 로드맵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Cloud computing is an IT resource providing technology to various users by using virtualization technology. Newly updated spatial information may not be used by other organizations since management authorities are dispersed for Korean public spatial information. Further, the national budget is wasted since each organization independently implements renewable GIS analysis function. These problems can be solved by applying cloud service. However, research related to the application of cloud service to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has been proposed in the technology development direction, and no detailed development plan has been proposed. In this paper, we deal with the establishment of a technology development plan for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cloud service. First, we deduct the implication to derive the technology development goals by analyzing the political and technical environment. Second, technology and critical technology elements are derived to achieve the goals of the specialist"s analysis based on the evaluation elements. As a result, thirteen critical technology elements are derived. Finally, thirty-one research activities, which comprise the critical technology elements, are defined. Critical technology elements and research activities derived in this research will be used for the generation of a technology development road-map.
홍은영(Eun-Young Hong),최종인(Jong-in Choi)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3
본 논문은 정부지원 의존도가 큰 우리나라 산학협력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산학협력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요인을 찾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산학협력의 누적된 경험과 다양한 채널의 폭으로 설명되는 산학협력관계강도와 상호인식의 차이, 제도적 장벽으로 설명되는 산학협력장애가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그리고 산학협력장애를 낮출 수 있는 요인으로 대학행정의 노력 및 산학간의 신뢰를 살펴본다. 국내 산학협력프로그램 중 오랜 역사를 가진 중소벤처기업부의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을 대상으로 산학협력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산학협력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연구표본의 명확성을 위하여 2011년과 2015년 사이에 중소벤처기업부의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에 참여한 모든 기업을 대상으로 조직단위의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356개 조직의 응답을 이끌어 냈다. 연구 결과, 산학협력관계의 폭이 클수록 지속가능성은 높아지고, 산학협력장애의 제도적장벽이 클수록 지속가능성은 낮아짐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대학행정의 노력과 산학간의 신뢰를 통해 산학협력장애를 극복할 수 있다. 결국, 지속가능성을 실현하기 위한 산학연관 주체의 관심과 시스템이 필요하다. 즉, 대학과 기업과의 Link의 다양성, 즉 산학협력의 폭을 넓힐 수 있는 연계프로그램이 필요하며, 이러한 정책 추진을 위한 정부의 제도개선이 필요하다. 끝으로 대학행정서비스의 수준을 제고하기 위한 대학핵심조직의 변화가 필수적이다. This paper studies the factors that increase the sustainability of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in the current structure of domestic I-U cooperation, which is highly dependent on government support. First, we examine the extent to which the "I-U Relationship Strength" can be explained by the cumulative "Experiences of I-U cooperation" and "Width of various I-U cooperation channels", and the "I-U cooperation barrier" can be explained by the "Difference in mutual recognition" and "Institutional barriers" on sustainability. In addition, the factors that can lower the "I-U cooperation barrier", such as the "University administration"s efforts" and "Trust between I-U", are examined. The researchers examined the factors affecting the sustainability of I-U cooperation and the factors affecting "I-U cooperation barriers" in the "I-U cooperation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s" of the Ministry of Small & Medium Venture Business and Startups with its long history of domestic I-U cooperation programs. In order to clarify the data of the research sample, a questionnaire survey of organizational units was conducted for all companies participating in the "I-U cooperation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s" of the Ministry of SMVB and Startups between 2011 and 2015, and the responses of 356 organizations were used. It was found that the greater the "Width of the I-U cooperation channels", the higher the sustainability and that the greater the "Institutional barriers", the lower the sustainability. However, through the "University administration"s efforts" and "Trust between I-U",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e "I-U cooperation barrier". Ultimately, the systematization of Industry-University-Research institute subjects is needed to realize sustainability.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have a linkage program that can broaden the link between industry and universities, that is to broaden the scope of I-U cooperation. Moreover, it is necessary for the government to provide institutional support to promote desirable I-U cooperation policies. Finally, it is essential to change the universities" core organizations in order to improve the level of university administration services.
대학 기술이전의 공간적 특성과 지역 내 기술이전에 대한 LINC+ 효과 분석
이은혜 한국산학기술학회 202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5 No.3
이 연구는 2015-2018년 ‘대학 산학협력 실태조사’를 비롯한 다양한 출처의 자료를 사용하여 4년제 대학의 기술이전 현황 및 공간적 특성과 함께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Leaders i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이하 LINC+) 1단계 산학협력고도화 유형이 대학의 지역 내 기술이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대학의 기술은 대학 소재지 기관으로 이전된 비율이 가장 높아 지리적 근접성이 기술이전의 공간적 패턴을 형성하는데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도권 산업체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강원권 및 충청권 대학과는 달리, 대경권과 동남권은 권역을 중심으로 지역 대학과 지역 산업 간의 기술이전 네트워크 결속이 강한 것으로 나타나 지역별로 기술이전의 공간적 구조에 차이를 보였다. LINC+ 산학협력 고도화형은 수도권 대학의 기술이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으나, 비수도권 참여대학의 권역 내 기술이전 건수는 평균 47.4%, 시·도 내 기술이전 건수는 35.5% 증가시킨 것으로 추정된다. 수도권 대학에서는 LINC와 네트워크 자산이 지역 내 기술이전에 긍정적 영향을, 교원의 학술활동은 부정적 영향을 주고, 비수도권 대학에서는 민간 연구비와 특허출원, 기술이전·사업화 전담인력이 긍정적인 영향을, 기술지주회사는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용숙(Yong-Sook Kim),신길현(Gil-Hyun Shi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9
본 연구는 2006년부터 2016년 3월까지 최근 10년간 「한국산학기술학회지」 논문에 게재된 교육분야 연구관련 논문 분석을 통하여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과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균형 있는 연구를 위한 방향과 학술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대상이 된 교육학 관련 논문 143편을 분석기준 따라 연도별 논문 수, 연구자 전공별, 저자수별, 연구대상별, 연구주제별, 연구방법별(연구유형, 자료분석)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연도별 논문 수는 2015년이 31편으로 가장 많이 발표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자 전공별은 유아교육전공 77명, 교육학전공 64명 순으로 나타난 반면, 상대적으로 그 외 교과목 전공 관련 연구는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저자수별로는 2인 51편, 단독이 44편 순이였는데, 4명 이상의 공동연구는 총 10편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별로는 유아가 28편, 유아교사가 24편순으로 나타났다. 연구주제는 철학․역사․심리․사회가 35편, 교사교육이 27편순이었고, 유아교육분야에서는 교사교육, 발달심리․부모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방법은 양적연구 중 상관연구가 47편이, 자료분석방법은 차이검증 중 t-검증이 가장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동향 분석을 계기로 한국산학기술학회가 향후 연구논문의 고른 게재를 통하여 우리나라 학계의 균형 있는 발전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the trend of research in the field of education contributed theses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Society」in the 10 year period from 2006 to March, 2016, and provide the basic data needed for further research projects. It provides the direction for balanced academic research. The 143 theses contributed over this 10 year period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number of thesis per year, major of the researchers, number of co-authors, object of research, subject of research, and research method. It was found that the greatest number of theses were published in 2015. There were 77 researchers who major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more than 64 researchers who majored in Education, while few researchers majored in other fields of study. The number of papers published by two co-authors was 51, that by one author was 44, and that by more than four researchers was 10. The numbers of papers whose object of research was infant and teacher education were 28 and 24, respectively. The number of papers whose subject of research was philosophy, history, psychology, or social science was 35, and that involving education was 27. There were 47 papers whose method of research was quantitative research. The most prevalent method of data analysis was difference verification. Through this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s, we expect to contribute to the balanced development of the academic world in Korea.